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포논쟁(坪浦論爭)의 쟁점으로서 유리무기(有理無氣)

        이종우 ( Yi Jong-woo )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4 No.-

        이진상은 太極動而生陽, 理生氣에서 태극이 양을 생하기 이전, 리가 기를 생하기 이전, 理先氣後에서 理先을 有理無氣라고 해석하였다. 그것은 이선기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는 리만 있는 상태를 선천, 기가 있는 상태를 후천이라고 해석하여 선천은 유리무기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진상의 유리무기에 대하여 이종기는 비판한다. 기의 생멸을 유무라고 해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선기후를 유리무기라고 해석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그것은 리와 기는 본래 선후가 없는데 그 所從來를 추론하면 리가 먼저라는 주희의 설을 답습한 것이다. 기가 없다면 리는 있을 곳이 없다며 본래부터 유리무기의 상태는 없다고 비판한다. 이진상의 유리무기는 본래 리만 있고 기가 없는 상태라고 생각한데서 나온 것이다. 그러한 리는 완전한 존재로서 현상세계의 근원인 선천이 그렇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현상에서 유리무기는 존재하지 않고, 그것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것이다. 반면에 이종기는 유리무기의 상태는 있을 수 없다고 비판하는데 그것은 처음부터 리만 있는 세계는 있을 수 없다고 본 것이다. 그의 비판은 현상을 초월한 세계에 대한 부정이었던 것이다. Yi Jin Sang had analyzed on supreme ultimate birth yang, principle birth force on existence principle and not existence force. He persisted existence principle and not existence force in principle ahead force next time. He had analyzed anteceds heaven and acquire heaven. Yi Jong Gi criticized Yi Jin Sang theory of existence principle and not existence force. He criticized existence and not existence force not analysis birth and die of force. He was influenced Zhu Xi. Although principle is formlessness, he persisted existence principle and not existence force. It certainly not cexistenced. If it was existence, it could an idea. It is not exist. it is idea but it isn't exist.

      • KCI등재

        坪浦論爭의 쟁점으로서 有理無氣

        이종우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Yi Jin Sang had analyzed on supreme ultimate birth yang, principle birth force on existence principle and not existence force. He persisted existence principle and not existence force in principle ahead force next time. He had analyzed anteceds heaven and acquire heaven. Yi Jong Gi criticized Yi Jin Sang theory of existence principle and not existence force. He criticized existence and not existence force not analysis birth and die of force. He was influenced Zhu Xi. Although principle is formlessness, he persisted existence principle and not existence force. It certainly not cexistenced. If it was existence, it could an idea. It is not exist. it is idea but it isn't exist. 이진상은 太極動而生陽, 理生氣에서 태극이 양을 생하기 이전, 리가 기를 생하기 이전, 理先氣後에서 理先을 有理無氣라고 해석하였다. 그것은 이선기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는 리만 있는 상태를 선천, 기가 있는 상태를 후천이라고 해석하여 선천은 유리무기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진상의 유리무기에 대하여 이종기는 비판한다. 기의 생멸을 유무라고 해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선기후를 유리무기라고 해석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그것은 리와 기는 본래 선후가 없는데 그 所從來를 추론하면 리가 먼저라는 주희의 설을 답습한 것이다. 기가 없다면 리는 있을 곳이 없다며 본래부터 유리무기의 상태는 없다고 비판한다. 이진상의 유리무기는 본래 리만 있고 기가 없는 상태라고 생각한데서 나온 것이다. 그러한 리는 완전한 존재로서 현상세계의 근원인 선천이 그렇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현상에서 유리무기는 존재하지 않고, 그것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것이다. 반면에 이종기는 유리무기의 상태는 있을 수 없다고 비판하는데 그것은 처음부터 리만 있는 세계는 있을 수 없다고 본 것이다. 그의 비판은 현상을 초월한 세계에 대한 부정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본래적 실존의 삶과 언어 - 조병화론 -

        홍용희 ( Hong Yong Hee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 Vol.0 No.47

        Cho, Byung-wha is the representative poet who pursuit, enjoy and sing the essentials of the existence in our poetry history. From the time he published "the legacy that wanted to waste" in 1949 to the death in 2003, he published 53 of creation poet books and persistently reminded the true meaning and value of life as a deep emotional reverberation enlightening the essential of existence through the steady and sincere creation activity. These poetry life of Cho seems to be corresponding with the pursuit about "the original existence" of Heidegger. `The original existence` to Heidegger is the existence of itself `as it is`. He suggests the concept of `nothing(Nichts)` as a `bright sight` that start the original existence. Exists can face with the essential of existence when it reached the finality of absence. For example, death can b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generality of life. Death is the point of `nothing(Nichts)` that cancel the meaning of realistic value which we had been attached until now at a brush. The point of `nothing(Nichts)` makes us hollow as making disable every relation and meaning that prescribes everyday`s life and revealing the dark abyss. However, the abyss is the clear world that the existence speak to gently. At the time of the `nothing(Nichts)` that every value such as money, honor, family, nation and power has volatilized, the exists can face with theirselves `as they were." The confrontation with the existence is possible with the thought about the `nothing(Nichts).` On the other hand, `non-original existence` that contrast with the `original existence` is the form of ordinary human who lost their own figure and concentrated with the things in front of their eyes. According to the Heidegger`s narration, this is the human`s figure who disperse to the present at that time, losing their past and delaying to the future. The poetic life of Cho denies the `non-original existence` that is sunk in the everyday life and continually shows the aspect of thoroughly holding the `original existence`. To realize the essentials of existence which is inherent with the ordinary situation, he search for the fateful root of human life such as death, love, solitude and nothingness. Through this, he reflectively realize the uncertainty of real life`s desire, attachment, power and reveal the aspect to clearly confront with the portrait of original existence.

      • 플라톤의 모방예술론(模倣藝術論)에 대한 일고(一考)

        손청문 유럽문화예술학회 201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 No.1

        1n Republic 2,3 and 10 and many other dialogues, clear conception is not defined about Plato’s theory on imitation 따ts; whether it is the possibility of ’imitation of real existence itself' or simple ’imitation of extemals’ Generally speaking, in his frame, the status of imitation has a passive tendency in a great measure independence and alienation on real existence. 1n addition, the disfunction of imitation arts is sometimes emphasized, because it is more harmful than any other spheres at the point of political, social, and educational view. But, this thesis doesn’t make a conclusion negatively, related with developing the conception of imitation, lack of consistency, but takes notice of stratum structure of real existence, that is, existence theoretical structure which urges to transfer to the stage related with real existence from image or imitation. nobody can pass over that, though unclear and suggestive, image or imitation has a meaning as a negative, but essential process for the access to real eX1stence. The metaphysical examination,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with imitation and its prototype, real existence, presents clearly existenc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deological view of arts that Plato considered that the aim of arts is concrete presentation on absolute real existence. 1n addition, the core of the analysis implicates real existence foundation on image. His theory of imitation arts can be defined as the metaphysics, and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frame, stratum of existence that is, stratum structure of existence intemally. The questions, "how many prototypes appear in copy and imitation? How beauty appears from beautiful things?" suggest Plato’s general philosophy such as existence and generation, respective things and Eidos, image and substance, the one and the many, and usual affairs under the frame of stratum structure of existence So, basic understanding on imitation aπS 1S understanding on the ways how existing conditions are related with and communicate with real existence. Plato expects the transformation into imitation skills of describing image faithfully and ideological imitation skills on the basis of proper relationship of dependence with real existence, recovering phantasm or monotonous realistic imitation skills by artists as concrete ways to caπY out ascending transformation to real existence. He accepts imitation skills creating image of real existence as a trustworthy and beautiful imitation by pursuing and looking after order and beauty of symmetry, where artistic works appear from the models. Considering the facts, this thesis views that interpretation of Plato’s imitation as a low class copy of simple appearance is an distortion of his true arts. He lays an emphasis of weakness of aπs and limitation of imitation image, but thought that the ideology of true artist is to recognize lack of copy, but to understand the substance of aesthetic objects at the back of existing condition.

      • 칸트의 ‘요청’으로서의 신 존재와 아스퍼스의 신 인식의 문제

        김영순 ( Kim Young Soon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46 No.-

        본 논문은 칸트의 도덕적 행위자를 위해서 ‘요청’되어진 신의 존재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지적하고 야스퍼스의 유신론적 신 존재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초월적 존재로서의 신 존재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칸트에 의하면 인간의 인식 범위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감성의 형식과 범주를 통하여 마음이 포착한 감각 세계, 인지된 경험 세계 즉 현상계에만 국한 된다. 이러한 칸트의 생각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형이상학자들은 신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며, 신이 존재한다는 것은 하나의 참된 인식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칸트는 신을 이론적으로 인식하려는 노력에 반론을 제기하고 전통적인 신 존재 증명에 대한 비판을 수행했다. 칸트가 신 존재 증명의 불가능성을 주장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의도한 것은 『순수이성비판』과『실천이성비판』의 목적을 함께 살펴보아야 가능할 것이다. 칸트는『순수이성비판』에서 형이상학에 대한 제한과 부정을 통한 초월자에 대한 인식 불가능성을 규정한 것은 당위적인 것에 대한 형이상학 즉 도덕형 이상학을 세우기 위한 선행 작업이라 할 수 있겠다. 칸트에게 신의 존재에 관한 증명은 전적으로 이성 사용에 관한 문제였고 새로운 형이상학을 건설하고자 했던 그에게 이것은 다루지 않을 수 없는 불가피한 문제였다. 왜냐하면 그가 밝힌 대로 칸트의 형이상학은 자유, 영혼불멸, 신에 관한 체계이기 때문이다. 칸트는『순수이성비판』에서 현상계의 영역을 넘어선 문제들 즉 자유, 영혼불멸, 신의 존재를 실천이성의 영역으로 넘기면서 인간의 도덕적 삶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건으로 신을 ‘요청’하였다. 칸트는 인식세계의 신은 알 수도 없고 증명되어 질 수도 없다고 하여 신 존재를 ‘요청’의 문제로 귀결하였다. 야스퍼스는 이와 같은 칸트의 신관을 극복하기 위해 유신론적, 철학적 신앙을 전개하였다. 야스퍼스에 따르면 실존을 가장 잘 해명해주는 것은 죽음 고뇌, 투쟁, 책임 같은 ‘한계상황’이다. ‘한계상황’ 가운데 죽음이야말로 인간의 현존재에게는 결정적인 종말이 되고 실존에게는 초월자 앞의 본래적 자기에게로 비약할 수 있는 가능근거가 된다. 한계상황에서 부딪히는 한계는 우리 자신의 힘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한계를 만든 어떤 초월자를 암시해 준다. 야스퍼스에게 있어서 이 초월자는 실재로서 인식되어지지 않고 다만 언표 될 뿐이다. 이것은 절대로 대상이 될 수 없는 어떤 숨어 있는 존재이다. 이 참된 존재로서의 초월자를 향하여 나아가는 것이 형이상학이다. 이 형이상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방법은 ‘암호 독해’이다. 모든 지식과 모든 철학이 좌절할 때 비로소 초월자의 암호를 해독(Chiffrelesen) 할 수 있다. 칸트의 철학이 기여한 바는 철학사 전체를 통틀어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철학적 입장이 종교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는 나름대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그의 도덕적 신앙을 통해서는 초월적 존재와의 접촉을 결핍하게 만들었고 인간의 실존적 삶의 변혁을 약화시키기에 충분하였다. 그러므로 지금은 다시 유신론적 실존철학을 통한 신 인식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다. 실존의 위기, 삶의 총체적 위기 앞에서 단지 도덕적 행위자가 되기 위한 실천적 ‘요청’으로서의 신이 아닌 저편에서 이 세계를 향해 꿰뚫고 들어오는 계시로서의 철학적 신앙이 절실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칸트의 ‘요청’으로서의 신 존재와 신 인식의 한계는 아래로부터의 초월적 존재에 대한 실존적, 도덕적 해명이라면, 그것을 넘어서 위를 향한 초월적 존재에 인식과 실천은 이른바 계시적 해명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도덕적 삶의 세계가 더 성숙되기 위해서 이제 철학은 야스퍼스가 말한 것처럼 계시에 직면한 철학과 실존을 더 깊이 해명해야만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at pointing out the limits of God’s existence which is ‘postulated’ by Kant’s moral performer, and thin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God’s existence as transcendental being through Jasper’s theistic understanding of God’s existence, and further thin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a transcendental argument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God’s existence. According to Kant, the range of human cognition is limited to the world of experience’,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world of senses which is conditioned by time and space. Despite of Kant’s theory, traditional metaphysicians argue that cognition of the existence of God is possible, and also that it is the one true realization that God exists. That’s why Kant opposed the idea of understanding the God theoretically and had a critical view of the traditional demonstration of God’s existence. Kant’s ultimate goal, when he argued impossibility of the demonstration of God, must be considered using both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Kant’s regulation of the im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ranscendental being through limitations and denial of metaphysic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was the groundwork to set typical metaphysics which leads to moral metaphysics. For Kant, demonstration of the existence of God was all about ‘using reason' and as one who wanted to establish new metaphysics it was an unavoidable problem. Kant states metaphysics as a structure of freedom, soul and God.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postulated’ God as a condition to make humans moral when he argued that there is freedom beyond the phenomenal to the field of practical reason. Kant concluded his theory of ‘God’s existence by 'postulate' since there is no chance of knowing and proving God’s existence in the world of cognition. Jaspers developed his theism of philosophical faith to overcome Kant's religious point of view. According to Jaspers, it is ‘Grenzsituation’ like death, agony, strife and responsibility which explain the best existence. Death at the ‘Grenzsituation’ is indeed a decisive end of a human being and it’s a possible foundation to breakthrough to primarily self in front of transcendental to the being. The limitation that we face at the ‘Grenzsituation’ does not come from our internal mind. That suggests a transcendental being who made that limitation. To Jaspers that transcendence is not recognized as reality but just as a statement. It is a true existence which is hiding and cannot be an object ever. Questioning true existence transcendence is metaphysics. The most important way to see metaphysics is called solving a cipher’. Not until all knowledge and all philosophy is abandoned we can truly ‘chiffrelesen’(solve the cipher). Kant’s contribution to philosophy is simply undeniable through entire history of philosophy. However, Kant’s way to interpret religion unavoidably confronting a limitation. In particular, he base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transcendental being on his moral-religion and also discouraged a change in human existence. Therefore, now we must give some thought to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God through theistical existence philosophy. Since not just God is ‘postulated’ to become a moral performer in the situation of the existential crisis and the crisis of our entire lif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revelation is strongly needed to come from the other side of the world to this side. Kant postulated God existence and limitation of the understanding God is a moral explanation of transcendental being from the bottom. Beyond and toward transcendental existent understanding and practice could be a revelation explanation. In that sense, to mature the world of moral life, philosophy now has an assignment to explain the philosophy which confronts the revelation and existence more thoroughly.

      • 독일의 지역개발 프로그램 및 정책동향

        김성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조사자료 Vol.- No.-

        서론 : 독일 지역혁신활동의 특징지역개발 프로그램의 시행과 관련하여 독일 지역혁신체제의 특징을 간 략히 살펴보면, 독일은 혁신클러스터와 혁신지역이 분산되어 있는 대표 적인 국가라고 할 수 있다. 민간부문의 기술혁신 활동분포에서 독일은 산업분야의 전국 R&D 인력 중 반 이상이 8개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반면에, 유럽의 다른 나라들은 소수의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독일은 다른 유럽국가에 비교하여 지역정책의 수행에 유리한 여건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산업 R&D 활동뿐만 아니라 다른 혁신활동에서도 적용 되는데 특허의 지역별·연구주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1998년의 경우 10 개 지역이 특허출원자 주소지의 42%를 차지하고, 87개 지역이 나머지 58%를 차지하고 있다. 주체별로는 10개 지역이 차지하는 특허출원의 비 중은 민간기업의 경우 44.5%이며, 공공연구기관의 경우에는 62.6%를 차 지하고 있다(ISI et al. 2000). 이러한 혁신지역의 균형된 발전 및 혁신주체의 분산된 분포는 독일의 지역혁신체제를 특징짓는 기본 요건이 되는데 본 조사자료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여 지역개발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 러한 프로그램으로는 대학의 벤처창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EXIST 프로그램 및 생물산업지원과 관련된 Bio- Regio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위의 프로그램은 지역개발정책을 대변하면서도 동시에 독일의 기술정책 이 지역정책과 융합되는 특징(integration of innovation and regional p olicy)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EXIST 프로그램 - University-based start -u Net work for innovat ive company start -u (대학의 창업 네트워크)1 . EXIST 프로그램의 배경 2 . EXIST 프로그램의 개관1) 연 혁2) 목 적3) 기본 내용4) EXIST - Seed5) EXIST 에 대한 과학적 지원6) EXIST - High TEPP (Technology Entrepreneurship Post Graduate Program)7) 프로젝트의 관리 3 . 지역별 EXIST의 구체적 내용가. bizeps나. Dresden exist다. GET UP마. PUSH 4 . EXIST 프로그램의 특징과 성과 Bio-Regio 프로그램1 . 독일의 생물산업 지원정책2 . Bio- Regio 프로그램의 내용3 . 후속 프로그램 Bio Profile4 . Bio- Regio 프로그램의 특징과 성과 결론 :독일 지역개발 정책의 동향과 특징지금까지 살펴본 EXIST와 BioRegio가 초기의 성공적인 징후를 보여주 고 있지만, 이러한 정책에 근저하고 있는 지역적, 네트워크 접근법 그 자 체가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가의 여부는 지금 시점에서는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하겠다.그런데 사례로 제시된 두 정책들은 직접적으로는 지역개발정책 뿐만 아니라 보다 광의로는 연구개발정책의 운영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를 보 여주고 있다. 즉 두 가지 콘테스트가 시사하는 것은 독일의 기술·혁신정 책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나타나고, 기술정책과 지역정책 사이 의 전통적인 구분이 붕괴되고 있다는 것이다.주요한 정책적인 변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으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러한 특징들이 단순히 지역정책적인 의미 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중앙 정부의 연구개발정책 혹은 기술정책의 변화와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이 다.첫째, 기술정책과 지역개발의 통합현상이다. 최근 독일정부의 주요한 기술정책이 지역간 경쟁에 기초하여 지역지향적으로 운용되고 있는데 본 조사자료의 두가지 사례프로그램은 이를 대표하고 있다.EXIST는 주로 국가적 목표를 추구하고, 네트워크를 통한 시너지 형성 으로 지역을 대학기반 신설기업(univer sity - based start - up comp any)을 창출하는 기반으로 이용하고 있다. 친숙한 지역환경은 신진 창업자들에 겐 불확실성을 감소하고 성공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독일에서는 거주지나 양육기관(breeding institution)의 반경 25km 이 내에 기업을 설립한 사람들이 약 70%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대학, 정보·컨설팅·금융기관과 기업설립자 사이의 공간적 근접성은 창업지 원을 위한 정책대안의 개발에 중요한 착안점이 된다. 따라서 지역내 협력 네트워크의 잠재력과 연구력 있는 대학을 발전시키는 지역은 이러한 프 로그램에 가장 적합하게 평가된다.BioRegio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생물산업육성을 위한 중앙 정부의 기술정책이지만 지원수단의 운용에 있어서 콘테스트라는 새로운 선정절차를 도입하고 대상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고 있다. 이에 따 라 지원대상지역은 지역네트워크의 형성을 통해 독일 생명공학의 경쟁력 을 향상시키는 출발 거점으로 발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지역내 협력네 트워크 구축과 산업별 클러스터의 발전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정책의 운 용은 지역이 중앙정부 기술정책의 플랫폼(platform)으로 부각되게 하고 있다.둘째, 지역개발정책이 갖는 차별화된 지역격차(re g io na l d is pa r ity) 효 과이다. Bio- Regio 프로그램의 경우 생물산업에서 지역 연구기반의 탁월 성과 신제품 개발 및 시장개척 등 산업적 니드와의 결합가능성이 중요한 선정기준이다. 따라서 동 프로그램은 연구기반이 우수한 지역을 지원함 으로써 지역격차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동반하게 된다. 왜냐하면, 정부지 원 초기부터 선정지역은 상당한 정도의 과학적 탁월성을 지니고 있었으 며, 정책시행 이후에는 연구·생산클러스터가 더욱 촉진될 것이기 때문 이다.이에 반하여 EXIST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비교적 중립적인 효과를 보 인다고 평가할 수 있다. 5개의 모델지역을 통하여 개발된 전략을 활용하 여 그 이외 지역으로의 기술이전을 활성화하고 유사한 창업활동을 확산 할 수 있기 때문이다.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연방정부 기술정책의 포트폴리오 구성에서 개별 프로그램이 갖는 지역격차 유발효과는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위의 두가지 프로그램은 경쟁기반을 갖춘 지역에 유리하거나 혹은 중립 적인 효과를 보여준다. 한편, 이와는 달리 취약지역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으로 Inno- Region 프로그램이 있다.따라서 BioRegio, EXIST, InnoRegio의 세가지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개별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지역격차의 유발효과가 상이하게 나 타나지만 연방정부의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포트폴리오를 통하여 그 효과 는 상쇄되고 있다고 해석된다.셋째, 프로젝트지원수단의 신축적이고 적극적인 활용이다. 기존의 프 로젝트 지원은 선택과 집중의 원리에 의한 전략적인 관점에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이 필요한 핵심적인 기술개발 지원대상 과제를 선정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개발을 지원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Bio- Regio, EXIST 그리고 Inno- Regio 프로그램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하여 지원대상을 정부가 직접 선정하는 프로젝트 형태를 띠면서도 지원대상이 지역을 중심으로하여 지역내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초 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동시에 지역정책이 프로젝트 지원 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창출을 통한 혁신활동의 촉진(network - and project - based innovation - oriented regional p olicy)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이러한 접근은 독일 뿐만 아니라 EU의 차원에서도 발견되는데 전통적 으로 EU의 지역개발 정책이 하부구조구축(infrastructure- oriented regional policy)에 초점을 두었던 반면에 새로이 시행된 RIS(regional innovation strategy) 프로그램은 EU의 구조조정기금의 배분기준으로 혁 신지향적인 지역개발 대안(innovation - oriented regional development concepts)을 활용하고 있다.한편, 독일 연방정부의 경우 프로젝트 지원수단의 신축적인 활용을 나 타내는 것으로 선도프로젝트(Leitprojek

      • KCI등재

        "되어 옴" 안에 있는 인간

        홍순원(Soon Won Hong) 한국기독교학회 200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35 No.-

        The Problem of human cloning builds a conflict situation, which includes at once positive value and negative one. Some scholars will develop the positive value and another insists that the negative value should be removed. But, first of all, the ultimate goal of human cloning should be approved for the purpose of ethical and scientifical inquiry. It consists of a borderline situation, because it is so complex and complicated fact which contains the problem of human rights, of parenthood and social affairs, etc. The Problem of human cloning opens a new dimension, which cannot be dealt with traditional metaphysics and ethics. The traditional metaphysics and ethics are based upon the paradigm of substance. Human cloning is concerned with the genesis of being, while the paradigm of substance treats the relation of beings. I will try in this paper to approach the problem of human cloning through the paradigm of process. Processethics provide the ultimate goal, with which the human cloning is ethically dealt. It includes the genesis and vanishment of being in the category of ethics. Processethics extends the concept of Existence. Existence is not static but dynamic. It means not completion but becoming. Existence indicates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and in this process the human embryo has the character of existence. In the process of becoming human existence has continuity to the Existence of embryo and the embryo holds the dignity as personal subject. In this aspect the ethical problem, that human cloning causes, consists in the fact that it perverts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of personal existence. In processethics existence maintains the character of relationality and thus if the becoming of existence is perverted, then is the reality itself. The biblical view upon the becoming of existence is caused by the alteration of God`s will. Then the becoming of existence can be found in the dialectical tension between judgement and grace. Processethics reflects the becoming of existence in the perspective of creation. The reality of creator, which defines the process of human existence, is the central meaning of creation. In the perspective of processethics does the becoming of embryo imply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which occurs in the personal existence. For this reason destroys the human cloning the individuality(individe - ability) of human existence. This can be proved in three ways. First, human embryo has Potentiality to the human being. The potentiality means her that the future actualizes itself in the present. Second, human embryo has continuity to human being. This means that there is no borderline between the two. Finally human embryo identity with human being. Human cloning objectifies the subjectivity of embryo and in this respect divide one personal existence into two different beings. As a result, the individuality of embryo, which means cannot be divided, is destroyed.

      • KCI등재후보

        김승희 시에 나타난 상징과 실존의 양상

        이지원 ( Lee Ji-won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7 No.-

        본고는 김승희 시에 나타난 상징과 실존의 양상을 살피는 시도이다. 김승희는 인간존재의 근원에 파고들어 한계상황을 통찰하고 그 한계상황이 야기하는 존재의 결핍을 실존의 방식으로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때 상징이 생성해내는 시적 긴장과 의미 구조는 실존의 양상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시적 방편이면서, 개성적인 시 세계를 구축하는 원동력으로 기능한다. 김승희 시를 구성하는 핵심 고리로서 ‘상징: 실존 양상’의 관계는 ‘죽음 충동: 기투(企投)’, ‘은폐된 자아: 실존에의 비약’, ‘치유: 실존적 사귐의 지향’으로 대별된다. 첫째, ‘죽음 충동’은 ‘기투’의 실존방식과 긴밀히 결부돼 나타난다. 김승희는 죽음이라는 한계상황 속에 자기 존재를 던짐으로써 현존재를 초월한 실존방식을 추구 하였다. 죽음을 통과해야만 얻는 새로운 삶, 통과제의 성격을 띠는 이 기투의 역설은 김승희가 죽음 충동을 빈번히 시 안에 장치한 이유를 잘 설명해주는 지점이다. 요컨대 기투는 현존재를 탈피하기 위한 시적 모색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존재가 은폐돼 있다는 각성’은 ‘실존에로의 비약’을 추동하는 계기이다. 또한 한계상황은 시인으로 하여금 은폐된 존재를 각성하게 하는 직접적인 동기로 기능한다. 은폐된 존재의 내부에서 실존에로의 비약을 감행한다는 것은 실존의 궁극, 즉 ‘본래적 자기’를 개현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실존에의 비약은 곧 실존의 시적 실천을 의미한다. 이때 도약은 은폐된 자아가 실존으로 비약하는 데 중요한 상징적 도구로 나타나는데, ‘은폐된 자아/실존에의 비약’의 상징 구조‘는 추락/도약’의 대립 구조를 토대로 한다. 셋째, 김승희는 현존재를 한계상황에 병든 존재로 진단하고 시적 치유를 통해 ‘실존적 사귐’에 진입하고자 하였다. 타자를 진정으로 수용하는 실존적 사귐에는 ‘나’와 ‘타자’를 분별하지 않는 서로에 대한 연대 의식이 전제된다. 그러므로 실존적 사귐은 폐쇄적 실존 방식을 넘어서서 사랑을 매개로 한 현실적 실존, 즉 실존의 사회성 실현이라는 지향점으로 나타나는데, 이 모두는 고립되고 파편화된 세계를 복원하고자 하는 시적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김승희는 인간존재에 수반하는 근원적인 한계상황에 대한 통찰은 물론, 그 한계상황을 돌파할 수 있는 실존에의 지향을 상징의 미학으로써 형상화하였다. 이에 따라 나타나는 김승희 특유의 시세계는 우리에게 진정한 삶의 존재방식을 반추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various aspects of symbol and existence which are appeared in Kim Seunghee’s poems. The poetic tension and the semantic structure that symbol generates operate as a poetic method variously showing aspects of existence and a driving force building poet’s own creative poem world. Kim Seunghee had an insight into a limit situation by digging into the origin of human existence and tried to overcome it in the manner of exist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 and existence aspect can be classifi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drive and Entwurf, the relationship between hidden ego and jump into the exist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ing and pursuit of existential fellowship. First, the death drive adopts the existence method of Entwurf. This reflects the thought of the poet that present existence cannot achieve real existence in the present. Therefore, it is natural for Entwurf to show a characteristic as a rite of passage. Second, the understanding that the existence is hidden is an opportunity to aim for jumping into the existence. Also the limit situation serves as a motive to understand the hidden existence. Executing jump into the existence within the present existence is an attempt to aim for the original ego. Third, the healing that is a manifestation of coexistence consciousness accepting and recognizing others pursues existential fellowship. The poet sends us a message that the existing method of a faithful community can be finally realized by present existence accepting each other as they are and going into existential fellowship. Kim Seunghee aesthetically embodied the insight into original limit situation involved by human existence and the pursuit of existence that can breakthrough the limit situation. Therefore, the unique poem world of Kim Seunghee is meaningful in that it make us to ruminate on our existing method of true life.

      • KCI등재

        유치환 초기 시에 나타난 실존의 양상

        이지원 한국언어문학회 2014 한국언어문학 Vol.88 No.-

        In order to explain schematically about diverse aspects of the existence that Yu Chi-Hwan's early poetry shows, this paper utilized the concept of Grenzsituation and transcendental being as a methodological framework which are main ideas of Karl Jaspers. The focuses of this writing were what types of aspects as a response or reaction of the poet to Grenzsituation and transcendence were presented in his poetry and what were the ultimate meanings of these aspects. Although the Grenzsituation of death and mental pain is what left the poet in deep anguish, ironically, it performed a critical role that made him live as an existentialist with transcending himself. This paper examined concretely his poetic responses to this Grenzsituation and tried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uish such as compassion, futility, and sorrow which were the poetic subjects revealing those responses and the existence as the consciousness of existence. Also, the contradiction which many disputants have indicated as the feelings between love and hate or the collisions between compassion and volition in Yu Chi-Hwan's poetry was explained in a new way as it was a phenomena caused by collision between the present existence in Grenzsituation and the self being conscious of existence. It was examined that the self-torture in Yu Chi-Hwan's poetry, a poetic response or reaction to feelings of guilt and Grenzsituation of struggle, appeared as poetic practice toward the existence. Especially it was a distinct feature that the self-torture in his poetry took a method of self-experimentation. The poet adopted ordeal as a main expedient to give a jump up to the existence to unstable himself under Grenzsituation. Noting that there were some metaphysical feelings of guilt in the root of his self-torture, the seeking of existence in this paper was used to explain that the texts of self-torture are results of inner conflict between becoming free from guilt and attempting the existence. This writing took a notice that the self-transcendence in Yu Chi-Hwan's poetry was aimed at becoming the existence through transcending Grenzsituation of the present existence. The existence of Yu Chi-Hwan appeared as one returning back to the purest and true self.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transcendence in Yu Chi-Hwan's poetry moving toward the most original self had an introversion characteristic. Then Yu Chi-Hwan revealed symbolically the secret code of transcendental being in his poetry. Interpreting these symbols, this paper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transcendence and the existence as the return to the self-transcendence and the original self. The aspects of the existence examined in this paper became a basic framework to know his sense and method of the existence. Those aspects examined as the anguish of the present existenc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existence, the seeking of the existence through self-torture, and the return to the self-transcendence and the original self are the results of his continuous searching for ultimate intention point of self existence.

      • KCI등재

        대승불교에 있어 출생과 죽음의 과정에 대한 記述

        문상련(Moon Sang-Leun)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5 No.-

          The five components (五蘊, five Skandhas), as they exist between the two stages of death and rebirth, are called "intermediate existence(中有)." It has not yet arrived at its destination; therefore, one cannot say yet that it is born. After the stage of death and before the stage of birth―that is, in the interim between the two― there arises an existence, manifesting a body in order to move toward where it will be reborn. This "intermediate existence" is also called Pudgala, Gandharva or ?laya-vij??na.<BR>  The five components of the interim body, however, differ from those which formed the individual while he was alive. When the five components are mentioned in regard to an intermediate existence, they seem to indicate the latent energy of the five components which will manifest themselves in the next existence.<BR>  From the standpoint of Mahay?na Buddhism, we may say that life after death exists in the state of Emptiness or non-substantiality, dissolving back into the great cosmos and flowing together with the cosmic life. To employ the terminology of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the "interim body" is in fact nothing other than the ?layaconsciousness, the framework of individual existence which transmigrates from one lifetime to the next, containing within itself the potential for all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in the form of "seeds."<BR>  In the after-death process, the subjective "self" of each individual existence is acted upon by the seeds, especially the karma-seeds, contained in its ?laya-consciousness. In other words, while being merged with the cosmic life, the "interim body" or subjective self experiences the latent force of its karma―and other seeds, and while receiving suffering or pleasure, perceives a variety of images.<BR>  From the Buddhist viewpoint, the emergence of the ?layaconsciousness― that is, the emergence of life from the latent or intermediate-existence phase―is regarded as an essential condition. Buddhism accordingly sums up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rebirth as "the union of the three factors."<BR>  Here the "three factors" are defined as the sexual union of the parents, the proper functioning of the monthly cycle, and the emergence of the interim body from the intermediate-existence phase. Moreover, in order for these three factors to unite, there must be no physical disorder that would interfere with pregnancy, and an affinity must exist between the karma of the parents and the karma stored in the ?laya-consciousness of the life in intermediate existence.<BR>  Because the merit and wisdom of bodhisattvas is so highly developed, when they wish to enter the womb, they have no perverted thoughts, and are not seized by licentious desires. Wheelturning kings and pratyekabuddhas have merit and wisdom, but it is not developed to the highest extent. Therefore, when they enter the womb, though they have no perverted thoughts, they are nevertheless seized by licentious desires.<BR>  The many classes of living beings in this way arouse perverted thoughts and enter the mother’s womb. Only the bodhisattva, when he would enter the womb, correctly discerns his father as his father, and his mother as his mother. Moreover, he arouses filial love toward his mother, and by its power enters into her womb.<BR>  For one who obtains wisdom, practices to be born in the Pure Land and establishes the state of Buddhahood in this lifetime, after death, there is no wandering through intermediate existence. Past the moment of death, that person is immediately welcomed by all Buddha’s, bodhisattvas and benevolent deities, and escorted by them to the Pure Land of Eagle Peak. "The Teachings Affirmed by All Buddha’s through Time," expresses this with the phrase, "[He] attains rebirth of the highest kind in the Land of Tranquil L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