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한 세대별 가족가치관의 유형 탐색 연구

        신영미 대한가정학회 202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0 No.3

        This study identified and compared family values within and across different generations concerning gender roles, attitudes toward diverse families, children, and parental rol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20 Seoul Family Report Survey. There were 1,949 study subjects, including first- and second-generation baby boomers and individuals in generations X, Y, and Z in Korea. Latent profil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M-plus. Perceptions and views concerning family value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typ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Two types were identified among first baby boomers, and three were identified among second baby boomers. Most of the first and second baby boomers belonged to the “moderate” type. Two types were detected among those in Generation X. Regarding gender roles, most views of Generation X were slightly progressive, while their other family values were more moderate. Three types were identified among those in Generation Y: “progressive,” “moderate,” and “very liberal.” Generation Z was identified as a “progressive” group.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coexistence of generations by identifying and comparing diverse family values within and across generations.

      • KCI등재

        놀이를 활용한 모-자 집단미술치료가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행동과 애착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신영미,이미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국내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와 자녀에게 놀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양육행동과 애착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W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등록되어 집단치료 프로그램을 신청한 여성결혼이민자와 그의 자녀로서 9팀을 구성하였다.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프로그램에 자발적 참여를 원하는 여성결혼이민자 모-자에게 주 1회 60분씩 총 16회기의 놀이를 활용한 모-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평가 도구로는 양육행동 척도(IPBI), 애착 척도(KMAI), 새 둥지화(BND)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1.0 version을 사용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실수 및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양육행동과 애착 안정성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를 활용한 모-자 집단미술치료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놀이를 활용한 모-자 집단미술치료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애착 안정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는 향후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와 그의 자녀를 위한 심리재활 프로그램으로써 유용한 개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a play on the parenting behaviors and attachment stability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children living i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were nine group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t W city and applied for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rom March to June 2017, a total of 16 sessions of mother-child group art therapy using play were conducted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for 60 minutes once a week. The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IPBI), Korean Mother's Attachment Inventory (KMAI), and Bird's Nest Drawing (BND) were used as the evaluation tool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version progra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alculated as percentages.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ticipants on parenting behavior and attachment s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child group art therapy using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behaviors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Second, mother-child group art therapy using pla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ttachment stability of female married immigra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in South Korea could be useful interventions.

      • KCI등재

        여성예술가의 불안과 정신병리적 증후 재현양상 연구— 차범석 희곡 「공상도시」(1958), 「장미의 성」(1968), 「환상여행」(1971)을 중심으로

        신영미 한국문예창작학회 2017 한국문예창작 Vol.16 No.3

        This study examines the anxiety of a female artist reproduced in Cha Bumseok’s play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revealing Cha’s view of art, view of womanhood, and Audience Oriented Attitude. At this time, the psychopathological syndromes of female artist, who is the subject of anxiety, were specifically categorized and examined the points of contact with melodramatic elements. The novelist Yoon Kyungshim of the 「Fancy City」(1958) is a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that decorates to be recognized by others without finding their value, and shows a psychotic defensive mechanism of distortion and delusional projection. Sculptor Yun Byung-Hee of 「Castle of Roses」(1968) uses the omnipotent and rationalization mechanism as a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that is immersed in herself and does not recognize others as respectable individuals or persons. Lastly, the poet Sun Wooyoung of 「Fantasy Travel」(1971) chose a closed fantasy mechanism as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ith identity disorder. They belong to the 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which results in a maladaptive situation with others because of intense and unstable interpersonal and self-centeredness. This is a setting that is suitable for foregrounding the excess of the melodrama. Each work h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erotic and the sensational and the fantastic. And female artists, who are the Subject of a desire and anxiety, show the affects of anxiety. This acts as a factor enabling the female audience to engage in immersion and distance. In order to attract audiences who are absolute in theatrical performances, Cha Bumseok’s creative act, which placed the moral rationality in offering pleasure to witness the violation of taboos, reflects the purpose of combining the box office and the didacticism. 본고는 차범석의 작품에 재현된 여성예술가의 불안을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고찰하여 작가의 예술관, 여성관, 관객 지향성 등을 규명하였다. 이때 불안의 주체인 여성예술가의 정신병리적 증후를 구체적으로 범주화해 멜로극적 요소와의 접점을 살펴보았다. 「공상도시」(1958)의 소설가 윤경심은 스스로의 가치를 찾지 못하고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해 꾸미는 ‘연극성 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로 왜곡과 망상적 투사의 정신병적 방어기제를 보인다. 「장미의 성」(1968)의 조각가 윤병희는 자신에게 과몰입되어 타인을 존중된 개체나 인격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로 전능, 합리화 기제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환상여행」(1971)의 시인 선우영은 정체성 장애를 가진 ‘경계성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로 폐쇄적 환상 기제를 선택했다. 이들은 강렬하고 불안정한 대인관계와 자기중심성 때문에 타인과의 부적응적 상황이 초래되는 B 군 성격에 속하고, 이는 멜로극의 과잉을 전경화하기에 적합한 설정으로 판단된다. 각 작품의 주요 서사는 관능성과 선정성・환상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있다. 또한 욕망의 주체이자 불안의 주체인 여성예술가들은 ‘불안의 정동’ 을 보이는데, 이것은 여성 관객에게 몰입과 거리두기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연극 상연 시 절대적 존재인 관객을 유치하고자 금기의 일탈을 목격하는 쾌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도덕적 비의를 위치시킨 차범석의 창작 행위는 흥행과 교훈성을 결합하고자 한 목적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별내면 청학리 일대의 공간성 변천 연구 -의령남씨 세거지 도곡(陶谷)과 조선 후기 남용익의 별서를 중심으로-

        신영미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3 기전문화연구 Vol.44 No.1

        The Cheong-hak-ri Area of Byeol-nae-myeon, Nam-yang-ju, once known as Dogok(陶谷), is steeped in history, having been inhabited by the Ui-ryeong-Nam clan(宜寧南氏)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Nam Yong-ik(1628-1692), who held the position of I-jo-pan-seo(吏曹判 書), managed several villas here and interacted with his colleagues. Su-rak-mountain(水落山) Ok-ryu Waterfall(玉流瀑布) and the Gan-pok-jeong(看瀑 亭) built next to it became a kind of marker symbolizing Ui-ryeong-Nam clan and Nam Yong-ik.The reason why the Ui-ryeong-Nam clan of Ui-ryeong(宜寧), Gyeong-sangnam-do, formed a settlement and seon-yeong(先塋) in Dogok was that Nam-jae(南在, 1351-1419) and Nam-eun(南誾, 1354-1398) were granted sa-pae-ji(賜牌地) and Large farmland(田莊)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n, starting with Nam Hyo-ui(南孝義, 1474-1551), its character as a clan village(集姓村) became clear, 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Nam Yong-ik, who was at the beginning of the No-ron(老論) Gyeong-hwa-se-gok(京華世族), traveled back and forth between Seoul and his hometown. Nam Yong-ik traveled back and forth between Seoul and his hometown, seeking refuge in his hometown whenever he was in political hot water. After the age of 50, when he actively advocated for seclusion, he concentrated on building a separate houses, assuming that he could return to Seoul. The real guardians of the land were his Bang-gye(傍系) descendants, who farmed, lived, and maintained their daily lives there It is believed that life in Se-geo-gi(世居地) was similar until the 80s, when rural villages centered on the same sect were maintained. Throughout the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War, and modernization, clan village(集姓村) remained culturally unchanged until the 90s, when a turning point occurred. At the core of the transition was a change in the form of housing: apartments. As a large number of anonymous people quickly moved in, taking up space on the ground and in the air, the neighborhood's character as a village community was quickly eroded. When the village community collapsed, so did the tradition of nickname of house (宅號), which lasted until the 80s. Now, those who remain live in an era of communal housing, where people call each other □dong □ho. This article, which aims to be a study of spatiality, concludes by record the nickname of house, which few people will remember. This could be a meaningful task if we reflect on the disappearance of urban and suburban clan village over the course of modern history.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일대는 과거 도곡(陶谷)이라 불렸다. 이곳에는 조선 전기부터 현재까지 의령남씨(宜寧南氏)가 세거(世居)해온 역사가 있다. 조선 후기에는 이조판서를 지낸 남용익(南龍翼, 1628-1692)이 이곳에 여러 채의 별서(別墅)를 경영하며 동료들과 교류하였다. 수락산 옥류폭포와 그 옆에지어진 간폭정(看瀑亭)은 의령남씨와 남용익을 상징하는 일종의 표식이 되었다. 경상남도 의령을 관향(貫鄕)으로 하는 의령남씨가 도곡에 집성촌과 선영(先塋)을 형성하게 된 것은 조선 초 남재(南在, 1351-1419)와 남은(南誾, 1354-1398)이 사패지(賜牌地)와 전장(田莊)을 하사받으면서부터였다. 그러다중종 연간 활동한 지재공(志齋公) 남효의(南孝義, 1474-1551)를 기점으로 집성촌으로서의 성격이 명확해졌고, 조선 후기에는 노론 경화세족의 시발점에있는 남용익이 도성과 고향을 갈마들었다. 남용익은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릴 때마다 고향에서 안정을 찾고 다시 서울로 향하곤 했다. 은거를 적극적으로 표방한 50세 이후부터는 이곳에 별서를집중적으로 경영하였으나, 이 역시 재경(在京)을 전제에 둔 행위였다. 기사환국으로 유배 가기 전까지 그의 행보를 살피면 시간 대부분을 서울에서 보냈음을 알 수 있다. 전장을 실질적으로 지켜온 이들은 그곳에서 농사짓고 살며 일상생활을 유지해나가던 그의 방계 후손들이었다. 세거지의 생활상은 동종(同宗) 중심의 농촌 마을이 유지되었던 80년대까지 비슷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집성촌이라는 공간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 근대화 시기를 거치면서도 문화적으로는 큰 변화를 겪지 않다가 90년대에 들어서야 전환점을 맞이한다. 전환의 핵심에는 아파트라는 거주 형태의 변화가 있었다. 익명의 다수가 순식간에 유입되어 땅은 물론 공중까지 공간을 차지하자, 이 지역이 가진 마을 공동체로서의 성격은 빠른 속도로 허물어졌다. 마을 공동체가 붕괴되자 80년대까지 이어졌던 택호(宅號)의 전통도 사라졌다. 이제 이곳에 남은 사람들은 다양한 사람들과 섞여, 서로를 □동 □호라 부르는 공동 주택의 시대를 살고 있다. 공간성 연구를 표방한 이 글은 이제 기억할 사람이 거의 없을 택호와 택호로 불렸던 집이 있었던 장소를 구체화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근현대사를 거치며 도성과 근교의 세거지가 사라지고 그 역사를 기억할 방법 역시 사라진 경향을 돌아보면, 이는 의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