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자의 파레시아(parrêsia)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의 내용

        선주원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3 초등국어과교육 Vol.30 No.-

        이 글은 소설에 표상된 화자의 파레시아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내용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을 설정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설교육에서 화자의 파레시아 이해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이유, 파레시아의 개념과 화자의 파레시아 실천의 의의, 소설에 나타난 화자의 파레시아 실천 양상, 파레시아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의 내용 등을 논의하였다. 소설교육의 내용은 ‘파레시아에 대한 화자의 태도 이해하기’, ‘타자에 대한 화자의 파레시아 해석하기’, ‘사회에 대한 화자의 파레시아 해석하기’, ‘학습독자 자신의 파레시아 성찰하기’ 등으로 제시되었다. 교육내용은 화자의 관점 파악이라는 막연한 수준이 아니라, 화자의 말하기 태도와 어조 이해와 관련된 구체적인 학습 요소로, 화자의 말하기와 관련된 소설읽기 활동을 위계화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 대안적 대인소통법으로서의 파레시아(Parrhēsia)

        한혜경(Hyekyoung Ha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1

        고대인들은 권력이 요구하는 바가 아닌 스스로 정립한 실천의 양식 안에서 자신의 삶을 운용하려는 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결점들에 대해 솔직하게 말해줄 용기 있는 타인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처럼 개인의 주체화 여정에 필수적인 타인의 담론인 파레시아는, 자신을 경쟁 도구로 계발하여 자신의 인생을 기업가처럼 경영하려는 개인들을 주조해내는 신자유주의 시대에 어울리는 대인소통법이 아니다. 그러나 바로 그 점에서 푸코는 파레시아라는 이 비판적 담론실천을 신자유주의 시대의 개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를 넘어서는 새로운 주체화의 도구로 재구성하고자 했던 것이다. 푸코의 희망처럼 우리 사회에서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파레시아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 사회의 파레시아 연구들은 주로 공적인 영역에서 용기있게 말하기와 윤리적 주체의 형성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커뮤니케이션 학문 영역인 소통의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경향은 파레시아가 오늘날 우리 사회에 던질 수 있는 질문 중 또 다른 중요한 측면들을 간과하는 것이다. 먼저 성찰적 주체화를 이끄는 파레시아의 장소에는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공론장만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서 오고 가는 대화도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파레시아는 공론장에서든 일상의 대화에서든 화자의 용기와 기술이 청자의 용기와 기술과 결합되어야 비로소 완성되는 실천행위이다. 구체적으로 화자에게 파레시아는 타인을 주체로 만들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타인의 결점을 솔직히 말한다는 윤리적 차원과 적절한 상대에게 적절한 시기에 적절하게 말하는 그 적절함, 즉 ‘카이로스’를 발견하는 기술적 차원이 함께 관련된 말하기 양식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파레시아의 출발이 말하는 사람이 아니라 듣는 사람의 신호, 구체적으로 듣는 사람이 자신에 대한 비판을 들을 준비와 능력이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점이다. 말하는 이는 그 신호를 민감하게 알아채고 듣는 이에 맞게 담론을 변형시켜야 한다. 그래서 파레시아는 일방적이지 않다. 파레시아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서로에게 ‘호의’를 가지고 ‘카이로스’ 기술을 발휘할 때 비로소 비판이 순환되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주체들의 소통게임인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 사회는 대인관계에서의 비판을 주로 상처로 연결시키고 부정적 의미로 가둬버린다. 그 가둬버림에 대한 파레시아가 이 글의 목적이다. 말하는 이가 자신에게 돌아올 불이익을 생각해 타인에 대한 비판을 사전에 자기검열하고 듣는 이는 상처받을 두려움에 비판을 청하지도 수용하지도 않는다면, 우리는 결국 건너가지 못하고 계속 같은 자리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머뭄은 안전하지만 새로운 곳을 향하는 자유의 즐거움을 주지는 못한다. The ancients thought that a person who wanted to manage his or her life within the self-established mode of practice, not as required by power, needed someone with the courage to speak honestly about his or her flaws. As such, Parrhēsia, the discourse of others essential to the journey of individual subjectification, is not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era of neoliberalism, which molds individuals who want to manage their lives like entrepreneurs by developing themselves as tools of competition. However, at that point, Foucault tried to reconstruct this critical discourse practice called Parrhēsia, as a tool for critical reflection on individualization in the era of neoliberalism and a new subjectification beyond it. Like Foucault's hope, our society is also exploring Parrhēsia, in various academic fields. However, Parrhēsia studies in our society tend to focus mainly on courageous speaking in the public realm and the formation of ethical subjects.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munication, this trend overlooks other important aspects of the questions Parrhēsia can pose to our society today. First of all, the place of Parrhēsia that leads to reflexive subjectifica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public sphere that constitutes democracy, but also the conversations that come and go in our daily lives. And Parrhēsia is a practical act that is completed only when the speaker's courage and skill are combined with the listener's courage and skill, whether in a public forum or in everyday conversation. Specifically, for the speaker, Parrhēsia has the ethical dimension of speaking frankly about the faults of others even at the risk of making others angry, and the technical dimension of discovering the appropriateness of speaking to the right person at the right time at the right time, that is, 'Kairos'. It is a form of speech in which dimensions are related together.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doing Parrhēsia begins not with the speaker, but with the signal of the listener, specifically, that the listener is ready and capable of hearing criticism of himself. The speaker must be sensitive to the signal and transform the discourse to suit the listener. So Parrhēsia is not one-sided. Parrhēsia is a communication game between the subjects that can be effective when criticism is circulated only wh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show ‘Kairos’ skills with ‘favor’ towards each other. However, today's society mainly connects criticism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hurt and confines it with a negative mean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o Parrhēsia about that confinement. If the speaker self-censors criticism of others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the disadvantages that will return to him, and if the listener does not ask for or accept criticism out of fear of being hurt, then in the end we can not cross over and have no choice but to stay in the same place. Staying is safe, but it doesn't give you the pleasure of freedom to head to a new place.

      • KCI등재

        파레시아(parrêsia)의 주체로서의 인물과 소설교육적 가능성-학교소설을 중심으로-

        홍인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2

        Purpose: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s as the subjects of parrêsia by applying the concept of parrêsia to the power relations of school story,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novel education through characters. Methods:After examining Foucault’s theory of subjectivation and the discussion of parrêsia, I selected “For my younger brother” and “Old Road to Gangneung” as an analysis object. The analysis categories were set to ‘resistance to power and subjectivation as self-creation’, ‘support of facilitators for the practice of parrêsia’, and ‘parrêsia to advance into self-care’. Results:The practice shown by the character as a parrêsiast was manifested as active utterances and acts of resistance without utterances, and I identified the minor characters who were facilitators and practitioners, and confirmed the pattern of self-care from parrêsia to reflection. The analysis can be proposed as a novel education model, firstly, to confirm the composition of the characters and to understand whether or not parrêsia is practiced, secondly, to self-reflection on practice of parrêsia, and third, to reread through criticism of parrêsia. Conclusion:This study discussed that learned readers can read novels critically and reflectively through attention to the character who practice parrêsia in school story. 목적:이 연구는 학교소설의 권력관계에 대해 파레시아 개념을 적용하여 파레시아의 주체로서의 인물을 분석하고, 인물을 통한 소설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방법:푸코의 주체화 이론 및 파레시아 논의를 살피고, 분석대상으로 「아우를 위하여」와 「강릉 가는 옛길」을 선정하였다. 분석범주는 ‘권력에의 저항과 자기생성으로서의 주체화’, ‘파레시아의 실천을 위한 조력자의 지원’, ‘자기 배려로 나아가는 파레시아’로 설정하였다. 결과:파레시아스트로서의 인물이 보인 실천은 적극적 발화행위와 발화 없는 저항행동으로 나타났으며, 조력자이자 파레시아의 실천가인 주변인물을 파악하였고, 파레시아에서 성찰로 나아가는 자기배려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소설교육의 단계로 구체화시키면 첫째, 인물 구도의 확인 및 파레시아의 실천 여부 파악, 둘째, 파레시아 실천에 대한 자기 성찰, 셋째, 파레시아 비판을 통한 다시 읽기로 제안할 수 있다. 결론:이 연구는 학교소설에서 파레시아를 실천하는 인물에 대한 주목을 통해 학습독자의 비판적․성찰적 소설 읽기가 가능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설득을 위한 에토스(Ēthos)와 파레시아(Parrhēsia)의 관계

        곽은성 한국수사학회 2022 수사학 Vol.- No.43

        이 글의 목적은 에스드라서의 「세 보디가드 이야기」를 중심으로 수사학의 에토스(Ēthos)와 파레시아(Parrhesia)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다. 플라톤과 푸코는 진실과는 상관없이 설득만을 목표로 하는 수사학을 비판했다. 이 두 비판의 핵심은 진실보다는 설득을 우선시하는 화자의 에토스에 있다. 즉 진실과 수사학의 설득 수단 중에 하나인 에토스의 관계는 대척점에 있는 듯이 보인다. 하지만 그 관계가 그리 대립적이지 않을 수도 있음을 더 나아가 상호보완적 관계 일수도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원전 2세기에 작성된 에스드라서의 「세 보디가드 이야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 보디가드 이야기」는 이 세상에서 가장 우월한 것이 무엇인지 연설하고 설득하는 수사(修辭) 경연 대회로 구성되어 있다. 세 보디가드는 각각 ‘와인’, ‘왕’, ‘여자와 진리’를 주제로 과시용 연설을 펼친다. 이 중에 마지막 보디가드인 조로바벨의 두 과시용 연설을 통해 드러나는 그의 에토스를 고대 그리스와 헬레니즘 시대에 각각 사용되던 파레시아의 의미와 비교하고, 파레시아가 조로바벨의 에토스에 내포되어 있음을 밝힐 것이다. 또한, 푸코가 말한 고대 그리스의 파레시아 특성들과 비교해, 「세 보디가드 이야기」 속에 수사와 파레시아가 공존하고 더 나아가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음을 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수사학의 유용성과 비교하여, 「세 보디가드 이야기」에 함축되어 있는 설득을 위한 에토스와 파레시아의 긍정적 관계와 그의 유익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진실, 비판 그리고 저항 : ‘양심선언’부터 ‘소셜 네트워크 진실 발언’까지

        김예란(Yer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4

        이 글은 진실을 지향하는 윤리와 정치를 ‘진실 실천’이라는 개념 아래, 비판과 저항의 관계 속에서 조망한다. 진실, 비판, 저항의 논의들을 검토하며 그 주체적 실천의 형태로서 파레시아를 주목한다. 그 이론적 바탕 위에서 한국 사회에서 진실 실천의 역사적 사례로서 ‘양심선언’운동 사례와 현재의 ‘소셜 네트워크 진실발언’을 분석한다. 197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군부독재정권의 권위주의 체제와 민주화시기를 거치며 양심선언운동에서 양심이라는 특정한 개념이 사회적으로 공유되며 진실의 윤리적 기준이며 민주주의 실행의 원리로 형성된 방식이 탐구되었다. 이어 현재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대중의 삶 안에 보편화된 진실 발언 현상에 주목하여 사적 개인들이 네트워크화된 공개적 형태로 전개하게 되는 진실 실천이 가지는 특징을 해석했다. 양심선언이 윤리적 경로(반성과 양심의 회복)를 통한 정치적 목표를 추구한다면, 소셜 네트워크의 진실 발언은 정치적 제도에 기반을 두어 윤리적 목표(관계와 권리 창출)를 추구한다. 전자를 ‘정치적 파레시아’로, 후자를 ‘윤리적 파레시아’로 부를 수 있다. 전자가 폭압적인 정치체제에서 ‘자유’를 진실의 가치로 제시한다면, 후자는 이미 자유가 통치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평등’을 진실의 가치로 제시한다. 또한 전자가 정치 변화를 통한 개인의 양심의 회복, 즉 구원을 추구한다면 후자는 개인의 존엄성 회복을 통한 사회 변화를 도모한다. 이 같은 차이점들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진실 실천은 자신을 급진적으로 변형하는 윤리적 가치와 권력에 대한 비판으로 수행되는 정치적 가치를 동시에, 공통적으로 내재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a politico-ethics in relation to truth with the concept of practice of truth. My discussion is based on Michel Foucault’s and others’ theories on truth, critique and resistance. In Korean context, conscience manifestoes and truth enunciation on social network are analysed. The former was ignited under military despotism in the 1970s-early 90s, and the latter has recently emerged and become prevalent in the present biopolitical regime. Conscience manifestoes are conceptualised as political parrhesia and truth enunciations on social network as ethical parrhesia. The one is characterised to pursue political freedom by the means of the realisation of political objective and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dom, while the latter to pursue ethical values related to relation and right, on the basis of governmental rationality. Despite of such differences, the both share the ethico-political values underlined with self-formation and critique of power.

      • KCI등재

        엘리엇의 형이상학적 기상과 푸코의 파레시아: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의 심리적 독백

        김대영 한국T.S.엘리엇학회 2018 T.S. 엘리엇 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의 심리적 독백을 푸코의 파레시아 개념으로 접근하여 인류보편적인 도덕적 삶의 양태를 포착하려한다. 진실에 대하여 실천적으로 접근한 푸코의 파레시아는 자기의식 지도라는 측면에서 자기비판의 개념을 포함한다. 특히 나카야마 겐은 기독교 역사에서 파레시아가 가지는 의미로 중간적인 로고스적 인간상을 추구하게 한다고 지적한다. 즉 기독교가 초월적 사랑을 이상적으로 추구하지만, 현실적으로 차선의 방안으로 윤리적인 결혼을 제시하곤 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는 극단적인 두 사랑, 이드와 초자아개념을 형이상학적 기상과 같이 결합하고, 양자 사이의 윤리적 삶의 양태를 고민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엘리엇의 심리적 독백을 사고실험으로 간주하고, 그가 인간의 도덕적 삶의 한 양태로 극단적 개념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실을 추구하는 것임을 규명한다.

      • KCI등재

        철학은 어떻게 비판이 되었는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철학적 파레시아에 대한 푸코의 고찰

        박수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 Vol.83 No.-

        Foucault suggests that political parrēsia as a practical principle of Athenian democrac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hilosophical ethics in the works of Plato. He reconstructs the changes that this shift effected in the practice and discourse of philosophy in his 1983 and 1984 Collége de France lectures. This paper conducts a survey of his interpretation of (1) Socrates’ Apology, Laches and Phaedo, to draw out what he represents as a Socratic form of parrēsia, and (2) Seventh Letter to draw out what he represents as a Platonic form of parrēsia. Foucault’s reconstruction of Socratic and Platonic philosophy as a practice of parrēsia effectively demonstrates Foucault’s own idea of the necessary relation between truth and liberty in his own philosophical practice. This effect is brought forth by Foucault’s restoration of the ancient philosophy conceived and lived as a form of life that is devoted to epimeleia heautou (care of self in relation to truth), as well as his consistent reliance on the Nietzschean notion of truth and power. 푸코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에서 발견하는 소크라테스적 삶의 태도와 플라톤적 지적 수련의 방법을 ‘파레시아’ 개념을 통해서 독창적으로 재해석하여, 자신이 서양 철학 전통의 양대 줄기로 제시하는 진실의 분석학과 비판 중 후자, 즉 비판으로서의 철학의 계보학적 시점(始點)을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찾는다. 플라톤의 저작들을 ‘파레시아의 철학화’, 혹은 비판으로서의 철학이라는 삶의 방식에 관한 사유가 발생하는 사건의 장으로 읽는 푸코의 독해는 (1) 고전기 아테네의 정치적 파레시아를 ‘진실의 용기’로 재규정하는 독창적 시도, (2) 진실의 용기를 고대 철학의 ‘자기 배려’ 윤리의 맥락에 위치지우는 분석의 관점, (3) 진실, 권력, 주체에 대한 특유의 니체적 관점의 고수를 포괄하는 입체적 구조를 갖고 있다. 푸코의 플라톤 독해의 입체성에 세심히 주목할 때, 푸코가 제시하는 파레시아 윤리가 ‘철학적 비판’의 이름으로, 우리의 역사적 현재에 대한 성찰을 통해 지금과 다른 사유와 행동을 생산할 수 있는, 창조적 저항의 삶을 호출하고 있다는 점이 보다 분명해진다. 이는 의무나 본질이 아닌 자유의 활용에 대한 하나의 제안이다.

      • KCI등재

        민주정치와 말의 자유, 그리고 진실의 철학

        황옥자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8 No.2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 of post-truth, which dominates modern politics, as the result of distorted perception or interpretation of 'freedom of speech'.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track the political philosophical meaning of 'free speech' through Plato and Foucault's concept of parrhesia. 본 연구는 현대정치와 여론을 장악하고 있는 탈진실의 문제가 사실상 ‘말의 자유’에 관한 왜곡된 인식 혹은 해석의 결과로 보면서, 이 논의의 중심에 놓여진 푸코의 파레시아 개념을 통해 ‘자유롭게 말하기’의 철학적 의미를 추적해본다. 푸코의 파레시아 개념에 관한 이 글의 해석은 아테네 민주정을 파레시아 위기로 규정한 푸코의 진단은 맞았지만, 그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된 철학적 파레시아의 개념은 지나치게 엄격하기에 실천적 의미를 갖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한다. 자유롭게 말한다는 것은 푸코가 지적하는 것처럼 자기검토를 통한 윤리적 엄밀함보다는 민주정치에서 ‘옳은 의견’을 제시한다는 것을 포함하는 소위 플라톤적 단서에 의해 보다 정확히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을 통해 이 글은 진실-말하기가 철학과 정치의 넘나듦을 통한 비판의 복원에 중심을 두고, ‘옳은 말’을 할 수 있는 민주시민(화자의 윤리)과 동시에 그것을 알아차릴 수 민주시민(청자의 윤리)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미셸 푸코의 파레시아 담론과 신약성서의 파레시아 - 사도행전의 파레시아를 중심으로 -

        김재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

        This article attempts to reinterpret parrhesia i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by considering the discourse on parrhesia newly aroused by Michel Foucault.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re-emphasized the concept of parrhesia in his later years. Foucault explored the genealogy of Parrhesia from ancient Greek democracy to modern biopolitics. Foucault explained parrhesia in terms of politics, education, friendship, and self-care. This article is about parresia in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erms of the politics of the kingdom of God,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of the Bible, solidarity with the people of the kingdom (friendship), and fidelity of faith in God and Jesus Christ (self-care).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the nuances of honesty and sincerity are newly highlighted in the parrhesia of Act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Christianity in the era of post-truth must become a parrhesian church.

      • KCI등재

        현대사회의 파레시아(Parrhesia)의 특징과 그 실현 가능성 탐색

        윤민재 한국사회역사학회 2018 담론 201 Vol.21 No.2

        파레시아(parrhesia)는 자아실현, 진실 찾기, 민주주의의 실현의 문제와 연관하여 설명될 수 있는 개념이다. 단순히 말하면 파레시아는 진실말하기이다. 진실말하기는 누가 진실을 말할 수 있는가, 무엇에 관해 말하는가, 그 결과는 무엇인가, 권력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들을 포함한 언술행위이다. 파레시아는 실천과 행동의 문제이자 화자와 청자 간의 대면 접촉의 문제다. 또한 인간들의 사회적, 공동체적, 정치적 관계의 문제다. 그러므로 파레시아는 단순히 개인의 발화만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적인 토대의 문제인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권력에 대하여 끊임없이 질문하는 것과 그 질문에 대해 진지하게 리스닝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신자유주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파레시아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의 극복을 위해서는 다양한 해법이 모색되어야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차원과 정치적 차원의 방법을 모색하였다. 파레시아의 실천은 권력으로부터의 자유와 독립, 평등, 좋은 시민과 공동체를 필요로 한다. Parrhesia is the concept that a privilege of speaking and freedom can be explained in related to the question of human self-realization, truth seeking, and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Parrhesia is a truth speaking. Truth Speaking is a speech act involving questions about who can tell the truth, what it is about, what the outcome is, what is the relationship with power. Parrhesia is not limited to the speaker-listener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s, but leads to revealing wide range of the hidden concerning communities, society as a whole, the truth speaking of a state, the construction of truth, and the actual practice of the truth. However, it is facing a crisis as modern societies enter especially the neoliberal era. We assume that a variety of solutions should be sought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but this research focus on solutions in both the social and political perspective respectively. Practicing Parrhesia requires freedom from power, independence, equality, decent citizens and a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