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다문화 영화

        배상준(Bae, Sang-Joon)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6

        한국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다. 이러한 사회현실은 오늘날 우리가 삶의 방식으로서 고립된 단일문화의 지속만을 고집하는 것은 곤란하며, 이제는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를 새로운 현실의 해석을 위한 틀로서 수용해야 하는 때다. 특히 영화를 필두로 하는 대중문화는 다문화주의를 적극적으로 담아내며 한국형 다문화 사회를 반영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영화에 관한 영화학적 연구는 아직 그 첫 발을 제대로 떼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영화연구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의 제한적인 실태를 핵심원동력으로 삼고자 한다. 그리고 아직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없는 다문화 영화의 장르적 개념정립을 시도하여 한국의 다문화 영화이론의 발전을 꾀하고자 한다. 한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로서의 장르영화는 그 사회 전체가 가지는 가치관과 방향성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다섯 편의 한국영화 <로니를 찾아서>(심상국, 2009), <반두비>(신동일, 2009), <방가? 방가!>(육상효, 2010), <무산일기>(박정범, 2011), <완득이>(이한, 2011)를 장르영화로서의 다문화 영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했다. 한국형 다문화 영화장르는 가족의 개념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문화 영화는 편부·편모 가족이나 다성(多姓)가족을 포함하는 다문화 가족을 일종의 대안가족으로 제시하고, 이로써 근대적 가족개념의 변화와 탈근대 가족의 재편성을 형상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단일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해왔다는 자부심보다는, 앞으로 실천해야할 다문화주의의 과제를 더욱 크게 부각시킨다. South Korea is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we today have to accept the multiculturalism as a framework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nging reality. Thus, the complemen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immigrants and the epistemic change and development of our community are urgently requested. Academics and community groups around the current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under extensive discussion. Popular culture, led by film as well shows the topic of multiculturalism and so reflect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he multicultural film, which has already been found since the 1970s in europe, began appearing in the korean film industry. However, the multicultural film studies are not yet releasing properly, therefore the definition or classification of concept for the multicultural film has not bee establish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cept formulation of multicultural film as genre and so is intende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lticultural film theor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conflictful multiculturalism deep in the korean film culture functions as a key mediator for the creation of a new film genre. This multicultural perspective of the film’s genre presents the evolved differentiation of korean films.

      • KCI등재

        영화 <완득이>를 중심으로 본 다문화사회의 차별과 소통

        박범종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2

        This study analyzes not a multicultural film that focuses on discrimination, but rather a warm multicultural family movie, Wan- duk, which depicts communication and equality. Through this film’s main scenes and dialogue, we investigate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analyze how it communicates with Korean society. Wan-duk shows people communicating and converging in Korean society through various objects or people‒a mother, a letter, a pair of shoes. In particular, it shows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film concludes that migrants are not people to pity and help, but people with an independent existence who have a horizontal and equal relationship. The media are important in that they can have either a positive or a negative impact on 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policy formation about other cultures. The media can inform and educate other cultures, and can strengthen migrants’ self-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media can also portray migrants as criminals or deviant behavioral actors, and can plant negative percep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seminate good multicultural films to overcome the negativ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o educate them properly about multiculturalism. Through various medi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rum for public opinion on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human rights problems that aris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pursue social integration rather than conflict through communication.

      • KCI등재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 종교영화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제언 -

        박종수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연구 Vol.- No.26

        Th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films. First, it examines the discussions of the concep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the status and task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virtue of films.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no systematic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films, which means that such attempts are only being made by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without coherent pla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more systematic program and syllabu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films are to be developed among different disciplines. Furthermore, this paper develops th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religious films and asks for the enlarg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various fields by archiving religious films. As a filmic genre, religious films can play a rol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y introducing directly or indirectly different cultures, contribute to understand religions as cultures, especially religions as the fundamental background of cultures, and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on the basis of different religious identities. Thus, it is required to archive religious films.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과제에 대해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우선, 본고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적 논의들을 살핀 후,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본다.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은 체계적인 교과과정으로서의 프로그램이 현재까지는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은 몇 몇 연구자에 의해서, 각 학문 분과에 따라서 단편적으로 시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학제간 교과과정의 프로그램을 만들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음으로, 본고는 종교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에 대해서 시론적으로 제시하고, 종교영화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서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다문화교육의 확대를 제언한다. 종교영화는 영화의 한 장르로서 존재하지만,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직·간접적인 소개, 문화에 대한 이해로서 종교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문화의 가장 기층 요소로서 종교의 기능과 역할, 종교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에 대한 이해 등, 다문화교육의 한 방편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교영화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이 요청된다.

      • KCI등재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대중적 시각문화의 기호학적 분석: 영화 <토끼 울타리(Rabbit-Proof Fence)>를 중심으로

        이승희(Seung-hee LEE),김선아(Sun-ah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8

        본 연구는 영화 ‘토끼울타리’에 재현된 인종, 문화, 정체성 등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비평 학습을 위한 분석 틀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시각문화를 활용한 다문화미술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호학을 중심으로 등장인물, 내러티브, 장면 및 대사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토대로 영화의 시각적 특성에 나타난 다문화적 양상을 분석한 후기표로서 조형 요소의 사회적 의미와 시각문화 비평의 틀을 논의하여 다문화미술교육의 수업 활동을 제안하였다. 영화 ‘토끼 울타리’는 백인우월주의와 억압에 직면한 소녀들의 저항에 관한 내러티브로써, 이러한 시각문화의 서사구조와 조형언어 분석은 미술교육뿐 아니라 다문화이해교육 측면에도 가능성을 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시각문화가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고 고정된 인식을 전환하는 매체가 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영화 속에 내재된 내러티브와 이데올로기를 분석하고, 이것이 가지는 ‘감정에 대한 주목’의 측면에서 미술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미술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실제적 교수-학습 실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n analysis framework for critical learning by analys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race, culture and identity that is reproduced in the film ‘Rabbit-Proof Fence’, and exploring method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utilizing visual culture.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s, narrative, scene and dialogue of the film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semiotics. Based on the results,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multicultural aspects found i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film. Then, we discussed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symbols as a formative aspect and the critical framework of visual culture, to propose a lesson activity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film ‘Rabbit-Proof Fence’ is a narrative about the resistance of girls who are faced with white supremacy and oppression, and analys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formative language of this visual culture embeds possibilities for not only art education, but also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On the premise that visual culture can be a medium to underst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change misconceptions and stereotypes, this study analyses the narrative and ideology inherent in the film and seeks to draw art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its ‘observations of emo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foundational research for the pragmatic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art lessons in the future.

      • KCI등재

        이주여성을 그리는 21세기 한국영화들: 엄마와 괴물 이중시선

        정민아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1

        In the 1990s, when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became visible in earnest in Korea, which has long lived in line with the myth of a single nation through colonization and division, migrant workers began to enter the country on a large scale. This essay historically looks at the aspects of migrant characters in 21st century Korean films, where various reenactments and variations take place, and analyzes the trend of immigrant female characters in particular. In this era of feminization of immigration, there is a double eyes in Korean society that looks at women who are migrant. This essay analyzes the various representation of immigrant female characters in five Korean films - My Ratima, Thuy, Missing, Idol, and A Bedsore - as a binary concept called "Mom and Monster." It also outlines how the media is dealing with them and how they reflect popular sentiment in a reality where moral and racist hatred of typists coexist with the counteraction that the assimilationist multicultural policy evokes. The film’s multicultural immigrant character brings up a number of controversial issues, including its own censorship of political correctness or customary use of genre convention. Korean films actively utilize various structural inequalities brought by international migration in the narrative and capture various aspects of society. The entrenched authoritarian hierarchy among the genders, nations and classes reset inside us causes a rupture through artistic imagination. 식민지와 분단을 통해 단일민족이라는 신화를 강조하게 된 사회적 분위기에 맞추어 오래도록 살아온 한국에서 세계화와 신자유주의화가 본격적으로 가시화되던 1990년대에 이르자 이주노동자들이 대규모로 입국하기 시작했다. 본고는 다양한 재현과 변주가 이루어지는 21세기 한국영화 속 이주자 캐릭터 양상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이주여성 캐릭터 경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이주의 여성화, 이주의 가정주부화 시대에 이주여성을 바라보는 한국사회의 시각에는 이중시선이 착종되어 있다. 본고는 <마이 라띠마>, <안녕, 투이>, <미씽: 사라진 여자>, <우상>, <욕창> 등 다섯 편의 한국영화 속 이주여성 캐릭터의 여러 재현 형태를 ‘엄마와 괴물’라는 이항대립적 개념으로 분석한다. 또한 동화주의적 다문화정책이 불러일으키는 역작용과 함께 타자 윤리 및 인종주의적 증오가 공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미디어는 이들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대중정서를 어떤 방식으로 반영하고 있는지 정리한다. 영화의 다문화 이주자 캐릭터는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스스로의 검열, 혹은 장르적 반복에 따른 관습적 사용 등 많은 논쟁거리들을 불러온다. 한국영화는 국제이주가 가져온 여러 구조적 불평등을 서사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사회의 다양한 모습들을 포착하고 있다. 우리 내부에 재설정된 젠더, 국가, 계급 간의 고착화된 권위적 위계질서는 예술적 상상력을 통해 파열음을 일으킨다.

      • KCI등재

        범죄영화 관람이 다문화 수용성과 조선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산산,이동환,전종우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보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stablish how watching Korean crime movies affects Korean’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attitudes towards Korean-Chinese people. In particular, it analyzed the effects of watching crime movies in which Koreans are exposed depending on their level of fear over crime and experience with foreigner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Korean’s multicultural acceptance factor were classified into four main factors: positiveness, openness, conservatism and rejection. These four factors and their attitude towards Korean-Chinese peopl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watching of crime movies (high vs. low), the fear of crime (high fear vs. low fear), and the experience of foreign contact (high contact vs. low contact), based on the 2x2x2 de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watching crime movies affect the positiveness and attitude towards Korean-Chinese people, as compared to other multicultural acceptance factors, such as the fear of crime and the interaction with foreign contact experience. In other words, when it comes to watching crime movies, the people who are afraid of crime among the audiences are more positive. In addition, the interaction of watching crime movies, fear of crime, and experience with foreign contact has been shown to reveal the three-way interaction in the attitudes towards Korean-Chinese people, who are subject to the three variables. For those who come into contact with foreigners more often, the higher the fear of crime and the more crime movies they watch, the more negative they are about crime movies, which results in a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Korean-Chinese people. It shows that for those with a high-level contact experience with foreigners, the level of fear is a key factor in controlling the negative effects towards crime films. 이 연구는 조선족을 소재로 하는 범죄영화의 관람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외국인 접촉경험과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과 조선족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다문화 수용성의 구성요소를 적극성, 개방성, 보수성, 거부감의 네 가지 요인으로 분류한 선행연구에 따라, 이 네 가지 요인과 조선족에 대한 태도를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여 범죄영화관람(고관람 대 저관람), 범죄에 대한 두려움(고두려움 대 저두려움), 그리고 외국인 접촉경험(고접촉 대 저접촉)의 2x2x2 설계를 바탕으로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범죄영화 관람은 범죄에 대한두려움, 그리고 외국인 접촉경험과의 상호작용 하에 다문화 수용성 중 적극성과 조선족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다문화 수용성 중 적극성은 범죄두려움이 높은 집단에서 범죄영화를 덜 볼수록, 그리고 외국인 접촉경험이 많을수록 더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조선족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는 범죄영화관람, 범죄두려움, 외국인 접촉경험이 3원 상호작용을 보였다. 외국인을 자주 접촉하는 경우,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높으며 범죄영화를 많이 관람할수록 조선족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낮으면 범죄영화 관람이 조선족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로써 외국인 접촉 경험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정도가 범죄영화의 부정적인 효과를 조절하는 핵심적인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문화 시대를 준비하는 한국사회에 있어서 조선족을 소재로 하는 범죄영화의 제작, 배급 그리고 수용자 인식 변화의 필요를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영화, 이주여성을 들여다보다

        조진희(Jin-Hee Cho)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2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6 No.1

        이 논문은 지난 2000년대 이후 한국의 대중영화들이 이주여성들을 재현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파이란>(2001)은 위장 결혼을 통해 한국에 이주하게 된 중국 여성을 등장시켰으며 <나의 결혼 원정기>(2005)는 한국 남성들과 우즈베키스탄 여성들 간의 맞선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5년간의 침묵을 깨고 제작된 <방가?방가!>(2010)와 <완득이>(2011)는 베트남이나 필리핀 출신의 여성들과 그들의 직장동료나 이웃들, 그리고 자녀들을 등장시킴으로써 이주여성들이 가정이나 일터에 정착하면서 당면하게 되는 갈등이나 차별 등의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이렇듯이 이주여성들을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4편의 대중 영화들을 중심으로, 한국 영화들이 과연 이주여성들이 살아가고 있는 모습에 대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그리고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유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불러일으키고 있는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하고자 한다. 다양한 국적을 가진 이주여성들이 유입하면서 국내에 체류하는 여성 인구들의 인종적, 민족적인 지형도는 급속도로 다변화되기 시작하였지만 이들 중 상당수의 여성들은 공단이나 농어촌에 귀속되어 있다기에 대도시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타국으로부터 이주해온 여성들과 접촉할 기회를 갖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들이 어떠한 동기나 배경을 가지고 있고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이주하게 되었고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떠한 문제점이나 열망을 안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는 기회라고 한다면 대중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경험이 대다수일 것이다. 지금까지 이주여성의 삶을 비교적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대중 영화들이 단지 몇 편에 불과한 만큼 이들 영화는 이주여성으로 범주화하는 집단을 특정한 방식으로 인식하고 구성할 수 있는 데에 상당히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들 영화들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과연 어떠한 산업적인 조건이나 사회문화적인 이유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 이주여성을 재현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뿐만이 아니라 재현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즉 과거에 비해서 과연 오늘날에는 이주여성의 재현에 있어서 어떠한 균열이나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만약 재현 양상에 변화가 있다면 그 변화의 추이를 추적할 뿐 아니라 이러한 변화를 이끈 주된 원인을 상세하게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Feminized migration refers to the phenomena that migrated women outnumber migrated men. Korea has witnessed the rise of the number of migrated women as many foreign women married Korean men and moved into Korea. Of course this phenomena has been captured in some Korean films. From 2000 to 2011, Korean film industry has produced 4 movies that dealt with the lives of migrated women. Interestingly enough, these women came from other Asian countries, meaning Vietnam, Philippine and China. Besides, the way these films represent their distinctive traits are somewhat stereotypical. This essay brings into focus the way Korean film industry represent migrated women for 10years. While analyzing a prejudice based upon race, ethnicity and class in the way Korean film makers represent Asian women, this essay also highlights a small but significant change in the way migrated characters have been characterized. By doing so, I want to deliver a more lively and sophisticated analysis of the logic of culture industry that absorbs an alternative movement into an attractive commodity.

      • KCI등재후보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 효과 연구

        서재복 교육종합연구원 2019 교육종합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eneralize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multicultural fil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its effect on multicultural awareness.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wareness of important students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multicultural population today. Multicultural education is alread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conducting actual classes. Starting in the 2019 school year, the ministry has been providing supp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students, school environment, community networks and customized programs. However, there is a lack of ways to utilize multicultural education at educational sites. In other words, it is not easy to improve students'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with curriculum-oriented classes and simple experience activities. In this regard, the study wan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of multicultural awareness by utilizing multicultural movies. The Multicultural Film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the 12th session. The inspection tool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32 questions in 3 areas (variety, relativity, universality). Research data analysis was used by the SPSS 24.0 program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experime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using movies have been effective in promot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using movies to middle school education activities.

      • KCI등재

        다문화 영상 및 도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이주, 새로운 뿌리를 찾아서" 주제를 중심으로-

        김미혜 ( Mi-hye Kim ),이은주 ( Eun-joo Lee ),박윤경 ( Yun-kyoung Par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8 No.-

        이 연구는 다문화 영상 및 도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이주’를 주제로 한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멋진 그녀들>, <샤바의 소년> 및 <증오>를 활용한 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효과 및 교육 자료의 특성에 따른 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영상 및 도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초등 예비교사들의 이주민 및 이주민 자녀에 대한 인식이 전체적으로도 또는 하위 영역에 따라 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초등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효능감이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가 교육 자료의 내용 및 매체 특성 등에 따라 이주민에 대한 인식 전체 및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중 다문화적 효능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한국에 온 결혼이주여성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멋진 그녀들>의 평균이 가장 높고, 프랑스를 배경으로 이주민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해 다룬 소설 <샤바의 소년>이 그 다음이며, 프랑스의 이주민과 토착민 사이의 갈등을 다룬 <증오>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양성 기관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utilizing multicultural films and books. To this purpose, at first, we developed an 8-session-program that used multicultural films and books dealing with immigration issues and ran the program in 2013 spring semester. We, then, collected pre and post survey data from participants of three selected sessions. The films and book of the three sessions include a documentary film <Meotjin geunyeodeul(She Is)> showing a marriage immigrant woman in South Korea, a fiction <Shaba-eui sonyeon(Le gone du Chaaba)> dealing with the school life of an immigrant child in France and a movie <Jeung-o(La Haine)> covering the long and severe conflicts between the French natives and the immigrants from North Africa region. The films and books used in each session provided different context and atmosphere around immigration issues. We analyzed data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differences of the influence between three sess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program, participa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foreign immigrants and children of foreign immigrants. Second, after the program, participants reveal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elf-effica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 found the differences of the influence between three sessions on attitudes toward immigrants and self-effica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Specific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cognitive attitudes’ and ‘affective attitudes.’ The participants of the <Meotjin geunyeodeul(She Is)> session showed the most positive attitudes follow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Shaba-eui sonyeon(Le gone du Chaaba)> session. The participants of <Jeung-o(La Haine)> session showed relatively low positive attitud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effective multicultura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한류 이전 일본에서의 한국 영화 수용과 재일조선인

        채경훈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2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2 No.3

        Korean films were steadily introduced to Japan even before the Hanryu, and one of the channels was the Zainichi Korean society. In the 80s and 90s, film companies established by Zainichi Koreans appeared, and a wider variety Korean films began to be released in Japan. The film companies that appeared during this period were Asia Films Co.,LTD and Cinequanon. Asia Films Co.,LTD introduced a variety of films, from classic Korean films to contemporary films, not only through theatrical release, but also in the form of a film festival. In addition to distributing Korean films, Cinequanon has made important achievements in Korea-Japan film exchanges by expanding its business into investment, co-production. Through their activities, Korean films and culture were continuously accepted into Japanese society, and Japanese perception of Korean films was changed, and a new cultural foundation was laid for Japanese society in the 80s and 9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