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진왜란 시기 피로인(被虜人)의 체험과 체험 공간에 관한 연구

        정영문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7

        This thesis examines the experiences of the captivated intellectuals and their perceptions focusing on Kang Hang's 「Ganyangrok」, Jeong Heedeuk's 「Wolbonghaesangrok」, and Noh In’s 「Geumgyeilgi(Diary)」. In the Joseon Dynasty, the ocean was not the place of living, so it stayed in the space of appreciation rather than the space of life. The intellectual who recorded the actual experience of being captivated became the captivated person in an instant due to the Imjin War, witnessed death at sea and experienced frustration. Such experience was enough to recognize the sea as a space of wailing. Japan, discovered by intellectuals who crossed the Hyeonhaetan and arrived on land, was not the a savage world or fairy world, but a living space in reality that was no different from that of Joseon. They lived there and interacted with Japanese monks and scholars. Some of Joseon's intellectuals were able to return to Joseon with the help of the Japanese who had exchanged with them through a medium of Chinese literature. The actual record of the captivated people, which is currently passed down, is a record of the experiences of the intellectuals who were able to return to Joseon at the time. Although Joseon’s intellectuals stayed in Japan as captivated people, they were able to interact with other people in the same situation through their own information network, and through these exchanges, they learned the reality of Japan. The ocean functioned as of pain and exultation space in the journey of being brought back to life after being taken captive to Japan. But, The fate of the Joseon's intellectuals who return to Joseon after the Imjin Warren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eople who returned to Joseon by repatriation of captive, and they had to constantly show their loyalty. 본 논문은 강항의 「간양록」, 정희득의 「월봉해상록」, 노인의 「금계일기」를 중심으로 피로인들의 체험과 그들의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 시대에 해양(海洋)은 생활의 터전이 아니었으므로 삶의 공간이기보다는 완상(玩賞)의 공간에 머물러 있었다. 피로인 실기를 기록한 지식인은 임진왜란으로 인해 한순간에 피로인(被擄人)이 되어 바다에서 죽음을 목격하고 공포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바다를 통곡의 공간으로 인식하기에 충분했다. 현해탄을 건너 육지에 도착한 지식인들이 발견한 일본은 야만의 땅도 선계(仙界)의 세상도 아닌 조선과 별다르지 않은 현실 속 생활공간이었다. 그들은 이곳에서 생활하며 일본의 승려, 문사들과 교류하였다. 조선의 지식인 중 일부가 한문학을 매개로 교류하던 일본인의 도움을 받아 조선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 현재 전하는 피로인 실기는 당시 조선으로 귀환할 수 있었던 지식인들의 체험담(體驗談)을 기록한 것이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피로인이 되어 일본에 머물렀지만, 그들 나름의 정보망을 통해 같은 처지에 있던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었고, 이런 교류를 통해 일본의 실상도 알게 되었다. 피로인이 되어 일본으로 끌려갔다가 생환하는 여정에서 해양(海洋)은 그들에게 고통과 환희의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조선으로 귀환한 조선 지식인들의 운명은 쇄환으로 귀국한 피로인과 별반 다르지 않았고, 끊임없이 자신의 충정을 내보여야 했다.

      • KCI등재

        조선시대 대일사행록에 기록된 바다체험과 일본 -『해행총재』를 중심으로-

        정영문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3

        When we look at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there was a distinct period during which it was an maritime nation. However, by the time of the Joseon Dynasty, the Ming Dynasty’s “Haegeum policy” (prohibition of the sea) was accepted, and Korea lost its status as a maritime nation, becoming a nation that was oriented more toward the land. In this age, intellectuals perceived the “sea” through reading rather than experience, and were more dependent on ideas than reality. Since the sea was not a way of life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an object of appreciation rather than a place of real livelihood. The intellectuals recorded their actual experiences at sea in the records of the Korean envoys’ visits to Japan, and in the PyoHaeRok (record of drifting into the sea). Envoys’ visits were official events with a long history, so we have many records from which we can obtain information. For these visits, envoys traveled to Japan through sea routes. At that time, the sea route was both “a fearful and unfamiliar road” accompanied by death, and also “a path of desire” to experience the fairyland of Japan. For the Korean intellectuals, the sea was a space of fear, but it also manifested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ubject, time, and recording viewpoint. The records of envoys’ visits describe an ideological sea rather than an actual sea. The sea was a huge wave that swallowed the fleet of the envoys’ ships, and it was also a space tha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when in fear. The records describe meeting a beautiful world after overcoming the fear of the journey, and emphasize on conquering it rather than focusing on the fear itself. The fairyland of Japan where the envoys landed was also an expression of joy after overcoming fear. ‘해금정책’이 시행되면서 먼 바다는 조선인의 삶에서도 멀어졌다. 문학에서도 모험과 도전으로 가득한 바다체험을 기록하지 못하였다. 이렇게 소외된 바다가 使行錄을 통해 새롭게 인식되었다. 본고에서는 대일 사행록에 기록된 사신의 바다체험과 그 체험에서 드러나는 인식의 양상들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대일사행이 빈번해지면서 바다를 배경으로 다양한 기록이 나타났다. 생명과 완상의 공간이었던 바다가 조선시대에는 바닷길의 험난함과 해상사고에 대한 공포로 인해 두려움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대일사행에 참여한 사신들은 두려움을 극복하고 일본에 도착하였다. 그곳은 조선과는 다른 세계였다. 그 세계에 이르는 과정을 사신은 사실적으로 기록하거나, ‘仙境’의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표현의 차이는 개인의 정서에 기인한다기보다 일본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이나 양국의 외교적 상황과 관련이 있다. 15세기에 일본을 방문한 사신은 왜구에 대한 두려움으로 바다에서 접하는 사소한 일에도 놀라고 두려워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에는 일본에 대한 정보가 사실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양국의 관계가 안정되면서 일본에서 ‘선계’를 발견하려는 전통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병자수호조약을 체결한 이후의 바다는 근대문물을 수용하는 통로로 인식되었다. 이처럼 ‘바다’는 실제 체험의 현장이지만, 일본에 대한 인식이 투영되면서 다양한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 KCI등재

        고전문학에 형상화된 역병(疫病)의 인식과 특질

        정영문,하경숙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2

        Even before history began, mankind fought against disease, and past that time came to the present. Plague has a strong rate of transmission and acts as a factor of anxiety and fear in people. The pain and fear of the plague, the finite nature of humans standing in front of the plague, and the sighting and fear of death were embodied in detail regardless of the times, and are inextricably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e phenomenon of lif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hich are not just a product of memory, but experiences the unfortunate deaths of people around them through plague, loses their livelihoods, and wanders, can be applied not only to memories of the past but also to the present reality. As the plague spreads, even members of society become infected. Like reality, it shows various efforts to heal them in the past. In the "Cheoyong Story," which shows infectious diseases that occurred in ancient countries, only the moments of "infection," "care and prayer," and "healing" remained as records. In Joseon, these moments were recorded because reason and record were considered important. Infectious diseases that have disappeared after showing dignity in the past come back with variations from different times. Currently, COVID-19, which is spread around the world, has a different form from the infectious disease we know, but the perception and desire of people to cope with it have not changed. However, in the context of overcoming it, the 'disease' that people remember represents a voice of desperate hope for human life compared to any other story Humans simply endure hardships and do not remember only pain and suffering. There is always hope in despair, and good faith in misery. People say hope and good faith rather than despair and brutality, and this situation continues from the past. 역사가 시작되기 전부터 인류는 질병과 싸웠고, 그 시간을 지나 현재로 왔다. 역병은 강한 전파 속도를 가지고 사람들에게 여러 불안과 공포의 요소로 작용한다. 고전문학에 나타난 역병에 대한 고통과 두려움, 역병 앞에 선 인간의 유한함, 죽음에 대한 목격과 공포 등은 시대를 막론하고 상세히 형상화되어 있었고, 시대적 상황과도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단순한 기억의 산물이 아니라 역병을 통해 주위 사람들의 안타까운 죽음을 경험하고, 생계(生計)를 잃고 방황하는 삶의 모습, 차별과 배제의 현상은 단순한 과거의 기억만이 아니라 지금의 현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역병이 확산하면서 사회의 구성원들까지 모두 전염이 된다. 현실과 마찬가지로 과거에도 그들을 치유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보여준다. 고대 국가에서 발생한 전염병을 보여주는 ‘처용설화’에서는 ‘감염’, ‘간병과 기도’, ‘치유’의 순간만 기록으로 남았다. 조선에서는 ‘이성(理性)’과 ‘기록(記錄)’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순간들을 기록하였다. 과거에 맹위(猛威)를 떨치다 사라진 전염병은 시대를 달리하여 변이되어 돌아온다. 현재 세계적으로 퍼져있는 코로나19도 우리가 알고 있던 전염병과는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에 대처하는 사람들의 인식과 특질, 치유에 대한 염원은 달라지지 않았다. 역병을 극복한 사람들이 기억하는 ‘역병’은 그 어떤 이야기에 비해 인간이 가진 삶에 대한 간절한 희망의 서사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인간은 단순히 고난을 참아내며 고통과 괴로움만을 기억하지 않는다. 절망 속에서도 언제나 극복 방안을 생각하고, 참혹함 속에서도 선의는 존재한다. 사람들은 절망과 참혹함을 말하기보다 희망(希望)과 선의(善意)를 말하고, 이러한 인식은 과거로부터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 KCI등재

        김영근(金泳根)의 <금강산졀긔 동유록>에 나타난 서술방법(敍述方法)과 의식세계(意識世界) 연구(硏究)

        정영문(鄭英文) ( Joung Young-mo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조선 시대에도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하였는데, 그 여행지를 대표하는 공간이 금강산이다. 금강산을 유람한 유람객은 산수유람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강원도 관찰사는 관할 지역을 순력(巡歷)하는 여정에 금강산에 이르는 노정을 포함하기도 했다. 근대이전의 금강산 유람객은 대부분 당대의 지식인이었고, 자신의 여행 체험과 견문을 한문으로 기록하였다. 1863년(철종 14)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한 김영근(金泳根)은 순력과 근친(覲親)하러 오는 아들과의 만남을 목적으로 8월 6일 원주 감영을 출발한 후 9월 4일 감영으로 복귀하였다. 이때의 견문과 체험을 기록한 것이 <금강산졀긔 동유록>이다. 이 기록은 한글로 기록한 일기체 유산록(遊山錄)으로 19세기 유람록이 지닌 특징을 보여준다. 문학적 표현(表現)보다는 사실적 재현(再現)에 집중하고 있으며, 잡록(雜錄)의 글쓰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김영근은 순력, 제명, 전설을 통해 자신의 인식을 드러내었다. 관할 지역을 순시하면서 지방관으로서의 소명의식, 제명을 하면서 가족의식을 드러내었다.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설화를 기록하는 등 금강산의 장소적 특성과 의미를 전달하고자 했다. Many people traveled eve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space representing the travel destination was Mt. Geumgang. The tourists who visited Mt. Geumgang aimed at landscape sightseeing, but the Gangwon-do governor also included a route to Mt. Geumgang in his supervisory journey throughout his jurisdiction. Before the modern era, most of the tourists visiting Mt. Geumgang were intellectuals of the era, and they recorded their travel experiences and knowledge in Chinese characters. Kim Young-geun, who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in Gangwon-do in 1863 (14th year of King Cheoljong), left his Wonju government office on August 6 for the purpose of his supervisory journey throughout his jurisdiction and also meeting his son visiting him for filial piety, and returned to his office on September 4. The record of his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this time is < Geumgangsan-jyeolgwi Dongyurok >. < Dongyurok > is a diary type record of playing in the mountain written in Korean language and has an incomplete composition, bu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th century excursion record. It focuses on realistic representation rather than literary expression, and is mainly composed of miscellaneous written records. Kim Young-geun revealed his own perception through supervisory journey, writing his name on scenic spots, and old story. As he toured his jurisdiction, he revealed his sense of vocation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his family and family consciousness by writing his name on scenic spots. While recording the old story, he newly recognized the place value and meaning of Mt. Geumga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使行錄에 기록된 기원의 양상과 의미연구

        정영문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동방학 Vol.35 No.-

        조선에서는 北京이나 江戶로 使臣을 파견하여 외교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사신의 路程은 상황에 따라 달라졌으며, 육로뿐만 아니라 해로를 통해서도 使行을 다녀왔다. 그 중에서 海路여정은 조선의 지식인들이 바다를 체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현전하는 사행록을 매개로 사행 당시의 情況과 사행 참가자들의 심리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 사행에 참여한 이들은 여정에 불안을 느끼고 있었고, 이러한 감정이 사행에서 祈願으로 표출되었다. 기원은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비는 간절한 행위’로서, 신이나 초월적 존재 등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사행여정에서 나타난 기원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使行노정에 따라 ‘祈願’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 대표적인 예가 해로노정에서의 초월적 존재에 대한 ‘해신제’와 水沒者에 대한 ‘추모제’이고, 육로노정에서의 夷齊廟와 博多津 참배 등이다. 사행은 ‘召命’과 ‘安着’이 중요한 문제였기 때문에 출발지인 조선의 ‘선사포’와 ‘부산 영가대’는 물론, 중국 해안에서도 해신제를 지냈다. 대명 해로사행에서 ‘海神祭’의 주체가 뱃사공이었다면, 儀禮를 중시한 통신사행에서는 使臣이 주체였다. 수몰지역에서 지내는 의식도 통신사행의 경우 간략하게 기록되거나 기록이 발견되지 않았다. 중국을 사행하는 경우에 사신들이 이제묘 등을 방문하여 故人을 참배하는 일이 빈번하였으나 통신사행에서는 博多津 등에서 추모하는 일은 많지 않았지만, 의미는 동일하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envoys were sent to Beijing or Edo to achieve diplomatic purposes. The rout of the envoy differed over circumstances, which lead envoys to travel either on land routes or sea routes. Their travel on sea routes was a good opportunity for the Joseon intellects to experience the sea. The remaining records of envoys provides an insight of the circumstances of the diplomatic circumstances and the mental state of the envoys. Situations beyond control made the envoys anxious and they expressed their anxiety through prayers. Praying is ‘an act out of despair to wish something one wants to actually happen,’ and is purposed to communicate with a god, or any figure transcendental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prayers throughout the travels of envoys, and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ose prayers. Different envoy routes shows different aspects of prayers. ‘Hae-shin-jae’ (해신제, Religious Ceremony to the god of Sea), and memorial ceremonies for those who were taken by the sea are good examples for sea routes, while paying respects to ‘Yi-jae-myo’(이제묘) or ‘Bak-da-jin’ are good examples for land routes. Responding to the royal summons and arriving safely had great importances to the enovys, and therefore Hae-shin-jae were held at the deporting port of Joseon such as Sun-sa-po (선사포) or Young-ga-dae (영가대, Busan) and also at the port of arrivals on the shore of China. For envoys traveling to the Myeong Dynasty of China on ships, the ceremonies were conducted by the seamen, while for envoys as part of the Joseon Tongshinsa where the rituals were highly valued, the ceremonies were lead by the envoys themselves. Memorial ceremonies at areas which were submerged are not found in the records of Joseon Tongshinsa. For envoy travels to China, it is easily founded that envoys had payed their respect at Yi-jae-myo, but in the Joseon Tongshinsa records, envoy travels where they payed their respect at Bak-da-jin is rarely found. This difference is based on the universalism of the middle 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