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함경도 지역민의 국가의식

        姜錫和 ( Kang Seok Hwa ) 진단학회 2021 진단학보 Vol.- No.136

        조선 팔도 가운데 가장 동북변에 있는 함경도는 공식적으로는 태조 이성계와 그 선조들의 활동 무대였으므로 왕기(王基)가 형성된 곳이라는 뜻으로 풍패지향이라 불렸으나, 실제로는 중앙 조정과 왕실에 저항하는 지역 반란이 일어난 곳이며, 유학을 중시하는 다른 지역과 달리 풍토와 기질상 무예를 중시하는 곳으로 인식되었다. 1712년(숙종 38)의 백두산 정계 이후 압록ㆍ두만 양강 이남 지역이 조선의 고유 영토로 재확인되었으며 함경도에 대한 영토 의식은 더욱 확고해졌다. 지역 주민들의 경제활동이 보장되고 거주 인구가 늘어나는 등 지역 개발도 진행되었다. 북어나 북포 등 특산물 거래가 활발해지고 상업과 무역이 성장하여 경제적 여건도 개선되고 있었다. 다른 지역에 비해 여전히 수준이 낮은 편이었으나 문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었다. 그러나 함경도 지역을 이역으로 취급하는 일반적인 분위기가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이에 함경도 지역의 유력 인사들은 우호적이지 않은 외부의 시각을 극복하기 위해 함경도가 풍패 지향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반역향이라는 관념과 궁마지향이라는 차별적 시각을 불식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함경도는 조선의 중요한 강역의 일부이며 도민들 역시 조선민의 일원임을 인정받으려 한 것이다. 함경지역의 인사들은 왕실사적 현창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동참하여 함경도가 조선 왕조의 중요한 근거지임을 알리려 하였고, 지역반란이 있었다 해도 지역민들이 봉기하여 주모자들을 처단하였음을 부각시키려 하였다. 변경지대라는 특성 때문에 고착된 궁마지향이라는 관념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마다 중앙의 주요 학자들과 학맥이 이어진 문학지사들이 있는 유교적으로 교화된 곳이라 강조하였다. 유교적 소양을 중시하는 조선의 일반적 가치가 함경도 지역에도 구현되어 있음을 알리려 한 것이다. 역사지리적으로도 함경도는 조선 건국 전후에 새로 편입된 강역이 아니라 단군과 기자 이래 조선의 고유한 영역이었음을 강조하였다. 특히 조선 후기에 백두산이 조선 전체의 상징으로 부각되면서 백두산이 있는 함경도민들의 지역적 자부심은 더욱 높아졌다. 함경도는 더 이상 조선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이 아니라 국가의 상징이 있는 조선의 중심, 조선의 뿌리라 생각하게 된 것이다. 함경도의 주민들 역시 변경인 혹은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라 조선의 당당한 주인, 조선 지리와 역사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자기 지역에 대한 이러한 자긍심은 함경도 지역민들의 국가관을 더욱 고조시켰다. 조선의 최북단 변경지역인 함경도 주민들은 외지인들의 편견에도 불구하고 조선인으로서의 자의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조선시대 국가관은 물론 20세기 이후 지금까지 이어지는 민족관념을 확인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 국가의 주권을 유지하기 어려웠던 시기에 함경도 출신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던 이들의 사상적 연원은 이같은 지역민들의 국가관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Located in the edge of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whole nation, Hamgyeong-do was officially called the Homeland of Kings, meaning the land where the root of the dynasty was formed as Taejo Yi Seong-gye and his ancestors were active. However, as a matter of fact, it had been recognized as the place where local rebel arose and people emphasized martial arts due to its climate and disposition, unlike the other regions that focused on Confucianism. After the delimitation of Mt. Baekdu in 1712 (Sukjong 38), the southern region of both Amnok and Duman rivers was reconfirmed as the own territory of Joseon that the territorial awareness of Hamgyeong-do became more solid. The community developments such as guarantees of the local economic activities and increase in population were also carried out. Furthermore, the business of local specialties including dried pollacks became popular and economic conditions were improving as commerce and trade grew. Though the level was still low compared to other regions, interests in literature were increasing too. However, the general circumstances to treat Hamgyeong-do as a foreign station hardly changed. To remove these unfavorable perspectives, the figures in Hamgyeong-do devoted to highlight the region is the Homeland of Kings, and remove the disgrace and discriminative perspective of the Homeland of Rebels and Warriors. It was aimed to be recognized that Hamgyeong-do was an important part of Joseon's domain and those who resided were also parts of its people. The figures in Hamgyeong-do actively promoted and participated the development projects on historical sites of the royal family to inform that Hamgyeong-do was the important base of Joseon dynasty. Also, they emphasized that even when a rebellion arose, the locals rose against the rebels and executed the leaders in the end. To overcome the concept of the Homeland of Warriors, biased due to the natures of borderland, they also emphasized that every place was reformed by Confucianism with scholar-officials, connected with the major scholars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y wanted to inform that the Confucian ideas, the general value of Joseon, were practiced on Hamgyeong-do as well. Historically and geologically, Hamgyeong-do was noted that it had been the inherent region of Joseon since Dangun’s and Kija’s reign, not merged before or after Joseon’s establishment. Especially, as Mt. Baekdu stood out as the symbol of the entire Jos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lf-esteem of people in Hamgyeong-do grew higher and higher. Hamgyeong-do was not considered a borderland far from the capital anymore, but the center and root of Joseon with the symbol of its nation. People of Hamgyeong-do also had changed from border people or alien beings to righteous figures and leading people of geology and history of Joseon. Such pride about their own region raised the views of nation of people in Hamgyeong-do. They kept their identities of Joseon in the northernmost region despite the others' prejudices. It is considered to be the evidence to confirm the views of nation not only in Joseon dynasty but also in the present that began in 20th century. Between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it was hard to maintain the national sovereignty, the people from Hamgyeong-do who threw themselv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had their thoughts originated from the locals' views of nation.

      • KCI등재

        正祖代 함경도 대상 賓興科의 시행과 그 성격

        김다미 한국고전번역원 2023 民族文化 Vol.63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that the specific regional image of Hamgyeong province ha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Binheunggwa (賓興科)’, which was carried out twice in the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exertions made by the royal family to improve the negative regional image, as well as the position of the Confucian scholars of Hamgyeong province who were the policy’s beneficiaries. Formerly Hamgyeong province had a positive image as the birthplace of the Joseon dynasty, but its reputation declined due to its lagging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educational development. Additionally, it was stigmatized as land of treason due to the acts of Lee Si-ae(李施愛) and Guk Kyung-in (鞠景仁). Hamgyeong province, a region with a negative image, came to recapture the court’s attention in the mid-17th century, when Joseon saw some damage from war being repaired and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rising in the northern region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regional development in Hamgyeong province promoted cultural growth, and naturally, the literary needs of local Confucian scholars also increased.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Hamgyeong-province Byeolsi(咸鏡道別試) during the reign of Hyeonjong. In the 18th century, the image of Hamgyeong province as "the birthplace of the Joseon dynasty" was newly emphasized along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a project to open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royal lineage from King Sukjong to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oyal family, they did not want the area, which was once the birthplace of the Joseon dynasty, to be downgraded to the town of Gungma(弓馬: martial arts) or that of treason. The ritual to Hwanjo(桓祖)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ungpae Binheunggwa(豊沛賓興科: the birthplace of the dynasty) in 1795 and the implementation of Gwanbuk Binheunggwa(關北賓興科) in 1797 were in line with the royal historical site commendation and helped to enhance the image of Hamgyeong province as the birthplace of Joseon dynasty.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Binheunggwa, it can be seen that Hamgyeong province’s identity as the birthplace of the dynasty was being recovered completely. Local Confucian scholars of Hamgyeong province played an active role in cooperating with the royal family during a series of events. They initiated a pet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lan and urged ongoing interest in the province by suggesting the construction of monuments at historical sites. The Confucian scholar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local identity by voicing their independent opinions rather than merely by complying with royal policies. 이 연구는 정조대에 각 지방을 대상으로 시행된 '賓興科'가 함경도라는 특정 지역에 두 차례나 시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함경도가 가지고 있는 지역 이미지가 빈흥과 시행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밝히고자 한다. 또한, 부정적인 지역 이미지 개선을 위해 왕실측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 그리고 수혜자인 함경도 유생들은 어느 위치에 있었는지를 주목했다. 함경도는 조선 왕조의 발상지로, ‘豐沛之鄕’이라는 긍정적 지역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 이후 부정적 이미지인 ‘弓馬之鄕’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열악한 지리적 여건과 조정의 관심 결여로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의 모든 면에서 낙후된 변방 지역이란 인식 때문이었다. 여기에 李施愛와 鞠景仁 등의 반역행위로 인해 反逆鄕이라는 오명까지 안게 되었다. 부정적 이미지가 강했던 함경도를 조정에서 다시 주목하게 된 것은 전란의 피해가 어느 정도 복구되어 북방 지역의 관방문제가 대두되는 17세기 중엽부터였다. 함경도의 상공업 발달과 지역개발은 문화적 성장을 촉진하였고, 자연스럽게 함경도 유생들의 문예 욕구 또한 높아졌다. 이는 현종대 咸鏡道別試의 신설로 이어졌다. 18세기 들어 숙종-영조-정조로 이어지는 왕실 관련 사적의 현창 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함경도의 ‘풍패지향’이라는 이미지는 새롭게 강조되었다. 왕실 입장에서는 함경도가 왕조의 발상지라는 상징성을 가졌기 때문에 ‘궁마지향’ 또는 ‘반역향’이란 부정적 이미지로 소모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1795년(정조 19) 환조 追躋과 풍패빈흥과, 1797년(정조 21) 관북빈흥과의 시행은 왕실 사적 표창 사업과 궤를 같이하며 왕업의 발상지로서 함경도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일조하였다. 빈흥과의 시행 과정을 따라가면 ‘풍패지향’으로서 함경도의 정체성이 완성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일련의 행사들은 왕실이 주도한 것이지만, 함경도 유생들은 지역민으로서 또 빈흥과의 참여자로서 주체적으로 왕실에 협력했다. 풍패빈흥과의 시행은 함흥 유생의 상소에서 비롯되었으며, 빈흥과를 통해 관직에 진출한 관리는 왕실 사적에 기적비를 세울 것을 건의하는 등 계속해서 함경도에 대한 왕실의 지속적인 관심을 촉구하였다. 그것은 지역 위상 제고라는 지역 전체의 이익을 가져올 수 있지만, 함경도 출신 유생들의 관직 진출로 이어질 수 있는 희망적인 길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高荊山의 함경도 지역 築城 활동

        한성주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2

        본고는 조선시대 高荊山의 咸鏡道 지역 築城 활동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형산은 成宗·燕山君·中宗代에 함경도 都事, 築城司 從事官, 함경도 敬差官, 咸鏡南·北道節度使, 함경도 觀察使 등을 역임하면서 함경도 지역 방어와 축성에 관한 실무 관료로 활동하였다. 당시 女眞人들이 점차 白頭山 서쪽 滿浦를 중심으로 廢四郡 지역 및 惠山 지역으로 들어오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은 三水郡 지역에 잇따른 여진인들의 침입을 받고 있었다. 이에 조선에서는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동·서지역, 즉 폐사군 동쪽에서부터 백두산까지의 지역과 백두산 동쪽에서부터 會寧까지의 지역에 대한 방어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은 이 지역에 여진인들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城堡의 축조와 鎭堡의 移設 및 復設 등을 추진하였고, 결국 關防對備策에 대한 재정비에 나서게 되었다. 이에 고형산은 축성사 종사관으로 파견되어 삼수군 魚面堡의 축성을 주관하였고, 잇따라 함경도에 파견되어 현지 조사 후에 厚州의 설치 논의와 富寧鎭의 이설 논의에 참여하였다. 어면보의 축성은 여진인들이 삼수군 지역을 지속적으로 침범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어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후주의 설치 논의 역시 마찬가지였다. 6진 중 內地에 있던 부령진 역시 보다 賊路를 막을 수 있는 政丞坡吾達로 옮기자는 논의가 일어났다. 이에 고형산을 파견하여 實地를 조사시킨 결과 鎭의 이설이 적당하지 않다는 보고가 있어 논의만 거듭하고 마침내는 잠정적으로 중지되기도 하였다. 고형산은 이러한 함경도 지역 축성 및 방어 경험을 바탕으로 함경남·북도절도사가 되었으며, 中宗反正 후에는 함경도 관찰사가 되어 茂山堡의 이설과 甫乙下堡의 복설 논의를 주도하였다. 고형산은 무산보가 수해를 입어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자 보다 북쪽으로 옮겨, 한편으로는 백성들이 경작할 땅을 얻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의 침입로를 차단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會寧鎭 옆의 옛 보을하보를 복설하여 농민들을 보호할 것을 건의하였다. 그 결과 무산보의 이설과 보을하보의 복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The study tried to examine activity to construct fortress in Hamgyeongdo area by Go Hyeong-san in Joseon period. Go Hyeong-san was an working-level official for defence of Hamgyeongdo and construction of fortress through careers such as Hamgyeongdo Dosa(都事), Jongsagwan(從事官) in Chookseongsa(築城司), Gyeongchagwan(敬差官) of Hamgyeongdo, commander of Hamgyeongnam·bukdo, Hamgyeongdo governor(觀察使) etc. in the period of King Seongjong(成宗)·Yeonsangun(燕山君)·King Joongjong(中宗) dynasty. Then times, Jurchen people gradually crossed over Pyesagun(廢四郡) area and Hyesan(惠山) centered on Manpo(滿浦), west of Baekdu-san mountain. So Samsoogun(三水郡) area was repeatedly invaded by Jurchen people. Joseon needed to make plan to defend them for west and east areas of Baekdu-san mountain _ from east of Pyesagun to Baekdu-san mountain and from east of Baekdu-san mountain to Hoenyeong(會寧). Joseon proceeded with construction of small fortress(城堡), and relocation and re-building of Jinbo(鎭堡) in the area to defend Jurchen people. Thus, Joseon organized border area fortress again. Go Hyeong-san was sent as a Jongsagwan in Chookseongsa and led construction of Eomyeonbo in Samsoogun. He also was sent to Hamgyeongdo. There he has site survey and participated in discussions for construction of Hooju and relocation of Boonyeongjin. Eomyeonbo was constructed to defend Jurchen people because they repeatedly invaded Samsoogun. Construction of Hooju was discussed by the same reason. There was opinion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elocate Boonyeongjin to Jeongseungpaodal where to keep off enemy was more proper than in Boonyeongjin, one of 6-JIn, located in inland. For site survey, Go Hyeong-san was sent. And it was reported that it was not suitable to relocate Boonyeongjin. In the end, relocation stopped tentatively. Go Hyeong-san became commander of Hamgyeongnam·bukdo based on experiences of construction of fortress and defence in Hamgyeongdo. After Jungjong coup, he had a position of Hamgyeongdo governor and led issues of relocating Moosanbo(茂山堡) and re-building of Boeulhabo(甫乙下堡). Go Hyeong-san insisted to relocate Moosanbo to northern area because Moosanbo was damaged by flood so that farming was not possible. This intended to let general people obtain land for farming and also to block up road to defend enemy. For this, he suggested to rebuild old Boeulhabo near Hoenyeongjin(會寧鎭) to protect fortress. As a result, Moosanbo was relocated and Boeulhabo was rebuilt.

      • KCI등재

        임진왜란기 일본군의 함경도 점령과 지역민의 동향

        김만호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8 No.-

        임진왜란 시기 함경도는 加藤淸正와 鍋島直茂가 이끄는 제2군에 의해 점령당하였다. 1592년 6월 말 일본군이 침입했을 때 이 지역에서는 宣祖를 부정하는 내용의 流言蜚語가 횡행하고 있었다. 일본군의 북상 소식에 지역민들은 두려워하며 도망쳤는데 때로는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으며 附倭하기도 했다. 會寧의 鞠景仁은 왕자 臨海君과 順和君 일행을 가토에게 넘기고 투항하기까지 했다. 이러한 함경도 지역의 사회상은 정치적 소외, 경제적 낙후, 가혹한 수탈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야기된 것이었다. 일본군의 점령정책은 그들이 일본 내의 통일과정에서 시행했던 것과 유사한 것이었다. 일본군은 함경도를 점령한 후 위무책을 통해 지역민들의 환주를 유도하였다. 뒤이어 그들은 향리들을 불러 年貢의 내역을 조사하였는데 『朝鮮國租稅牒』이 그것이다. 이 문서는 함경남도 6개 지역에서 조사된 조세의 내역으로 일본군은 이를 근거로 병량미를 수탈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이 함경도 지역에서 거두려고 한 목표량은 상당했는데, 함경도 지역을 명 침략의 전초기지로 삼으려는 의도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이 목표량을 달성하기 위해 그들은 인질과 연공을 교환하는 등 강압적인 방법으로 병량미를 거두었다. 한편, 일본군의 지배 방식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明川 이북 지역은 반란민을 통해 간접 지배를 하였으며, 吉州 이남은 일본군이 직접 지배를 하였다. 이는 일본군의 침입에 대한 지역민의 반응, 미곡 생산량의 차이, 명천 이북 지역의 여진족에 대한 위협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군의 강압적인 병량미 수탈로 인해 지역민들의 불만은 고조되었고, 明軍의 援兵 소식이 전해지면서 함경도 지역민들은 동요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기존의 태도를 바꾸어 鄭文孚의 의병과 함경도관찰사 尹卓然의 관군에 참여하였다. 결국 일본군은 1593년 2월 한성으로 퇴각하게 되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함경도의 행정구역 변화와 인구 변동

        정병욱 한국지도학회 2014 한국지도학회지 Vol.14 No.3

        일제시기 함경도는 ‘군(郡)’의 숫자가 늘어난 유일한 지역이다. 증설된 네 개의 군은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2개는 1914년부제(府制)의 실시에 따라 부가 분리되면서 나머지 지역이 군이 된 경우이고, 나머지 2개는 도의 군 면적이 넓고 인구도 많아 증설된 경우이다. 후자의 경우 도 내 군들 사이의 균형과 ‘부원(富源)’의 개발 가능성을 고려했던 것 같다. 또 함경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부와 지정면·읍의 증가가 활발히 이뤄졌다. 이는 도시화의 진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배경은 일본의 군사적 점령,1930년대 이후 ‘북선(北鮮) 개발’이다. 이러한 행정구역의 변화와 서로 호응하면서 함경도의 인구 구성도 변화하였다. 함경도의 산업별 인구 비중을 보면 1920년은 전국과 유사하게 농업이 85% 전후를 차지하는 1차 산업 위주의 지역이었으나, 1940년 농업인구의비중은 50%를 넘지 못했다. 대신 광공업과 어업 인구의 성장, 그에 따른 상업과 교통업 인구의 증가가 눈에 띈다. 함경도의인구 증가는 사회적인 요인이 컸는데, 인구 흡수 요인으로 ‘북선 개발’에 수반한 여러 사업의 진전을 꼽을 수 있다. 이에 한국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일본인도 일자리를 찾아 모여들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mgyeong-do (province) was the only place where the numberof “Gun (郡)” (districts) increased. These four newly established district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wo of them were divided under the prefecture system of 1914 which divided each “Bu (府)” (city) and made the remaining areas “Gun.” The other two were divided due to the large size and population of administrativedistricts in Hamgyeong-do. The latter seemed to consider the balance of the “Gun” within “Do” and the possibility of resource development. In addition, Hamgyeong-do experienced more active increase in “Bu” and“Eup(邑)” (town) than in other places. This means that urbanization took place at a rapid pace as a result ofJapan’s military occupation and the “Development Plan of North Korea” after the 1930s. Changes in the demographics of Hamgyeong-do appeared alongside the changes in its administrative districts. Hamgyeong-do’sindustrial population shows that the province's economy was predominated by the primary industry with 85% of its people in agriculture, which was similar to the national average in 1920. But by 1940, the percentage ofthe population in agriculture decreased and did not even reach 50%. It is worth noting that instead, the numberof people in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fishery increased, followed by that in the commerce andtransportation industries. The increased population in Hamgyeong-do was greatly affected by social factors. Improvements in many business projec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Plan of North Korea” could be attributedfor the increase in immigrants. Thus, not only Koreans but also Chinese and Japanese came looking for jobs.

      • KCI등재

        海左 丁範祖의 함경도 유배기 漢詩 일고찰

        김태영(Kim Tae Young)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4 No.-

        이 글은 해좌 정범조(1723~1801)가 1771년 4개월간의 함경도 갑산 유배기에 지은 한시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해좌의 文友인 餘窩 睦萬中(1727~?)은 이 시기 해좌의 시가 ‘地境’의 차이로 인해 예전의 시보다 향상되었다고 언급하였다. 처한 환경에 따른 작가의 감수성 변화로 시의 수준이 고양된 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는 해좌의 문학론과도 합치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해좌는 과거의 법식에 얽매이지 말고 현실을 시 속에 담아야 할 것을 주장했으며, 현실의 경물과 접촉하여 일어난 시인의 창작 영감, 즉 機神의 표출을 중시했다. 또한 사물과 성정의 본질을 파악하여 이를 진실하게 드러낸 시야말로 ‘眞詩’라고 주장했다. 함경도 유배기의 시는 바로 이러한 해좌의 문학론이 구현된 양상을 보여준다. 그는 함경도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생활문제를 포착하여, 함경도의 진면목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였다. 또한 그는 유배 체험이 일으킨 내면의 다양한 정감들을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해좌는 이 시기에 적극적인 창작 의식을 발휘하여 시의 진정성을 끌어올렸고, 자신의 문학적 견해를 실천했던 것이다. 결국 유배지였던 함경도라는 공간의 특이성, 곧 ‘地境’의 차이가 해좌의 시에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詩境을 이끌어 내면서 이루어낸 시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Haejwa Jeong Beom-jo(1723-1801) is a literary man who inherited the poetic genealogy of Southerners, and his high literary achievements were acknowledged by people in his days. Among his Chinese poems, however, only some created in his early days and long ancient?style poems drew attention.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Haejwa's poetry, this study gave attention to the period of exile to Gapsan, Hamgyeong-do for four months in 1771. Yeowa Mok Man-jung (1727-?), a renowned poet in those days, pointed out that Haejwa's poems during the period were distinguished by the difference in circumstances. This statement suggests that the poet's sensitivity was influenced by the situation that he was placed in and enhanced the level of his poetry. This statement needs to be spotlighted in that it is consistent with Haejwa's view of literature. Haejwa maintained that a poet should reveal his time and space in his poems without being bound by old rules and that the key element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poet’s inspiration from real scenes. Moreover, he expressed the opinion that ‘true poetry’ can be written when the poet understands the true nature of things and characters and describes them truthfully. In this sense, Haejwa's Chinese poems written to express the space of Hamgyeong-do with unique natural features and his special experience in the exile provide a implication for capturing the pattern that Haejwa's view of literature was implemen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attern, focusing on his Chinese poems expressing his interest in the phenomenological peculiarity of the strange space and the life of people in the province. Next, this study analyzed how changes in his inner sentiment caused by the experience in exile led to his poetic achievements. Through these works, we attempted to explain the influence of difference in circumstances on his poetic authenticity.

      • KCI등재

        北塞宣恩圖 연구

        이경화(Lee Kyunghwa)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254 No.254

        《북새선은도》는 1664년 함경도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정식 외방별시를 기념하여 제작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기록화이다. 본고는 작품의 제작을 규정하는 '17세기’와 ‘함경도’라는 시대적ㆍ지역적 조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작 의도와 회화적 특징 사이의 관계를 구체화하고 그 문화적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함경도 별시는 국가적으로 어려운 시기였던 17세기 중반 전통적인 소외 지역이었던 함경도의 요구를 수용함으로써 사회 통합과 왕권 강화를 이루는 데 근본적인 목적을 두고 시행된 행사였다. 《북새선은도》는 과거시험의 보고서적 성격을 지니는 기록화이지만 상당수의 조선시대 기록화가 그렇듯이 그림의 제작에 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구체적인 제작 의도와 배경을 시대적 상황과 과거시험에 관한 기록을 바탕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기록화의 제작 의도를 이해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작품의 제작을 계획하고 내용과 형식을 결정하는 중심인물이 누구였으며 이들이 회화를 통해 남기고자 했던 것은 무엇인가이다. 본고에서는 《북새선은도》의 제작을 주도하였을 인물로서 당시에 함경도에 파견된 경시관 김수항, 관찰사 민정중을 비롯한 문관 시관을 주목하였다. 문관 시관들은 당시 예학의 종주인 송시열과 이식의 문인이며 서인 정국을 이끌어가던 김수항의 지지자였다. 동시에 17세기 중반 양반 문화의 중심에 위치하던 문인으로서 특정한 정치적ㆍ사회적 목적에 맞춰 시각적 수단을 정치하고 계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과 경험을 갖추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당시 문화적으로 가장 낙후된 지역이었던 함경도를 배경으로 궁중기록화에 필적하는 작품이 제작될 수 있었던 특별한 조건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라 추정된다. 《북새선은도》의 가장 중요한 회화적 특징은 실제 지형을 기록함으로써 행사가 시행된 장소를 기념하였다는 점이다. 재현 방법으로서 군현지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회화식 지도 형식을 채택하였다. 기호적인 속성을 가지는 지도 형식을 이용하여 화면 안에 함흥과 길주의 부지 대부분을 효과적으로 포괄하되 지역의 통치와 관련된 주요 지형지물을 선택적으로 강조함으로서 제작 의도를 드러냈다. 행사와 더불어 계획적 질서를 부여하여 진채의 청록으로 재현된 실경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 혹은 감흥의 대상이 되는 자연이 아니라, 왕권이 효력을 미치고 있는 통치의 공간이라는 현실적 의미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게 된다. 이는 국가가 함경도 과시를 시행한 목적과 《북새선은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만나는 지점이다. 즉《북새선은도》는 17세기 중반의 회화적 역량을 보여주는 기록화이자 중앙의 권력이 미치기 어려운 변경 지역에 王道의 질서가 실현되기를 바리는 태평성대의 이상을 담은 회화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documentary paintings, Buksaeseoneundo 《北塞宣恩圖》 records the first official governmental examination taken place in Hamgyeong province in 1664.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its execution date and pictorial features that determine this painting as a seventeenth-century topographical documentary painting as well as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its pictorial features closely tied with its political function. The special governmental examination in Hamgyeong province. a place which had been traditionally neglected for its geographical isolation. was conducted with an attempt to unify the divided political environment by propagating the political power of the king. Buksaeseoneundo was usually discussed as a mere documentary painting that reported the result of that significant governmental event, however. its specific function and politic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event had not been fully explored for the lack of substantial records about the painting. For this reason, it will be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social milieu that surrounded the paint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in which this documentary painting was commissione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key figures who determined the content and format of this work. as well as to find out what aim this painting was created with. In such a discussion, I suggest that the following literati officials such as Kim Suhang (金壽恒), an official dispatched by the royal court. and Min Jeongjung (閔鼎重), a provincial governor might have led the creation of Buksaeseoneundo Those literati officials were in the political lineage of Song Siyeol and Yi Sik as well as me political supporters of Kim Suhang who led the Westerners party. They were also the literati scholars sophisticated enough to employ a visual image as an important means in order to fulfill their political missions. Therefore, Buksaeseoneundo done in highly sophisticated court style brushwork seems to have been created under such a special political circumstance.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of Buksaeseoneundo lies on its pictorial exactness that captures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Hamgyeong province, The painter seems to have been inspired by the so called "Pictorial Map." Borrowing the pictorial format of maps whose main function was sign. the painter unmistakably portrayed topographical and architectural objects located in Hamgyeong province as an highly effective sign in order to emphasize topographical likeness, I believe that such a pictorial choice explicitly reveals the role of this painting as a political propaganda, More importantly, the landscape colored with vibrant blue and green suggests that the painter neither aimed to portray the real scenery nor to inspire inner consensus from the viewer, but rather to visualize a political space viewed and governed under the absolute power of the king, The primary purpose of conducting the special government examination for the first time in Hamgyeong province was successfully fulfilled though certain pictorial vocabularies chosen for Buksaeseoneundo. It seems to be true that Buksaeseoneundo is a mid-seventeenth century documentary painting thar displays a successful encountering of the use of visual image and the political vision of the king that wished his peaceful governing to reach even the most isolated place like Hamgyeong province

      • KCI등재

        한말 두만강 지역의 유학자들-김노규(金魯奎)와 김정규(金鼎奎)를 중심으로-

        우경섭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19세기 말 두만강을 건너 간도로 이주한 수많은 조선인들 중에는 상당수의 전통적 유학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가장 먼저 두만강 너머로 이주했던 함경도 북단의 유교 지식인들은 대체로 중앙 학계에서 栗谷 李珥와 尤菴 宋時烈에 의해 정립된 서인-노론 학맥을 계승하고 있었다. 송시열의 제자 鶴巖 崔愼과 農巖 金昌協 등이 이 지역에서 강학을 시작한 이래 그 문하에서 함경도 출신 유학자들이 본격적으로 배출되기 시작하였는데, 19세기 말~20세기 초 이 지역의 대표적 유학자인 鶴陰 金魯奎와 龍淵 金鼎奎 역시 송시열이 제시한 조선중화주의의 사상적 흐름 속에서 두만강을 중심으로 한 자신들의 생활세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금수’인 서구의 침략에 직면했던 시대적 상황, 그리고 중국인들과 뒤섞여 거주하며 함께 항일운동을 전개해야 했던 역사적 경험은 한반도의 협소한 시야에 갇혀있었던 전통적 중화주의의 폐쇄성을 일정 정도 극복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들은 태생적 혈통 내지 지역보다는 유교문화에 대한 분발 여부가 화이분별의 주된 기준이라는 문화적 화이론의 기반 위에서, 조선이 중화문명의 계승자일 뿐 아니라 함경도 역시 문명의 중심지로 탈바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화이의 可變性을 재확인하는데 그치지 않고, 화이가 시대에 따라 지역적으로 순환한다는 주장을 전개하며, 자신들이 거주하던 두만강 유역을 중화문명 부흥의 새로운 공간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그 곳에서 유교적 이상사회를 건설하고자 노력하였다. 요컨대, 김노규와 김정규 같은 한말 함경도의 유교 지식인들에게 두만강은 청과 조선, 중화와 이적을 가르는 경계선이 아니었다. 그리고 아직까지 두만강 너머의 공간 또한 불우한 유랑의 땅이나 독립운동의 근거지로서 인식되지도 않았다. 지금의 함경북도 일원 및 연변 지역을 아우르는 새로운 중화세계의 건설, 그것이 그들의 꿈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이 20세기 초반 적지 않은 유학자들로 하여금 두만강을 건너 연변 지역으로 이주할 수 있게 만들었던 사상적 배경을 이루었다. 19世紀末期, 越過豆滿江移居間島的衆多朝鮮人中也包括了相當一部分的傳統儒教知識分子。尤其是最早遷居的咸鏡道北端的儒學者們, 他們基本上繼承了中央學系中栗谷李珥和尤菴宋時烈代表的西人-老論學脈。宋時烈的弟子鶴巖崔愼和農巖金昌協等在咸鏡道講學之後, 其門下開始正式培養咸鏡道的儒學者。19世紀末到20世紀初期, 咸鏡道的著名儒學者――鶴陰金魯奎和龍淵金鼎奎繼承了宋時烈的朝鮮中華主義思想, 并以此來認識他們所處的豆滿江地區的生活世界。 在遭受“禽獸”西歐侵略的時代背景下, 再加上與當地混居的中國人共同抗日的歷史經歷, 使他們從一定程度上克服了局限于韓半島狹小視野下的傳統中華主義的封閉性。他們不按天生的血統和地區來區分華夷, 而是以儒教文化的發展程度爲標準, 即以文化的華夷論爲本, 提出朝鮮不是僅有的中華文明繼承者, 咸鏡道也可以蛻變成文明中心的可能性。他們不僅重新確認了華夷的可變性, 還提出華夷隨時代變化在地區間循環的主張, 並且將他們所在的豆滿江流域視爲中華文明復興的新空間, 爲建設豆滿江的儒教理想社會而努力。 總而言之, 對金魯奎和金鼎奎等韓末咸鏡道的儒學者來說, 豆滿江並非淸朝和朝鮮, 中華和夷狄的分界線。而且, 將這片地區視作顛沛流離之地, 或獨立運動根據地的認識還未能成形。他們的夢想是以豆滿江下流的慶源爲中心, 在現今咸鏡北道一帶和延邊地區上建設起新的中華世界。正是在這種思想背景下, 20世紀初期有不少的儒學者跨越豆滿江而遷居延邊。

      • KCI등재

        조선후기 함경도 체험 가요와 기록화의 특징 비교

        권정은 한국비교문학회 2024 比較文學 Vol.- No.92

        This paper aims to research for the comparative features of special literature and pictures about Hamgyeongdo province in Late Joseon. Hamgyeongdo province where is located in northeas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the most poor land. For a long time, it belonged to the barbarians and the situation was not improved even after the rearrangement of border. But finally ever since the 17th century Joseon Dynasty rediscovered the importance of this area and started to develop it. And the results of governmental effort led to the impressive pictures and literature. <BukSaeSeonEunDoGwon : State Examination at Gilju Scroll of Benefaction Endowed Upon the Northern Peripheral Territories> shows us real view landscape during the special state examination for the people of Hamgyeongdo. <BukGwanYuJeokDoCheop : Album of historic story of North Gate> is made with 8 peaces of heroic story picture. <HamHeungNeWoeSipGyongDo : Album of Ten Scenic Spots of Hamheung and Bukgwan> display beautiful drawings of scenic spots. These works had a good influence to improve the image of northeast area. In the case of literature, <BukJeongGa> <BukSaeGok> <BukCheonGa> which are all special songs of Hamgyeongdo reflect various experience. Most of all, famous scholar official Hong Yang-ho wrote serial poetry <BukSaeJabYo : Songs of Northern Border>, <SakBangPungYo: Songs of Northern Area> that let us know Hamgyeongdo’s real life including pros and cons. In terms of visual works, they concentrate on main topic and reveal beautiful positive sight or event. By contrast, songs cover all of things including climate, geography, economy, politics etc.. As a results these two genres contributed to make desirable image of Hamgyeongdo. 본고는 조선 후기 함경도를 다룬 문학과 그림을 대표작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한반도의 동북 쪽에 위치한 함경도는 조선의 팔도 중에 중세의 문화적 관록이 가장 미약한 곳이었다. 이곳은 오랜 기간 여진족의 영토였고, 조선 초기 육진이 설치되고 국경이 확정된 이후에도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하지만 임병양란을 겪은 후 17세기부터 이 지역의 가치를 재인식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움직임이 있었으며 이와 함께 흥미로운 예술 작품이 함께 출현했다. 조선 초기흥을 재인식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친 주요 작품으로 특정 주제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그 내용을 부각시키는 특징을 보였다. 문학의 경우 18세기 이후 독특한 작품들이 등장했는데, 이용의 「북정가」와 홍양호의 「북새잡요」, 「삭방풍요」, 구강의 「북새곡」, 김진형의 「북천가」는 개인적인 현실 체험을 바탕으로 함경도의 역사와 지리, 풍속 등을 종합적으로 읊은 노래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 작품들은 함경도의 현재와 과거 그리고 장단점 등을 동시에 엿볼 수 있는 풍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핍진하고 흥미로운간접 체험이 가능하다. 그림의 경우는 여러 장으로 구성되었다고 해도 주로 영광스러운 역사적 순간 혹은 아름다운 풍광과 같은 긍정적인 단일 주제 중심으로집약된 반면, 문학 작품은 다양한 내용을 동시에 포괄하며 때로는 반성적인 요소까지 삽입하여 흥미를 배가시키는 차이점을 드러냈다. 하지만 각각 특징이 다른 그림과 문학이라 하더라도 17세기 이후 극적인 변화의 국면을 맞았던 함경도의 전체상을 보여주기 위한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는 공통된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개항기 함경도지역의 풍흉과 원산의 상품유통

        하원호(Ha, Won-Ho),민원기(Min, Won-Gi)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0

        개항이후 함경도지역은 경상도 지역에서 미곡을 공급받고 있었다. 더구나 금은광이 개발되고 광산노동자가 증가하면서 미곡수요가 늘어 부산만이 아니라 일본에서까지 수입되고 있었다. 그래서 특별히 풍작인 해를 제외하면 항상적으로 부산지역보다 미가가 높았다. 곡물가격의 결정에는 기후조건이 일차적 원인이었지만 개항이후 곡물의 수출이라는 사회적 조건도 주요 요인이었다. 함경도지역이 주목받았던 것은 양질의 대두가 많이 산출되었기 때문이다. 원산의 배후지였던 함경도의 주된 산출작물은 대두였고, 이 중 원산항을 통한 수출은 생산량의 8할 이상으로 대부분이 일본으로 수출되었다. 대일수출이 증가하고 가격이 등귀함에 따라 농민의 경우에도 생산량의 증가에 힘써 경작면적이 확대되고 있었다. 일본은 조약의 개정과 그 시행과정에서 계속 압력을 가해 일본상인의 개항장외 침투를 강화해 갔다. 일본상인은 종래 개항장객주 등 중간상인을 통하던 유통경로를 줄이며 직접 산지의 상인에게서 곡물을 매집하거나 조선상인과의 관계에서 자금을 선대하는 경우가 많아 조선상인의 일본상인에 대한 예속은 계속 심화되었다. 농민전쟁이후 일본은 종래 영국제 카네킨의 중계무역에서 벗어나 목면을 비롯한 자국산 면제품과 방적사를 수입하여 종래 부농경영의 한 축이던 토포생산을 위축시켰다. 경상도나 전라도의 토포생산은 토포의 대규모 소비지였던 함경도지역을 일본목면에 탈취당하는 등 시장의 축소로 몰락하고 있었다. Traditionally rice was provided by the East coast of Gyeongsang province to Wonsan area and Hamgyeong Province. After the port opening, rice came mainly from Busan. When the number of miner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gold and silver mines after the port opening, the demand for rice also increased. Then more rice was provided from Busan and even imported from Japan. The rice price there was always higher than that of Busan, except in the year of plenty. The primary cause of the abundant or bad harvest was the weather. The Hamgyeong province got attention concerning the grain export after the port opening due to its high-quality soybeans. Soybean was the main crop of Hamgyeong province, which was the support area for Wonsan. The average annual harvest, including some from Gangwon province, reached 90 thousand seok. About 80% of the harvest was exported through Wonsan port, and most of them exported to Japan. With the increasing export and rising price, farmers made efforts to increase the crop by expanding the arable land and improving cultivation method. Japan abandoned intermediate trade after the peasant’s war, and instead imported Japanese cotton and textile products, resulting in the withering of native textile production which was an important support for prospering wealthy peasants. Thus the Hamgyeong province market was captured by the Japanese cotton products and the native textile production in Gyeongsang and Hamgyeong provinces was brought to ruin with the loss of big textile market in Hamgyeong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