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학 기반의 쓰기 영역 텍스트 유형화 연구 -지속가능성 문해력의 개념을 근간으로

        김규훈 ( Kyoo Hoon Kim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이 연구는 생태학을 기반으로 국어교육의 쓰기 영역에서 텍스트의 유형을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기존의 쓰기 영역에 제시된 텍스트의 유형이 고정된 텍스트 유형화 논리에 의해 설정되어 있어, 학습자의 생태적 삶을 온전하게 다루는 실제적 쓰기 양상을 담을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하였다. 이를 극복하고자 쓰기 영역의 텍스트는 학습자와 그들이 처한 환경의 긴밀한 관계성과 총체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전제를 깔고, 쓰기 영역의 텍스트 유형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인간-언어-환경’의 관계성과 총체성을 논의한 학문이 바로 ‘생태학’이고 그 핵심 능력이 ‘지속가능성 문해력’이다. 이에 이 연구는 지속가능성 문해력을 근간에 둔 생태학 기반의 쓰기 영역 텍스트 유형화 논리를 마련하는 새로운 국어교육 텍스트 유형화 담론이다. 구체적으로, 지속가능성 문해력 기반 쓰기 능력을 고려한 텍스트의 성격은 다음 세 가지의 확장적 담론화를 꾀할 수 있다. ‘양식으로서의 텍스트’에서는 장르의 역동성에 대한 극대화, ‘전문 필자의 텍스트’에서는 이상적 필자의 텍스트 전략 현동화, ‘학생 필자의 텍스트’에서는 자기 삶의 텍스트 생산 강화, 특히 자기 성찰의 텍스트 생산이다.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유형화 논의에 집중하고자 ‘국어교육의 텍스트 유형화 기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국어교육의 텍스트 유형화는 ‘혼합적 유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혼합적 유형화의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궁극적으로 그러한 유형화 기준의 마련을 위해 ‘생태학적 언어 학습’의 ‘유도성’과 ‘창발’을 도입하였다. 지속가능성 문해력의 두 분면에 대한 유도성과 창발로 전이하여, ‘사회적 관계의 쓰기 텍스트’와 ‘존재적 인식의 쓰기 텍스트’로 쓰기 영역 텍스트 유형을 설정하였다. 이들 각각은 다시 세부 유형을 지니는데, 전자는 ‘언어 사용역의 쓰기’로서 ‘정보전달, 설득, 친교, 정서 표현 중심’, 후자는 ‘언어 향유의 쓰기’로서 ‘과거-현재, 현 존재, 현재-미래 초점’으로 나눌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ways to establish text typing of writing domai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ecology. It is originated with critical mind that an existing text type of writing domain could not include an authentic writing which deals with learners` ecological life, be-cause those text type has a fixed text typing logic. So this study has a premise that the text of writing domain closely re-lates to learners and their environment and maintains the wholeness, and the text typing of writing domain would be set by these premise. At this point, a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and wholeness is “ecology” and the core competence of ecology is “sustainability literacy”. It is a new attempt to establish text typing discour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is, the text typing logic based on ecology focusing sustainability literacy. Concretely, writing text features considered with writing competence focused on sustainability literacy follows those three expanded direc-tions. Maximization of the genre dynamics in “text as a mode”, actualiza-tion of text strategy by ideal writers in “text of professional writers”, em-phasizing text writing of a self-life, especially self-examination in “text of learner writers”.Followed by these facts, “the text typing standar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ould be critically considered for concentrating the text typ-ing discourse. As a result, the text typing standar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a “complex text typing”. But a standard of that complex text typing could be sincerely considered.Ultimately, to have those text typing standard, this study adopts two concepts of “ecological language learning”, “affordance” and “emer-gence”. And these two concepts connect to two faces of sustainability literacy, the text type of writing domain could be established, “writing text of social relationship” and “writing text of existing awareness”. These two types have subtypes, the former includes “information delivery, per-suasion, friendship, emotion expression” as “writing of register”, and the latter includes “past-present, present existence, present-future” as “writing of enjoyment”.

      • KCI등재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연구

        채규현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7 텍스트언어학 Vol.43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ex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For this purpose I used Textlinguistic analysis methods. In this analysis, I identified tex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ngnipsinmun≫ and tex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through analysis based on functional ‧ structural ‧ contextual criteri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ongnipsinmun≫ could be classified to three subdivision as Argumentative text, Descriptive text and Declarative text, And Editorials of ≪Dongnipsinmun≫ could be classified to three subdivision as Argumentative editorials of appeal function, Descriptive editorials of information function and Narrative editorials of emotion function. Especially, through analysis, we found that types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have distincti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we could find that Editorials of ≪Dongnipsinmun≫ had the first multi-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contributes to identify the type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also to underst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ditorial text of the period of enlighte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특징을 명확히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독립신문》 논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구조적·맥락적 기준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통해, 《독립신문》과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특징을 각각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독립신문》은 ‘논증형 텍스트’, ‘기술형 텍스트’, ‘선언적 텍스트’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독립신문》 논설은 호소기능의 ‘논증형 논설’, 제보기능의 ‘기술형 논설’, 감동기능의 ‘서사형 논설’ 유형으로 세부 분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분석을 통해 분류한 《독립신문》 논설의 이러한 세부 유형들은 구조적 특징에서도 각 유형별로 구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독립신문》 논설에 대한 텍스트유형론적 분석을 통해, 《독립신문》은 개화기 신문 최초로 다기능적 성격의 신문이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논의는 《독립신문》 논설뿐만 아니라 개화기 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적 특징을 이해하고, 개화기 신문들을 대상으로 한 텍스트유형론적 연구의 효용성을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어 교육용 텍스트 자료 유형에 대한 연구 -역대 교육과정 국어 고재를 중심으로-

        김혜정 ( Hye Jeong Kim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까지 교육과정 속에서 텍스트가 어떻게 인식되고 정착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속에서 텍스트 유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보았고, 간략하게나마 역대 국정 국어 교과서의 단원에 들어 있는 학습 제재로서의 텍스트 종류를 정리하여 텍스트 유형과 학습 제재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이론적으로는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도구로서 매개 관계라는 밀접한 관련 속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사실상 큰 관련성을 지니지 못했다. 이는 교과서 제재의 수준이나 적합성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주지하다시피, 제재로 사용된 텍스트들은 명문이자 고전으로서 교육적 가치를 충분히 지녔던 것이었다. 그러나 적어도 4차 교육과정기까지는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텍스트 유형과는 밀접한 관련을 맺지 못하고 독자적으로 `독본` 위주의 성격을 지녔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관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5차 교육과정부터 기능중심 교육과정이 강조되면서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에 따른 텍스트 종류들이 균등하게 배분되고, 비록 학습 제재로서 미흡한 점이 있었으나 각 교육 내용 영역에 맞는 텍스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교육과정에 제시한 텍스트 유형과 밀접한 관련을 맺기 시작한다. 텍스트 유형의 구분을 비교적 잘 따르고 있는 국어사용 영역의 경우, 6차 교육 과정부터 4가지 텍스트 유형이 제시되었고, 이에 따라 교과서의 제재들이 선정되었다. 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텍스트 유형과 종류들이 비교적 교과서에 잘 반영되었고 이로써 교육 내용과 교과서의 텍스트들이 상보적 관련성 속에서 유기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nges of Text-Types and Text-tokens in Korean Curriculums, in the textbooks of before curriculum and modern-curriculums. Curriculums and textbooks don`t have close relation from 1st curriculum to 4th curriculum, because text-types and text-tokens described in each curriculum aren`t properly reflected on materials in units of each textbooks. In the times of 1st-4th curriculum, there aren`t close relationships of Korean textbook-subject matter an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ir styles are most of `cannon` texts, called `Dokbon`, which mean `Reading`. But from 5th curriculum, text-types and text-tokens described in each curriculum properly reflected as materials according to domains of language-arts. According to establishment of modern curriculum, many text-tokens in 4 text-types become concrete and authentic. This shows a few features that; Unit-form of Textbook is developed more and more modernistic, and curriculum are contextualized with authentic language usages. In other words, text-types and text-tokens in Korean textbooks through 1~7th modern curriculums are developed systematically and modernly.

      • KCI등재

        학술논문의 독일어 요약에 나타난 변이유형 분석 II - 변이유형 ③의 의미를 중심으로

        여종문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8 No.-

        In diesem Aufsatz werden die Analyseeckdaten des Abweichungstyps ③ dargestellt: In der vorangegangenen Untersuchung wurde festgestellt, dass der quantitative Distributionsanteil des Abweichungstyps ③ 55.22%p betragt, wahrend die restlichen 6 Abweichungstypen insgesamt 44.78%p betragen. Unter I. werden die Zielsetzung und die Vorgehensweise der Untersuchung vorgestellt. Unter II. werden zuerst die Analysedaten des Abweichungstyps ③ der gesamten Beispieltexte untersucht. Dann wird die quantitative Tendenz definiert. Dabei wird anhand dieser quantitativen Daten beschrieben, aus welchen grammatischen Formen und aus welchem Vokabular der Abweichungstyp ③ besteht. Zusatzlich wird uberpruft, ob und wie das Untersuchungsresultat auf den Deutschunterricht und auf die Erstellung des Unterrichtsmaterials angewendet werden kann. Unter III. wird festgestellt, dass ein Lehrwerk, in dem sowohl die Bedeutung als auch die pragmatischen Anwendungen des einzelnen Wortes berucksichtigt werden, fur koreanische Deutschlernende erforderlich ist. 본 논의는 독일관련 우리말 논문의 ‘독문요약’에 나타난 언어적 변이유형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한 선행논의를 기반으로 한다.1) 그곳에서 생성된 자료들은 7개의 ‘변이유형’형태와 구분기준 그리고그들의 양적 분포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첫째, 변이유형 ①과 ③유형그리고 ④유형에 해당하는 3개의 변이유형이 전체 변이유형의 대다수(766/795)를 형성하고, 이들이 96.34%(27.04%+55.22%+14.08%)에 해당하는 양적 분포를 보이는 사실을 확인했다. 둘째, 분석된 텍스트샘플에 나타나는 총 15개의 변이유형과 변이유형조합 중에서 변이유형③이 단독으로 나오는 경우와 변이유형 ①과 함께 나오는 경우 그리고①, ④유형과 함께 나오는 경우가 전체 텍스트의 60.24%를 점유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셋째, 변이유형 ①의 형태-통사론적인 의미를 감안하면(여종문 2016b: 56), 전체텍스트에 나타나는 ③과 ④유형이 전체 변이유형의 중심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분석된 텍스트샘플 T1~T78에서2) ③유형은 단독으로 7개의 샘플에 나타나지만, ①유형과 함께는 22개 샘플에 나타난다. 변이유형 ③은 변이유형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3개의 샘플텍스트 그리고 변이유형 ①만이 나타나는 3개의 샘플텍스트 등 총 6개의 샘플텍스트를 제외한 72(/78)개의 분석텍스트 샘플에 나타난다. 이는 개별낱말과 연관된 변화유형인 ③ 유형이 전체텍스트에 나타나는 변이유형의 중심에 있음을 확인해준다. 아래 II.에서는 변이유형 ③의 구분 및 진단과정과 개선경향을 T16의예시를 통해 확인한 후, 이들이 개선되는 환경에서 어떤 낱말들과 연관되어 있고 또 이들이 어떤 분포를 보이는지를 관찰하기 위한 양적 자료를 생성한다. 이를 바탕으로 변이유형 ③의 언어적 특성들이 학교문법의 어느 부분과 관련이 있는지를 제시한다. 이를 근거로 독일어 수업에서 낱말과 관련된 내용을 제안한다.

      • KCI등재

        텍스트 유형(Text Types)이 영어 어휘 기억에 미치는 영향: 서사적 텍스트와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보경,어도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2

        텍스트 유형(text types)이 지닌 고유한 수사학적 구조와 특징이 학습자가 텍스트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학습자의 인지, 기억, 학습 방법,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어떤 텍스트 유형을 제공했을 때 더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실시해서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학습의 효과를 어휘 기억력과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비교분석 하였는데, 텍스트 유형에 따른 단·장기 어휘기억 회상량 비교는 독립표본검정(T검정)을 통해 그리고 텍스트 유형별 어휘 학습 결과는 이원배치 분산분석(2-Way ANOVA)을 통해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서사적 텍스트가 설명적 텍스트에 비해 단기 어휘 기억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장기 기억 측면에서 더 좋은 학습효과를 가져왔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어휘 능숙도가 낮은 경우 서사적 텍스트를 활용한 어휘 수업을 한 경우에 설명적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습한 경우보다 어휘 기억의 평균 차에 있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하위 학습자의 경우 서사적 텍스트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고르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텍스트 유형 기반 중등 영어 교육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교과서 및 교과 구성과 관련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search has confirmed that different text types position learners to use different processing skills and strategies, which results in different language acquisi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t effects of text types, narrative and expository as two distinctive genre types, on both short-term and long-term EFL vocabulary retention. 146 subjects read narrative vis-a-vis expository texts and recalled vocabularies in each text. 7 days separated the reading and the recall for each text. After finishing the reading, subjects were not allowed to return to it.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 ANOVA. The findings indicate that different text types bring about differences in vocabulary retention to high-achievers and low achievers respectively. Low achievers recalled more vocabularies from the narrative texts than they recalled from the expository texts.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instructional awareness and strategies, material design, and curriculum are discussed.

      • KCI등재

        문학텍스트의 구조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텍스트 구조의 유형화를 위한 시론

        김상현(Kim Sang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1

        강의 경험에 기초한 본 연구는 문학 텍스트의 이해가 왜 중요한지를 점검하면서, 대표적인 문학 텍스트 유형화를 시도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전화된 텍스트의 모범적 구조가 주로 19세기 문학, 특히 단편문학에 집중되어 있는 점을 기초로 하여, 본 논문은 텍스트의 외형적 구조 파악과 함께 이같은 구조 분석이 텍스트의 주제론 이해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접목되어 기능하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문학이론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출발점은 형식주의 (Russian formalism)의 모토인 ‘문학성’과 ‘문학의 내적 자율성’개념을 부분적으로 극복하고, 신비평 (New Criticism)이 반대하는 ‘의도적 오류’를 찬성하는 견지에 들어있다. 즉, 문학 텍스트 속에 숨어들어 있는 구조적 코드의 문제뿐만 아니라, 주제론적 연관성으로 보아도 문학 텍스트에는 작자의 의도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텍스트 구조 유형학이란 연구 주제가 가장 잘 어울리는 본 연구는 러시아 문학 텍스트의 발생학적 특징이 텍스트 연재의 전통에서 생성되었음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아울러 밝혀 둔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substantiate literary texts, but also to expound a new concept of typology of texts, mainly drawing upon short stories from the 19th Russian literature. To this end, this article places its focu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such as Russian Formalism and its one of most important concepts, literaturnost', and the so-called ‘'intentional fallacy’' coined and rejected by New Criticism. Beyond these theories'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literary texts, this attempt presents a sort of guideline through which both students and lecturer create and learn how literary texts might be interpreted different, more importantly have skill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ypical short stories in the classroom. Specifically,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 typology of structure of literary texts, dividing most of texts into those four groups: 1) type one - cycled structure (a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2) type two - folding screen or mirror structure, 3) type 3 - parallel structure, and 4) type 4 - semi-epilogue structure.

      • KCI등재

        동화의 텍스트 유형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의 비교

        윤진주(Youn Jinju),김미재(Kim Mijae),김영실(Kim Young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동화의 텍스트 유형에 따라 유아의 언어적 반응 유형과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세 유아 19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동화의 텍스트 유형은 서술적 텍스트, 반복적 텍스트, 정보전달 텍스트로 구분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동화책 읽기 녹음 및 테이프 수집과 전사, 그리고 자료 분석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언어적 반응 내용은 정보전달 텍스트에서 등장인물과 어휘에 대한 언어적 반응 내용이 반복적 텍스트에서는 장면에 대한 언어적 반응 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언어적 반응 유형은 정보전달 텍스트에서 정보적 언어 반응 유형이 서술적 텍스트에서는 개인적, 평가적 상상적 언어적 반응 유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 유형은 반복적 텍스트에서 내용에 대한 간접적 조언과 이야기 구조에 대한 조언이 정보전달 텍스트에서는 기술적인 면에 대한 언어적 조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verbal response and mothers' linguistic advice by the storybooks' text type.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analyzed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by using taped reading sessions during which three kinds of storybooks were read to th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5-year-old children of a kindergarten in M-city, Jeollanam-do, and their mothers. The storybook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the narrative text (The rainbow fish), the predictable text (We're Going 011 a Bear Hunt), and the informational text (Rainy Day, See You Again). The analysis tools were the criteria developed by Kang Eun-jin(1996) for the analysis of contents and types of verbal responses, and the criteria developed by Kim Mi-jae (2006) for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mothers' linguistic advi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a pilot study, the collection and transcription of recorded tapes, and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storybook type-related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verbal responses. In terms of content, the children responded most to characters and vocabularie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When the predictable text was read, the children showed the most response regarding scenes. As for the linguistic types, the children mostly showed informational response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whereas they showed personal, evaluative and imaginative response in the case of the narrative text.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orybook type-related differences in mother's linguistic advice. In the case of the predictable text, the mothers mostly gave advice regarding story structures, content and technical aspect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the mothers gave advice mostly about technical aspects.

      • 초등과학 교과서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과정 분석 -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

        서한나,신동훈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7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로 구성된 과학교과서를 읽을 때 겪는 인지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안구운동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구운동추적기법을 활용하여 기능별 텍스트 유형에 따른 과학 교과서 읽기 과정을 분석한다. 둘째, 과학학습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이 과학교과서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안구운동의 특징과 경향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교과서 텍스트를 목적 및 기능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텍스트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그 결과 과학교과서의 텍스트를 목적과 기능에 따라 안내텍스트, 설명텍스트, 자료텍스트, 활동텍스트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후 초등과학 교육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사전-사후검사지 및 각 교과서 차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 받았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은 학부모의 동의 및 자발적 참여 의사를 얻은 경기도 성남시소재 초등학교 3학년 23명(남 12명, 여 11명)학생으로 읽기 과제는 4학년 2학기 ‘식물의 생활’단원 중 5개의 차시에서 제시되었다. 실험은 예비과제 1개와 4개의 본 차시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은 사전-사후검사지 결과에 따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안구운동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응시율(%)을 분석했을 때, 상위집단 학생은 하위집단 학생에 비해 설명텍스트와 자료텍스트의 응시율이 높았다. 이는 상위집단 학생은 자료텍스트와 설명텍스트에 많은 정보가 있음을 인지하고, 읽기과정에서 주의를 기울여 해당 텍스트에서 정보를 얻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상위집단 학생들은 텍스트 간 상호작용이 두드러지며 양방향 일기를 통한 역동적이고 복잡한 인지적 과정을 보여주는 반면, 하위집단 학생의 경우 전체 텍스트 간 사이의 응시가 불규칙적이며, 분산되어 있고 상호작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하위집단 학생들의 정보처리 용량에 대한 제한으로 제시된 텍스트 중 몇 가지의 텍스트에만 선택적으로 주의를 주었기 때문이며, 그 이유는 하위집단 학생들의 인지적 부하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교사들의 텍스트 유형별 선호와 인식 연구 -"정보 텍스트"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순영 ( Soon Young Lee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이 논문은 ``정보 텍스트``에 초점을 맞추어서,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텍스트 유형별 선호와 인식을 탐구한 양적 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1) 텍스트 유형과 연계된 교사들의 독서 인식과 독서 활동, 2) 교과서 수록 텍스트(흥미도, 다양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평가, 3) 텍스트 유형별 난이도·흥미도·교육 비중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었다. 약 200명의 국어과와 타 교과 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181부의 설문지와 20명의 교사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교사들은 학교급이나 교과목을 막론하고 ``정보 텍스트``에 대한 선호나 인식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문제별로 결과를 정리하면, 교사들의 독서 목적에 대한 인식과 독서 활동은 인격 도야와 훈육, 개인적 만족을 위한 문학 중심의 ``교양 독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다독해야 하는 텍스트의 유형, 권장 도서나 국어 교과서의 제재 비중에 대한 인식도 문학 텍스트 중심인 것으로 밝혀졌다. 교과서의 제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평가는 흥미나 다양성 측면에서 대체로 부정적이었고, 국어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된 텍스트 유형으로는 1~3순위 모두 문학 텍스트가 지목되었다. 텍스트 유형별 난이도는 ``정보 텍스트``를 지칭하는 용어(비문학, 정보를 전달하는 글 등)에 따라서 교사들의 인식이 크게 달라지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독서 교육의 주체인 교사들(국어 교사 포함)의 장르 인식과 선호가 문학에 편중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국가·사회·시대에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용 텍스트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향후 ``정보 텍스트``와 관련된 연구와 교사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call for interest in information text in the field of reading and literacy. This paper investigated Korean teachers`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n text types, focusing on the issues of information text. This quantitative study examined 1)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urpose of reading, 2) their evaluations of textbook materials, and 3) their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n the levels of difficulties and motivation by text types. Data were collected from teacher survey and interview. This study found out that Korean teachers lack interest in information text, regardless of their subjects and school levels. Korean teachers perceived teaching reading or the purpose of reading as character training or discipline using literature works. They also showed strong literature-centered perceptions regarding text types in textbooks. One of interesting findings was that teachers` perception on text difficulty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names/terms of text types such as information text and nonfiction. Findings and discussions point out problems that teachers, main agents and practitioners of reading education, have constructed biased genre perceptions. Implications and ideas were suggested for further research in the relation of recent emphasis on information text in teaching reading at school.

      • KCI등재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 유형의 체계화 방안

        권태현 ( Tae Hyun Kwon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6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육의 텍스트 유형 연구가 언어 기능 영역의 특성에 따라 상향식으로 체계화될 필요가 있다고 보고, 텍스트언어학과 쓰기 및 인지 발달 이론, 원형 텍스트의 특성 연구 등을 참고하여 작문 교육에 적합한 텍스트 유형 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련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 유형의 체계화를 위해서는 언어 기능을 일차적 기준으로 하여 각 기능별 대표 텍스트와 세부텍스트를 선정하고, 필자의 인지(쓰기) 발달 수준에 따른 텍스트 위계화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글의 기능을 정보 전달, 설득, 친교, 정서 표현의 4가지로 구분하고, 각 기능별 대표 텍스트(설명문, 논설문, 서사문)와 세부 텍스트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인지 및 쓰기 발달 수준에 근거하여 연상적/수행적 단계(재생산, 구조화), 의사소통적 단계(재구조화), 통합적/반성적 단계(창의,생성, 대안제시)로 위계화한 텍스트 유형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텍스트 체계는 개별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 수정, 보완되어야 할 것이나, 텍스트의 기능과 인지 발달의 단계를 조직화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텍스트 유형의 선정과 배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systematization method of text types appropriate to writing education drawn reference from the text liguistics and writing,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in the way that the system of text types in Korean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rom the bottom-up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s of language. In this study, the fuctions of texts were classified into four of the informative, the argumentative, the intimate, the expressive. Next, representative and semi-representative texts were selected. These texts were also arranged in a hierarchy by the three stages of associative/performance writing(cognitive function of reproduction and organization) and communicative writing(reorganization) and unified/epistemic writing(originality and creation). The system of text types in this study should be evaluated and revised through the analysis of many texts but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more systematic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texts by engaging functions of text and the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