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산계 『현무경』 연구

        구중회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5 대순사상논총 Vol.25 No.1

        In this study, source criticism (an establishment of authentic text) of the Hyun-Mu Sutra(玄武經) among different editions is studied and an attempt of a new interpretation appropriate to that is attempted. The Hyun-Mu Sutra, a scripture written in 1909, began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the religions of Jeungsanism. In particular, it was remarkable that The Hyun-Mu Sutra was absorbed as canon textbooks Jeonkyung(典經), the Scriptures of Daesoonjinrihoe, The Fellowship of Daesoon Truth(大巡眞理) from a loner and secret pull-out of heritage traditions. However, this scripture though written in 1909 and more than 100 years has passed, remained in a state unestablished authentic text. The Hyun-Mu Sutra is the scripture consisted of 25 pages by the religions of Jeungsanism[Gang Il-sun 姜一淳(1871~1909)]. 33 page type of Hyun-Mu Sutra has been distributed in the world until now the authentic text of The Hyun-Mu Sutra. However,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diagnostic scripture(病勢文) was found to have been added by descendants. After a review of authentic text of The Hyun-Mu Sutra, it concluded that there is no diagnostic scripture in primary The Hyun-Mu Sutra. Though The Hyun-Mu Sutra is a booklet of a small amount, the notation and expression is so unique, it has been in secrecy to read its contents. Interpretation way of The Hyun-Mu Sutra up to now can be summarized in two as follows. 1) approaches by I-ching 2) approaches by ten celestrial stemps and twelve earthly branches(10干12支). Approaches by I-ching among this sometimes was supplemented with Buddhist classification methods. Nevertheless, these studies can be evaluated limited because it fails to secure authentic text of The Hyun-Mu Sutra.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Hyun-Mu Sutra was examined itemized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four points. 1) The icon of The Hyun-Mu Sutra(玄武經符) is similar as normal talisman(符籍) but it has other features. 2) ‘Reverse Fonts’(反書體)[the opposite view of the standard fonts(正書體), reflected in the mirror fonts] and size or location used in text is not in uniform. 3) letters in scripture were pointed and points were stamped in the left and upper and lower characters. 4) “Spiritual poem” (詠歌,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 view of elegance as an origin of eco), and the music with the Five-Sounds[宮Gung, 商Sang, 角Gak, 徵Chi, 羽Wu) were related. As a result, content analysis of The Hyun-Mu Sutra is carried out in the next four points. 1) The icon of The Hyun-Mu Sutra(玄武經符) has been primarily developed by Jeungsan. 2) ‘Reverse Fonts’(反書體)[the opposite view of the standard fonts(正書體), reflected in the mirror fonts] and reverse location such as ‘宙宇’ [the reverse of ‘宇宙’] represents based on a new world based on a forward and reverse I-ching(正易). 3) Dot and neighbor points is a symbolic map that guides the position of lateral new world(後天) and era(人尊) 4) Spiritual poem is the entrance to achieve the Realization of Do(道通). The above can be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최진아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and achievements of the material culture research by Hyun Yong-jun, putting focus on the shamanism of Jeju Island,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t the time when Hyun Yong-jun was active in research activities,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was not the subject of attention. As a result, very few basic data related to the material culture have been accumulated. On the contrary, Hyun Yong-jun has identified the material culture of Jeju shamanism as a subject of individual study since the 1960s and made an attempt to study it. In that respect, he is a researcher who made it possible to discuss the shamanistic research of Jeju island from various views. Among the research achievements made by Hyun Yong-jun, the study related to the shaman material culture hold significance in many aspects. First, after the shamanism of Joseon had been studied by Japanese researchers, Murayama Jizen 村山智順) and Akiwa Takashi (秋葉隆), Hyun Yong-jun contributed to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which had been neglected for a while. Second, Hyun’s work focused on materials, shapes and compositions, which lay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material culture, and thereby allowed discussions to be made. Third, Hyun’s research provided empirical archive of basic data for discussions to be made on the history of material culture of Jeju shamanism and offered figures for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through diagrams. Forth, Hyun’s work summarized in details various ritual symbols of the material. For instance, when it comes to Sinkal and Sanpan which are the ritual tools used by Shimbang, a ritual presider of Jeju shamanism to show the intention of God during the ceremony, Hyun’s research presented a variety of cases as pictures, described and analyzed the meaning,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r types of the ritual. Fifth, Hyun Yong-jun analyzed the origins of Sindang (a ritual space for shamanism), sacrifice, Mengdu and Singan in Bonpuri (epic ritual music), which is the most remarkable element in Jejudo shamanism. He saw sacrifice as the least changing element among cultural elements, revealed the food that God favors or does not like in Bonpuri, and analyzed the divine hierarchy in it. Although Hyun Yong-jun’s work has the significance described above, it has several pitfalls. Hyun Yong-jun’s research on the material culture has not progressively analyzed the intermediary tendency that Kime and Mengdu holds in order to compare Shimbang and shaman; analyzed the meaning of sacrifice in Bonpuri in a fragments; and neglected discussions on the influence with other religions. Although it has shortfalls, Hyun Yong-jun’s researc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not only on Jeju shamanism but also on the material culture: It recognized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as a necessary subject to understand Jeju shamanism and allowed to approach research on Jeju shamanism from various angles. 본 연구는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의 경향과 성과를 살펴보고, 그 연구의 특징과 연구가 갖는 의의를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현용준이 활발하게 활동하던 당시 무속의 물질문화는 주목받는 대상이 아니었다. 그로 인해, 물질문화와 관련된 많은 기초자료 또한 축적되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현용준은 1960년대부터 제주 무속의 물질문화를 개별적인 연구대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제주도 무속연구를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가능하게 한 연구자라 할 수 있다. 현용준의 연구 성과 중 무속의 물질문화와 관련된 연구는 여러 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무속을 연구하였던 일본인 연구자들인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과 아끼바 다까시(秋葉隆) 이후 한동안 간과되어 왔던 무속의 물질문화에 관심을 갖고 그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축적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현용준의 연구는 물질문화 연구에 가장 기초가 되는 재료 및 형태와 구성요소에도 주목하여 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셋째, 제주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사를 논의하기 위한 실증적인 아카이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과, 도식화 자료를 통해 물질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게끔 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물질이 갖는 다양한 의례적 표상을 상세하게 정리했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제주 무속의 의례주재자인 심방이 의례 과정에서 신의 의사를 알려주는 신칼과 산판의 경우 여러 다양한 경우의 수를 그림 자료로 제시하여 이를 설명하고, 의례의 상황에 따라 혹은 의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섯째, 현용준은 제주도 무속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서사무가인 본풀이 속에서 제의공간인 무속의 신당과 제물 그리고 멩두와 신간의 기원과 유래를 분석하였다. 제물의 경우, 문화요소 중에서 가장 변화가 더딘 요소로 보고, 본풀이 속에서 신이 즐기는 음식과 그렇지 않은 음식을 밝혀내고 그 속에서 신의 위계 관계를 분석해 내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의의를 지니지만, 현용준의 연구에서 몇 가지 아쉬운 점도 존재한다.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중 심방과 샤먼의 비교를 위해 기메와 멩두가 지니는 매개적 성향에 대한 분석이 발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과 본풀이를 중심으로 제물에 대한 의미 분석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아니라 타종교와의 영향 관계 속에서의 논의는 간과했다는 점 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용준의 연구는 무속의 상징물을 제주무속을 이해하기 위해 놓쳐서는 안 될 대상으로 인식해 제주 무속 연구를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제주 무속 뿐 아니라 물질문화 연구에 있어서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해거재 홍현주의 현전작품 고찰

        김진웅(Kim Jin Woong)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0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9 No.-

        해거재 홍현주(海居齋 洪顯周, 1793-1868)는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의 부마(駙馬)로, 당대 문사들과 폭넓게 교유한 문인이었다. 홍현주는 자신 스스로도 ‘벽(癖)’이 있다고 표현할 만큼 서화(書畵)에 관심이 많은 수장가(收藏家)였고 스스로 그림을 그린 문인화가였다. 이 논문은 홍현주의 생애와 서화수장활동을 고찰하고, 현전하는 11점의 작품을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후기 세도가문에서 태어난 홍현주는 12세의 어린 나이에 부마에 간택되어 숙선옹주와 혼인하였다. 당시 왕족의 일원이 된 부마는 척신으로 간주되어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고 정치 참여 역시 금기되었다. 때문에 홍현주는 관례에 따라 도총관(都摠管)과 장흥고(長興庫), 사도시(司導寺), 제용감(濟用監), 평시서(平市署), 빙고(氷庫), 전생서(典牲署)등의 정치 참여와는 무관한 직책만을 역임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좌절한 홍현주는 부마의 신분적 제약을 극복하고자 서화수장을 비롯한 다양한 문예활동에 심취하였다. 그 중 서화수집은 홍현주 스스로도 병에 가까울 만큼 집착적인 것이었다. 1809년 순조가 하사한 김홍도의 《해산첩》을 비롯한 다양한 서화수장은 조선 후기 경화세족을 중심으로 진행된 사인의 서화수장 활동 및 부마의 생애와 서화수집 측면에서 의의를 갖겠으나, 홍현주에 서화수장 내역에 대해서는 현재 작품 실물은 전해지지 않고 문헌상으로 대략적인 서화목록만이 작성 가능한 정도이다. 이상과 같은 홍현주의 서화에 대한 애착은 스스로 그림을 그리게 되는 배경이 되었고, 더불어 국외의 인사들과 교유하는 수단으로서 활용되었다. 홍현주의 현전 작품은 총 산수, 사군자, 어도를 주제로 삼은 그림들이며 총 11점으로 모두 화첩 형식으로 제작되었다가 후세에 파첩 및 산락되었다. 이 중 산수도는 8점으로 홍현주 작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형적인 남종문인산수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구사한 화법에 있어서는 크게 감필법과 세필로 구분된다. 사군자의 경우 모두 지인에게 선물한 것으로 홍현주의 문인화가적 기질이 드러난다. 또한 〈어도〉는 물고기라는 유별난 대상을 그린 작품으로, 이는 아직 발견되지 못한 홍현주의 추가 작품의 수준과 다양성에 대한 기대감을 주는 작품이다. 홍현주의 작품들은 지금까지 미공개 상태였다가 새롭게 발견된 작품들이 아니라, 상당수가 다른 사람의 작품으로 세간에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성과들로 인해 정정된 작품들이다. 이는 현전 작품 모두가 화첩 형식으로 제작된 후 파첩·산락된 것으로 각 화면마다 찍혀 있는 홍현주의 인장을 제외하고는 홍현주를 지시하는 단서가 없었기 때문이고, 여기에 6 점의 작품에 정약용이 발문 및 제화시가 기록되어 있어 서화수장가이기도 했던 홍현주의 작자미상 소장품 혹은 정약용의 작품으로 오인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그간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홍현주의 작품을 종합하여 살펴보았다. 홍현주라는 인물은 서화수장을 비롯해 시문학, 다도, 금석학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가 전반적으로 진척되지 않은 이유도 있겠으나, 그간 미술사학계에서는 서화수장가라는 인식 속에 가려져 문인화가로서의 활동이 그다지 조명 받지 못했다. 현전하는 작품들은 비록 여기에 불과해 보이지만 작품 수준의 고하를 떠나 새로운 화가가 발굴된다는 것은 큰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부마라는 소수 신분의 정서와 문예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되길 기대한다. Hong Hyun-ju(1793-1868) was the son-in-law of Jeongjo(1752~1800), the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had extensive relationships with various influential figures of the time. Hong Hyun-ju was a discerning collector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to the extent he once confessed his obsession with the genres. His interest in the arts can also be reflected in his hobby in literary paint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life of Hong Hyeon-ju and his activities as a collector, and to analyze 11 works that have yet been clearly defined. Hong Hyun-ju, born of a prestigious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rried at the age of 12 to Princess SukSeon(1793-1836). As the son-in-law of the King, termed Buma, he was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or political reasons, and his suffrage was banned. For this reason, Hong Hyun-ju was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that were not related to politics, such as Dochongguan(Provincial General), Jangheunggo, Sadosa, Jeyonggam, Pyeongshiseo, Bingo, and Jeonseangseo. Hong Hyun-ju was frustrated by this situation, but soon participated in various literary activities including collecting in order to overcome the barrier of his status. Among them, the collector’s activity was very important to Hong Hyeon-ju. In 1809, Hong Hyun-ju possessed a variety of paintings, including scrapbooks of Kim Hong-do(1745-?)’s painting presented by Sunjo(1790~1834). This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shedding light on the life of the son-in-law of the King, and the act of collecting itself, as it was a hobby that could only be enjoyed by prestigious families living in Seoul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etails of Hong Hyun-ju’s collection cannot be confirmed, and only a incomplete list can be identified through literary sources. Hong Hyun-ju’s passion for collecting eventually lead him to start drawing. It was used as a means to communicate with foreign literary parties. There are a total of 11 works produced by Hong Hyun-with subjects spanning from Landscape, sagunja(the Four Gracious Plants), and fish. All of these work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a painting book, but were then disassembled and scattered. Hong Hyun-ju’s landscape paintings account for a large part of his paintings totalling eight pieces, and are typical Namjonghwa style. In terms of painting technique, it can be divided into omission and detail. The landscape works show his literary personality. All of these works were presented to acquaintances. Interestingly, 〈Fish〉 is only one work and has a unique theme. This body of work sheds light on his skills as a painter and the diversity of his subjects in works that have yet been discovered. His paintings were not newly discovered works, but were works that were mistakenly attributed to other artists. However, through advanced research they have been correctly identified. Previously, Hong Hyun-ju’s works had no indications pointing to himself except for the seal, because all of the work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picture books and then dismantled. In addition, six works, which contained poems and sentences by Jeong Yak-yong(1762-1836), were commonly mistaken to be paintings either by Jeong Yak-yong or simply a work in Hong Hyun-ju’s collection. This thesis i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works of Hong Hyun-ju based on previous research. Although Hong Hyun-ju participated in various literary activities such as tea ceremonies, poetry, calligraphy, painting, and epigraphy, much research was not conducted. In addition, in the art history academia, his activity as a literary artist was not given much attention because of his perception as a collector. Although these works seem to have been produced as a hobby, the discovery of a new painter who was act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of great significance, and will be used as a foundation to estimate the sentiment and literary level of someone of high status, such a

      • KCI등재

        이현희본 『張孝根日記』 비판 -1916년~1920년을 중심으로-

        정욱재(Jung, Uk-ja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

        이 글은 독립기념관 소장 『장효근일기』와 이현희가 탈초·정리한 이현희본을 비교·검토하여 학계에 통용된 이현희본의 허구성을 밝혔다. 『장효근일기』는 천도교 인사이자 독립운동가인 장효근의 일기로 1916년부터 1945년까지 30년간의 일기를 한문으로 작성되었다. 이 자료는 1975년 이현희에 의해 처음 발굴되어 탈초·정서되었는데, 다 공개하지 못하고 1916년부터 1939년까지의 일기만 3년에 걸쳐 학계에 공개되었다. 공개된 이현희본은 당시 학계에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최근까지도 역사학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최근까지 무비판적으로 이용된 이현희본은 원본보다 적게는 30%, 많게는 50% 이상 가필·조작되어 역사학의 자료로 사실상 이용될 수 없는 자료이다. 이현희본은 일제강점기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과 이현희 자신을 비롯하여 1970년대 학계의 연구 성과를 교묘하게 조합하여 나온 위작이다. 즉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같은 1차 사료들을 수집하여 일지식으로 수록된 저술 등에서 해당 날짜의 역사적 사실을 추려내고, 장효근이 기록하지 않은 언행과 생각·평가 등을 더하여 지금의 ‘이현희본’이 탄생한 것이다. 이현희본의 출현으로 인해 아이러니하게도 독립기념관 소장 『장효근일기』는 원본임에도 불구하고 점차 연구자의 시야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이런 현상이 나오게 된 이유는 아마 이현희본에 1970년대 학계의 연구분위기에 부응하는 내용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실학-개화사상-독립사상’으로 체계화시켜 독립사상의 원류를 실학으로 연결시키려는 일기의 내용은 당대 실학 연구의 분위기와 잘 맞아 떨어졌다. 1970년대 근대화의 열기가 강했던 시대적 상황과 그것에 부응하기 위한 역사적 근대성을 ‘실학’에서 찾으려는 학계의 분위기가 이현희본과 같은 희대의 괴작(怪作)을 탄생하게 만든 것일지도 모른다. 이현희본은 역사학의 가장 기본인 사료 비판이라는 작업을 소홀하게 만들었던 시대적 병리 작용의 한 사례라고도 할 수 있다. 요컨대 최근까지 무비판적으로 이용된 이현희본은 무엇보다 폐기해야할 자료이다. 이현희본이 현재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역설적으로 『장효근일기』와 같은 주요 자료는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 판독·정서하여 간행해야 하는 당위성과 함께 사료 비판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준 것이다. 즉 이현희본에 의해 은폐된 원본 『장효근일기』에 주목하여 본래의 모습과 가치를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사실상 그것을 위한 준비 작업에 불과한 것이다. This study revealed the falsity of Lee Hyun-Hee’s Version circulated in academic circles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Diary of Jang Hyo-Geun held in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nd Lee Hyun-Hee’s Version deciphered and reorganized by Lee Hyun-Hee. The Diary of Jang Hyo-Geun is the diary of Jang Hy-Geun who was a Cheondogyo figure and independence activist, and the diary of 30 years from 1916 through 1945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is material was discovered by Lee Hyun-Hee in 1975 for the first time, deciphered and written out fair, and the diary from 1916 through 1939 only was opened to academic circles over three years. Lee Hyun-Hee’s Version drew attention in the then academic circles and has been utilized as a material for historical studies until recently. Since 30% or more than 50% of Lee Hyun-Hee’s Version has been modified and manipulated from the original, it cannot be practically used as a material for historical studies. Lee Hyun-Hee’s Version was drawn up with the original Diary of Jang Hyo-Geun as a script, reflecting the materials like 36 Years of History of Korea under Japanese Invasion that sorted out the historical records surveyed and excavated until the 1970s and the research achievements accomplished by academic circles of the time. With the appearance of Lee Hyun-Hee’s Version, ironically, The Diary of Jang Hyo-Geun held in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has gradually grown away from researchers’ eyes though it is the original. This phenomenon appeared perhaps because Lee Hyun-Hee’s Version containe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search atmosphere of academic circles in the 1970s. In particular, the content of the diary that would connect the origin of the idea of independence to Silhak (Korean practical scienc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ystematizing it into Silhak through the Enlightenment Thought to independent thought matched the atmosphere of Silhak studies at the time well. The situation of the times in the 1970s, when there was a strong fever of modernization and the atmosphere of the academic circles to find the historical modernity to correspond to that in ‘Silhak’ might give birth to an unprecedented, weird work like Lee Hyun-Hee’s Version. Lee Hyun-Hee’s Version can be said to be a case of pathological action of the times, which pulled researchers away from the job of the criticism of historical records, which is the most basic of historical studies. The lesson given to us presently by Lee Hyun-Hee’s Version is that it paradoxically allows u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criticism of historical records again along with the appropriateness that important materials like Diary of Jang Hyo-Geun must be published by a reliable institu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ary of Jang Hyo-Geun concealed by Lee Hyun-Hee’s Version to recover its original look and value. This study is virtually a mere work of preparation for that.

      • KCI등재

        논문 : 김현 비평에 나타난 “문체적 특성” 연구

        오태호 ( Tae Ho Oh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8 No.-

        김현에게 문학은 언어다. 언어미학주의자로서의 김현은 거친 언어에 대한 혐오감을 생래적으로 토로한 바 있다. 그의 사유하는 문체는 거기에서부터 탄생한다. 거칠게 조야된 텍스트는 야생의 사유만을 드러낼 뿐이어서, 김현은 의도적으로 언어와 사유와 행동이텍스트 내부에서 삼위일체적 진실을 드러내는 저자들에 주목한다. 그것이 초기에는 미적 자율성을 옹호하는 태도로 드러나지만, 중기의 문학사회학적 관심을 거쳐 후기에 이르면 푸코와 지라르의 이론을 거치면서 현실적 억압의 조건들을 지속적으로 들여다보게 된다. 김현체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김현의 텍스트를 다시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것은 자기완결적인 유기체를 조각내어 해부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생각일 수도 있다. 그러나그럼에도 불구하고 김현의 문체는 초기 번역투의 문장에서 우리말의 새로움을 재창조하는문체로 변모하면서 ‘부정을 통한 긍정, 정의형 문장과 경구 활용, 대표성으로의 압축, 비교와 재정의’ 등의 방법을 통해 천변만화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가 저자와 텍스트의 욕망과욕망의 뿌리를 마주하기 위해 고통스런 즐거움을 감내했던 시간들은 여전히 우리 앞에 빼어난 실체로 남겨져 있다. 김현의 ‘나’가 주춤거리듯 다가서며 적확하게 길어올린 텍스트들 이 ‘김현체’라는 이름으로 무수히 많은 의미망을 획득하기 위해 여전히 우리 앞에 놓여 있기때문이다. Literature is language to Kim Hyun. Kim Hyun as aesthetics reveals the aversion to rough language. His style was born from having to face the language of the beautiful pain. Kim Hyun purposely is noted in the text that the authors reveal the trinitarian truth of language and thought and behavior. At first, it reveals an attitude in favor of aesthetic autonomy. Throughout the last years, but the theories of Foucault and Girard continue to look into realistic conditions of oppression. The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the text of Kim Hyun again, it may be just as much stupid idea to dissect out a piece of his complete organism. Kim Hyun`s style is changed through such ‘positive over the negative, representation and use of oral thesis statement, a summary and compression, in comparison with the finances’. He endured the painful pleasure to encounter the roots of the desire of the author and the text. This is a criticism of the style of Kim Hyun Kim Hyun now have even more in terms of the current. So Kim Hyun is being created unconsciously the subtype of the style. His style is also survived by numerous Kim Hyun but Kim Hyun body was gone.

      • KCI등재

        玄奘의 唯識比量 論難에 대한 中觀學的 考察

        이태승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5

        Hyun-Jang(玄奘) who had stayed for 17 years in India for his study showed his thought in a traditional logical formula called Vijñāptimātra-anumāna(唯識比量). After returning to China, his vijñāptimātra-anumāna became to be known to his disciples and caused many disputations. The story of disputations was reported to Shilla by Sun-kyung(順憬) who was one of Hyun-Jang's disciples from Shilla. Not a long time, Sun-kyung sent an anti-vijñāptimātra- anumāna, so-called Decisive-Difference logic(決定相違), to Kyu-Ki(窺基), an representative disciple of Hyun-Jang after Kyu-Ki replied and answered the anti-vijñāptimātra- anumāna logic. But there was a question about who was the writer of the anti-vijñāptimātra- anumāna out of Sun-Kyung and Won-Hyo(元曉). The discussion about who is the writer is underway between Sun-Kyung and Won-Hyo(元曉). Nevertheless from the fact that there is criticism of both, vijñāptimātra-anumāna and anti- vijñāptimātra-anumāna in the Won-Hyo's work Pan-Bi- Ryang-Ron(判比量論). I think that Won-Hyo is not a writer of the anti-vijñāptimātra-anumāna logic. From the view of historical tradition, Hyun-Jang's vijñāptimātra-anumāna was a spring of many disputations about Buddhist logic for a long time in East Asia. Moreover, this Hyun-Jang's vijñāptimātra-anumāna had a significant meaning of Indian Buddhist thought,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the Madhyamaka thought. It is because Hyung-Jang's logic had a similar aspect of Bhāviveka's logic, who was a famous Madhyamaka logist in India. It was famous that Bhāviveka used the logic in explaining Nāgārjuna's Mūlamadhyamaka. Bhāviveka used the premise of ultimate aspect in explaining his logic. Considering many circumstances, it is probably certain that Hyun-Jang's logic was affected from his thought. But, in India, Bhāviveka's attitude to the logic was criticized by other Madhyamaka thinker, Candrakīrti. It is important for Candrakīrti's criticism to understand anti-vijñāptimātra- anumāna to Hyun-Jang's logic. And, Bhāviveka's aspect to take a serious view of logic was transmitted to the later Madhyamaka logists and philosophers, for instance, Śāntarakṣita in In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yun-Jang's and Bhāviveka's logic and investigate the meaning of Hyun-Jang's logic from the viewpoint of Madhyamaka tradition in India Buddhism. 인도에서 17년간 체재한 현장은 귀국에 이르러 유식비량의 논증식을 만들어 자신의 사상적 입장을 드러낸다. 이 유식비량은 귀국 후에도 제자들 사이에 전해져 그 논리식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전개된다. 이 현장의 유식비량에 대해 그의 제자이었던 신라승 순경이 결정상위의 비량을 현장에게 보낸 역사적 사실이 규기의 저술을 통해 알려진다. 이 현장의 유식비량이 가지는 모순을 지적한 결정상위가 순경의 작인지 원효의 작인지를 두고 현재까지도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원효는 그의 『판비량론』에서 그 양자를 모두 비판하고 있다. 이렇듯 현장의 유식비량은 동아시아에 큰 논난을 던진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지만, 이 유식비량이 가지는 사상적 의미를 인도의 중관학파와 비교해 보고자 한 것이 본논문이다. 왜냐하면 인도 중관학파의 청변에게서도 그 유식비량의 내용과 유사한 논리식이 사용되었고 그에 대한 비판이 전개되어 중관학파의 중요한 역사적 전승이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청변의 논리식에 보이는 ‘승의에 있어서’란 한정어는 후대 후기중관파에게로 전승되는 중요한 사상적인 면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인도 중관사상에서 논의된 논리식을 둘러싼 논의를 통해 현장의 유식비량에 대한 의미를 재고찰해 보고 아울러 결정상위 논리식의 의미도 재삼 고찰해본다.

      • KCI우수등재

        朝鮮前期 顯官과 士族

        崔異敦(Choi Edon) 역사학회 2004 역사학보 Vol.0 No.184

        This thesis aims at explicating the structure of social status during the early Chosun period. Sajok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explaining the social status of Chosun period. It is not a simple job, however, to make clear the Sajok's boundary. Thus, any attempts to explain the social status of early Chosun were not successfully done.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clear the boundary of Sajok. Hyun'gwan means the important bureaucrat. Many scholars maintain that this term is indispensable in explaining the social status of early Chosun, But there has been no clear way to approach Hyun'gwan, So I attempt to make clear the meaning of Hyun'gwan first, and then try to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Hyun' gwan and Sajok. The results are: 1. Hyun'gwan refers to those whose level are above sixth grade of Mun'gwan(文官) and fourth grade of Mu'gwan(武官), and the core of whom serve as the bureaucrat of Ijo(吏曹), Byungjo(兵曹), Samsa(三司). 2. Those who belong to special status groups could not be called as Hyun'gwan, Bereaucrats out of merchants, craftsmen, slaves classes could not become Hyun'gwan. They were called Jungin(中人). 3. Hyun'gwan had special privileged advantages in many areas such as taking government examinations for entering school, for becoming bureaucrat, and for being judged. These privileges were extended to their son and grandson. 4. Hyun'gwan is closely related to Sajok, whose boundary is defined by Hyun'gwan, Those who have Hyungwan during four generations[Sajo(四祖)] were called Sajok. 5. The above results reveal us that Sajok could gain social and political power by becoming Hyun'gwan, and in this way they could obtain the ruling status in Chasun period.

      • KCI등재

        명ㆍ청 교체기 대명 사신과 거주민의 교류 - - 최현의 『조천일록』을 중심으로

        정영문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3 No.-

        Choi Hyun visited the Ming Dynasty as an envoy from August 3, 1608 to March 22, 1609 and left a diary in which he recorded his travel history in the meantime. The diary also recorded stories of people Choi Hyun had met in Joseon and in the Ming Dynasty. Since Choi Hyun did not have frequent contact with Ming officials or indigenous residents, his meeting with them did not form a close relationship as to be called ‘friendship’. Moreover, the official whom Choi Hyun met was a person who made Choi Hyun’s diplomacy conducting difficult by asking for bribes, and there was a limit in meeting with indigenous people because the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them was also limited. Therefore, there were not many specific details about the conversations with them in the 『Jocheon Ilrok』written by Choi Hyun.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 meeting between Choi Hyun and the people of the Ming Dynasty can be said as a valuable resource that conveys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in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present. If we categorize the people of the Ming Dynasty that Choi Hyun met, we can classify them into merchants, Confucian scholars, and indigenous residents. Using the opportunity of the meetings with them, Choi Hyun revealed a difference in economic views not only with Joseon and Ming Confucian scholars, but also with local residents of the Ming Dynasty. Although he met the people who supported the Ming Dynasty, he also found the fact that the Confucian culture and customs of the Ming Dynasty were declining. Unlike the Ming Dynasty, Confucian culture and customs flourished in Joseon. The meeting between Choi Hyun and the people of the Ming Dynasty becam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at although Joseon was devastated by the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Joseon could advance ahead of the Ming Dynasty in terms of culture. 최현은 1608년 8월 3일부터 1609년 3월 22일까지 명나라를 사행하고 돌아와 그동안의 행적을 기록한 일기를 남겼다. 그 일기에는 최현이 국내와 명나라에서 만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도 기록되었다. 최현이 명나라 관리나 지역민과 자주 접촉한 것은 아니었기에 그들의 만남이 ‘교유’라고 부를 정도로 친밀감을 형성한 것은 아니었다. 더구나 최현이 만난 관리는 뇌물을 밝히면서 최현의 외교 수행을 어렵게 하는 존재였고, 지역민들과의 소통 방법도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만남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최현이 기록한 『조천일록』에는 그들과의 대화도 구체적인 내용이 많지 않았다. 이런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도 최현과 명나라 사람들과의 만남은 17세기 초 동북아시아 상황을 현재까지 전해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최현이 만난 명나라 인물을 유형화하면 상인, 유학자, 지역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의 만남을 계기로 최현은 조ㆍ명 유학자만 아니라 명나라 지역민과의 경제관에 있어서도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그는 명나라를 지탱하는 인물들도 만났지만, 명나라의 유교 문화와 풍속이 쇠퇴하고 있는 실상도 발견할 수 있었다. 명나라와 달리 조선에서는 유교의 문화와 풍속이 융성하고 있었다. 최현과 명나라 사람과의 만남은 조선이 임진왜란으로 인해 폐허가 되었지만, 문화적인 측면에서 명나라보다 앞서 나갈 수 있다고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浮休子(부휴자)”를 내세운 成俔(성현)의 말하기와 그 의미 -『浮休子傳(부휴자전)』『浮休子談論(부휴자담론)』을 중심으로-

        황아영 ( Young Ah Hwa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7 No.1

        성현이 부휴자라는 가상의 인물을 내세워 말하고 있는 『浮休子傳』 과 『浮休子談論』을 중심으로 부휴자의 말하기와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현은 자탁전의 형식을 가진 『부휴자전』 에서 부휴자의 성품과 즐거움을 이야기하며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상을 그려내었다. 그리고 寓言의 형식을 갖춘 『부휴자담론』은 이야기 방식에 따라 『雅言』, 『寓言』, 『補言』가지 양식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각 양식마다 부휴자와 허구 인물, 역사인물을 등장 시킴으로써 현실문제에 대한 직설적인 화법을 피하여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 고 있다. 성현이 자신을 드러내어 직접 말하지 않고 부휴자라는 인물을 내세워 말하 고자 한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면, 첫째로, 임금에 대한 강한 勸戒와 諷刺임을 알 수 있다. 부휴자를 통해 이전의 훈구관각파가 주장한 ‘임금은 하늘이다’ 라는 의견을 따르는 듯하지만, 그 이면에는 ‘임금은 다만 백성을 위한 하늘의 대리자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렇게 간접화법을 통해 말함으로써 자신을 드 말하는 데에 따르는 화를 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성현은 표면적으로 ‘재주와 능력은 배워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다’라고 말하는 듯하지만 결국 ‘능력 과 재주는 타고나는 것이며 쉽게 변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타 고난 재능과 능력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그러면서 훈구관각파와 도학 사림파 사이에서 어느 한쪽의 편도 아닌 중간자적 입장의 정치적 견해를 밝히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성현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직접 말하기 어려운 자신의 정치적 견해와 강한 자긍심을 간접적으로라도 드러내기 위하여 부휴 자라는 인물을 통해 주장을 펼친 것이라 볼 수 있다. This article scopes out a fictional charater - Buhyuja`s speaking and means in The story of Buhyuja and Discussion of Buhyuja written by Sung Hyun (1439-1504). Sung Hyun described Buhyuja, an ideal type of human character, with Buhyuja`s personality and enjoyment in an autobiographical essay The story of Buhyuja. Meanwhile, Discussion of Buhyuja composed of three type of fascicles: ‘Graceful Words’, ‘Foolish Words’ and ‘Complementary Words’. In Discussion of Buhyuja, fictional characters had appeared in each section so that contemporary issues had been described with indirect narrations, which purposed to escape punishments derived from direct and straightforward speaking. In accordance with direct speaking from imaginary persona and bitter satire on society in The story of Buhyuja and Discussion of Buhyuja, Sung Hyun had sincere remonstrance and satire on a king. Sung Hyun seemed to conform demand - ‘The king is the Heaven’. However rather, Sung Hyun actually emphasized a king is a representative of the Heaven only for the public. In addition, Sung Hyun looked like to follow an assertion - ‘Personal talent and ability are obtainable with learning’, though Sung Hyun, in fact, highlighted one`s natural ability inborn characterized as well as scarcely changed. On the other hand, Sung Hyun had stated a middle coursed view of political opinions without single-side-on stance. Eventually, Sung Hyun applied various speaking on a fictional charater - Buhyuja. Then, Sung Hyun directly expressed meaning of his political opinions and self-esteem against contemporary social situations.

      • KCI등재

        현진건 장편번역소설 「백발」 연구

        황정현(Hwang Jung-h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2 No.-

        본 논문은 현진건의 장편번역소설 백발(1921) 의 원작과 저본을 밝히고, 이를 통해 현진건의 작가론 및 한국 근대번역번안문학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했다. 이 소설은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몽테 크리스토 백작 의 번안이라고 막연히 추정되어 왔으나, 이는 오류이다. 백발 의 원작은 영국 소설가 마리 코렐리의 복수(1886) 이고, 저본은 일본 작가 구로이와 루이코의 번안 백발귀(1893) 이다. 영국 빅토리아 시대 인기 작가였던 마리 코렐리의 작품을 일본의 구로이와 루이코가 번안했고, 당시 ≪조선일보≫의 기자였던 현진건이 구로이와 루이코의 일역본을 다시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백발 의 원작과 저본의 확인은 현진건의 작품 연보를 수정 보완하고 문학 활동을 재조명함으로써, 현진건의 문학 세계를 보다 다각도에서 조망할 가능성을 제시한다.<br/> 또한 본 논문은 이 소설의 연재 및 출간을 둘러 싼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신문기자 현진건의 번역 활동이 소설가 현진건의 문학관과는 별개로 이루어졌음을 밝히는 한편, 이 소설이 지닌 독자 호응 요소에 대해서도 고찰했다. 현진건은 독자층의 범위와 작품의 성격에 따라 원작자명 및 역자명 표기, 작중인물명 설정을 달리하였다. 이는 번역가로서 현진건이 소설가와 신문기자라는 이중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말해 준다. 신문기자의 역할을 극대화하여 번역한 백발 은 당대의 시대적 상황 및 독자들의 요구와 부합하여 인기 있는 대중소설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to clarify the two sources of Hyun Jin-geon’s full-length translation novel Gray Hair, which are the original text and the adapted version from which Hyun’s novel was translated again, respectively. Accordingly this paper is expected to widen the breadth of research on Hyun’s literature and Korea’s translation/adaptation literature in the modern era. Gray Hair, judging from the content, has been vaguely estimated as adapted from the French novel Le Comte de Monte-Cristo. I argue, however, that the original text of Gray Hair is the British novelist Marie Corelli’s Vendetta (1886) and that Gray Hair was not the direct adaptation from the original but translated from another text that is the Japanese writer Ruiko Kuroiwa’s Gray Haired Ghost (1893). Ruiko Kuroiwa adapted the work of Marie Corelli the popular British writer in<br/> the Victorian era, and Hyun Jin-geon, a newspaper reporter for Chosun Ilbo at that time, translated the Ruiko Kuroiwa’s Japanese adaptation into Korean again.<br/> The clarification of the two sources of Hyun Jin-geon’s Gray Hair―the British original text and the Japanese adaptation as the second-handed source for Korean translation, respectively―suggests the possibility to correct or supplement the chronological listings of Hyun’s literary works and, therefore, overlook his literary world more fully and from different angl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cords and documents surrounding the serial installments in newspaper and publication of Gray Hair, this paper, on one hand, examines that translation work of Hyun as a journalist was made independently of his literary career as a novelist. Concerning the translated text, we can understand that Hyun had different attitude to the target, which he translated, based on certain standards. He arranged different settings for the notation of author's name, translator's<br/> name, and character's names in the translated texts in accordance with the range readership and the artistry of the work. This tells us Hyun has dual identity as a novelist and a newspaper reporter. <br/> On the other hand, the contemporary reader’s response to serial translation novels in newspaper is also investigated in this paper. Such textural and contextual study on Gray Hai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rther effort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Korea’s translation and adaptation literature in the modern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