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구논문 : 17세기 조선 학자들의 존왕론(尊王論)과 노소분기(老少分岐) (1) -관중(管仲)에 대한 인식과 훈척(勳戚) 문제를 중심으로-

        우경섭 동국사학회 2011 동국사학 Vol.50 No.-

        경신환국 직후 勳戚의 譏察 문제를 둘러싼 노소간의 갈등은 결국 관중 인식에 내재한 尊王論에 관한 논쟁이었다. 송시열을 비롯한 노론측은 주나라를 보위하여 존왕의 의리를 실천한 관중의 공로에 주목하였고, 윤증·박세채를 비롯한 소론측은 관중의 공적이란 결국 패도에 불과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중 인식의 차이가 바로 경신환국 당시 기찰이라는 비법적 행위를 저질렀던 훈척에 대한 평가에 적용되었던 것이다. 두 정파 사이의 이 같은 견해 차이는 당시의 동아시아 정세를 바라보는 시선과도 결부되어 있었다. 노론측은 관중에 대한 긍정과 존왕론의 강조를 통해 명나라 멸망 이후 중화문화의 유일한 계승자로서 조선왕조의 정통성을 확립하려 한 반면, 소론측은 관중에 대한 비판 및 왕도정치의 실질성을 강조하며 호란 이후 송시열에 의해 체계화된 반청 이데올로기의 관념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그 이론적 토대인 春秋大義의 時宜性 상실을 거론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관중 인식의 차이는 존왕론에 대한 찬반이었고, 이는 17세기 후반 조선이 당면한 세계질서 속에서 춘추대의에 대한 찬반이기도 하였다. 이 같은 의견 차이가 드러난 사건이 바로 훈척에 대한 논란이었고 이는 결국 노소분기의 근원이 되었다. 요컨대 노소분기라는 사건의 심연에는 춘추의리의 채택 여부를 둘러싼 인식의 차이가 그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庚申換局之後,圍繞勳戚的譏察問題出現了老少論間的矛盾,此矛盾是關於對管仲的認識中存在的尊王論的論爭。以宋時烈爲首的老論派所關注的是,管仲保護周王室、實踐尊王之義理的功勞;而尹拯、朴世采等少論派則認爲,所謂的管仲之功不過是覇道而已。庚申換局之時,勳戚導致了譏察之非法行爲,而對管仲認識上的差異,便適用於對勳戚的評價。兩個政派之間的這種意見上的不同,與看待當時東亞政局的視角聯系了起來。通過對管仲的肯定及對尊王論的强調,老論派希望,在明朝滅亡之後,朝鮮王朝作爲中華文化的唯一繼承者,確立其正統性。與之相反,少論派則通過對管仲的批判及强調王道政治,來指責胡亂之後,依고宋時烈得以體系化的反淸意識形態的觀念性。幷且,討論到了作爲其理論基礎的春秋大義的時宜性之喪失。最終,對管仲認識的差異便成爲對尊王論的贊成或反對,這也是十七世紀後半期,朝鮮王朝在其所面對的世界秩序中,對春秋大義的贊成或反對。這種意見上的不同,反映在事件上便是對勳戚的詰難,這最終成爲老少分岐的根源。總之,在老少分岐事件的深淵中,圍繞是否采納春秋義理而産生的認識上的差異,成爲其分岐的原因。

      • KCI등재

        인조대 ‘親淸派’의 존재에 대한 재검토

        우경섭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1

        1637년 남한산성의 항복 이후, 夷狄이라 멸시하던 청나라에 사대하게 된 조선인들은 그간 명나라 주도의 동아시아 질서 속에서 어렴풋이 간직하던 중화주의적 세계관의 모순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들이 직면했던 사상적 곤혹감 중에는 청에 대한 저항의식과 더불어 순응과 체념의 정서 또한 공존하고 있었다. 17세기 전반부터 조정의 보호를 받지 못한 채 명나라와 후금의 침략에 시달리던 평안도 백성들의 경우처럼, 민심은 이미 크게 흔들리고 있었다. 고국을 버리고 후금에 귀화하여 만주족의 일원으로 살아가기를 희망한 조선 백성들이 속출하였고, 두 차례의 전쟁이 일어나자 그들은 청군의 길잡이가 되어 조선 침략의 선봉에 섰다. 그리고 인조와 김류․김자점 등 공신들은 남한산성 입성 당일부터 생존을 위해 화친의 방도를 모색했고, 척화론자들에게 패전의 책임을 전가하며 자신들의 무능함을 감추려 했다. 민간에서도 청에 대한 적개심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날로 해이해져 갔고, 현실론의 입장에서 청에 대한 臣服을 감수하려는 분위기가 대세를 이루어갔다. 더 나아가 호란을 통해 목도한 청의 강성함에 순응하여, 청의 세력을 등에 업고 개인의 영달을 도모하려는 親淸派가 출현하였다. 정명수를 중심으로 결집한 역관․잠상․서리들의 존재와 이계의 고변 사건, 그리고 친청파 숙청을 명분으로 일어난 인조 말년의 심기원 역모 등을 보면 병자호란 직후 조선의 여론은 생각보다 훨씬 유동적이었고 훨씬 더 ‘친청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무엇보다 남한산성의 항복 이후 조선이 참여한 椵島 정벌과 征明軍 파견은 그 배경이야 무엇이었던 간에 조선 정부가 反明親淸의 노선을 선택했음을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였다. 따라서 그간의 통설에서 주장하듯, 병자호란 패전 이후 조선의 정치․사상계가 반청 이데올로기로 획일화 되어 있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듯하다. 인조와 공신들은 국가를 통치할 도덕적 명분과 현실적 방향성을 상실했고, 그 결과 마음을 다한 친청사대는 아니라 변명할지라도, 청나라의 지배를 용인하고 적응해 가는 방향으로 국가를 이끌어 갔다. 명청교체라는 대세 속에서, 조선의 조정과 백성들은 직면한 현실에 순종하며 청에 대한 사대를 체득해 가고 있었던 것이다. Koreans realized that the Chinese-led East Asian order was such a theoretical contradiction, after, in 1637, they began to serve the Qing Dynasty established by people who they had belittled as barbarians. Ideologically, their embarrassment was about resistance against Qing Dynasty, but it also contained the spirit of adaptation and resignation. People was greatly disturbed. In Pyeong-an Province, they had suffered from the cruelty of the Ming and the Later Jin without government help since the former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They hoped to nationalized themselves in the Late Jin to be one of the Manchus, and they served as a guide of its army when it invaded Joseon twice. On the other hand, King Injo and the contributors, Kim Ryu and Kim Ja-Jeom, etc., found ways to make peace with the Qing for their own safety from the first day of entering Namhansanseong. They even tried to hide their incompetence and criticize that the anti-peace group was responsible for the defeat. Popular hostility towards the Manchus was diminished day by day. The prevailing view seemed that people agreed to eat humble pie in a realistic way. Moreover, it is undeniable that there appeared a pro-Manchurian group. Its members adjusted to the power of the Manchus which they had witnessed during the wars, and took advantage of them to pursue their own interests. Right after Manchus' invasion of Joseon in 1636, general Korean opinion was flexible and pro-Manchurian much more than we think. It is shown in collusion of translators, smugglers, and petty officials with Jeong Myeong-Su as the central figure, Lee Gye's accusation to the Manchus, and the act of treason for the purpose of purging the pro-Manchurian group in the end of the reign of King Injo. Above all, conquering Ga-Island and sending an army to conquest the Ming evidently prove that Joseon's government chose to follow anti-Chinese and pro-Manchurian policy. Therefore, unlike common theory, it is hard to tell that world of politics and thoughts was unified as loyalty to the Great Ming and resistance against the Qing. King Injo and the contributors lost a sense of realistic direction as well as a moral cause to rule the country. As a result, they accepted the Qing's domination and adjusted to it, although they did not serve the country with all their hearts. In the Ming-Qing transition, Joseon's government and people adapted themselves to reality and learned to serve the Qing.

      • KCI등재

        정조대 ≪侍講院志≫ 편찬과 그 의의

        우경섭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0 泰東古典硏究 Vol.26 No.-

        17세기 후반 붕당정치의 말폐가 나타난 뒤 시강원(侍講院)의 역할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왕위계승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끝에 즉위했던 영조와 정조는 탕평을 추진하며 국정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붕당정치 체제를 뒷받침하던 관각제도(館閣制度)의 개편을 추진하였는데, 특히 이 시기 홍문관을 비롯한 여타 관각들의 기능이 축소되었던 반면 시강원의 위상과 기능은 오히려 강화되어 갔다. 이는 왕위계승 문제를 둘러싼 당파 간의 갈등이 격화되던 상황 속에서, 세자의 교육과 보호를 담당하는 시강원의 동요를 방지하고 시강원에 대한 국왕의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리고 영 · 정조는 관각을 비롯한 주요 관서의 연혁 및 기능을 재정리한 관서지(官 署志)의 편찬을 주도하였는데, 1784년(정조 8) 유의양(柳義養)이 완성하여 정조에게 진헌하였던 ≪시강원지(侍講院志)≫ 역시 그같은 역사적 흐름 속에서 편찬된 것이었다. ≪시강원지≫는 조선왕조의 세자 교육을 관장하던 세자시강원의 사적을 기록 하고 그 역할을 설명한 책이다. 그러므로 서연(書筵)을 중심으로 행해지던 세자의 강학활동을 핵심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책봉 · 입학 · 관례 · 가례등 세자가 거쳐야 할 통과의례를 비롯하여 세자의 모든 공식 · 비공식 활동에 대한 규정 및 세부 의절을 포괄하고 있다. 게다가 세자로 책봉되기 이전의 원자 교육을 담당하는 보양청(輔養廳)과 강학청(講學廳) 및 세손의 교육을 담당 하는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 등, 시강원과 별도로 운영되던 관서의 업무 역시 함께 서술하고 있다. 요컨대 ≪시강원지≫는 왕도정치를 실현할 미래의 성군을 만들어 가기 위한 조선왕조의 제도적 노력이 18세기 후반 탕평정치의 시행과 더불어 현실화되던 모습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920~30년대 조선(朝鮮)과 만주국(滿洲國)의 왕도유학(王道儒學)

        우경섭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0 No.22

        20세기 전반 조선·일본·만주국의 유학계에서는 유학의 핵심 담론 중 하나인 王道에 관한 논의가 두드러진 현상이 주목된다.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일부 유학자들은 왕도론의 민본주의와 역성혁명론을 빌어 일본의 조선 병합을 정당화하였다. 그들은 새 왕조에 협력했던 은나라 재상 伊尹의 가르침을 명분으로 삼아, 새로운 시대의 ‘왕도’를 개창한 일제에 협력하였다. 그리고 왕도의 실현을 내세우며 孔子의 위패를 모신 文廟의 春秋釋奠을 주관하고 孝子·烈婦의 현창 사업을 진행하는 일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총독부와 더불어 전국 각지의 효자를 표창하는 일에 앞장섰는데, 이같은 국가적 차원의 孝에 대한 강조는 곧 ‘忠孝’라는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창출로 이어졌다. 충신과 동일한 맥락에서 추앙되는 효자는 곧 ‘忠良孝順한 臣民’이었고, 이는 궁극적으로 忠이라는 이념으로 상징되는 국가주의적 정치체제를 뒷받침하는 인간형이었다. 한편 1932년 일본 관동군에 의해 세워진 만주국은 ‘王道樂土’를 건국이념으로 내세웠다. 만주국 통치자들은 ‘왕도의 새 시대’가 열렸음을 자찬하며, 국가주의적 유교이념의 확립에 노력을 기울였다. 만주국 정부는 1920년대 조선의 친일 유림들과 유사하게 문묘제사 및 효자·열부에 대한 표창을 주도하며, ‘왕도정치의 실현’을 새로운 시대의 지도이념으로 제시하였다. 왕도에 대한 만주국의 집착은 단순한 정치 구호에 불과한 것은 아니었다. 만주국의 왕도론은 무엇보다 서양의 ‘覇道’에 대비되는 동아시아적 문명을 상징하는 수사로 간주되었다. 또한 왕도론의 ‘行王’의 논리는 일제 강점의 현실을 합리화할 뿐 아니라 각종 복지정책의 시행을 통하여 만주국의 또다른 건국이념인 五族協和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왕도론의 ‘一匡天下’의 논리는 왕도의 실현을 핑계삼아 대륙을 차지하려는 일본의 침략정책을 합리화하는데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었다. Among the Confucian Studies circles in colonial Korea, Japan, and Manchukuo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is noteworthy that there were many discourses on Wangdao[王道: King's Way or Kingly Way] which i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confucian ideas. In the 1920s, Korean Confucian scholars justified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hile they used the democracy and dynastic revolution theory, the ideas that came from the Wangdao thesis. Having used the teachings of Yiyin[伊尹] in the Yin[殷] Dynasty who cooperated with a new dynasty, they were able to collaborate with the Japanese who opened the 'Wangdao' for a new era. While putting forward the realization of the Wangdao, they were interested not only in holding the semiannual services in honor of the Confucian shrines, but also in prizing dutiful sons and virtuous women in whole Korea. The state emphasis on filial piety led up to the invention of new ideology 'royalty and filial piety[忠孝].' The dutiful son who was praised as equal to royal subjects, was in reality a 'royal and subservient subjects,' and was a human type symbolizing royalty which supported the state system. On the other hand, Manchukuo which was established in 1932, put forward the Wangdao as a founding ideology. Manchukuo rulers self-praised the 'new era of the Wangdao' and made efforts to establish state confucianism. Manchukuo government, like Korean pro-Japanese Confucian elites, initiated a project to hold a worship at Confucian Shrines and to prize dutiful sons and virtuous women, the project that the government used for a leading ideology in a new era. The Manchukuo's Wangdao was not simply political slogan since it was accepted as a rhetoric symbolizing East Asian civilization in contrast to western ‘politics by force[覇道].' Moreover, Wangdao not only justified the Japanese occupation of Manchu but also supported another founding ideology, 'the Harmony of Five tribe[五族協和]' with the enforcement of welfare policies. And 'a relief for the whole country[一匡天下]' logic was also able to justify the Japanese aggressive policy over the China Proper with the pretext of the realization of the Wangdao.

      • KCI등재

        1620~1627년 조선의 遼民 인식과 송환론

        우경섭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2 동국사학 Vol.74 No.-

        After the Battle of Sarhu in 1619, as the Manchus advanced westward, many Chinese living near Liaohe fled over the Yalu River to Choseon territory, and the issue of Liaodong Refugees began. The number of Liaodong Refugees, which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occupation of Shenyang and Liaoyang in 1621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jiangzhen by Mao Wen-long in 1622, quickly exceeded 20,000. 100,000 by the time of King Injo’s Rebellion in 1623, and 200,000 to 300,000 just before the 1st Invasion of Manchuria in 1627. It is not easy to believe this number as it is on the record, but it is roughly certain that at least nearly 100,000 Chinese have flowed into Pyongan Province. The Choseon Dynasty was concerned that Liaodong Refugees could communicate with the the Manchus or cause invasion of the Manchuria, and they would plunder the local people. Therefore, from the beginning of the influx of Liaodong Refugees, Choseon Dynasty decided to repatriate them to Dengzhou, Shandong Province of Ming, and continued consultations with Ming Dynasty, In addition, the Ming Dynasty also agreed in principle to repatriate Liaodong Refugees, its own citizens, and there were two opportunities to complete repatriation when Yang Zhi-yuan and Jiang yue-guang were dispatched. However, in the complicated calculation of the Ming Dynasty, which valued the strategic value of Dongjiangzhen, and the obstruction of Mao Wenlong, who tried to build and maintain his power based on Liaodong Refugees, little repatriation of Liaodong Refugees was accomplished. 1619년 사르후 전투 이후 본격화된 후금의 서진으로 말미암아, 요하 유역 漢人들이 대거 압록강을 넘어 조선 영토로 피난하면서 요민 문제가 시작되었다. 1621년 후금의 瀋陽·遼陽 점령 및 1622년 毛文龍의 東江鎭 설치로 급격히 증가한 요민의 숫자는 순식간에 2만을 넘어 1623년 인조반정 무렵 10만, 1627년 정묘호란 직전에는 20~30만 명을 헤아리게 되었다. 기록에 나타난 이 숫자를 그대로 믿기란 쉽지 않지만, 적어도 10만 명에 가까운 한인들이 평안도로 유입된 정황은 대략 확신할 수 있을 듯하다. 조선 조정은 요민들이 후금과 내통하거나 후금의 월경 침입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평안도 백성들에 대한 침학 및 굶주림으로 인한 소요를 우려하며, 유입 초기부터 이들을 산동성 登州로 송환하는 방침을 정하고 명 조정과 협의를 이어나갔다. 그리고 명 조정 역시 자국민인 요민을 데려오는 것에 원칙적으로 동의하여, 감군 梁之垣과 조사 姜曰光의 파견 때 송환을 성사시킬 기회가 두 차례 있었다. 그러나 요민을 기반으로 자신의 세력을 구축·유지하려던 모문룡의 방해, 그리고 동강진의 전략적 가치를 중시하고 요민 귀환으로 인한 혼란을 우려했던 명 조정의 복잡한 계산 속에서, 정묘호란 이전 요민의 송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 KCI등재
      • KCI등재

        17세기 전반 滿洲로 歸附한 조선인들 - 『八旗滿洲氏族通譜』를 중심으로 -

        우경섭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48 No.-

        본고는 17세기 전반 한반도 서북 지역에 살던 조선인들이 만주로 귀화하여 청조의 유력 가문으로 성장해 간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첫 번째 韓雲(韓潤)과 韓尼(韓澤) 형제는 1624년 일어난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망명한 경우로, 만주 귀화의 동기가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 사례이다. 반란의 주모자 韓明璉이 伏誅된 뒤 후금에 망명한 아들 한운과 조카 한니는 귀화 직후부터 조선 국경의 수비 상황을 토설하고 조선 정벌의 당위성을 역설하는 등, 적국 후금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가문의 기반을 닦아 갔다. 그리고 정묘호란의 선두에 서서 의주를 함락시키는데 공을 세웠을 뿐 아니라, 강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조선에 대한 재침을 건의하는 등 후금 내부의 반조선 의식을 주도하였다. 또한 그들의 후손들 역시 청조가 북경에 입성하고 차하르와 복건 지방을 정벌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대대로 관작을 세습해 감으로써, 한운 일가는 만주 지역 조선인들 중 유력 가문으로 정착할 수 있었다. 두 번째 新達理(金汝圭) 가문은 귀화 경위가 분명하지 않지만, 일개 귀화인이 만주에 정착하여 名閥로 성장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1620년대 평안도 일대를 휩쓸던 毛文龍 세력의 횡포를 피하여 형제들을 이끌고 후금으로 귀화한 것으로 보이는 신달리는 조선 출신 통사관들의 반후금 활동을 고발함으로써 만주족의 신임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신달리 자신이 병자호란의 선봉에서 강화도를 함락시키는데 기여하였고 그의 형제ㆍ자손들 또한 征明戰의 과정에서 혁혁한 무공을 세움으로써, 후금에 귀화한 조선인들 가운데 단연 두각을 나타내며 八旗의 상층부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신달리 가문은 17세기 후반~18세기에 이르러 청조의 중앙관직에 오른 후손들을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신달리의 손자 金常明은 강희ㆍ옹정ㆍ건륭 세 황제를 섬기며 정1품 領侍衛內大臣까지 오른 인물이었다. 그는 황실의 신임을 바탕으로 조선과 청나라의 외교 사안에 깊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영조의 世弟冊封 및 仁祖反正 辨誣事를 해결하는데 막후에서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 신달리의 동생 三達理의 증손인 金簡의 경우 工部尙書와 吏部尙書를 역임하며 『四庫全書』 편찬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로, 그의 누이동생은 건륭제의 총애를 받던 后妃 淑嘉皇貴妃였다. 황실의 외척으로서 청조의 핵심부에 위치했던 김간은 정조 즉위 직후 조선에서 보낸 討逆奏文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조선 측 입장을 대변하여 그 처리를 주선하는 등, 조선의 대청외교에 적지 않은 도움을 주었다. 김간의 아들 金縕布 역시 戶部尙書에 오를 정도로, 18세기 후반 신달리의 집안은 명실상부한 遼左名家이자 高麗望族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이후 1894년 청일전쟁이 일어나기까지 조선에 가장 심대한 영향을 미친 외부세력은 청나라였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면 한운과 신달리 같은 17세기 전반 ‘附虜人’들의 활동은 분명 주목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조ㆍ청 관계의 부침에 따라 다중적 정체성을 드러내었던 그들 附虜人들의 행적을 발굴하고 범주화하는 작업은 一國史의 시야에 갇혀 당쟁의 차원에서 조선후기 정치사를 해석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역사의 전개 과정 속에서 조선왕조가 겪어야 했던 국제적ㆍ국내적 위기를 정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작은 실마리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the Northwestern Koreans who were naturalized into Manchu and became one of influential family under the Q'ing dynasty in early seventeenth century. The Hanyun(韓雲)ㆍHanni(韓尼) brothers, the first case, had been implicated in the Yi Kwal's revolt in 1624 and fled to Manchu. This fact made their motives clearly known. Since naturalized, they firmly settled their family with collaboration with the Later Jin (後金) dynasty, the collaboration such as reporting Chosun's borderline defense system to Manchu leaders and rallying causes to invade Chosun. They led the first invasion of Chosun (丁卯胡亂) and contributed to the occupation of Uiju(義州), a borderline town. Even after the peace treaty, they continuously demanded invasion of Chosun, hawkish attitude that made them leading anti-Chosun figures. Their offspring also participated in Q'ing's occupation of Beijing(北京) and expeditions to Chakhar(察哈爾) and Fujian(福建) so that they could inherit officialdom and become powerful family among Manchu Koreans for generations. While the second case, Xindali(新達理) family is not clear in their motives to go to Manchu, it is an exemplary case that a low-profile person settled and arose as a distinguished family in Manchu. It seems that he moved to the Later Jin in order to avoid the Maowenrong(毛文龍) force who prevailed over Northwest Chosun in the 1620s. He secured Manchu's trust while accused Korean translators of their anti-Later Jin activities. Xindali himself became a spearhead in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Chosun (丙子胡亂) and contributed to the Kanghwa(江華) Islands. His brother and descendants also achieved military exploits in a war against Ming dynasty, the merits that made his family stand out among Manchu Koreans and prepared a road to the upper class in the Eight Banners Division (Baqi, 八旗). Xindali family began to produce high officials in Q'ing dynasty around lat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For example, Xindali's grand son, Jinchangming(金常明) served three emperors such as Kangxi, Yongzheng, and Qianlong while reaching the highest official. Xindali's brother, Sandali(三達理) had a great-grandson, Jinjian(金簡) who initiated a project of the Imperial Collection of Four (Siku Quanshu, 四庫全書) publication under Qianlong emperor while he became Minster to the Board of Works(工部尙書) and Minister to the Board of Civil Appointments (吏部尙書). His sister was the queen (后妃 淑嘉皇貴妃), who was beloved by Qianlong. With the deep trust on the part of the Q'ing court, they could exert great influence upon Q'ing and Chosun diplomacy and somewhat helped Chosun's diplomacy vis-a-vis Q'ing dynasty. From 1637 just after Q'ing invasion of Chosun, to 1894,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biggest influential factor to Chosun dynasty had been Q'ing dynasty. Considering this fact, "collaborators with barbarians (附虜人)" such as Hanyun and Xindali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might draw attention from historians. They show multiple identities with the fluctuation of the Chosun and Q'ing relation. A research into these "collaborators" would shed some lights on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isis that Chosun dynasty had to face among the East Asian history rather than the limited one nation and political history centering on factional str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