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득을 위한 에토스(Ēthos)와 파레시아(Parrhēsia)의 관계

        곽은성 한국수사학회 2022 수사학 Vol.- No.43

        이 글의 목적은 에스드라서의 「세 보디가드 이야기」를 중심으로 수사학의 에토스(Ēthos)와 파레시아(Parrhesia)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다. 플라톤과 푸코는 진실과는 상관없이 설득만을 목표로 하는 수사학을 비판했다. 이 두 비판의 핵심은 진실보다는 설득을 우선시하는 화자의 에토스에 있다. 즉 진실과 수사학의 설득 수단 중에 하나인 에토스의 관계는 대척점에 있는 듯이 보인다. 하지만 그 관계가 그리 대립적이지 않을 수도 있음을 더 나아가 상호보완적 관계 일수도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원전 2세기에 작성된 에스드라서의 「세 보디가드 이야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 보디가드 이야기」는 이 세상에서 가장 우월한 것이 무엇인지 연설하고 설득하는 수사(修辭) 경연 대회로 구성되어 있다. 세 보디가드는 각각 ‘와인’, ‘왕’, ‘여자와 진리’를 주제로 과시용 연설을 펼친다. 이 중에 마지막 보디가드인 조로바벨의 두 과시용 연설을 통해 드러나는 그의 에토스를 고대 그리스와 헬레니즘 시대에 각각 사용되던 파레시아의 의미와 비교하고, 파레시아가 조로바벨의 에토스에 내포되어 있음을 밝힐 것이다. 또한, 푸코가 말한 고대 그리스의 파레시아 특성들과 비교해, 「세 보디가드 이야기」 속에 수사와 파레시아가 공존하고 더 나아가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음을 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수사학의 유용성과 비교하여, 「세 보디가드 이야기」에 함축되어 있는 설득을 위한 에토스와 파레시아의 긍정적 관계와 그의 유익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출애굽기 21:12-14과 함무라비207조의 살인죄에 관한 법의 상관성과 그 의미

        곽은성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3 구약논집 Vol.25 No.-

        1903년 프리드리히 델리취의 ‘Babel und Bibel’(바벨탑과 바이블) 강연으로 인해 고대 이스라엘과 고대 근동의 언어,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특히 1901년에 발견된 함무라비 법전(the Law of Hammurabi)과 언약 법전(Covenant Code: 출 20:23-23:19) 사이의 유사성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는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최근 라이트(David P. Wright)는 언약 법전이 함무라비 법전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출애굽기 21:12-14와 함무라비 207조의 살인죄에 관한 법에 초점을 맞추어 두 법전 사이의 상관성과 그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먼저 두 법전의 살인죄에 대한 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관찰하고 이 점들을 고대 근동의 다른 민족의 살인죄에 관한 법들과 비교할 것이다. 두 법전 사이의 유사한 점이 고대 근동의 타민족의 살인죄에 대한 법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밝히고, 두 법전 사이의 유사한 점이 의미하는 바가 언약 법전이 함무라비 법전에 대한 직접적인 의존이라고 하기 보다는 고대 근동의 공통된 문화 혹은 관습법에 의한 것임을 강조할 것이다. 언약 법전이 함무라비 법전으로부터 구별되는 점이 의도치 않은 살인죄에 대한 처벌인데, 민수기 35장과 신명기 19장에 등장하는 의도치 않은 살인을 한 자의 보호를 위해 피할 수 있는 장소(מקום)를 마련하는 법과 관련하여 구약성서에 의도치 않은 살인죄에 대한 처벌에 일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이러한 독특한 구약 성서의 살인죄에 대한 이해는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에 기초한 ‘피’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있음을 논할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 부분이 다른 함무라비 법전 뿐만 아니라 다른 고대 근동의 법과도 차이가 나는 언약 법전의 독특한 신학임을 피력할 것이다. 이를 근거로 언약 법전이 함무라비 법전에 대한 직접적인 의존성을 입증 할 수 없음을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세 보디가드 이야기 최근 연구동향

        곽은성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3 서양고대사연구 Vol.67 No.-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s contained in the book of 1 Esdras, which deals with the narrative of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1Esdras belongs to the Septuagint and consists of 2 Chronicles 35-36, Ezra 1-10, Nehemiah 7:72[73]-8:13a, and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t is classified as an apocryphal in Protestant circles, and is currently used as one of the deuterocanonical books only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Because the book itself is not widely known in Korean academia, the full text of Korean translation does not exist.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s a narrative in which Zerubbabel, who plays a major role in rebuilding the temple in the Book of Ezra, is the main character. Since the entir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s the story of Zerubbabel, a well-known figure in the Old Testament, there are quite a few interesting themes related to it. Why was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ncluded in 1 Esdras? What is the role of the story in consideration of the wider context of 1 Esdras? What is the message of the story? How can we understand the rhetorical and comedic features in the story?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story in relation to Chronicles, Ezra, and Nehemiah? In order to discuss these issues, first, an overview of the book of 1 Esdras and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are required. Therefore,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vide recent research trends for research on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before proceeding with various studies on the Story. In addition, I will suggest several research issues based on the study of recent research trends. Towards this purpose, in Chapter 2, I will lay out an overview of the genre, formation process, and date of the book of 1 Esdras. In Chapter 3, I will look at the structural analysis and main contents of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n Chapter 4, I will discuss various perspectives on the genre, language, formation process, and purpose of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n the last chapter, based on Chapters 2-4, I will discuss various research topics on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related to the Septuagint studies. This will contribute not only to Korean academia but also to international Septuagint academia.

      • KCI등재

        The Transmission of Interpretive Renderings in the Passover Law from LXX Pentateuch to LXX Chronicles

        곽은성 (재)대한성서공회 성경번역연구소 2022 성경원문연구 Vol.- No.51

        I aim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How was the Chronicles’ translator guided by LXX Pentateuch in translating the Passover description? In this question, I will first explicate some of my key presuppositions on the nature of LXX Chronicles, and outline a brief history of scholarship on the issue of the influence of LXX Pentateuch to the books translated later. Second, I will show the three exceptional renderings, which appear in the Passover description of LXX Pentateuch and LXX Chronicles, but are rare or do not appear in other LXX books. Then, I will demonstrate how three interpretive renderings in LXX Pentateuch were transmitted to LXX Chronicles – שׁחט and θύω in Exodus 12:21and 2 Chronicles 29 and 35, בשׁל and ὀπτάω in Deuteronomy 16:7 and 2 Chronicles 35:13, and עֵז and ἔριφος in Exodus 12:5 and 2 Chronicles 35:7. My argument is that these interpretive renderings in LXX Pentateuch and LXX Chronicles represent that the translator of the Chronicles was guided by LXX Pentateuch, and that he was thereby able to translate and deliver a more exact meaning of the law to his contemporaries. Third, I will demonstrate how this kind of transmission might have happened in regard to three hypotheses. While previous scholars understood that this transmission could have happened by the way of liturgical usage and the interlinear paradigm, I will include my suggestion that it might have happened as a result of the translator’s actual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temple ritual. I will point out that the purpose of building the temple of Onias in Leontopolis, Egypt may have been to keep and hold religious rituals and sacrifices. In this regard, I will argue that the translator of the Chronicles may likewise have been someone who had the identity of soldier-priest, who served at the temple in Leontopolis. This paper contributes to current studies of LXX Chronicles and the Septuagint by examining how the imitation of LXX Pentateuch renderings by later translators transmitted interpretations of certain texts. The reception of the exceptional and interpretative renderings in the Passover law of LXX Pentateuch demonstrates the reception of the hermeneutics of the Pentateuch’s translators. Furthermore, the translator, who dutifully served his contemporaries and later generations endeavoured to deliver and transmit what he considered to be the most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Passover sacrifice. The translator, who has received guidance in ways that I have described above may have intended to provide guidance to posterity himself. The later translator himself may have been quite conscious of these translational-interpretive transmission.

      • KCI등재

        ‘아자리야의 기도’

        곽은성(Un Sung Kwa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7

        다니엘서의 칠십인역 역본에는 마소라 본문 안에 포함되지 않은 세 개의 부록이 등장한다. 이 글의 목적은 이 부록들 중에 ‘아자리야의 기도’를 번역 및 이해하고, 이 기도의 목적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 있다. 공동번역 개정판을 통해 Th-단의 우리말 번역이 소개되었지만, OG-단의 우리말 번역은 여전히 필요해 보인다. 또한, 헬레니즘 시대에 이 기도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는 것 이 글의 목적 중 하나이기에, Th-단 보다는 저작 연대가 더 확실한 OG-단의 ‘아자리야의 기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치글러가 편집한 다니엘 칠십인역 편집본을 토대 ‘아자리야의 기도’ 의 원-칠십인역(OG-단)을 우리말로 번역하고 주해할 것이다. 이 기도는 다니엘서 뿐만 아니라 구약성서의 다른 본문 안에 있는 표현들을 많이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도에 나타난 여러 표현들을 다니엘 3장 본문 안에서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관계성(intertextuality)을 나타내는 다니엘서와 구약의 다른 본문을 통하여 이 기도를 주해하고, 문학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의 이해를 통해 이 기도는 통회하는 마음과 겸손한 심령의 기도를 희생 제사 대신 하나님께 올려드리고 그 기도를 받아주시길 청원하는 내용임을 밝힐 것이다. 즉 예배 양식에 있어서 희생 제사와 기도(희생 제사 없는)가 긴장 관계를 이루고 있는데, 이 관계를이 기도 안의 다니엘의 세 친구들의 에토스를 통해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이 기도의 문학적 이해를 넘어서서, 기원전 2세기경 헬레니즘 시대의 예루살렘, 쿰란, 디아스포라 유대인 공동체 가운데 희생 제사를 기도로 대체할만한 역사적 상황들이 존재했음을 밝히고, 이 기도가 이러한 과도기적 시점을 드러냄에 주목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아자리야의 기도’의 저자는 다니엘의 세 친구들의 기도를 통하여 기원전 2세기경 유대인들에 진정한 예배자의 에토스는 통회하는 마음과 겸손한 심령을 갖춘 자이며, 정의와 사랑을 이웃에게 행하는 자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한국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던지는 메시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The Septuagint version of the book of Daniel contains three appendices not found in the Masoretic text: ‘The Prayer of Azariah and The Song of the Three Young Men’, ‘Susanna’, and ‘Bell and the Dragon’. This article will focus on ‘the prayer of Azariah’ among these appendices. While, in the field of Korean Old Testament studies, the theme ‘prayer’ in the biblical texts has been continued, there seems to be a lack of research on prayer texts in the Apocrypha other than in the Old Testament. In addition, there is no Korean translation of the Old Greek version of ‘the prayer of Azariah’. In this circumstance, firstly, I will translate the Old Greek version of ‘the prayer of Azariah’ into Korean and comment on it. Because the prayer has an intertextual relationship with other texts of the Old Testament, I will examine the literary features of the prayer within Daniel 3, the book of Daniel, and other biblical texts. A distinct feature contained in this prayer is a petition that Azariah makes to God to receive the prayer of a contrite heart and humble spirit in lieu of sacrifice. This represents a tension between the practices of sacrifice and prayer (without sacrifice). I will examine how to resolve this tens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niel’s three friends in this prayer. Furthermore, I will investigate how this literary aspec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actual Jewish life in the Hellenistic period. In doing so, I will lay out the specific situations in which sacrifices could be replaced with prayer in the life of Jerusalem, Qumran, and the Diaspora Jewish communities, and present the case that this prayer reveals a transitional time which saw sacrifice replaced with prayer. In this process, I will argue that the purpose of this prayer is to convey a message about the true ethos of God’s covenantal people to the Jews in the Hellenistic period.

      • KCI등재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Translater of Chronicles

        Un Sung Kwak(곽은성) 한국구약학회 2020 구약논단 Vol.26 No.1

        본 연구는 역대기 번역가의 사회적 배경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역대기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기원전 2세기)에 거주하는 유대인에 의해 번역되었을 것이라는 의견에는 동의하지만, 역대기 번역가의 사회적 배경에 대해서는 어떠한 함의도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는 당연히 역대기 번역가의 사회적 배경을 유추할 수 있는 외부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번역상의 단어 선택에 있어서 역대기 번역가는 모세오경의 칠십인경의 영향을 받은 듯하고, 직역 형태의 번역 특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역대기 칠십인경의 특징은 역대기 번역가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단어 선택 성향을 밝히는 것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와 같은 특징이 역대기 번역가의 사회적 배경을 유추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즉, 모세오경에 사용되지 않은 단어를 역대기 번역가가 번역했을 경우, 그리고 그 번역이 직역형태가 아닌 의역 유형의 번역 형태라면, 더 나아가 역대기 번역가가 선택한 단어들에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다면, 이를 통해 역대기 번역가의 사회적 배경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저 역대기 번역가가 모세오경에 나타나지 않는 후기 성서히브리어 단어인 יחשׂ 를 역대기 번역가가 어떠한 단어들로 번역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יחשׂ 에 상응하는 단어들 중에, 의역 유형에 해당하는 세 단어 καταλοχισμός, ἐπιγονή, 그리고 συλλοχισμός의 의미를 칠십인경과 파피루스 문서들을 통해 고찰하고, 이 세 단어의 공통점이 역대기가 번역될 당시에 군인들이 사용했던 소시올렉트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συλλοχισμός는 병법에 국한되어 사용되었던 희소한 단어였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역대기 번역가의 독특한 단어 선택 성향은 역대기 번역가의 사회적 배경이 군인(용병)이었을 가능성을 유추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유대인들이 역대기가 번역될 당시 이집트에서 군인(용병)으로서 활동했다는 역사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역대기 번역가의 사회적 배경이 군인(용병)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