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주 선흘 곶자왈에서의 숯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강성기 ( Seong Gi Kang ),최형순 ( Hyung Soon Choi ),김찬수 ( Chan Soo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analyzed charcoal production among other economic activities of the residents in Seonheul Gotzawal in Jeju Island.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two types of charcoal kilns in Seonheul Gotzawal. One is called the Gomsoot kiln that has an arch-shaped top and the other is a disposable charcoal kiln(discarded kiln) where the fireplace(site) to make charcoals has only been discovered. In terms of time periods when both types of kiln were used, the Gomsoot kilns were used approximatel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period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disposable kilns were used from the perio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1945) to the 1960s. These kiln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ose areas that are fairly abundant in ingredients such as charcoals, lumbers(woods) or other materials essential to building kilns including stones, soil, and water(water bucket). Second, the disposable charcoal kilns were mainly used by the generation after liberation. The process of making charcoals with kiln takes place in the following order: selecting the site→obtaining ingredients→building kilns→holding a ritual ceremony→making fire→pouring water→taking away the stones→taking out the charcoals. The size of the disposable kilns, in particular, vari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wood and the whole process of charcoal production took about seven to twelve days. Third, the Gomsoot kilns(first stage) in their original forms discovered at examination are regarded as having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that is high enough to be designated as a local cultural asset, given the period or the remained form.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operate a system to preserve the remnant Gomsoot kilns.

      • KCI등재

        제주도 애월읍의 지리적 환경과 인구변화의 특징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3 No.3

        애월읍은 제주시의 서쪽으로 인접하면서 도시와 농촌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는 지리적 환경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입지적 관점에서 볼 때 애월읍은 9개의 해안 마을과 17개의 중산간 마을로 구성되며, 해발고도상으로는 해안 마을이 전체적으로 50m 미만인 지구에 많은 가옥들이 입지해 있는 반면, 중산간 마을은 50∼565m 사이로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애월읍에서는 해안과 중산간 지역으로 사람들이 이동?이주하면서 여러 지구에 마을 공동체의 성립과 발전을 가져왔으며, 그 결과 해방 이후에는 초등학교가 다수 설립되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1960년 이후 애월읍의 인구변화 과정은 크게 3기로 구분하여 특징을 정리할 수 있는데, 제1기는 1960∼1979년간 약 20년 동안으로 인구증가와 감소를 동시에 경험한 시기이다. 제2기는1980∼1994년 동안으로 주로 인구감소가 진행된 기간이며, 제3기는 1995∼2012년(현시점)까지로서 인구증가가 진행된 시기로 정리할 수 있다. 1972∼2012년에 걸쳐 약 10년을 주기로 분석한 애월읍의 마을별 인구변화에서는 1992년 시점을 경계로 하여 마을별 인구분포가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1972년과 1982년 시점까지는 애월읍의 서쪽지역에 위치하는 애월리, 금성리, 곽지리 그리고 중산간 마을인 어도리(봉성리), 납읍리, 상가리, 수산리, 광령1리 등에 많은 인구가 집중되고 있었지만, 1992년 시점 이후부터는 제주시 중심부에서 거리적으로 가까운 마을들, 즉 하귀1리, 하귀2리, 신엄리(이상, 해안 마을)와 광령1리, 광령2리 및 고성1리, 수산리(이상, 중산간 마을)에 인구가 많이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각시기에 따른 애월읍의 마을별 인구변화를 분석한 결과, 앞으로 일부 마을에서는 인구감소 문제가 심각한 마을현안으로 등장할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해당마을에서는 인구감소 문제를 좀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이후부터라도 인구증가를 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ewol-eup, located west from the center of Jeju, is a region that has both urban and rural characteristics within its boundaries. With regard to its geographical environment, Aewol-eup is composed of 9 coastal villages and 17 hilly and mountainous villages. In terms of altitude above sea level, the coastal villages have a cluster of houses in the district at under 50 meters above sea level while the hilly and mountainous villages have them at 50-565 meters above sea level, showing a significantly huge deviation. The movement to the coastal villages and hilly and mountainous villages in Aewol-eup has led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in many district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ositive effect on the region in that a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were founded after liberation from Japan. The demographic changes in Aewol-eup after 1960 may be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is a period when the town sometimes experienced both increases and decreases in population for 20 years from 1960 to 1979; the second phase, from 1980 to 1994, is a period when the population mainly declined; and the third phase, from 1995 to 2012, is a period when the population increased. The demographic changes by village in Aewol-eup, analyzed on a decade basis from 1972 to 2012, reveal that the demographic distribution by village has changed as from 1992. In other words, the population was concentrated in the southern districts of Aewol-eup such as Aewol-ri, Geumseong-ri and Gwakjiri and the hilly and mountainous villages of Eodo-ri(Bongseong-ri), Nabeup-ri, Sangga-ri, Susan-ri and Gwangryeong1-ri from 1972 to 1982. From 1992, however, the population was concentrated in the villages closer to the center of Jeju including the coastal villages of Hagwi1-ri, Hagwi2-ri and Sineom-ri and the hilly and mountainous villages of Gwangryeong1-ri, Gwangryeong2-ri, Goseong1-ri and Susan-ri.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demographic changes by village in Aewol-eup at each phase, the issue of population decline may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he villages that have experienced continuous declin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ake this issue seriously and discuss various solutions as to how the population in such villages might be increased from now on.

      • KCI등재

        제주지역 노인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정광중(Kwang Joong Jeong),황석규(Suk Kyu Hwang),강준혁(Jun Hyeok Kang) 제주학회 2010 濟州島硏究 Vol.33 No.-

        본 연구는 제주지역 노인들이 지역사회 일원으로서 자신들의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에 공헌함과 동시에 건강하고 만족스런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 실패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정책, 교육 및 현실 방안들을 제시한다, 조사결과에 따른 제주지역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실태는 다음 몇 가지 특성으로 요약된다. 첫째,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노인들은 주로 70대의 연령층이며, 5년 미만 동안 주 1~4회에 참여하며, 평균 1~4시간의 활동을 한다. 고소득층인 남성보다 저소득층인 여성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참여비율이 높다. 둘째, 노인들은 복지시설과 지역사회의 차원에서 독거노인/말벗서비스 및 환경정리의 활동을 주로 전개하며 담에게 도움을 주고 싶고 여가시간을 보람차게 지내길 원한다. 또한 노인들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폭넓은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자긍심을 얻고 있다. 셋째, 노인들은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정보를 복지기관, 친구 및 지인, 그리고 대중매체를 통해 얻고 있고. 자신의 자원봉사활동에 높은 만족감을 표현하며, 가족들의 관심도 높다. 넷째, 자원봉사활동을 경험하면서 체력적 한계, 능력과 기술의 부족 그리고 시간 부여가 어려웠다고 호소한다. 또한 노인들은 향후 지속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건강상태가 지속성에 가장 주요한 요소임을 밝히고 있다. 다섯째, 노인들의 약 2/3는 자원봉사활동을 하면서 금전적 보상을 받고 있지 않으나 향후 자원봉사활동에 대해서는 금전적 보상이 있기를 원하고 있다. 여섯째, 노인들은 향후 자원봉사활동의 분야로 비대면적인 측면보다는 대면적인 측면에서 참여하고 싶어 하면서도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차원의 환경정리, 나무심기 등의 비대면 자원봉사활동 역시 희망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고소득층이며 남성인 60대 노인들의 적극적인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교육, 금전적 보상, 홍보, 정책개발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노인들의 욕구와 역량에 맞는 다양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시민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xistential aspects of the volunteer work of the aged in jeju. In addition, the data are based on questionnaire for the volunteer work of the aged in jeju.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to find political strategies the fixed political system more flexible. in order to revitalization for the volunteer work of the aged in jeju.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the future of the volunteer work of the aged in jeju. (1) Active participation and enlargement of the subjects. (2) The strengthening of civic education and publicity for the volunteer work. (3) Increasing assistance of monetary compensation in the volunteer work of the aged. (4) Active participation and flexible reform of the political system. (5) Scientist s study activities for the future of the volunteer work of the aged in jeju.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 농어촌 지역 마을자원의 발굴과 활용에 대한 시론적 연구 -애월읍 신엄마을을 사례로-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제주도 애월읍 농어촌지역 마을인 신엄마을을 사례로 마을내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발굴함으로써 마을주민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동시에 해당자원을 활용하여 마을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는데 목적을 두고 시범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신엄마을의 자원을 발굴한 결과 자연자원은 9개, 인문자원은 12개 등 총 21개를 발굴할 수 있었다. 이들 중 자연자원과 인문자연을 합해 12개의 자원이 비교적 자원가치가 높고 활용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신엄마을의 여러 자원들 중에서도 현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12개의 마을자원에 대하여 스토리텔링을 시도하였다. 마을자원의 스토리텔링 과정은 해당자원의 성격과 특성(10개 항목)을 포함하여 마을자원의 정의, 상징적 의미 및 마을주민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자원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비교적 정보를 얻기 용이한 신엄마을을 사례로 검토한 것이지만, 앞으로 제주도 내 다른 마을의 사례를 통해서도 마을자원의 발굴과 활용방안 등을 심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active development of the resources at Shinum Village in the farming and fishing region of Aewol-eup on Jeju Isl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dentity for the villagers. Also,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the utilization of such resources for the activation of the vill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resources at Shinum Village, a total number of 21 resources, including 9 natural ones and 12 cultural ones, have been found. It has been found that 12 of them, combining both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have a relatively higher value as resources, showing a possibility of utilization. Furthermore, regarding the 12 resources at Shinum Village,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current stage, a story-telling process has been applied. The objective of such a process for the resources at the village i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resources based on such factors as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10 categories), definition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subject resources in addition to their connection with the villagers. Even if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Shinum Village where it is relatively easy to obtain information, it will be possible to focus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village resources through the cases of other villages on Jeju Island in the future.

      • KCI등재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자원의 유형과 평가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선흘곶자왈에 분포하는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유형 구분함과 동시에 자원의 속성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활용을 전제하여 자원별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선흘곶자왈 내의 분포하는 역사문화자원은 외형적 형태를 토대로 점적(點的) 유형, 선적(線的) 유형 및 면적(面的) 유형 등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점적 유형의 자원에는 숯가마(또는 숯가마 터)를 비롯한 6개가 포함되며, 선적 유형의 자원에는 경계용 돌담을 비롯한 3개가 포함된다. 그리고 면적 유형의 자원에는 산전(숲속에서 개간한 밭) 등 4개가 포함된다. 이들 3가지 유형의 자원은 숯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요소, 농업활동에 필요한 요소, 일시적인 거주나 휴식에 필요한 장소로 구성되는데, 이들 대부분은 과거에 선흘리 주민들이 생활경제를 떠받치기 위한 수단으로 축조하여 사용했던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오늘날 선흘곶자왈 내에 분포하는 다양한 역사문화자원들은 조선시대 후기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1960년대 후반까지 선흘리 주민들의 생활역사의 단면을 복원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존재로서 가치성이 부각된다. 활용성을 전제한 역사문화자원의 평가 작업은 4가지 평가 지표(희귀성[시대성], 원형성(도), 경제성, 접근성)를 통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4가지 판정 지표에서 상위로 평가된 자원은 숯가마등 3개, 3가지 판정 지표에서 상위로 평가된 자원은 노루통(야생노루를 포획하기 위한 덫) 등 2개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2가지 판정 지표에서 상위로 평가된 자원은 물통(물을 가두어 두는 시설) 등 4개가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2가지 이상의 판정 지표에서 상위로 평가된 자원들은 앞으로의 활용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선흘곶자왈 내의 역사문화자원의 활용도를 전제할 때 본 연구에서 행한 평가 결과 자체가 유의미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distributed in Seonheul Gotjawal, based on certain standards or criteria, identify the attributes of the resources and evaluate each resource`s valu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resources would be utilize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distributed within Seonheul Gotjawal can be classified into a dot type, line type and side type, based on exterior shape. Six resources including charcoal kilns (or charcoal kiln site) are distributed in the dot type resources, and three resources including stone walls for boundaries are included in the line type. The side type includes four resources including forest fields (field cultivated in forest). These three types consist of elements necessary to produce charcoal, elements required for agricultural activities and the places for temporary dwelling or rest. Most of these exhibit characteristics that indicate that the residents in Seonheul ri built these resources as the means to support their household economies.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distributed within Seonheul Gotjawal have value in that they can be employed to restore and understand some aspects of the life history of Seonheul-ri residents from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Period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and to the late 1960s. Concerning the evaluation work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utilization, the results have been drawn through four evaluation indices [scarcity(trend of the times), originalattributes, economic attributes and accessibility]. As a result, the resources evaluated as having the highest ranking from four evaluation indices were 3 resources including the charcoal kiln. The resources evaluated as having the highest ranking from three evaluation indices were 2 resources including the roe deer trap to catch wild roe deer. The resources evaluated as having the highest ranking two evaluation indices were confirmed to include 4 including the water container (facility to enclose water). The resources evaluated as having the highest ranking from two or more of the evaluation indices are considere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function in the future utilization process. With regard to the utiliz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ithin Seonheul Gotjawal, it is deemed that the evaluation results carried out in this study will become important criteria for future evaluations.

      • KCI등재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과부도 구성 및 내용 비교 연구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정광중 ( Kwang Joong Jeong ),강성기 ( Seong Gi K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과부도의 전체적인 구성체제와 내용체계에 대해주로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비교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현행 사회과부도는 사이즈가 큰 판형 체제로 변화하여 관련 자료가 많이 탑재되었고 또 자료 자체의 크기도 커진 영향으로, 이전의 사회과부도에 비교하면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는데 크게 일조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영역별 내용의 양적 구성에서는 지리영역과 역사영역에서 본문이 모두 대폭 증가한 대신에 부록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였다. 특히, 현행 사회과부도에서는 기존의 사회과부도와는 달리 ‘지리 주제도’ 편을 따로 편성하여 우리나라와 세계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도를 제시함으로써 학습 자료로서의 구체성과 활용도를 높이고 있으며, ‘학습 활동지’ 편은 기존사회과부도에서 소홀했던 지도학습이나 국내·외 인문환경과 자연환경 관련 주제에서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부록’ 편에서는 지명(또는 위치) 찾는 방법에 대하여 기존 사회과부도의 경선과 위선이라는 지리 용어 대신에 ‘쪽수’, ‘세로열’, ‘가로행’이라는 일반 용어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추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점은 적어도 5∼6학년의 고학년 군에서는 경선과 위선이라는 지리 용어의 개념 습득이 필요하다는 사실과 관련지어 볼 때 앞으로 다소 수정·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구성적 측면에서는 학습의 효용성이 전제된 실질적인 사진자료가 대폭 추가되었고, 그림자료와 도표자료에서는 국·내외 다양한 지역에 대한 모습과 시기에 따른 변화모습을 한층 더 상세히 안내하고 있다. 지도자료는 우리나라와 세계에 대한 일반도와 주제도를 중심으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최근의 국·내외 변화 상황을 정확하게 담아내고 있고 또 전체적으로 지도의 축척이 커짐과 동시에 우리나라와 세계의 대륙별 지도를 세분화하여 제시한 점 등이 기존 사회과부도와는 비교되는 특징으로 주목된다. This study compared the overall composition and content systems of the elementary school atla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and 2009,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geography conten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current atlas changed to be bigger in size, a lot more relevant data was printed. The data size increase is judged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have more interest in and pay more attention to the atlas, compared to the previous atlas. Concerning quantitative composition by subject domain, the main text was greatly increased in terms of geography and history content, but the appendix was relatively decreased. In particular, the current atlas separately organized geography thematic map parts, unlike the previous atlas: concreteness and utilization as learning data are enhanced by presenting various thematic maps related to Korea and the world. The learning activity part enables self-driven learning by the students regarding map learning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human environments and natural environments, which were neglected by the previous atlas. The appendix part seeks to be learner friendly by using general terms such as number of page, vertical row, and horizontal column, instead of geographical terms such as longitude and latitude that were used by the previous atlas as the method to find place names. However, this part needs to be slightly revised and supplemented in relation with the fact that higher graders (fifth to sixth graders) need to learn geographical terms such as longitude and latitude. From the aspect of data composition, realistic photo data had been greatly expanded to enhance learning utility, and a more detailed guide to images related to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eas and changed images, according to period, is presented in the figure and chart data. The map data shows many changes, centered on general maps and thematic maps of Korea and the world. The map data, especially, reflects accurately recent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and the map scale has become larger overall. Also, map presentation by segmenting the Korean map and the world map by continent is a striking addition to the previous atlas.

      • KCI등재

        저지-청수곶자왈과 그 주변지역에서의 숯 생산활동

        정광중(Kwang Joong Jeong)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1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다. 첫째로, 제주에서 숯 생산 또는 숯 이용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지리지』와 일제강점기 및 1970년대 이전에 발행된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일부에 지나지 않았으며 특히 숯 생산과정이나 유통 등에 대한 내용은 전무한 상황이었다. 둘째로, 해방 이후에 저지-청수-산양리 주민들은 저지-청수곶자왈과 그 주변지역에서 숯 생산활동을 벌여왔으며, 3개 마을의 숯 생산활동의 강도는 저지-청수-산양리 순으로 확인된다. 셋째로, 해방 이후에 숯을 생산했던 시기는 대략 1949∼1962년 사이로 확인되지만, 주요 기간은 1950년대의 약 10년간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1년 중 숯을 생산하는 중심기간은 농한기인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로 약 5개월이었다. 넷째로, 저지-청수-산양리 주민들의 숯 생산 장소는 택지 내(텃밭)와 택지 외로 구분할 수 있는데, 택지 외는 마을에서 거리적으로 가까운 오름(기생화산)과 저지-청수곶자왈 지구 내, 그리고 마을로부터 비교적 거리가 떨어진 오름과 인근 마을의 목장지구로 세분할 수 있다. 다섯째로, 저지-청수-산양리 주민들이 생산하는 숯은 숯가마에서 굽는 방식에 따라 곰숯, 작대기숯 및 말숯으로 구분된다. 여섯째로, 숯가마에서 한번 생산하는 숯의 양은 일반적으로 곰숯 가마보다는 말숯 가마가 크고, 또 오랜 경험을 지닌 사람들이 생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당연히 숯의 양도 많다. 저지-청수-산양리 주민들이 생산한 숯은보통 모슬포와 한림 오일장을 통해서 판매하거나 개인별 행상에 의한 판매도 이루어졌다.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Jiriji』 published in the Joseon period and document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before the 1970s, records of charcoal production or use in Jeju were rare, with absolutely no details about the charcoal production process or distribution. Second, Jeoji, Cheongsu and Sanyangri residents were engaged in charcoal production activities in Jeoji-Cheongsu Gotjawal and surrounding areas after liberation from colonial rule in 1945. Among the three villages, the intensity of activity was highest in Jeoji, followed by Cheongsu and Sanyangri.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period in which charcoal was produced after liberation was between 1949 and 1962, but the major period was for about 10 years in the 1950s. Moreover, the main period of producing charcoal during the year was approximately 5 months from November to March the following year, which is an agricultural off-season. Fourth, the places of charcoal production for Jeoji, Cheongsu and Sanyangri residents can be divided into the inside(vegetable garden) and outside of the housing site, and the latter can be subdivided into the orum(parasitic volcano) near the village and within the Jeji-Cheongsu Gotjawal district, and the orum relatively far from the village and the farm district in the neighboring village. Fifth, charcoal produced by Jeoji, Cheongsu and Sanyangri residents can be classified into gomsoot, jacdaegisoot and malsoot depending on how it is made in the charcoal kiln. Sixth, the amount of charcoal produced once in a kiln is generally greater in the malsoot kiln than the gomsoot kiln, and the quantity is also naturally greater since it is a method used by people with long experience. Charcoal produced by Jeoji, Cheongsu and Sanyangri residents was usually sold through Moseulpo and Hallim Five-day Market, or through individual sales.

      • KCI등재

        곶자왈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곶자왈의 존재방식에 대한 물음과 제언-

        정광중 ( Kwang-joong Jeo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5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5 No.3

        제주 곶자왈의 현실적인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논의된 앞으로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대응전략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곶자왈은 제주도민들이 당연히 지켜야 할 대상으로, 곶자왈의 무궁무진한 미래 자산적 가치와 제주 섬에서 살아갈 후세대를 위하여 반드시 보전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제주도민들에게는 곶자왈을 보전하기 위한 수준 높은 시민의식이 요구된다. 두 번째로, 곶자왈의 보전은 ‘지금 이 순간부터’라는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곶자왈은 해를 거듭할수록 엄청난 면적의 파괴가 진행되고 있음을 인식해야만 한다. 그리고 곶자왈 보전의 대상지역은 주민들이 거주하는 ‘마을 주변의 곶자왈’부터 설정하여 접근하거나 혹은 현시점에서 ‘남아있는 곶자왈’ 모두를 설정하려는 전제가 필요하다. 세 번째로, 앞으로는 곶자왈을 구성하는 자연요소와 인문(문화)요소를 잘 보전하고,또 미래에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그것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목적의식이 분명이 전제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곶자왈을 구성하는 자연요소와 인문요소는 곶자왈을 빛나게 하는 자연자원이자 인문자원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곤란하다. 네 번째로, 곶자왈을 보전하고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국립공원이나 생물권보전지역으로의 지정, 또는 현재의 곶자왈도립공원의 확대 지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곶자왈의 가치와 중요성을 전제로 미래 세대를 위한 최적의 보전과 활용 방안이 무엇인지, 제주도민들의 합의를 통해 결정하는 방안이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strategies for the future preservation and use of Jeju’s Gotjawal, which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awareness of realistic problems as follows. First, Gotjawal is a subject that absolutely must be protected by Jeju residents, and preserved for its infinite future value as an asset as well a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hat will live in Jeju. Thus, Jeju residents need a high level of civic consciousness to preserve Gotjawal. Second, there is a need to adopt a ‘starting from this moment’ strategy to preserve Gotjawal.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Gotjawal is undergoing a significant amount of destruction every year. Moreover, the target areas for the preservation of Gotjawal at this point must be set as ‘Gotjawal around a village’ where the residents live, or all of the ‘remaining Gotjawal.’ Third, there must be a clear sense of purpose to well preserve the natural elements and humanistic (cultural) elements that form Gotjawal, and to use them as efficiently as possible in the future. One must not forget that the natural and humanistic elements of Gotjawal are ultimately the natural and humanistic resources that give Gotjawal vitality. Fourth, a specific method to preserve and use Gotjawal might be to designate it as a national park or biosphere reserve, or to expand the scope of the current Gotjawal Park. However, what is more important is to decide the optimum methods to preserve and use Gotjawal for future generations based on its value and importance, with the consent of Jeju res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