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직무자율성이 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내 · 외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문겸 대한지방자치학회 2015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4

        우리나라는 2012년 기준 1인당 노동생산성이 OECD에서 꼴찌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관련 삼성, LG, 유한킴벌리 등 주요기업에서는 조직구성원에게 직무자율성을 부여하여 조직효과성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자율성이 조직효과성과내·외재적 동기부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외재적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 내·외재적 동기부여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외재적 동기부여-내재적 동기부여-조직몰입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영향에서 내·외재적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데, 특이한 결과는 내재적 동기부여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면서 부분매개역할을 하고, 외재적 동기부여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완전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는 조직운영에 있어 외재적 동기부여 즉, 조건적 보상 등을 통해 조직구성원의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조건적 보상 등을 하여도 이런 것들이 내면의 동기부여를 통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이론적·실무적으로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먼저, 이론적 측면으로,기존의 많은 선행연구에서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에는 약한 영향을 미치고 직무만족에는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 직무자율성이 내·외재적 동기부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완전·부분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실무적측면에서는 조직운영에 있어 조직효과성 증대를 위해서는 직무자율성을 부여하여 조직구성원의 내·외재적 동기를 불러 일으켜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조직구성원들은 조건적 보상 등의 외재적 동기부여에 의해 조직효과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동기부여가 큰 영향력을 행사함으로 조직구성원의 내면의 동기를 일으킬 수 있는 정책등을 통해 조직구성원을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In 2012, the Republic of Korea's labor productivity per capita was ranked at thebottom of the list of OECD nations. Accordingly, key industry leaders in Korea, suchas Samsung, LG, and Yuhan-Kimberly have been trying to improve corporateeffectiveness by encouraging autonomous working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utonomous work on corporate effectiveness as well as internal and externalmotivation;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role of autonomous work as a catalyst. As a result, autonomous working had direct effect on internal and externalmotivation as well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order of extent of the effectsare as follows: external motivation, inter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t was statically insignificant. In addition, while autonomous working had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and worksatisfaction work as a catalyst. Surprising result was that internal motivation effects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rectly, and work as a partialcatalyst but external motivation could not directly influence work satisfaction and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as a perfect catalyst. This means that in runningan organization, motivation among members cant be brought up through compensation,but it is these factors that directly influence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commitment. The above results suggest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points. Fist in atheoretical perspective, while several preceding research argued a direct correlation ofinfluence between autonomous working and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commitment, this research shows that autonomous working only has a minimal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as no effect on work satisfaction. However, autonomous working has a significant influence in internal and externalmotivation and plays an intermediary role to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commitment either completely or partially. In a practical perspective, the researchshows that in operation of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imbue autonomous workingthereby invoking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in order to increase organizationaleffectiveness. Furthermore, this report points out that it is not by external motivationalfactors such as conditional rewarding but internal motivation of organizationalmembers that may greatly and directly have an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report suggests that organizations must handle their members with apolicy that may invoke their internal motivation.

      •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락현,양동민,김경수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조직몰입의 구성요소들을 규명하고,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공기업 연구원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조직몰입은 정서적몰입, 계속적몰입, 규범적몰입이라는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 변수들 중 과업상호의존성은 정서적 몰입, 역할명확성은 계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 직무스트레스는 규범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몰입의 세 가지 하위차원에 대한 직무특성 변수들의 영향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특성 변수들 중 과업상 호의존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의 상호작용효과는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서, 역할명확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정서적 몰입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개인-직무 적합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 몰입에 대한 모든 직무특성 변수들의 영향력이 개인-직무 적합성에 의해 조절되는 반면, 계속적 몰입에 있어서는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가 없으며 규범적 몰입에 있어서는 과업상호의존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영향력에 있어서만 개인-직무 적합성이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s moderating effect of personjob fit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from 40 researchers in public enterprise show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three fundamental components such as affective, continuance, normative commitmen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ask interdependence and affective commitment, role clarity and continuance, normative commitment, and job stress and normative commitment. Also result shows that personjob fit moderates the relationships all job characteristics between affective commitment, and task interdependence, job stress and normative commitment.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

        양동민,김락현,김경수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9 專門經營人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조직몰입의 구성요소들을 규명하고,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 개인-직무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위해 국내 공기업 연구원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조직몰입은 정서적몰입, 계속적몰입, 규범적몰입이라는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변수들 중 과업상호의존성은 정서적 몰입, 역할명확성은 계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 직무스트레스는 규범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몰입의 세 가지 하위차원에 대한 직무특성 변수들의 영향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특성 변수들 중 과업상호의존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의 상호작용효과는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서, 역할명확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정서적 몰입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개인-직무 적합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및 향후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직원의 직무특성이 새마을금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진배(Park Jin Bae),김영수(Yeong Soo Kim),김갑종(Kim Gap Jeong)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1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많은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연구자들은 개인과 조직을 연결할 수 있는 직무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 삶의 질을 높이고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조직 성과 극대화를 통한 조직발전과의 연계성에 대하여 항상 중요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시점 에서 볼 때 새마을금고 구성원의 직무를 통해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시도는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마을금고 조직을 대상으로 조직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 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새마을금고 직원 직무특성과 정서적, 지속적, 규범적 몰입으로 이루어진 조직몰입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그리고 실증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마을 금고의 조직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나타난 영향력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 규범적몰입의 세 가지 차원의 조직몰입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술다양성과 직무자율성으로 나타 났다. 즉, 업무수행 방법에 독립성과 자유를 주는 재량권이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구성원이 업무수행에 있어서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보다는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업무가 조직몰입에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특성요인중 직무자체의 의미를 결정해주는 요인인 과업 중요성과 본인의 직무수행을 통해 나타나는 성과에 대한 효과성의 정도를 알려주는 피드백시스템은 조직몰입에 관계가 없다고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새마을금고직원의 직무는 적어도 직무에 깊이 빠져들고 심리적 애착심을 갖고 직무에 대한 일체감을 가지려면 직무에 대한 자율성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직무재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As it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lots of earlier studies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how to assign job in a manner to improve individual workers bond with their organization, and they are also very concerned about how to improve individual people s quality of life, how to attain organizational goals and how to step up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erefore it s very worth doing to look into the job of Saemaul keumgo employees to boost the performance of their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characteristics of Saemaul keumgo employee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nvolving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ways of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aemaul keumgo in an effort to help ensur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diversity of skills and job autonomy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hat had an impact on all the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were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under the largest influence of discretionary power that meant to be given a free hand in job performance, and the factor that exerted the second larg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whether the job was simple and repetitive or called for diverse sorts of skills and knowledge. Out of the job characteristics, howe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nothing to do with task importance, which was a factor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 job itself, and the feedback system that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job performance wasn t link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either. The findings suggest that job redesign is required in order for Saemaul Keumgo employees to be totally dedicated to their job, and that job autonomy should take precedence over anything else in terms of job redesign.

      • KCI등재

        지방공무원 직무몰입의 효과분석

        김병규(金炳圭),윤기웅(尹紀雄),제갈돈(諸葛暾) 한국정부학회 2016 한국행정논집 Vol.28 No.2

        조직에서 인간의 행태에 관한 연구들에 의하면, 지방공무원들이 자신들의 직무에 대하여 심리적 확신을 가지지 못한다면 정부 기능의 운영에 심각한 손실을 유발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아마 자신들의 직무에 보다 강하게 몰입하는 지방공무원들은 그렇지 못한 공무원들과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반면 보다 높은 수준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느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일반 조직구성원들보다 경직된 환경에서 근무하는 지방공무원의 경우도 일반적인 가정에 부합하는지가 본 연구의 의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직무몰입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자료에 대한 다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직무몰입은 연구의 가정에서처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발견할 수 있었고, 직무몰입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지방정부에 대한 연구 및 실제를 위한 연구결과의 인사 관리적 차원에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 생활체육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특성 요인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인배(Park, In-Bae),고영완(Ko, Young-Wan) 대한검도학회 2019 대한검도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생활체육 태권도 지도자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태권도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특성의 집단별 차이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직무중요성, 직무다양성, 직무자율성과 직무정체성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형태에 따른 차이에서는 직무중요성, 직무자율성, 피드백 요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태권도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조직몰입의 집단별 차이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형태에 따른 차이에서는 정서적 몰입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에서는 정서적 몰입에서 경우 5년 이상, 1년 미만, 3년-5년, 1년-3년 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생활체육 태권도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집단별 차이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후생복지 요인에서 남녀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직위형태에 따른 차이에서는 발전가능성의 경우 정규직과 비정규직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1), 정규직 집단이 비정규직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경력에 따른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태권도지도자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직무특성과 직무몰입, 직무만족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체육 태권도지도자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다양성, 피드백, 직무중요성, 직무정체성, 직무자율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자율성, 직무다양성, 피드백, 직무정체성 순으로 나타났다. 규범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자율성, 직무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생활체육 태권도지도자의 직무특성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발전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다양성, 피드백, 직무자율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자율성, 직무다양성, 피드백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자율성과 직무다양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생복지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자율성 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aekwondo leaders. The sample of the study was Tae Kwon Do Instructor in Sport for All. Subjects(N=187) were selected by using the quota sampling technique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The data were recorded and analyzed using SPSS ver. 21.0 statistical program to do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heffe’s pos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job importance, job diversity, job autonomy and job importance, and feedback factors in the differences of job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aekwondo leaders in Sport for All(p<.001).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 specific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aekwondo leaders in Sport for All(p<.001).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welfare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aekwondo leaders in Sport for All s (p<.001).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aekwondo leaders in Sport for All. Fifth, the job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leaders in Sport for All have a partial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persistent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Sixth, the job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leader in Sport for All showed some effects on developmental potentia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 분석 : 경상북도 시․군을 중심으로

        이수창,이환범 대한지방자치학회 2008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에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능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환류를 정부조직의 직무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을 측정변수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행정조직문화는 위계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그리고 발전문화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조직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에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행정조직문화가 정부조직의 직무특성과 공무원의 조직몰입 간에 조절변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직문화 유형 중에서 위계문화는 직무특성과 상호작용 시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리문화, 집단문화, 발전문화는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발전문화는 다른 행정조직문화 유형에 비해 조절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직무특성 중에서 자율성은 모든 본 연구는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에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능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환류를 정부조직의 직무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을 측정 변수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행정조직문화는 위계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그리고 발전문화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조직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에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행정조직문화가 정부조직의 직무특성과 공무원의 조직몰입 간에 조절변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직문화 유형 중에서 위계문화는 직무특성과 상호작용 시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리문화, 집단문화, 발전문화는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발전문화는 다른 행정조직문화 유형에 비해 조절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직무특성 중에서 자율성은 모든 행정조직 문화와 상호작용하여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s a survey questionnaire to evaluate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40-item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300 public employees in Gyeongbuk province. The research data are analyzed using three statistical method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plays a role as moder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ierarchical culture, however, ha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직무몰입에 대한 직무 상황 및 개인적 특성의 영향

        배병룡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조직내 개인들이 자신의 직무에 몰입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변수들의 영향을 받는지에 관해 경험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영향요인들은 의사결정참여, 공개적 토론, 집단만족, 집단신뢰, 역할모호성, 공식화, 왜곡된 의사전달 등 직무상황 요인들이다. 아울러 인구사회경제적 변수인 성, 연령, 학력, 근무연수, 직위 등의 차이에 따라 직무 몰입에서 차이가 나는가를 검증하였다. 그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몰입과 공식화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의사결정 참여와 집단 만족은 직무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모호성은 직무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설과는 정반대의 결과로서 차후의 연구에서 더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남성이 여성보다 직무 물입 정도가 약간 높고, 다섯째, 50대 연령층의 직무 몰입 정도가 다른 연령층들의 직무 몰입 정도 보다 높다. 여섯째, 대학원 이상의 직무몰입 정도가 가장 높고, 일곱째, 근무연수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 보다 대체로 직무 몰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직위가 높은 자일수록 직무에 더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에 의한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몰입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공식화 수준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고, 둘째, 참여적 의사결정을 촉진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구성원들이 부서에서 만족을 느끼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직원의 직무특성이 새마을금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수(Yeong Soo Kim)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2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많은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연구자들은 개인과 조직을 연결할 수 있는 직무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 삶의 질을 높이고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조직성과 극대화를 통한 조직발전과의 연계성에 대하여 항상 중요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시점에서볼 때 새마을금고 구성원의 직무를 통해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시도는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된다고 할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마을금고 조직을 대상으로 조직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새마을금고 직원 직무특성과 정서적, 지속적, 규범적 몰입으로 이루어진 조직몰입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그리고 실증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마을금고의 조직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나타난 영향력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 규범적몰입의세 가지 차원의 조직몰입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술다양성과 직무자율성으로 나타났다. 즉, 업무수행 방법에 독립성과 자유를 주는 재량권이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조직구성원이 업무수행에 있어서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보다는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업무가 조직몰입에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특성요인 중 직무자체의 의미를 결정해주는 요인인 과업 중요성과 본인의 직무수행을 통해 나타나는 성과에 대한 효과성의 정도를 알려주는 피드백시스템은 조직몰입에 관계가 없다고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새마 을금고직원의 직무는 적어도 직무에 깊이 빠져들고 심리적 애착심을 갖고 직무에 대한 일체감을 가지려면 직무에 대한 자율성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직무재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As it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lots of earlier studies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how to assign job in a manner to improve individual workers bond with their organization, and they are also very concerned about how to improve individual people s quality of life, how to attain organizational goals and how to step up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erefore it s very worth doing to look into the job of SaemaulKeumgo employees to boost the performance of their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characteristics of SaemaulKeumgo employees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nvolving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ways of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aemaul keumgo in an effort to help ensur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diversity of skills and job autonomy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hat had an impact on all the thre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were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under the largest influence of discretionary power that meant to be given a free hand in job performance, and the factor that exerted the second larg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whether the job was simple and repetitive or called for diverse sorts of skills and knowledge. Out of the job characteristics, howe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nothing to do with task importance, which was a factor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 job itself, and the feedback system that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job performance wasn t link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either. The findings suggest that job redesign is required in order for SaemaulKeumgo employees to be totally dedicated to their job, and that job autonomy should take precedence over anything else in terms of job re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