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지식 기반 창작자원 서비스 활성화 방안

        최희수(Choi, Hee-Soo)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6

        이 글의 목적은 인문지식 창작자원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인문지식분야는 그 자체가 매우 전문적이며, 장기간의 지식 축적이 필요한 분야이다. 그 때문에 일반대중들에게 쉽게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국가 주도로 구축된 인문지식 정보서비스는 지난 15년간 몇 단계의 과정을 거쳐왔다. 단계별 변화 추이는 보존에서 활용으로, 전문가 중심에서 일반대중 중심으로, 자료의 체계적 구조화에서 지능형 정보서비스로 전개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인문지식이 갖는 특징을 반영한 서비스의 구성과 사용자의 명확화 및 사용자 수요에 대한 분석 문제가 대두되었다. 최근 서비스를 개시한 한국국학진흥원의 스토리테마파크는 이같은 주요 사항들을 반영한 서비스로 주목된다. 첫째 사용자의 인문지식 수준을 감안하여 언어적, 문화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관련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맥락하에서 개별적인 자료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둘째,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서비스의 목적이 일치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대한 편의기능 제공과 아울러 다양한 사용자 참여 방식을 동시에 진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및 활용도를 제고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 이외에도 집단지성 방식이나 집단창작 지원 등을 통해 창작자원 서비스의 플랫폼화를 도모한다면, 인문지식 창작자원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Revitalization of Humanities creative resources services. Humanities is a very specialized field in itself, is a field that requires a long-term accumulation of knowledge. Therefore, the general public are difficult to easy access to the humanities. Humanities Information Services built with state-led has undergone a process of several steps over the past 15 years. It’s trends is has been deployed form preservation to utilization, from specialist to general mass, and from a systematic structuring of the data to an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s. The analysis problem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users and configuration of user demand for servic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with the humanities has emerged. The story theme park of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itiated the latest services reflect for these key points. First, the service was given the user’s Humanities level. As such, it provides a variety of relevant informations makes possible to understanding of linguistic, and cultural gap. And it allows users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data under the overall context. Second, it allows the object to be matched with the user’s demand service. To this end, it provides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and is going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users. The result is up the user’s satisfaction. Besides, this service is required i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r group creativity support. When the service platform is formed through this, Humanities creative resources services are expected to be active.

      • 디지털 시대의 인문콘텐츠 지식자원 구축을 위한 연구

        이정연 경기대학교 2009 시민인문학 Vol.16 No.-

        본 연구는 인문지식정보원에 대한 개념과 현재 이를 근간으로 응용되고 있는 인문콘텐츠 분야의 특성과 디지털 자원의 형식을 고찰해 보았다. 특히 학술적인 영역과 산업적인 영역의 디지털화된 인문콘텐츠정보를 분석하여 향후 디지털 인문콘텐츠 활용을 위한 설계 고려점을 제시해 보았다. 디지털 자원의 특성을 살리되 이용대상을 명확히 하는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분산체제형의 인문콘텐츠 구축이 필요하지만 상호 운영성 향상을 위한 표준 포맷 개발과 적용이 시급하다. 또한 다양한 정보검색을 위한 접근점을 제공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인문지식 기반 창작소재 서비스 모델 연구

        유동환(Yoo, Dong-Hwan)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6

        문화부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이야기산업’이 문화산업의 발전을 좌우하고, ‘이야기산업’의 발전은 인문정보와 같은 창작자원을 보다 많이, 보다 다양하게 공급받아야만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 아래 기존 국가나 공공기관이 구축한 인문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돌파구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2년 이후 국가가 진행한 다양한 창작자원 서비스들을 설계철학, 서비스형식, 분류체계 3가지 측면에서 콘텐츠 기획방법론을 가지고 검토하여 올바른 방향을 찾아보고자 한다. 대체로 창작자원 서비스들은 공통적으로 다른 전략과 목표를 가지고 구축한 다양하고 이질적인 인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서로 연계하여 창작자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다음 3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공급자 중심의 ‘보존’ 위주의 전략에서 창작자와 일반인들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활용’ 위주의 전략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되어야 한다. 둘째, 이야기산업 창작자원 서비스에 맞는 서비스 형식을 선택해야 한다. 창작자원의 효율적 유통을 지향하는 디지털리소스몰서비스, 도서관처럼 효율적인 검색을 지향하는 디지털라이브러리, 이야기 창작을 직접 지원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서비스 가운데 장점을 선별하여 설계해야 한다. 셋째, 기존 인문지식 데이터베이스는 학문적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분류체계를 제공한다. 하지만 새로운 서비스는 창작자들이 친근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유연한 분류체계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3가지 측면의 서비스전략 검토가 창작자들의 이야기 창작자원의 발굴과 콘텐츠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The Ministry of Culture has reported that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has depended on the "storytelling industry" since 2000 and pointed out that the "storytelling industry" needs the supply of more abundant and diverse creative resources such as humanities information for its development. Responding to those requirement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 efforts to find a breakthrough in the databases of humanities information built by the existing national or public agencies. This study thus set out to review a variety of creative resource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since 2012 with a content planning methodology in three aspects of design philosophy, service model, and classification system and find the right directions for them. Creative resource services in general have common goals of linking together diverse and heterogeneous databases of humanities information established under different strategies and objectives and providing a service for creators. They thus need to consider the three following aspects: First, there should be a paradigm shift from the supplier-centric, "preservation-oriented" strategy to the "utilization-oriented" strategy to meet the needs of creators and common people. Secondly, it is required to choose service models to accommodate the creative resource services of the storytelling industry. Design should be based on the assessment of benefits among the Digital Resource Mall Service, which is oriented toward the efficient distribution of creative resources, Digital Library, which is oriented toward efficient searches like libraries, and Digital Storytelling Service, which offers direct support for story writing. Finally, the old database of humanities knowledge provides a systematic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but a new service should be designed in a direction of providing a flexible classification system to which creators can have familiar and easy access. In short, a review of service strategies in those three aspects can facilitate the discovery of creative resources for stories and the utilization of content among creators.

      • KCI등재후보

        제주도 해양문화자원에 대한 도민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문순덕(Moon, Soon-Deok),김석윤(Kim, Seok-Yoon)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제주도는 섬지역으로서 해양문화자원이 풍부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은 편이므로, 제주 도민들이 지역의 해양자원을 공공자산으로 인식하고 그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해양문화자원에 대한 제주 도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확인해 보고, 해양문화자원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주도의 해양자원은 크게 자연자원, 인문자원, 산업자원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글에서는 인문자원만을 논의대상으로 삼았다. 해양인문자원은 역사자원, 생활자원, 문화콘텐츠로 분류하여 현황과 제주 도민들의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제주도의 해양문화는 역사성과 지역성을 바탕으로 형성된 자원들이지만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과거의 자원으로서가 아니라 미래 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높다고 인식한 결과이다. 이에 제주사회의 변화를 고려하여 제주도의 고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양문화자원의 가치를 귀중하게 인식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해양문화자원은 ‘이용의 대상이 아닌 공존’의 대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제주도 해양문화는 ‘제주 도민의 자긍심’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역별․ 연령별 인식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합당한 보존과 활용 방안을 마련하려면 해양문화자원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결국 제주도 해양문화자원의 보존과 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제주도의 정책 방향에도 반영되어야 한다. Jeju-do is an island and has high expectations to have rich marine culture resources. It is thu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for the residents of Jeju to view the region’s marine resources as public property and enhance its valu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Jeju residents on marine culture resources and proposes a novel method to newly recognize and utilize the value of marine culture resources. The marine resources of Jeju-do can be categorized broadly into the categories of natural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and industrial resources, but this study only discusses cultural resources. Marine culture resources were divided into historical resources, lifestyle resources, and cultural content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erception of Jeju residents. The marine cultures of Jeju-do are resources formed based on its histor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ut its gravity is heightening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is the result from the perception that there is high potential value as a future-oriented value, rather than resources of the past. Accordingly,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changes in the Jeju society for placing value on the marine culture resources in order to maintain the uniqueness of Jeju-do. Therefore, an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to recognize marine culture resources as a subject of ‘coexistence rather than use’ and it should be possible for Jeju’s marine culture to become the ‘pride of Jeju residents.’ Furtherm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per region and age group, while providing suitabl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all marine culture resources. In result,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spects of marine culture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policy directions of Jeju-do.

      • KCI등재

        페이샤오통(費孝通)의 만년(晩年) 인문사상에 관한소고(小考)

        구문규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5 No.-

        페이샤오통(費孝通 1910〜2005)은 만년에 인류문명의 공존, 문화 자각의 필요성, 중국문명의 인류사회에 대한 역할, 전통문화 속의 새로운 인문자원 찾기 등등의 인문 주제를 담은 글들을 발표했다. 본고에서는 그의 인문 담론에 대한 소개와 분석을 통해 그의 인문사상이 내포하고있는 가치 맥락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그가 학술생애를 통해 남긴업적들을 간략히 살펴봤고, 그의 인문사상에 나타난 문화가치관과 지향점들을 분석했다. 먼저, 그는 본토인류학에 원조적인 업적을 남겼고, 중국에 사회학의 기초를 확립하고, 사회학과를 재건하는 업적을 남겼다. 또한 학술 실천에 있어 중국 경제를 활성화시켰고, 인류의다원공존(多元共存)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이론화된 논의로 발전시켰다. 다음으로, 그는 중국문화의 특징과 인류의 다원공존에 공헌할 수 있는 바를 상호 관용과이해, 공유 등의 내용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문화 자각’을 통해 다원공존에 도움이 되는 전통들을 정련(精練)하고, 다른 문화와 함께 서로 장점은 취하고 단점을 메우는 가운데 모두가 수긍하는 인류 공존의 질서를 세워나갈 것을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전국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발전 전략들을 제시했고, 물질적 기초 위에대중들의 문화 소양을 높이고, 정신세계를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인문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와 함께 오랜 시간에 걸쳐 축적된 인문자원에 대한 자각과 활용을 통해 문화예술의 중흥을 견인하고, 문명 중국으로 나아가고자 했다. 페이샤오통은 세계 저명학회로부터 학술상을 수여받았고, 학술권위를 인정받은 학자이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앞으로 사회과학 연구자들의 그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연구성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During his over 70 years academic life, Feixiaotong(1910~2005) presented humanistic writings about human civilization’s coexistence, the necessity of cultural awareness, Chinese civilization’s role in human society, discovering new cultural resources in traditional culture, and many others. In this article, I tried to look over his humanism which contains value-in-context and signification by introducing and analyzing his humanistic discourses. To do this, I briefly looked into the achievements he left in his academic life and analyzed the cultural values in his humanism. First of all, he helped establish the mainland anthropology and set up the foundation of China’s sociology. In addition, he tired to activate Chinese economy with his academic endeavors and developed theories about various factors which could contribute to human plural coexistence. Next, he explained the Chinese cultural features and the things which could do much for human plural coexistence through the mutual tolerance, understanding, and sharing. He also emphasized that the traditions which are helpful for human plural coexistence should be refined through cultural awareness and that the order of human coexistence should be established, by accepting strong points and complementing weak points with other cultures. Lastly, he suggested the development strategies designed to fore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gions and highlighted the increase of public’s cultural knowledge upon the material foundation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to enrich the mental world. He tried to revive the culture and art, going forward into the civilized China by self-awareness and an application of human resources accumulated over a long time with it. Although Feixiaotong was given academic awards by numerous academic associations and recognized as an authority around the world, studies on his research is relatively tenuous in Korea. I look forward to seeing more systematic and specialized researches on Feixiaotong by Korean social science researchers.

      • KCI등재

        인문학자의 정보자원 이용에 관한 연구

        윤정옥 한국정보관리학회 2009 정보관리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of the humanities scholars in Korea and suggest the strategic planning of academic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to serve their needs. To collect data, a mail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November 2007 through January 2008. Out of 799 humanities scholars sampled from 25 universities, 132 responded with the completion rate of 16%.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humanities scholars distribute their time equally to research and education, and conduct independent research. Second, they still largely depend on print resources, including scholarly journals, books, and manuscripts for getting information, while using some online information resource mostly in text such as electronic documents and journals. They expect that the frequency of using such print resources would not decline much, but the use of online resources could definitely increase in the next five years. Some variances in the behavior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 of scholars according to their research experiences. It is suggested that academic libraries (1) conduct more active outreach, (2) prioritize between traditional and electronic resources, (3) pla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traditional resources.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인문학자들이 최근 학술정보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직면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현재 어떤 정보자원을 이용하고 중요하다고 여기며, 앞으로 오년 동안 이용 빈도의 변화를 어떻게 전망하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인문학자들의 정보자원 이용행태의 현상과 변화에 관한 전망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대학도서관들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스물다섯 개 대학 소속 인문학 분야 교수 중 799명을 표본으로 확정한 후,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월 사이 우편 서베이를 실시하여, 모두 132개의 분석 가능한 설문을 수집하였다. 서베이 응답자들은 대체로 연구와 교육에 균등한 시간을 배분하며, 대부분 단독연구를 수행하는 독자적 연구행태를 보였다. 책과 인쇄학술지(심사)로 대표되는 전통적 자원의 현재 이용 빈도 및 중요성의 인식도가 절대적으로 높았으나, 전자원문, 전자학술지 등 텍스트 형태의 전자자원에 대한 의존도 또한 높았고, 향후 오년 동안 그 이용 빈도는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인문학자들 가운데 신진연구자, 중견연구자 및 최고경력자 집단 사이에 정보자원의 이용 행태 면에서 다소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대학도서관은 인문학자들을 위해 (1) 보다 적극적인 “아웃리치(Outreach)” 수행, (2) 인쇄 및 전자자원 장서의 균형적 구성 및 우선순위 결정, (3) 전통적 정보자원을 위한 정보리터러시 교육의 적절한 수행, (4) 전자자원 이용 행태의 현황 및 변화 추이의 지속적 모니터링 및 교육 시행, 그리고 (5) 적절한 물리적 공간으로서 역할 확인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제주도 농어촌 지역 마을자원의 발굴과 활용에 대한 시론적 연구 -애월읍 신엄마을을 사례로-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제주도 애월읍 농어촌지역 마을인 신엄마을을 사례로 마을내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발굴함으로써 마을주민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동시에 해당자원을 활용하여 마을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는데 목적을 두고 시범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신엄마을의 자원을 발굴한 결과 자연자원은 9개, 인문자원은 12개 등 총 21개를 발굴할 수 있었다. 이들 중 자연자원과 인문자연을 합해 12개의 자원이 비교적 자원가치가 높고 활용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신엄마을의 여러 자원들 중에서도 현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12개의 마을자원에 대하여 스토리텔링을 시도하였다. 마을자원의 스토리텔링 과정은 해당자원의 성격과 특성(10개 항목)을 포함하여 마을자원의 정의, 상징적 의미 및 마을주민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자원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비교적 정보를 얻기 용이한 신엄마을을 사례로 검토한 것이지만, 앞으로 제주도 내 다른 마을의 사례를 통해서도 마을자원의 발굴과 활용방안 등을 심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active development of the resources at Shinum Village in the farming and fishing region of Aewol-eup on Jeju Isl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dentity for the villagers. Also,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the utilization of such resources for the activation of the vill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resources at Shinum Village, a total number of 21 resources, including 9 natural ones and 12 cultural ones, have been found. It has been found that 12 of them, combining both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have a relatively higher value as resources, showing a possibility of utilization. Furthermore, regarding the 12 resources at Shinum Village,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current stage, a story-telling process has been applied. The objective of such a process for the resources at the village i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resources based on such factors as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10 categories), definition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subject resources in addition to their connection with the villagers. Even if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Shinum Village where it is relatively easy to obtain information, it will be possible to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village resources through the cases of other villages on Jeju Island in the future.

      • KCI등재

        한라산국립공원지역 탐방로별 경관자원에 관한 연구

        임재영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7 No.-

        In this study, the landscape resources in the Hallasan National Park area are classified by their characteristic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stic landscape resources, which were under-researched compared to the natural landscape resources, are identified and classified by type. Natural landscape resources are divided into 8 types: animals and plants, topography and geology, valleys, mountain crater lakes and wetlands, volcanic cones, caves and valleys, waterfalls and springs, and weather. In order to show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area formed by the volcanic eruption, resourc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grouped together and representative resources are analyzed. Humanistic landscape resources are also divided into 8 types: facility/road type, primary industrial type, defensive ruins type, monument type, religious/ceremonial type, feng shui type, myth/legend/shaman type, and art/record typ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identifiable landscape resources to each major trail in Hallasan National Park by types, it is reveal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Gwaneumsa Trail has the most abundant natural and humanistic landscape resources. If these landscape resources are utilized to select important landscape resources, develop experiential programs, and open new trails, the value of Hallasan National Park will further increase. 이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지역 경관자원을 특성에 맞춰서 유형별로 나누고, 자연경 관자원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인문경관자원의 성격을 규명하면서 그에 맞는 유형별 분류를 했다. 경관자원 유형에 따라 한라산국립공원지역 어리목·영실·성판악·관음사·돈내코 등 5개 탐방로에서 확인 가능하거나 주변에 있는 경관자원을 제시했다. 자연경관자원을 동·식물, 지형·지질, 계곡, 산정화구호·습지, 오름, 동굴·궤, 폭포·샘, 기상 등 8개 유형으로 나눴다. 화산폭발로 형성된 한라산국립공원지역의 자연환경을 쉽게 보여줄 수 있도록 비슷한 특성을 가진 자원을 하나로 묶었으며 대표적인 자원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인문경관자원을 시설·도로, 1차산업, 방어유적, 기념물, 종교·제사, 풍수지리, 신화·전 설·무속, 예술·기록 등 8개 유형으로 구분해서 대표 자원을 제시했다. 유형별로 경관자 원의 내용을 분석했다. 한라산국립공원 주요 탐방로별로 확인 가능한 경관자원을 유형별로 확인한 결과 관음사탐방로가 가장 풍부한 자연·인문 경관자원을 보유한 사실을 밝혔다. 이들 경관자원 유형을 활용해 가치 평가, 중요 경관자원 선정, 목록화 등을 추진하면 한라산국립공원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

      • KCI등재

        서울시 중구 지역의 역사문화자원과 도시 레트로(Retro)의 연계

        정두호,유춘동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3

        이 글은 서울시 중구에 산재해 있는 각종 역사문화자원을 살펴보고, 도시 레트로(Retro) 사업과의 연계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의 중구 지역은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서울의 핵심 원도심 중의 하나이다. 이로 인해 도시 곳곳에 조선시대의 유적에서부터,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근대 문화유산, 그리고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축적된 다양한 문화유산이 남아있다. 이러한 지역 내의 문화유산은 도시, 건축 분야, 관광 분야에서만 관심을 보이고 있을 뿐, 인문학 분야에서는 이것을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그 대안의 하나로 중구 지역의 ‘도시 레트로 인문학 사업’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도시 레트로 사업은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무형(有無型)의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이를 철학, 사상, 문학, 문화와 같은 여러 인문학적 관점에서 이를 재조명하는 일련의 학제 간 연구를 말한다. 이 글에서 주목한 것은 레트로이다. 최근 레트로에 대한 관심과 관련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경향과 추세에 맞추어 중구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레트로와 연계시키고, 이를 적용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cattered in Jung-gu, Seoul,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m to the urban retro project. The Jung-gu district of Seoul has been one of Seoul's key original cities since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various cultural heritages from the Joseon Dynasty, modern cultural heritages mad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accumulated from the 1950s to the present remain throughout the city. Cultural heritages in these areas are only interested in cities, architecture, and tourism, but are rarely utiliz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Recognizing these problems, the article examined the potential of the "urban retro humanities project" in the Jung-gu district as one of its alternatives. The urban retro project refers to a series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that excavate various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at exist in the region and shed light on them from various humanistic perspectives such as philosophy, ideology, literature and culture. What is noted in this article is retro. Recently, interest in retro and related research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around the world. In line with this trend and trend of the time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ways to link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Jung-gu area and apply them.

      • KCI등재

        DMZ 인문관광자원의 가치증진 방안 연구

        이웅규 ( Lee Woong Kyu ),장현종 ( Jang Hyun Jong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평화와 공존이라는 과제를 실현해야 하는 세계사적 전환기 앞에 북한 김정은 체제의 핵 위협 등으로 DMZ가 경제대국의 패권주의와 제3세계권의 지역적·정치적 폐쇄주의의 장(場)으로 변하는 것을 막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함께 극복하는 미래 가치지향적인 전향적 사고의 실험장으로서 상당히 가치가 높은 DMZ 인문관광자원의 가치증진을 위한 방안을 문헌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DMZ의 담론을 ‘생태-안보-경제’, ‘생명-평화-치유’의 패러다임에서 ‘협력-공생-통로/경로/벨트(Belt)’로 재상징화 하는 단계로 나가고자 한다. 과거의 분단체제와 이념에 사로잡힌 DMZ에 대한 인식을 뛰어넘어 통일의 다양한 인문지리학적 가치를 밝혀나갈 수 있는 관광학 측면의 새로운 학술적 연구와 실증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DMZ 인문관광자원의 활용과 홍보는 통일 한국의 미래가치를 지향하는 전향적인 행태라는 점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이것은 DMZ 보전(保全)과 보호(保護)의 필요성에 관한 공감을 확산하고, DMZ를 찾는 내·외국인들에게 DMZ에 관한 가치 재인식과 인문관광자원에 대한 이해도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prevent the DMZ from becoming a zone of regional, political chauvinism of the third world and hegemony of an economic power due to the nuclear threats by Kim Jung Eun regime of North Korea. For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literature reviews to improve the DMZ's value as a resource for humanistic tourism, since the DMZ can be a great tested for future oriented and forward thinking mindset. This Study aims to move forward from the paradigm of 'ecology-security-economy' and 'life-peace-healing' to that of 'cooperation-symbiosis-passage/path/belt'. It is time to move beyond that the old notion of the DMZ such as separation and political ideology, and establish a new phase to tourism that would enable empirical approach and new scientific research that could discover the humanistic and geological values from the unification of Korea. The utilization and promotion of DMZ as resources for humanistic tourism must be considered due to the fact it represents the future value of united Korea. This approach will result in not only the recognition of need for pre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DMZ, but also in better understanding the value of it, and its role as the resources for humanistic tourism to both local and foreign visi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