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전기 초피 생산과 유통

        한성주 전북사학회 2022 전북사학 Vol.- No.66

        본고는 조선 전기 초피 생산지를 검토해 보고, 초피 유통에 대해 시론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초피는 강원도와 평안도에 궐공으로 지정되 었고, 둘째, 강원도의 경우 토공으로 지정된 지역이 있으나, 실제 초피 공납 의 기록을 찾아볼 수 없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평안도의 경우 4개 지역 의 토산 지역이 확인되었으며, 1425년(세종 7)에는 매년 700령의 초피 상납이 정해졌다. 넷째, 함경도의 경우 처음에는 궐공이 없었으나, 총 13개 지역의 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1425년(세종 7)에 매년 1,565령의 초피 상납이 정해졌 다. 특히 두만강 유역의 5진 지역 역시 초피 공물이 지정되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 평안도와 함경도는 주요 초피 산지였으며, 그중에서도 함경도가 초피의 최대 생산지였다. 15세기 초에는 함경도 갑산과 평안도 여연에서 생산되는 초피가 왕실로 진 상되었고, 두 도의 초피가 속아문의 포화와 교환되었으며, 이 초피는 다시 명 사신들이 가져온 명의 포화와 교환되었다. 또 북방에서 생산된 초피는 여러 다양한 사적 경로를 통해 서울의 시장에서 무역되었다. 이렇게 서울에 모인 초피는 다시 지방의 하등품 초피와 교환되거나, 다른 현물 또는 면포 등과 교환되어 지방의 공물로 납부되었다. 성종대 이후 서울에 모인 초피는 부상대고와 연결된 방납자의 초피였다. 그런데 점차 조선에서 생산되는 초피가 질이 좋지 않게 되자, 방납자의 초피 대부분은 여진인들과의 무역에서 얻었다. 여진인들과 초피 무역을 주도한 것 은 商賈들이었으며, 이들은 서울에서 가지고 간 면포를 변방의 우마와 철물 등과 교환한 뒤, 다시 여진인들과 초피 무역을 통해 이익을 도모하였다. 그리 고 여진인들의 상경으로만 매년 720~960장의 초피가 왕실에 진상되었다. 여진 인들이 진상한 초피에 대해 조선에서는 回賜라는 형식으로 그 값을 지불해 주었는데, 외거노비의 貢布가 사섬시에 바쳐졌고, 그 포가 야인에게 答賜되었 으며, 상고들이 다시 綿紬와 綿布로 여진인들이 받은 포와 바꾸었다. 조선 전기 초피는 국내와 만주 지역에서 생산되어 다양한 유통체계를 거쳐 활발하게 거래되었다. 즉 공물로 지정된 초피는 공적인 체계 안에서 왕실과 국가에 납부되었고, 민간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사적인 체계 안에서 다른 상품들과 교역되었다. The study reviewed producing region in the Early Joseon and tried to analyze distribution of s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ble was designated as tribute(貢物) to royal family in Gangwon-do and Pyeongan-do. Second, The author could not find out record of paying tribute of sable in Gangwon-do. Third, Four regions showing no record of paying tribute of sable were identified in Pyeongan-do. In 1425(the 7th year of King Sejong), it was ordered that 700 sables every year should be paid. Fourth, In Hamgyeong-do, sable tribute to royal family was not designated in the beginning. But later, 13 regions were designated and in 1425(the 7th year of King Sejong), it was ordered that 1,565 sable every year should paid. Especially, Five Jin around Tomen River were designated to pay sable tribute. Thus, Pyeongan-do and Hamgyeong-do were main producing regions for sable in the Early Joseon. Hamgyeong-do was the largest producing region for sable. In the Early 15th century, sable produced in Gapsan(甲山) of Hamgyeong-do and Yeoyeon(閭延) of Pyeongan-do had been sent to royal family as tribute. The sables from the two areas were exchanged with hemp money(布貨) of low level government office. Again the sables were exchanged with hemp money of Ming dynasty that envoys from Ming brought. And sables produced in the northern areas were exchanged in the market of Hanyang through various personal routes. The sables gathered in Hanyang were exchanged with inferior sables from provinces. Or they were exchanged with other actual goods or cotton hemp, which in turn, were paid as tribute to local government. Sables gathered in Hanyang after the period of King Seongjong were ones of Bangnapja(防納者, person who paid tribute of regional specialty instead of people) connected to caravan. But as quality of sable produced in Joseon became poor, most of sables came from trade with Jurchen. Merchants led sable trade with Jurchen. The merchants exchanged cotton carried from Hanyang with cow, horse, steel products etc. from border area. They exchanged such products from border with sables of Jurchen. Jurchen visited Hanyang every year and gave 720~960 sables to royal family. Joseon paid for the sables given by Jurchen in the form of Hoesa(回賜). Hemp money given by Oigeonobi(外居奴婢, servant who lived independently away from landlord) was offered to low level government office. And the offered hemp money was paid to Jurchen. Merchants exchanged cotton with hemp money of Jurchen. Sables in the Early Joseon were produced in domestic areas and Manchuria. The sables were actively transacted through various distribution systems. In short, sables designated as tribute were paid to royal family and government by official system. On the other hand, to meet private demand, sables were exchanged with other goods through private system.

      • KCI등재

        胡差 小弄耳를 통해서 본 조선․여진 관계의 변화

        한성주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2

        The study tried to show how the position of Chaho(差胡)․Hocha(胡差) Jurchen envoy occurred and its concept seen through Soroni(小弄耳) who lived in the Tumen River basin. As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urchen had changed and then, status and role of Soroni had changed, the author intended to figure out activities of Soroni as a diplomat between Joseon and Jurchen. Names such as Chaho․Hocha first appeared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Joseon, an example shows both Chaho and Hocha. Chaho․Hocha can be defined as ‘temporary envoy to Joseon for carrying out special mission who Jurchen chief or leader dispatched’. In the other hand, position of Sorongi who lived in Tumen River basin from end of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changed several times over time - from Boundary Jurchens of Joseon to ‘Holcha(忽差)’ of Holraon Bujantai, lastly to ‘Chaho’ and ‘Hocha’ of Geonjoowi(Later Jin) (Boundary Jurchens → Holcha(忽差) → Chaho and Hocha). They were all dispatched to resolve diplomatic issues with Joseon. Jurchen Sorongi carried out a role as a forefront diplomat in issues with Joseon from 1605(the 38th year of Seonjo reign) to 1621(the 13th year of Gwanghaegun). At first, he was Boundary Jurchens of Joseon, next Holcha dispatched by Holraon Bujantai, finally became Chaho and Hocha dispatched by Nurhaci of Later Jin(後金). Such changes of role for Sorongi had been made in the midst of changes in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urchen. Sorongi who had ever been Boundary Jurchens of Joseon was dispatched to Joseon after Holraon Bujantai invaded boundary Jurchens on the basin of Tumen River and Joseon. Sorongi was first dispatched in 1605(the 38th year of Seonjo reign). Sorongi called as Holho(忽胡), Hocha, Holcha etc. discussed diplomatic issues between Bujantai and Joseon. Sorongi delivered information related to political situation of Holradon but mainly carried out a role of forefront diplomat in the process of Bujantai’s request for official announcement of appointment from Joseon. Since then, Sorongi appeared again in 1619(the 11th year of Gwanghaegun) when allied forces of Joseon and Ming dynasty conquered Later Jin of Nurhaci. Joseon explained to Sorongi who came to Hoeryeong(會寧) about inevitable sending of troops by Joseon. On the other hand, after Simha(深河) combat, Sorongi was in charge of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Later Jin. Joseon called Sorongi Chaho, Hocha, Nocha(奴差), Rosa(虜使), Soho(小胡) etc. After Simha combat, Later Jin actively sent Chaho․Hocha. Joseon recognized them as diplomatic delegation sent by Later Jin and treated them accordingly. Sorongi sent by Nurhaci was dispatched several times for the repatriation of war prisoners with letter sent by Later Jin. Especially, Nurhaci asked Joseon not to help Ming any longer while he wanted friendly relations with Joseon. In the process, he wanted Joseon to send Chagwan(差官). Sorongi proceeded with related negotiation with Joseon. At last, Joseon dispatched Jeong Choong-shin(鄭忠信), Manpo army second deputy commander to Nurhaci in 1621(the 13th year of Gwanghaegun). Then, Sorongi accompanied Jeong Choong-shin for his round trip. 본고는 두만강 유역에 거주하던 변경인 小弄耳를 통해 여진 使臣이라 할 수 있는 差胡․胡差의 발생과 개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선과 여진과의 관계 변화에 따라 소롱이의 신분과 역할이 변화하면서 조선과 여진과의 사이에서 최일선의 외교관으로 활동하는 모습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17세기 초 조선과 여진과의 관계에서 차호․호차라는 명칭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조선에서는 차호와 호차의 용례를 병행해서 사용하였다. 차호․호차는 ‘조선에서 오랑캐라 부르던 북방의 여진족 酋長 또는 首長이 특별한 임무의 수행을 위해 조선에 파견한 임시 사절’로 규정할 수 있다. 한편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까지 두만강 유역에 거주하였던 邊境人 소롱이는 조선의 ‘藩胡’에서 홀라온 부잔타이의 ‘忽差’로, 다시 건주위(후금) 누르하치의 ‘차호’ 및 ‘호차’로 그 위치가 변화(번호 → 홀차 → 호차 및 차호)하였고 각각 조선과의 외교적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여진인 소롱이는 1605년(선조 38)부터 1621년(광해군 13)까지 조선과 여진과의 현안 문제에서 최일선의 외교관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처음에는 조선의 번호였다가 홀라온 부잔타이가 파견한 홀차가 되었고, 다시 後金의 누르하치가 파견한 차호․호차가 되었다. 소롱이의 이러한 역할 변화는 조선과 여진과의 관계 변화 속에서 이루어졌다. 우선 조선의 번호였던 소롱이는 홀라온 부잔타이가 두만강 유역의 번호와 조선을 침략한 이후 조선에 파견되었다. 소롱이가 처음 조선에 파견되어 나온 것은 1605년(선조 38)이었다. 소롱이는 忽胡, 胡差, 忽差 등으로 불리면서 부잔타이와 조선과의 외교적 현안 문제를 논의했다. 소롱이는 홀라온의 정세와 관련 정보를 조선에 전달해 주기도 했지만, 주로 부잔타이의 조선 직첩 요구 과정에서 조선과의 교섭을 담당하였다. 이후 소롱이가 재등장하는 것은 조․명연합군이 누르하치의 후금을 정벌하던 1619년(광해군 11)이었다. 조선은 會寧에 온 소롱이에게 조선의 원병 파병이 부득이 한 것임을 설명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深河 전투 이후부터 소롱이는 조선과 후금과의 외교적 교섭을 담당하였다. 조선에서는 파견된 소롱이를 差胡, 胡差, 奴差, 虜使, 小胡 등으로 불렀다. 심하 전투 이후는 후금의 조선에 대한 차호․호차 파견이 본격화된 시기였으며, 조선에서도 차호․호차를 후금이 보낸 외교 사절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접대를 하였다. 소롱이는 누르하치가 파견한 차호로서 조선에 대한 포로 송환과 胡書[國書]를 가지고 조선에 여러 차례 파견되었다. 특히 누르하치는 조선이 더 이상 明을 원조하지 않도록 요구하는 한편 조선과의 화친을 원했고, 이 과정에서 조선의 差官 파견을 원하고 있었다. 소롱이는 이와 관련한 교섭을 조선과 진행하였으며, 마침내 조선은 1621년(광해군 13) 만포첨사 鄭忠信을 누르하치에게 파견하였다. 이때 소롱이는 정충신의 왕복 노정을 동행하였다.

      • KCI등재

        조선 태종대 覺林寺의 중창에 대하여

        한성주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0

        The site of Gaklimsa temple(覺林寺) that had existed in Ganglim-myeon, Hoengseong-gun, Gangwon-do is extant. It is assumed through excavated roof tile fragment that Gaklimsa temple had existed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Gaklimsa temple was in disrepair in the end of Goryeo. But Shinjo(神照) close to Lee Seong-gye(李成桂) had ever sojourned there. Lee Bang-won(李芳遠), the fifth son of Lee Seong-gye studied at the temple in 13 years old. In the reign of Taejong, Gaklimsa temple was reconstructed and re-reconstructed under support from Taejong. Taejong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chief monks at the temple. Gaklimsa temple was reconstructed and completed in 1412. Taejong executed military training in Hoengseong and specially paid a visit to Gaklimsa temple. Especially, Taejong gave much support for reconstruction of Gaklimsa temple. He visited the temple again, partly for military training. Then he also promised to let Buddhist assembly to celebrate completion of reconstruction be held when the work to rebuild the temple will be completed. At last Gaklimsa temple was reconstructed in 1417. As Taejong promised, magnificent Buddhist assembly to celebrate completion of reconstruction was held. Taejong sent Byeon Gye-rang(卞季良) to cerebrate completion of reconstruction. Taejong also wished good fortune of royal family, peaceful and stable world. Thus, reconstruction and re-reconstruction of Gaklimsa temple was made under support from Taejong, that is, support from nation and royal court. This was possible because Taejong studied there in his younger times. 江原道 橫城郡 講林面에 있었던 覺林寺는 현재 그 터만 남아있지만, 출토되는 瓦片 등을 통해 통일신라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각림사는 고려 말에 황폐해져 있었으나 李成桂의 측근이었던 神照가 머물기도 하였고,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이었던 李芳遠이 13세의 나이에 각림사에서 공부하였다. 태종 시기에 각림사는 重創과 再重創이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태종의 지원 아래 이루어진 것이다. 태종은 각림사의 住持들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각림사의 중창에 많은 지원을 하였다. 이에 각림사는 1412년(태종 13)에 중창하여 落成하였다. 또한 태종은 횡성 지역에서 講武를 실시하면서 특별히 각림사에 행차하기도 하였다. 특히 태종은 각림사의 재중창에 역시 많은 지원을 하였는데, 강무를 겸해 각림사에 재차 방문을 하였다. 그리고 각림사에 방문해서는 각림사가 중창되면 落成 法會를 열어줄 것을 약속하였다. 마침내 1417년(태종 17) 각림사의 재중창이 이루어졌고, 태종의 약속대로 성대한 낙성 법회가 개최되었다. 태종은 각림사의 낙성 법회에 卞季良을 보내어 각림사 중건을 축하하고 왕실의 복됨과 세상의 태평 및 안정을 소원하였다. 이렇듯 각림사의 중창 및 재중창은 태종의 지원, 즉 국가와 왕실의 지원 아래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태종이 어렸을 때 각림사에서 修學한 것에 기인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이 소비자 인식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성주,조진희,이해준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 company’s fit for mecenat of performing arts on its consumer awareness and corporate image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power and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have visited or recognized the actual performance halls of corporations (LG Art Center, Doosan Art Center, GS Caltex Yeulmaru, Interpark Blue Squar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 total of 273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 Statistic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a company’s fit for mecenat of performing ar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th mecenat awareness and corporate awareness, which are sub-variables of consumer awareness. Second, a company’s fit for mecenat of performing ar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of corporate behavior image, social image, social responsibility image, which are sub-variables of corporate image. Third, mecenat awareness and corporate awareness,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consumer awar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behavior image and social image, which are sub-variables of corporate image. Corporate awarenes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sponsibility image. Fourth, consumer awareness was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mpany’s fit for mecenat of performing arts and corporate image. In this vein, corporates may change the consumer attitude positively and achieve the most important goal, which is enhancing their images by performing mecenat more effectively by increasing companies’ fit for mecena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performing arts and strategic mecenat. 본 연구는 기업의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이 소비자 인식과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 및 상호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기업 공연장(LG아트센터, 두산아트센터, GS칼텍스 예울마루, 인터파크 블루스퀘어)에 방문한 경험이 있거나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27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표본은 IBM SPSS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이 소비자 인식의 하위변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이 기업이미지의 하위변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인식 하위 변인인 메세나 활동 인식과 기업 인식이 기업이미지의 하위변인인 기업행동이미지, 사회적이미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인식은 공헌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소비자 인식은 공연예술 메세나 활동 적합성과 기업이미지의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기업은 공연예술 인프라 구축과 전략적 메세나 활동을 통해 메세나 활동 적합성을 높여 보다 효과적으로 메세나 활동을 수행하고 소비자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기업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高荊山의 함경도 지역 築城 활동

        한성주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2

        본고는 조선시대 高荊山의 咸鏡道 지역 築城 활동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형산은 成宗·燕山君·中宗代에 함경도 都事, 築城司 從事官, 함경도 敬差官, 咸鏡南·北道節度使, 함경도 觀察使 등을 역임하면서 함경도 지역 방어와 축성에 관한 실무 관료로 활동하였다. 당시 女眞人들이 점차 白頭山 서쪽 滿浦를 중심으로 廢四郡 지역 및 惠山 지역으로 들어오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은 三水郡 지역에 잇따른 여진인들의 침입을 받고 있었다. 이에 조선에서는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동·서지역, 즉 폐사군 동쪽에서부터 백두산까지의 지역과 백두산 동쪽에서부터 會寧까지의 지역에 대한 방어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은 이 지역에 여진인들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城堡의 축조와 鎭堡의 移設 및 復設 등을 추진하였고, 결국 關防對備策에 대한 재정비에 나서게 되었다. 이에 고형산은 축성사 종사관으로 파견되어 삼수군 魚面堡의 축성을 주관하였고, 잇따라 함경도에 파견되어 현지 조사 후에 厚州의 설치 논의와 富寧鎭의 이설 논의에 참여하였다. 어면보의 축성은 여진인들이 삼수군 지역을 지속적으로 침범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어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후주의 설치 논의 역시 마찬가지였다. 6진 중 內地에 있던 부령진 역시 보다 賊路를 막을 수 있는 政丞坡吾達로 옮기자는 논의가 일어났다. 이에 고형산을 파견하여 實地를 조사시킨 결과 鎭의 이설이 적당하지 않다는 보고가 있어 논의만 거듭하고 마침내는 잠정적으로 중지되기도 하였다. 고형산은 이러한 함경도 지역 축성 및 방어 경험을 바탕으로 함경남·북도절도사가 되었으며, 中宗反正 후에는 함경도 관찰사가 되어 茂山堡의 이설과 甫乙下堡의 복설 논의를 주도하였다. 고형산은 무산보가 수해를 입어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자 보다 북쪽으로 옮겨, 한편으로는 백성들이 경작할 땅을 얻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의 침입로를 차단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會寧鎭 옆의 옛 보을하보를 복설하여 농민들을 보호할 것을 건의하였다. 그 결과 무산보의 이설과 보을하보의 복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The study tried to examine activity to construct fortress in Hamgyeongdo area by Go Hyeong-san in Joseon period. Go Hyeong-san was an working-level official for defence of Hamgyeongdo and construction of fortress through careers such as Hamgyeongdo Dosa(都事), Jongsagwan(從事官) in Chookseongsa(築城司), Gyeongchagwan(敬差官) of Hamgyeongdo, commander of Hamgyeongnam·bukdo, Hamgyeongdo governor(觀察使) etc. in the period of King Seongjong(成宗)·Yeonsangun(燕山君)·King Joongjong(中宗) dynasty. Then times, Jurchen people gradually crossed over Pyesagun(廢四郡) area and Hyesan(惠山) centered on Manpo(滿浦), west of Baekdu-san mountain. So Samsoogun(三水郡) area was repeatedly invaded by Jurchen people. Joseon needed to make plan to defend them for west and east areas of Baekdu-san mountain _ from east of Pyesagun to Baekdu-san mountain and from east of Baekdu-san mountain to Hoenyeong(會寧). Joseon proceeded with construction of small fortress(城堡), and relocation and re-building of Jinbo(鎭堡) in the area to defend Jurchen people. Thus, Joseon organized border area fortress again. Go Hyeong-san was sent as a Jongsagwan in Chookseongsa and led construction of Eomyeonbo in Samsoogun. He also was sent to Hamgyeongdo. There he has site survey and participated in discussions for construction of Hooju and relocation of Boonyeongjin. Eomyeonbo was constructed to defend Jurchen people because they repeatedly invaded Samsoogun. Construction of Hooju was discussed by the same reason. There was opinion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elocate Boonyeongjin to Jeongseungpaodal where to keep off enemy was more proper than in Boonyeongjin, one of 6-JIn, located in inland. For site survey, Go Hyeong-san was sent. And it was reported that it was not suitable to relocate Boonyeongjin. In the end, relocation stopped tentatively. Go Hyeong-san became commander of Hamgyeongnam·bukdo based on experiences of construction of fortress and defence in Hamgyeongdo. After Jungjong coup, he had a position of Hamgyeongdo governor and led issues of relocating Moosanbo(茂山堡) and re-building of Boeulhabo(甫乙下堡). Go Hyeong-san insisted to relocate Moosanbo to northern area because Moosanbo was damaged by flood so that farming was not possible. This intended to let general people obtain land for farming and also to block up road to defend enemy. For this, he suggested to rebuild old Boeulhabo near Hoenyeongjin(會寧鎭) to protect fortress. As a result, Moosanbo was relocated and Boeulhabo was rebuilt.

      • KCI등재

        울릉도 수토 각석문의 현황과 특징

        한성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1

        조선 후기 정기적인 수토제(搜討制) 실시는 1694년(숙종 20) 장한상(張漢相)의 울릉도 수토로 시작되었다. 수토사(搜討使)들은 자신들이 다녀간 흔적을 남기기 위해 각석문(刻石文)을 남겼는데, 수토(搜討)의 가장 확실하고 직접적인 증거이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울릉도 수토 각석문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대략적인 현황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수토 각석문의 조사와 연구 현황을 종합하여 비교·검토하고, 현재까지 발견된 각석문의 내용을 비교 검토하는 동시에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711년(숙종 37) 박석창(朴錫昌)이 남긴 ‘울릉도 도동리 신묘명 각석문’은 수토제 시작 후 불과 17년이 지난 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그가 남긴 울릉도도형(鬱陵島圖形)에도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 그의 울릉도도형에는 ‘각석입표소(刻石立標所)’를 표시하였는데, 이 표시는 이후 제작된 조선 후기 지도에 동일하게 그려져 있다. 따라서 박석창의 각석문은 현재까지 남아있는 울릉도 수토 각석문 중 가장 오래된 것일뿐만 아니라 울릉도 수토 각석문 중 최초의 것일 가능성도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울릉도 수토 각석문은 크게 8개로 볼 수 있으며, 시기적으로는 1700년대 2개, 1800년대 5개, 1900년대 1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류하면 서로 다른 14명의 각석문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별로는 서면 태하리에 4개 8명, 울릉읍 도동에 3개 4명, 북면 현포리에 1개 2명의 각석문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총 4개 7명의 각석문으로 발견된 수의 50%에 지나지 않는다. 울릉도의 개발 등으로 행방불명되거나 마모가 심해 판독이 어려운 각석문이 다수가 존재한다. 또한 울릉도 주민들의 증언에는 각석문이 수없이 많았다고 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각석문이 발견된 가능성이 있다. 울릉도 수토 각석문에는 수토관(搜討官)뿐만 아니라 수토사에 참여하였던 다양한 사람들의 직명(職名)과 이름이 새겨져 있다. 각석문에 남아있는 직명 등은 문헌 자료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수토사의 규모나 구성 등을 파악하게 해 줄 것이다. 각석문은 조선시대 울릉도 수토와 독도 수호 노력의 직접적 증거이므로 이에 대한 추가 조사 및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搜討制度) regularly applied in the Late Joseon started in 1694(the 20th year of King Sookjong reign), as Jang Han-sang (張漢相) was sent to Ulleung-do(鬱陵島). Jang Han-sang and his entourages left rock inscription(刻石文) to record their activities. This is a sure and direct proof of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There has been partial survey and study about rock inscription for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in Ulleung-do. But comprehensive study has not existed until now so that approximate situation only could be known. The thesis compared and reviewed existing survey and study for rock inscription of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content of rock inscription discovered,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In 1711(the 37th year of Sookjong reign), Park Seok-chang(朴錫昌) left 'Dodong-ri Sinmyo year rock inscription in Ulleung-do', only 17 years later from start of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Ulleung-do figure'(鬱陵島圖形) made by Park Seok-chang also shows same content. And his 'Ulleung-do figure' includes location of rock inscription. Such location indication was shown on the map produced in the Late Joseon. Rock inscription by Park Seok-chang is not only the oldest one but also is deemed to be the first rock inscription among extant rock inscriptions for territorial protection. Number of rock inscription for territorial protection in Ulleung-do discovered until now is 8, largely classified. By period, 2 in 1700s, 5 in 1800s, 1 in 1900s. In detail, there are rock inscriptions made by 14 different officers in charge of territorial protection. By location, 4 by 8 officers in Taeha-ri, Seo-myeon. 3 by 4 officers in Dodong, Ulleung-eup. 1 by 2 officers in Hyunpo-ri, Buk-myeon. But only 4 rock inscriptions by 7 officers are extant, which is 50% of rock inscriptions discovered until now. There are some rock inscriptions which cannot be located caused by development of Ulleung-do etc. or are illegible due to severe wear. Residents of Ulleung-do say that there were a number of rock inscriptions so that there could be a possibility to discover rock inscriptions more. Rock inscriptions for territorial protection system show not only position and name of officer in charge of territorial protection(搜討官) but also position and name of his entourages. Official position etc. carved on the rock inscriptions can make it possible to know scale and details of territorial protection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with documentary sources. Rock inscriptions are direct proof for efforts to protect Ulleung-do and Dok-do in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rvey further and study comprehensively.

      • KCI등재

        고려시대 朴恒의 生涯와 活動에 대하여

        한성주 전북사학회 2010 전북사학 Vol.0 No.37

        Park Hang's(朴恒) living period(1227~1281) was time that had achieved from the period of aggression to peace with Mongolia(蒙古), the period of Won's(元) interference and Japan conquest from the Goryeo(高麗)-Mongolia combined. Park Hang was an Goryeo's actual class of management as an official he was bone in chuncheon(春川) in 1227, shows a model of class joined though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Moreover, he buried someone who resemble his parent due to missing his parent, his conduct that he went to Yeongyeong(燕京) twice for searching mother is considered such as a symbol practicing filial duty in confucianism. After that, Park Hang had fill consecutively various government posts such as government offices, he was active as a local governor governing territory devastated due to the strife of mongolia and the people or as a government official in charge of criticising king's policies ․ Bongbak(封駁) policy that against king's inappropriate orders-for adjusting king's fault or as a vassal in charge of king's ledger caring king. Futhermore, had performed as a teacher in charge of national education or as a government official of integrity adjusting fairly in governor selecting. In the other hand, when he had become ‘Pildojeok (必闍赤)’ Mongolia word which means a literary man in Goryeo-of fourteen's, He was a high ranking official who handed important national office business of determined. He was promoted a politician who are called by prime minister that is nest ranking minister of the highest institution in Goryeo called ‘Asang(亞相)’. Even though it is excepted visiting Mongolia for searching mother, as a formal mission, he visited Monglia 6 times. Material recent problem between Goryeo and Mongolia had been solved and discussed though him. Especially, at the Japan visiting time of the Goryeo-Mongolia combined, he pointed out Goryeo's several abouse, he has to be praised highly that he made Goryeo's self-consciousness high ongoing the country maintained and minimized harmful effect because he brought back preparing right for the visiting from Won's interference keeping them stayed in Won. Although work of Japan visiting was difficult and complicated, we could find out the devoted conduct for the county regarding preparation many fallow up and which was dealt or created by Park Hang. Therefore, Park Hang got a appointment material position right after the peace of Mongolia. Hereupon, to look over his past, activity and role is helpful to see real status and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Mongolia from the beginning of Mongolia's interference to Japan visiting of the Goryeo-Mongolia combined.

      • KCI등재

        누르하치의 두만강 유역 번호 침탈과 조선의 대응 고찰

        한성주 만주학회 2016 만주연구 Vol.- No.22

        Nurhachi's power was expanding to the Tumen River basin during Imjin War (1592). More than simply a military action aim at conquest and consolidation, he wanted to expand his influence and subjugate the Jurchens. During this time, in 1607, the Nurhachi army defeated the Bujathai military at Jongseongjin Ogalam (鍾城鎭 烏碣巖) ending with the elimination of boundaries of the Joseon. The Nurhachi, who was beginning to abolish many at the Tumen River basin, hoped for friendly relations, but also wanted to expand his power through the Tokai (東海) Region and dispatched military forces several. Thus, the victory at Ogalam and the eradication of boundary Jurchens at the Tumen River basin became the basis of integration of the East Sea with the opening of Jebu (諸部). Joseon eventually figured out the Manchuria regional situation. At the same time, Joseon had to strategize a diplomatic and military response. In essence, the Joseon had two diplomatic recourses. The indirect way was to suppress a Nurhachi's invasion through the Ming. The other was to send a vice minister and translator to Geonjuwi. In addition, the Joseon had also devised a strategy to defend the castle with firearms and trained cannon soldiers. Joseon also prepared for a full-scale invasion through the defense system re-organization of Pyeongando(平安道), Hamgyeongdo(咸境道) capitol. 임진왜란 전후부터 누르하치[奴爾哈赤, Nurhachi]는 직간접적으로 두만강 유역에까지 진출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본격적인 군사 행동을 통한 통합과 정복보다는 자신의 세력을 확장하고 주변의 여진인들을 복속시키기 위한 시도였다. 임진왜란 후 두만강 유역의 조선 번호를 침탈한 것은 울라[烏拉, 烏喇]의 부잔타이[布占泰, Bujantai]였으나, 부잔타이의 침탈을 받던 여진인들은 누르하치에 대한 귀순을 선택하였고, 이것은 결국 누르하치의 적극적 개입으로 이어졌다. 누르하치는 군사를 보내 피오성[縣城]의 사람들을 옮겨 오도록 했는데, 이것은 두만강 유역의 번호를 建州衛로 이주시키는 최초의 시도였다. 이 과정에서 1607년 누르하치의 군사가 부잔타이의 군사를 조선의 경내인 鍾城鎭 烏碣巖에서 격파하였고, 마침내 조선의 번호들을 철폐하기 시작하였다. 두만강 유역의 번호들을 철폐하기 시작한 누르하치는 조선과 우호적인 관계를 희망하면서도 東海 지역으로의 세력 확장을 시도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군사를 파견하였다. 따라서 오갈암에서의 승리와 두만강 유역 번호 철폐는 여진 諸部 및 동해 여진을 통합하는 기초가 되었다. 한편 조선은 만주 지역의 정세를 파악하는 한편 누르하치에 대한 외교적․군사적 대응을 고심했는데, 특히 외교적 대응은 명을 통해 누르하치의 침탈을 억제하는 간접적인 교섭과 건주위에 조선의 差官과 譯官을 파견하는 직접적인 교섭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조선은 火器를 중시한 守城 중심의 방어 전략으로의 수립과 전환이 있었고, 砲手를 양성하는 한편 평안도와 함경도 내륙의 방어, 수도권 방어 체제에 대한 정비 등을 통해 누르하치의 騎兵과 전면적 침입에 대비하기 시작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선 연산군대 童淸禮의 建州三衛 파견에 대하여

        한성주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4

        The dispatch of Geonjusamwi(建州三衛) of Dongcheongyre(童淸禮)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燕山君) was carried out to return the captives, to prohibit the invasion of the Jurchen by diplomatic communication, and to figure out roads and topographies in Geonjusamwi area for the future conquest taking the opportunity of the invasion of Wiwon(渭原) in the Amrok River basin. The first dispatch of Dongcheongrye was taken in 1496(2nd year of King Yeonsan’s reign), which took 12~13 days. Dongcheongrye under the title of ‘Samuigyeongchagwan(三衛敬差官)’ visited Geonjuwi(建州衛, Bonwi[本衛]) in person and distributed the edict of Joseon to return the captives during the invasion of Wiwon and to prevent invasion. However, he visited only Geonjuwi and failed to reach Jawi(左衛) and Wuwi(右衛). He got a promise of returning the captives, but no actual returning was made. He was promised not to make invasion to Joseon. And he hurriedly returned due to heavy snow promising to meet at Manpo(滿浦) in the next spring. When the meeting at Manpo was not kept, chiefs of Geonjusamwi requested the dispatch of Dongcheongrye by sending a letter, and there was another discuss to the re-dispatch of Dongcheongrye. At last, the 2nd dispatch was decided in 1497(3rd yeard of King Yeonsan’s reign) under the title of ‘Samwiseonyugwan(三衛宣諭官)’ for 20 days in Gyeonjusamwi. During the 2nd dispatch, they arrived at Geonjuwi(Bonwi) through the flat short-cut along with the Jurchen which was promised during the meeting in the first dispatch. They could see defense facilities installed by the Jurchen and there were also threats and intervention by Geunsanjeokha(金山赤下) who invaded into Wiwon. However, they could encounter chiefs of Geonjusamwi including Geonjuwi(Bonwi) Dalhan(達罕), Jwawi Toro(土老), Wuwi Bohwato(甫化土) and distributed the edict of Josen respectively. The Geonjusamwi chiefs welcomed Dongcheongrye by receiving gifts and goods and by hosting a party. They promised not to invade Joseon, and especially Dalhan introduced Dongcheongrye detailed road information. After achieving intended objectives, Dongcheongrye returned with 3 Joseon captives by the guard of 200 Jurchen people. It was regarde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was halted due to the Chomu(招撫) on Geonjusamwi during the King Sejo(世祖) and the intervention of Ming of it, but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Joseon and Geonjusamwi continued thereafter. The facts that King Seongjong(成宗) accepted diplomatic relation with Geonjusamwi by opening the traffic roads of Pyeongando(平安道) and King Yeonsan dispatched Dongcheongrye demonstrated the continued relation. In particular, the dispatch of Dongcheongrye shows part of Gimi(羈縻, carrot and stick) policy toward the Jurchen, and such policy continued until the Jurchen was integrated by the later Jin dynasty. 燕山君대 이루어진 童淸禮의 建州三衛 파견은 압록강유역의 渭原이 침입을 받은 것을 계기로 포로된 사람들을 쇄환시키고, 교섭을 통해 여진인들의 침입을 금지시키며, 향후 정벌을 대비하여 建州三衛 지역에 대한 도로와 지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동청례의 1차 파견은 1496년(연산군 2)에 실시되었는데, 약 12~13일 정도가 걸리는 여정이었다. 동청례는 ‘三衛敬差官’이란 이름으로 건주위(본위)를 직접 방문하여 추장 達罕과 좌․우위에서 보낸 사람들에게 위원 침입시 포로로 잡아간 사람들을 쇄환하고, 침입을 금지하라는 조선의 敎旨를 반포하였다. 그러나 건주위만을 방문하였을 뿐 좌위와 우위까지는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잡아간 사람들의 쇄환을 약속받았지만 쇄환이 실제로 이루어지진 않았다. 다만 조선에 대한 침입을 금지하겠다는 약속을 받았고, 눈이 많이 쌓이는 관계로 급히 돌아오면서, 다음해 봄에 滿浦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였다. 그런데 만포에서의 만남이 이루어지지 않자, 건주삼위의 추장들은 書契를 보내 동청례의 파견을 다시 요청하게 되었고, 조선에서는 동청례의 건주삼위 재파견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게 되었다. 결국 동청례의 2차 파견이 결정되어 1497년(연산군 3)에 ‘三衛宣諭官’이란 이름으로 약 20여 일 정도 건주삼위를 방문하였다. 2차 파견시에는 동청례를 영접하러 온 여진인들을 따라 1차 파견 회정 때 약속받았던 평탄한 지름길을 통해 건주위(본위)에 도착하였다. 도중에 여진인들이 설치한 방어시설을 볼 수 있었고, 위원에 침입한 金山赤下의 위협과 방해도 있었다. 그러나 건주위(본위) 達罕과 좌위 土老, 우위 甫化土(甫花土, 南華土) 등 건주삼위 추장들을 직접 대면하고, 각각에게 조선의 서계를 반포할 수 있었다. 삼위 추장들은 宣醞 및 물품을 받고 잔치를 벌여 동청례를 환영하였다. 이들은 조선에 대한 침입 금지를 약속하였고, 특히 달한은 동청례가 회정할 때 도로를 소상히 알고 가도록 하였다. 소정의 목적을 이룬 동청례는 포로가 되었던 조선인 3명을 돌려받고, 2백여 명의 여진인들의 호송을 받으며 돌아왔다. 세조대 건주삼위에 대한 초무와 이에 대한 明의 간섭으로, 이후 양자 간의 관계가 중단된 것처럼 여겨왔지만, 세조대 이후에도 조선과 건주위와의 교섭은 계속 지속되었다. 성종대 平安道의 교통로를 개방하여 건주삼위의 통교를 받아들인 사실이나, 연산군대 동청례를 건주삼위에 파견한 사실들이 이를 잘 대변해 주고 있다. 특히 연산군대 동청례의 파견은 조선의 여진에 대한 羈縻政策의 일단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기미정책은 여진이 後金으로 통합되는 과정까지 지속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