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은교의 허무의식에 나타난 현상학적 인식론 고찰

        안지영(Ahn, Ji-young)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49

        이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바탕으로 강은교의 허무의식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과의 관계 양상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둔다. 강은교는 1968년 『사상계』로 등단한 이래 첫시집 『허무집』(1971)을 상재하면서 이후 ‘허무’의 시인으로 명명된다. 기존 연구에서도 강은교의 허무의식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다만 강은교의 시를 병고 체험과 같은 시인의 생애나 시대적 상황과 관련지어 오면서 강은교의 허무의식을 엄밀한 이론적 틀로써 분석하는 연구는 드문 편이었다. 이 글에서는 강은교가 시론에 직접 인용하기도 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강은교의 시에 나타난 허무의식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았다. 강은교의 초기시는 샤머니즘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죽음의 편재성을 드러내는 한편, 보이지 않는 죽음의 세계로 하강하는 이미지들이 두드러진다. 초기시에 나타나는 ‘물’과 ‘뿌리’에 대한 이미지들은 이와 관련되며, 이에 따라 삶 보다는 죽음을 지향하는 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에 비해 중기시에서는 ‘현재적 삶’에 대한 긍정이 표명되기 시작한다. 이런 점에서 중기시에서 ‘꽃 뿌리’라는 독특한 이미지가 나타난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소멸이나 몰락을 창조적 생성의 계기로 보면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동시성을 구현하려는 시도로 이해된다. 강은교는 허무를 ‘숨길’이나 ‘뼈’에 비유하기도 한다. 이는 허무가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연결함으로써 초월적 인식을 획득하게 한다는 점에서 사물에 ‘생명’을 불어넣어준다는 깨달음을 나타낸 것이다. 시인은 이러한 긴장 속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시적 현실을 만들어내는데, 후기시에서는 상상적인 것이 펼쳐지는 공간을 일상적인 삶으로 설정함으로써 ‘현재적 삶’에 대한 긍정을 완수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에서 강은교의 허무를 극복해야 할 것으로 보는 기존의 관점을 지양하고 창조적 생성을 위한 조건으로 조명하였다. This article is aim to clarify the relevant of visible and invisible on Kang Eun-kyo’s works in based on the philosophy of Maurice Merleau-Ponty. In her poetry, ‘roots’ is metaphor death, because it keeps invisible. Kang combines with the flowers(metaphor of life) and root(metaphor of death) as “flower-roots”. This allows her salvation from the inevitability of death. Kang claims that the nihil is the ‘way of breath(숨길)’. If things alive have no ‘way of breath’, it can’t breathe and is unable to live. Therefore, poem should have sharp sense about ‘way of breath’ between life and death(or visible and invisible). In this aspect, Kang’s poetry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Maurice Merleau-Ponty that the observer born anew in the depth of things by letting things themselves to be seen.

      • KCI등재후보

        최명희 초기 단편소설 연구

        장현숙(Chang Hyun-sook)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아시아문화연구 Vol.20 No.-

        본고는 최명희의 초기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작중인물의 갈등양상과 주제의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제의식의 전개와 함께 작가의식의 지향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초기 작품을 분석한 결과 작가는 일찌기 민중들의 고통과 가난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으며,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구조속에서 타자화된 여성의 ‘자아정체성 찾아가기’에 집중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자아의 갈등 양상과 실존적 허무의식을 상징과 은유, 이미지의 탁월한 결합, 의식의 흐름 기법, 실험적 기법과 모던한 감각, 이종텍스트의 삽입, 시점의 일탈 등을 통하여 형상화하였다. 특히 남성중심 사회에서의 폭력성과 억압성을 구체화하고 여성의 자아정체성 확인 과정을 탁월하게 내면화시킴으로써 최명희는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최명희의 초기 작품들은 ‘자아정체성 찾기’와 ‘민족정체성 찾기’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혼불 찾기’를 지향하는 작가의식과 맞닿아 있음을 고찰하였다. 즉 최명희의 단편소설에서 나타나는 주제의식과 표현방법은 장편 『혼불』을 통해 확장 심화되고 있었던 것으로, 최명희 문학의 실마리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Choi Myung-hee’s early works from deducting patterns of conflicts among characters and theme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directivity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As an inspiration to her later works, the writer, at an early age, began to be concerned with the struggles of the society living under poverty. She devoted her life to finding her voice and aimed for all women to establish their identity in such a patriarchal society. Choi also created patterns of self-conflicts and existential nihilistic consciousness, remarkable combination and substitution of images, stream of consciousness, experimental techniques and modern senses, insertion of a different-kind text and deviation from a time point. She represents feminist viewpoints that confirm women’s self identity against violence and suppression in a man’s world. This study points out to the central theme that transcends to the writer’s literary works. To mention, her novel, ‘”Honbul,” encourages the idea of looking for ‘self-identity’ and ‘ethnic identity.’ Thus, the author’s literary theme and style are depicted in her short stories extends and deepens through her novel and other works.

      • KCI등재

        청마 유치환 시의 초월 의식 연구

        손남훈(Son, Nam-Hoon)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4

        청마의 시세계에서 초월 의식은 빼놓을 수 없는 시적 태도로 생각 되지만 그것은 단순히 신에 대한 인간의 의지적 태도로 쉽사리 요약될 수 없는 것이다. 본고는 청마의 시세계에서 신이 갖는 의미와 허무 의식과의 관계를 해명하고 청마의 초월 의식이 여러 시편들에서 어떻게 시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유형화하여 살폈다. 청마에게 신은 인간사에 개입하지 않는 존재로 이해되고 있다. 이는 신이 아닌, 인간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청마 특유의 신관, 즉 적극적 허무주의로 형상화된다. 청마의 시편들에서 허무주의를 내적 동력으로 삼고 있으면서도 당대 현실의 위악과 피폐함을 비판하고 인간이 지녀야 할 당위적 태도를 제시할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청마 시에 일관되는 초월 의식은 의식의 주체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즉 신 또는 초월자적 주체가 중심이 된 초월 의식, 필멸자인 인간이 세속적 자아로부터 탈피하여 보편적 존재로 나아가고자 하는 초월 의식,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탈속적인 사랑의 형상화를 통해 드러나는 초월 의식이 그것이다. 첫 번째의 경우, 청마는 자신의 시편 속에서 초월자적 입장을 상상함으로써 당대 현실의 표피적인 현상을 넘어, 우주와 존재의 보편적 질서를 구현하는 한편, 당대가 결여하고 있는 당위적 입장을 제시하면서, 현실 비판적인 시편을 제시하는 경향성을 보여준다. 두 번째의 경우, 청마는 신을 마주하는 인간의 입장에서, 현실의 세속적 자아로부터 벗어나 순수 자아를 보존하고 존재 구원의 가능성을 상상하는 시편을 제시한다. 이러한 낭만적 동경의 모습은 흔히 나무, 바위, 산과 같은 육중 하고 강인한 이미지를 지닌 자연물을 제재로 삼아 형상화된다. 세 번째의 경우, 청마는 신의 섭리 아래 모든 사물들은 평등하고 무차별적 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면서 부드러운 어조와 수평적인 공간 이미지를 제시한 다. 특히 평등한 대상들끼리의 가장 높은 수준의 관계 맺기 방식인 사랑은 자아의 한계를 극복하고 존재의 초월적인 참모습을 지향하는 낭만적 동경의 상상력을 보여준다. 이처럼 청마 시에 나타나는 초월 의식의 세 가지 유형은 청마의 시세계를 해명하게 하고 그 시적 형상화 방식을 이해하게 하는 단초가 된다. Ryu Chi-Hwan s poetry has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as its essence. But many researchers explain it onl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This study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God, consciousness of vanity, and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in poetry world of Ryu Chi-Hwan. And it tells how the relationship is expressed in the his poetry. He thinks that God is not involved in human history. From a human point of view, God is empty because he does nothing. However, Godlessness enables the active act of man. Therefore, the imprecision expressed in the poetry of the hermaphrodite can be said to be an active negligence. This is why his poetry criticizes the wickedness of society and suggests the correct attitude that humans should have. This study explains the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of Ryu Chi-Hwan s poetry divided into three types.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centered on God or transcendent subject, A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that human beings, who are mortals, move away from the earthly self and move toward universal existence,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as degenerate lo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man, it is. In the first case, Ryu Chi-Hwan s poetry looks at the contemporary world from the viewpoint of God and presents the ethics of God lacking in the present age. In the second case, He writes poetry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facing God. Thus he wants to escape from the secular self and to be saved into pure self. It is a romantic longing. Romantic longing expresses itself as a strong and unchanging natural object. In the third case, he thinks that all objects are equal and indifferent under the providence of God. Thus, he expresses a soft tone and a horizontal spatial image. In particular, he focuses on love. Because love is the highest level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ures. he thought that love was the ultimate way to overcome the limits of self and toward the realities of being. Thus, his poetry reveals three types of transcendent consciousness.

      • KCI등재

        허수경 시의 시간의식 연구

        방승호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99 No.-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ime awareness in the poem of Heo Sukyeong. Especially, this paper apprehended the aspects of time awareness through recognition of reminiscence and moment. In doing so, it established how characteristics of time awareness contributed to the poem of Heo Sukyeong. In the poem, it frequently shows the self recognition of time and this characteristic eventually affects the constructing of the world of poem. Thus, establishing time awareness in the poem of Heo Sukyeong becomes the necessary key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poem that he desired. The effect of memory and reminiscence in the poem makes the lyrical subject to liberate from the simple order of time. The act of reminiscence plays the role as a liberation from general past point of view and forming the present that subject exists. Moreover, the archaeological imagination of Heo Sukyeong becomes the source of ‘reminiscence’ action that reforms present by bringing out the past. Heo Sukyong maintains the desperate time that self experienced by reminiscence. Then, the phenomenon of the past that summoned to the memory affects the psychological state of self and formation of mood of the poem and highlights the desperation of the present time. As a result, the past time that summoned to memory of narrator forms the present and shows the autonomous attitude toward the world. Moreover, reference of Benjamin and Husserl showed in the poem of Heo Sukyeong supports the explanation of these aspects of time awareness. The ‘moment’ in the poem is the point that past gathers and the source of powerful energy that released from present to the future. For that reason, interest of the moment means the interest of the past and concentration for present and the future. The poem focuses on this ‘moment.’ The frequent appearance of the word ‘moment’ and ‘the time’ in the poem shows the poet’s time awareness that wishes to focus on the ‘moment’. This characteristic also attributes to express the ‘nihilism’ in the poem. The role of the ‘moment’ in the poem of Heo Sukyeong is never weak. The practical act of self that focuses on the ‘moment’ shows the denial of the reality, and also becomes the power to form psychological time of ‘lost’ and ‘grief’. Moreover, it develops to ‘criticism’ toward the present situations and exists as showing the one aspect of ‘nihilism’ 이 논문에서는 허수경 시에 나타난 시간의식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고는 주체의 과거 회상과 순간에 대한 인식을 통해 드러나는 시간의식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럼으로써 이러한 시간의식의 특징들이 어떻게 허수경 시의 주제의식에 기여하는지를 규명하였다. 허수경 시는 시간에 대한 자아의 인식이 자주 드러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자아의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영향을 준다. 때문에 허수경 시의 시간의식을 규명하는 것은, 그가 추구했던 시세계를 이해하는 것에 반드시 필요한 열쇠가 된다. 시에 나타난 기억과 회상의 작용은 서정적 주체가 단순한 시간 질서에서 해방하게 만든다. 회상의 행위가 일반적인 과거 시점에서 벗어나 주체가 실존하는 현재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허수경이 지닌 고고학적 상상력은, 이와 같이 과거의 기억을 꺼내어 현재를 재구성하는 ‘회상’ 작용의 원천이 된다. 허수경은 과거 회상을 통해 자아가 경험했던 절망적인 시간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기억으로 소환된 과거의 현상들이 현재의 자아의 심리적 상태나 시의 분위기 형성에 기여하면서 현재의 절망성을 더욱 부각한다. 결과적으로 화자의 기억으로 소환된 과거의 시간이 현재를 만들어내고, 세계를 바라보는 주체적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다. 그리고 벤야민과 후설의 언급들은 허수경 시에 나타난 이러한 시간의식의 양상을 설명하는 데에 뒷받침된다. 시에서 말하는 ‘순간’은 과거가 모이는 지점이자 현재에서 미래로 발산되는 강력한 에너지의 근원이 된다. 때문에 순간에 대한 관심은 곧 과거에 대한 관심이며, 현재와 미래를 위한 집중을 뜻한다. 허수경의 시는 이러한 ‘순간’에 주목한다. 시 속에 ‘순간’, ‘때’와 같은 시어가 종종 나타나는 것은 ‘순간’에 집중하고자 하는 시인의 시간의식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시 속에 ‘허무의식’을 표출하는 것에 기여한다. 허수경 시에서 ‘순간’이 가지는 역할은 결코 미약하지 않다. ‘순간’에 집중하는 자아의 실천적 행위는 현실의 부정성을 드러내고, ‘비애’의 심리적 시간과 회의적 미래를 구성하는 힘이 된다. 나아가 현재의 국면에 대한 ‘비판’으로 발전하며 ‘허무의식’의 한 측면을 보여주는 시간으로 존립한다.

      • KCI등재

        박흡 시의 죽음 의식 고찰

        정병필(Jung, Byungpil)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5

        한국 현대시에서 1950년대는 후기 모더니즘으로 대표된다. 전후 피폐한 사회상은 문학의 주요한 소재로 등장하게 되며, 특히 서구의 실존주의와 결합하면서 후기 모더니즘의 주요한 특징을 이룬다. 박흡도 이러한 연장선에서 살필 수 있다. 박흡의 주요 작품 발표가 1950년대에 이뤄지며, 그의 작품에 드러나는 실존주의적 경향이 이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박흡의 시에서 전후의 피폐적 사회상은 일부 전우 문학지에 발표된 작품 외에는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그의 실존적 경향도 사회적인 측면보다는 개인적인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후기 모더니즘과는 변별되고 있다. 이러한 변별점은 후기 모더니즘에서도 살필 수 있는 죽음 의식에서 드러난다. 박흡 시의 죽음 의식은 시기별로 변별된다. 1950년대 이전 작품에서 죽음의 지향은 사랑하는 임과의 합일을 통해 구축되는데, 이러한 전제는 대상의 부재에서 비롯된다. 이는 전후 사회상에서 보이는 전쟁으로 인한 타자의 죽음이라는 실존 인식과 유사하다. 하지만 박흡에게서 죽음은 현실과의 괴리가 아니라 현실의 연장선에서 부재를 극복하려는 의지의 표현이다. 1950년대에 오면서 죽음 지향은 타자의 합일을 성취한다. 하지만 합일을 통해서도 자아의 지향점은 근원적으로 구축될 수 없는 지점에 막히게 되고 이는 허무감이나 외로움이라는 감정으로 표현된다. 전후 실존주의에서는 허무감이 존재에 대한 불안과 공포로 인한 현실에 그 원인이 있었다면, 박흡 시에게서 허무감은 그가 지향하는 공간이 현실에서 머물지 않고 현실을 극복하려는 순간 막히는데 원인이 있다. 이는 박흡 시에게 죽음의 공간은 단순한 내세의 공간을 넘어 생명의 공간으로서 승화되는 지점과 연결된다. 이러한 초월적인 지점은 박흡의 시에서 기도로써 모색되어 지며 전후 실존주의의 유한한 존재로서 신을 통해 자신을 깨닫게 되는 지점을 넘어 신에 대한 존엄의 파괴를 통해 허무의식의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밀고 나아간다. 자아에 대한 존재의 지향이 삶에서 벗어나야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지속으로서의 이행이라는 점에서 극단의 허무감의 경계는 죽음과 삶의 경계가 모호한 신적인 초월의 지점을 통해 내적 성찰의 자유에 대한 지향으로 구축되어진다. 이는 1960년대 참여문학의 배경이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개인적인 측면에서도 이미 모색되고 있었음을 보여줄 수 있는 주요한 의의를 지닌다.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m, the 1950s is represented by late modernism. The image of the war-worn society appeared as an important source of literature. Especially, by combining with the Western existentialism, the image became an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late modernism. Park Heup can also be treated in the extension of this trend. Major poems of Park Heup were released in the 1950s, and the existential trend contained in his poems proves it. Nevertheless, in the respect that the image of the war-worn society rarely appears in his poems except for his works published in some comrade literary magazines, and that his existential trend can be identified in individual aspects, rather than in social aspects, his poetic world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late modernism. Such differential aspect can be identified in death perception in late modernism. Park Heup"s perception of death can be categorized into different periods. In his poems written before the 1950s, orientation toward death is established through the unity with loving person, which is caused by non-existence of the object. It is similar to the perception of existentialism called the death of the other person in the war which appears in the image of comrade society. However, to Park Heup, death is not detachment from the reality, but the expression of the will to overcome non-existence on the extension of the reality. In the 1950s, orientation toward death achieved the unity of the other person. However, even through the unity, the goal of self was stalled at the point which originally could be constructed, and was expressed as emotions like nihilism or loneliness. If nihilism of post-war existentialism was caused by anxiety on existence and the reality derived from fear, Park Heup"s nihilism wa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space he pursued did not stay in reality, but was blocked when it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To Park Heup, the death space goes beyond the simple space of next life, and is connected with the point where it is sublimated to space of life. Such a transcendental point is sought by prayer in poems of Park Heup, and goes beyond the point where, in post-war existentialism, one can recognize oneself as a limited being through the God, and, through the destruction of dignity of the God, pushes up in the most extreme form of nihilism. In the sense that orientation of existence toward self does not escape from life, but going forward to continuance, the boundary of extreme nihilism is established as orientation toward freedom of inner reflection through divine transcending point where the boundary of life and death becomes blurred. It is very meaningful to show that the participatory literature in the 1960s was already sought in individual aspect as well as in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 KCI등재

        최명희 단편소설 연구

        장현숙(Chang, Hyun-Sook)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8 No.-

        본고는 최명희의 등단 후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작중인물의 갈등 양상과 주제의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제의식의 전개와 함께 작가의식의 지향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단편소설을 분석한 결과 습작기 초기 단편들에서 보여주었던 ‘자아정체성 찾기’와 ‘민족정체성 찾기’가 지속적으로 드러나면서 확대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작가는 ‘아버지의 부재’를 인식하면서 존재의 근원인 ‘뿌리 찾기’로 나아가고 있었으며, 민족 고유의 전통 복원과 ‘민족주체성 찾기’, ‘삶의 진정성 찾기’에 작가의식이 놓여있음을 고찰하였다. 특히 작가는 모국어에 대한 탐색과 이별의 정한을 ‘말’의 추상성과 구체성을 긴밀하게 결합시키면서 묘파하였다. 나아가 부조리한 현실과 사회제도적 모순 속에서 타자화된 개인들의 삶과 실존적 저항의식을 드러내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절대적 존재자에 대한 경외감과 함께 기독교 학교의 부정적 행태를 고발하면서 인간의 선성(善性)에 대해 증명한다. 한편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구조 속에서 타자화된 여성의 ‘자아정체성 찾아가기’에 집중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자아의 갈등 양상과 실존적 허무의식을 상징과 은유, 환상성, 이미지의 탁월한 결합, 의식의 흐름 기법, 실험적 기법과 모던한 감각, 이종텍스트의 삽입, 시점의 일탈 등을 통하여 형상화하였다. 이렇게 최명희의 단편들은 ‘모국어 탐색’과 ‘자아정체성 찾기’와 ‘민족정체성 찾기’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혼불 찾기’를 지향하는 작가의식과 맞닿아 있음을 고찰하였다. 즉 최명희의 단편소설에서 나타나는 주제의식과 표현방법은 장편 『魂불』을 통해 확장ㆍ심화되고 있었던 것으로, 최명희 문학의 실마리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derive the conflict patterns of characters in the stories and the themes of the short stories of Choi Myunghee. In addition, it aims to uncover the development of the themes and the directivity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The analysis of her short stories showed that ‘finding the self-identity’ and ‘finding the ethnic identity’ has been constantly revealed in her initial fragments. In particular, the writer recognized ‘the absence of the father,’ and went to ‘finding roots.’ This paper found that the writer’s consciousness lay in ‘finding the ethnic identity’ that restores tradition, and ‘finding the authenticity of life.’ In particular, this paper found that she thoroughly revealed the search for the mother tongue and the affection and grief of parting by combining the abstractness and concreteness of the ‘word.’ Furthermore, she revealed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became others through absurd reality and social contradictions, and the existential resistance. In addition, by speaking about the awe toward the absolute being and exposing the wrongful practices of Christian schools, she proved the goodness of humans. Also, this paper found that she focused on ‘finding the self-identity’ of women, who were the ‘others’ in the male-centered patriarchal structure of society. In addition, she visualized the conflict patterns of selves and the existential sense of self-conscious vanity through symbols, metaphors, combinations of images, stream of consciousness, experimental techniques, modern sense, two kinds of texts, and the divergence of point. In this way, to the extent that the short stories of Choi Myunghee connote ‘the search for the mother tongue,’ ‘finding the self identity’ and ‘finding the ethnic identity,’ this paper found that her novels have come in contact with the writer’s consciousness toward ‘finding Honbul, death fire.’ In other words, the themes and expressions in her short stories are expanded and deepened in her novel, ‘Honbul,’ so it is worth taking notice of them, in that they are clues provided in her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박정만 시의 내면의식 연구

        박성우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1 No.2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poetic world of Park Jeong man, who is considered one of poets exhibiting a unique poetic world in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rough analyzing his inner consciousnes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Park Jeong man’s inner consciousness is based on the sense of nihil and an attitude of pessimistic reflection on life. The sense and reflective attitude try to transcend the tragic real world by assuming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pessimistic realities as a fate rather than overcoming the despairing and painful realities actively. His inner consciousness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he absence of his mother. His consciousness of the absence of his mother, which is widespread throughout his works, is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consciousness of recurrence to hometown, the resting place of mind, and is an exit from pains in the negative real world. Park Jeong man’s inner consciousness as such is also inseparably linked to the historical situations of his days. After he was tortured cruelly in connection to Han Soo san’s indictment for his writings, he suffers from pains but tries to repress his anger. Nevertheless, his inside is gradually dominated by hatred against violence and peopleoriented attitude. Based on the inner consciousness, Park Jeong man’s poetic world is deeply imbued with fear of death as well as fervent desire to overcome the fear. In his poems, death is a dreadful object but, at the same time, a universe reaching eternal salvation that gives perfect freedom from the impoverished real world.

      • KCI등재

        임춘(林椿) 시에 나타난 허무의식과 비개미(悲慨美)

        하정승(Ha, Jung-Seung)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There are poets who had a genius for writing a poem but deprived in every age throughout the history of literature. Im-chun,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12C is such a case. He came from a respectable high-class family, but his family was ruined because of a military subject s rebellion. Im-chun had been in hiding ever since, and lived a tough life. First of all, he faced the financial difficulty because he was shorn of his own property by the government. The most excruciating pain of his life, however, is social deprivation and alienation. He continued to return to the political world, but failed each time. the civil service exam. To make matters worse, he failed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At last he died wandering in despair and poverty. In this script, I examined Im-chun s some pieces of essays which describe his own tragic life and inquire into the sense of emptines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called Bigaemi(悲慨美)’. The best feature of Im-chun s poems is a way of expressing a sense of alienation and frustration. That is a kind of lunacy, which is called Bigaemi(悲慨美)’. His sense of Bigaemi(悲慨美)’ is sorrow and loneliness which he feels for his own helpless and shabby self in the gigantic world. This sorrow and loneliness turned into lunacy that are expressed in poems.Such process make Im-chun s life unhappy, but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abundunt. Im-chun s poems were a cathartic experience to many readers. Im-chun is different from his contemporary poets such as Lee-kyubo and Lee-inlo. So he made Korean literary world rich and lead it to a higher level, which is the means for Im-chun to subsist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of the latter part of the Goryo Dynasty. 우리 문학사에서 천재성을 가졌으나 불우하게 생을 마친 시인들은 시대 마다 존재했다. 이와 같은 부류에 해당하는 시인 중에, 한시사에서 비교적 초창기에 해당하는 12세기를 대표하는 인물이 임춘이다. 임춘은 명망있는 집안 출신이었고 특히 그의 숙부인 임종비는 보한집 에 언급이 될 정도로 저명한 문인이었지만, 무신의 난을 겪으면서 멸문의 화를 당하였다. 임춘은 난을 피하여 가족들을 데리고 경상도 지방으로 내려가 은거했지만 그의 삶은 고단함의 연속이었다. 우선 국가로부터 받았던 공음전을 환수 당했기에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가난보다 더 그를 힘들게 했던 것은 정신적인 박탈감과 소외감이었다. 이인로․오세재 등과 함께 죽림고회를 결성하여 활동했지만, 환로에 대한 꿈이 없었던 것이 아니었다. 그는 계속해서 중앙정계로의 진출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로 끝나고 수차례의 과거시험 마저 낙방한 뒤, 결국에는 뜻을 이루지 못한 채 실의와 빈곤 속에 방황하다 가 생을 마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무신난 이후에 펼쳐진 그의 비극적인 삶을 문집에 남아있는 여러 편의 산문을 통해서 살펴보고, 특히 그의 시에 나타난 허무의식과 미적 특질로서 ‘비개미(悲慨美)’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임춘 시의 가장 큰 문학적 특질은 내적인 소외감과 울분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호기’ 또는 ‘광기’로 지칭하고 이같은 시에서 나타나는 미적 특질을 ‘비개미’로 규정하였다. 임춘 시의 비개미는 거대한 세계 앞에서 한없이 무력하고 초라한 자아의 슬픔과 고독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슬픔과 고독이 ‘호기’․‘광기’라는 모습으로 발현되어 시라는 옷을 입고 태어난 것이다. 이는 한 개인에게는 불행이고 슬픔일 수 있지만, 좀 더 넓은 시각에서 보면, 문학사는 풍요롭고 다채롭게 채워지며 독자들은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된다. 동시대의 이규보나 이인로와는 또 다른 임춘으로 인해 12세기 고려 문단은 다양한 시적 경향을 갖게 되었고, 이는 결국 문학사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고려중․후기 한시사에서 임춘의 존재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 KCI등재

        바다를 향수하는 ‘냉동어’의 허무의식

        신영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17 No.-

        채만식은 「냉동어」에서 냉엄한 현실 속의 한 지식인을 그렸다. 그는 애초에 신념과 생활을 지닌 인물이었으나 더 이상 한가롭게 대처할 수 없는 시대에 묵묵히 자기응시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써야 될 내용’이 요구되는 시절에 이를 적절한 안전장치로 사용하며 필요한 것은 감추고 불필요한 것은 마음놓고 드러내며, 피할 수 없는 자신의 허무의식을 표현한 것이다. 종래에 없던 자전적 주인공을 세워 연애담의 줄거리로 자신의 목소리를 들려 준 것도 일종의 ‘감추기 위한 드러내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채만식이 이 작품을 계기로 친일의 길로 접어들었다는 주장은 재고의 여지가 많다. 그는 단지 연애담의 서사구조로 화석화하는 허무의식과 함께 자기응시의 과정을 담담히 그렸기 때문이다. 강조하건대 ‘친일’에 대한 단죄가 우리의 소임이 아닌 이상 보다 복합적인 시각으로 당시의 정신사적 지형도를 파악하고 작가의 사유과정을 천착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이에 작품 자체가 맨 처음의 자리에 놓여야 함은 너무나도 분명한 일이다. In 「Naeng Dong Uh」, Chae Man-Sik depicts an intellectual who confronts a grim and stifling situation. The intellectual, who can be interpreted as the author himself, is at first full of faith and leads a normal life, but eventually he is forced to choose a path of silent self-scrutiny based on a sense of emptiness because the world does not allow him to be idle anymore. The author uses the demand of the context as a safety device and hides what is necessary, while overtly revealing what is unnecessary. Through such methods he expresses his inescapable sense of emptiness. His disjunctive prose works, written in the similar period, can be understood as “revealing” pieces, and I believe if he had written more his sense of emptiness would have deepened. The way he creates an autobiographical protagonist to speak out his voice, which is an unprecedented attempt, can also be understood as “revealing as a way of concealing.” It is only natural that he should create a completely different literary world from his literary world, since the times demand him to be alert to world historical crises. Therefore, it is not surprising that his disposition should seem rather disparate until he regains his satire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since it is not up to us to judge pro-Japanese actions, we should probe the intellectual topography of the period in a more comprehensive manner to delve into the author's flow of thought. It is clear that the text itself should be of foremost importance in this task.

      • KCI등재

        신숙주(申叔舟)시세계에 있어서의 ‘윤리성(倫理性)’의 문제와 그 파장(波長)

        김창호 ( Kim Chang-ho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9 No.-

        이 글은 신숙주의 시에서 ‘윤리성’에 대한 負荷가 시세계의 형성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 가를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신숙주는 정변을 거치면서 양심의 가책, 곧 윤리성에 대한 부하를 가지게 된다. 이것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고립감으로 이어졌다. 그는 세상사를 一括하는 표현이나 넒은 의미 영역에 걸쳐있는 시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했다. 투식화한 이들 시어는 교제 상황에서 감정의 곡절이나 세세한 심리 표현을 의례적 차원에서 관리한다. 그는 ‘閑’을 지향했고 ‘達觀’의 위치를 기대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했을 뿐 아니라 醉興을 통한 윤리적 상흔의 망각마저 허락되지 않았다. 酬唱이나 贈答의 상황에서 명쾌하게 자신의 지향을 제시하거나 상대와의 정서적 합일로 나아가기 어려웠다. 公的역할의 우산 아래 상투적 표현과 모호한 시어의 구사, 자아 은폐의 경향으로 흐르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신숙주는 絶句의 마지막 부분에 상대와 함께 하는 장면을 클로즈업 하거나, 限定形의 어구를 통해 상대와의 관계를 특별한 것으로 격상시키기도 한다. 이것은 세계에 대한 자아의 왜소화에 따른 불안 심리가 굴절되어 나타난 형태이다. 그의 시에는 영웅적 삶에 대한 의지와 허무감이 동전의 앞뒷면처럼 공존한다. 시인은 허무감을 느끼지만 작품 맥락에서 이것은 곧바로 영웅적 다짐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구조는 윤리적 각도에서 자신을 점검할 여지를 적게 만든다. 허무감은 윤리적 성찰로 연결될 가능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허무감에서 영웅의식으로 리셋되던 궤도가 무너지는 순간, 윤리성의 문제는 감당하기 어려운 무게로 다가올 수 있다. 영웅의식을 대체할 지향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자기 파탄이나 종교에의 귀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만년의 불교에 대한 관심과 성찰적 시의 창작은 이런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provide explanations about the involvement of the burden of “ethicality” in the creation of a poetic world in Shin Suk-ju’s poetry. Shin Suk-ju was conscience-stricken about the process of changes to the political situations, and it led to his sense of isolation in his relations with others. He used repeatedly poetic words with a broad semantic scope. Solidified as part of a framework, these poetic words managed delicate psychological expressions in a situation of relationship at a formal level. He was oriented toward “tranquility” and expected to reach the state of “philosophical,” but they were out of his reach. In relations with others, his poems had a difficult time proposing clear sincerity or moving toward emotional unity. This explains why his poems cre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official roles were replaced with his poems with such tendencies as solidified expressions as part of a framework, vague poetic words, and concealment of ego. Shin Suk-ju would have a close-up for a scene of being with someone at the end of Jeolgu or promote his relations with someone to something special through restrictive phrases. This shows how his anxious psychology according to the shrinking of his ego was refracted. In his poems, there is a coexistence of his will for a heroic life and his sense of futility like both sides of a coin. The poet has a sense of futility, which is converted into a heroic determination in the context of a work right away. This structure reduces the room for the poet to check himself at an ethical angle as a sense of futility is likely to be connected to ethical self-examination. His conversion to Buddhism and his reflective poems in his later years we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his track of a sense of futility being reset as heroism no longer functi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