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하피즈 아랍어 연어 사전에 관한 적절한 평가: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 연구

        알리알할라와니 ( Ali Al Halawani ),히샴카다와르디 ( Hesham Khadawardi ),모하메드엘아스카리 ( Mohamed Elaskary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5 중동연구 Vol.33 No.3

        연어(collocation) 학습은 외국인 학생과 외국어 학습자에게 있어매우 중요하다. 원어민은 배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고 능숙하게 연어를 구사할 수 있지만, 외국인 학습자가 원어민 수준으로 외국어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연어를 학습해야만 한다. 서구 언어학자들과 사전편찬자들이 연어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1933 년부터이다. 최초의 영어 연어 사전(the BBI)이 1986 년에 출간된 반면 아랍어 연어 사전은 2004 년에 처음 발간되었다. 이 논문은 최초의 아랍어 연어 사전인 Al-Hafiz 사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어 사전은 번역가, 작가 그리고 외국어 학습자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다. 연어 번역에 나타나는 오역의 원인 중 하나는 번역가가 연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예문이없는 일반 이중언어 사전을 참고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언어학적 방법론과 학문적 비평을 기반으로 한 현대 기술의 도입으로 아랍어-영어와 영어-아랍어 범용사전뿐만 아니라 특수사전 분야에서도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게 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점과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는 Al-Hafiz 사전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Al-Hafiz 사전에서 발견되는 오류들을 지적하기 보다는 오류의 수정을 통해 아랍어 사전편찬자들이 이런점들을 활용하여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게 하는 데 있다. 사전편찬자가 사전 편찬에 좀더 심혈을 기울여서, 일반독자들조차쉽게 발견할 수 있는 오류들을 범하지 않았더라면 Al-Hafiz 사전은더 잘 만들어졌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연어 사전을 편찬하는 데있어 코포라(corpora)나 소프트웨어(software) 같은 현대기술의 활용을 제안한다. Colloc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linguistic terms of today. As evidence to this, linguists did not agree up till today as to its exact definition, types or patterns. This may explain, to some extent, the scarcity of collocational dictionaries and their late appearance regardless of the huge number of collocations that can be found in general (i.e. noncollocational) lexicons and dictionaries of nearly all languages. Added to this is the difficulty of compiling a collocational dictionary unless modern technological tools such as computers, huge corpora, and text analysis software are used. This is true as the first English collocational dictionary appeared in 1986, the BBI, while in Arabic, the first one to appear was Hafiz in 2004 which is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This is exactly the reason behind our interest in this dictionary as it is already the first of its kind in Arabic as is mentioned by its author on its front cover. Collocation dictionaries are indispensable tools for the translator, writer and learner of any foreign language. One of the reasons behind the errors translators make in rendering collocations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is that they consult general-purpose bilingual dictionaries that do not provide the translators with detailed explanation or examples of collocations. H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as it represents an attempt towards introducing a modern-technology-based linguistic methodological and academic criticism for evaluating such a great effort aiming at elevating it to the best shape it can be and to help it become a model to be emulated in the field of compiling specialized as well as non-specialized Arabic/ English and English/Arabic dictionaries.As the dictionary’s author has committed-according to Al-Halawani-a number of methodological, editorial and translational mistakes; a matter which makes it incumbent upon specialists to look into its content to clarify such mistakes and attempt to amend them whenever possible.

      • Microsatellite DNA 를 이용한 연어(Oncorhynchus keta)와 곱사연어(O. gorbuscha)의 구분

        정웅식,이윤호,신형철,성기백,김수암 한국수산자원학회 2001 한국수산자원학회지 Vol.4 No.-

        본 연구에서는 형태적으로 구분이 불가능한 유통과정의 연어(Oncorhynchus keta)와 곱사연어(O. gorbuscha)를 구분하기 위하여 microsatellite DNA Ogo5와 Ogo6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연어의 Ogo5 염기서열 반복구조는 네 가지 allele이 있었으며 곱사연어와 차이가 있었다: allele A, (GT)_2 GCATGC(GT)_2GCAC(GT)_3TCGGTTGCTTTT: allele B1, (GT)_2GTGTTT (GT)_2GCAT(GT)6TTTTTT; allele B2 (GT)_2 GTGTTT (GT)_2GCAT(GT)_7TTTTTT; allele B3 (GT)_2GTGTTT (GT)_2GCAT(GT)_7TTTTTTT: 곱사연어, (GT)_2GTGTTT (GT)_2GCAT(GT)_8TTTT. Ogo6 역시 연어와 곱사연어 사이에 반복구조의 길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연어, (CA)_5AA(CA)_5CG와 CTCA(CT)_2GT; 곱사연어, (CA)_5AA(CA)_6AA(CA)_5CG와 CTCA(CT)_3GT. 또한, Ogo5와 Ogo6 염기서열은 두종 사이에 서로 다른 염기(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가 각각 3개와 1개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microsatellite DNA Ogo5와 Ogo6가 연어와 곱사연어를 형태적 구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종 구분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유전학적 접근방법은 연어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수산물의 종과 원산지를 확인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liv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s discernable from the pink salmon (O. gorbuscha), processed salmon meat in the market place is hard to be distinguished from one species to the other. In order to resolve this situation, we analyzed microsatellite DNA Ogo5 and Ogo6 of the chum salmon and compared their sequences with those of the pink salmon. Four alleles of Ogo5 were identified in the chum salmon, which have distinct SNPs(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nd different numbers of repeat of (GT)n from the pink salmon: allele A. (GT)_2GCATGC(GT)_2GCAC(GT)_3TCGGTTGCTTTT: allele B1, (GT)_2GTGTTT(GT)_2GCAT(GT)_6TTTTTT: allele B2 (GT)_2GTGTTT(GT)_2GCAT(GT)_7TTTTTT: allele B3 (GT)_2GTGTTT(GT)_2GC AT(GT)_7TTTTTTT: the pink salmon, (GT)_2GTGTTT(GT)_2GCAT(GT)_8TTTT. Ogo6 of the chum salmon also has a distinct SNP and different numbers of repeats of (CT)n from that of the pink salmon: the chum salmon, (CA)_5AA(CA)_5CG and CTCA(CT)_2GT: the pink salmon, (CA)_5AA(CA)_6 AA(CA)_5CG and CTCA(CT)_3G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crosatellite DNA Ogo5 and Ogo6 would be good means of discrimination for the salmon meat in the market. Use of genetic markers as shown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many different kinds of fish product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and their origins.

      • 강원 양양지역 연어의 산업화를 위한 제문제와 발전전략

        윤경호 한국지역발전학회 2012 지역발전연구 Vol.12 No.1

        강원도의 양양군은 연어의 치어방류량이나 성어포획량에서 전국에서 1위를 차 지하고 있다. 그러나 연어가 지역의 산업이나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면은 아주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양연어를 산업화 하는데 있어서 과제는 무엇이며, 이와 같은 문제를 풀기 위해 어떠한 발전전략이 필요한 것인지를 도 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양양연어의 실태와 함께 연어산업화의 많은 실적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일본의 연어산업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양양연어의 실태에서 도출된 과제로는 연어산업에 대한 관심과 의지의 부족, 연 어관련 인프라의 취약, 연어생산 규모의 영세성, 비시장가치 중심으로 되어 있 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어산업화를 위한 발전전략으로는 연어를 소중히 여기 는 마음과 생태가치의 키움, 연어관련 기본 인프라의 확충, 가공과 판매를 연계 시켜 시장의 점진적 확대, Cluster, Network, RIS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연어관련 1, 2, 3차 산업의 융복합화로 양양연어의 비시장가치인 생태가치를 극대화 시키고,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는 수도권을 생태관광의 목표시장으로 삼아 궁극적으로 양양 연어의 산업화로 연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음성언어 중심의 연어학습과 문자언어 중심의 연어학습이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수진 ( Lee Su Jin ),홍선호 ( Hong Sun 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3

        영어에 대한 노출이 적은 EFL환경의 학습자들은 많은 어휘를 습득하기 어려우므로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어휘 지도법을 적용해야 한다. Lewis(1993)는 영어가 여러 단어로 된 구(multi-word phrases)로 이루어져 있음을 설명하면서 연어(collocation) 중심의 학습을 제시하였다. 연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개별 어휘학습과 비교하여 연어학습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연어중심의 어휘학습이 개별 어휘학습보다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연어중심의 어휘학습이 효과적이라면, 연어를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연어를 학습했을 때와 문자언어를 중심으로 연어를 학습했을 때, 초등학교 3, 4학년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단기적으로 음성언어 또는 문자언어 중심의 연어학습이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연어를 학습하였을 때 3학년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어 중심 어휘 학습 지도 방법에 초점을 두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3학년 학습자들은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4학년 학습자들은 문자언어의 비율을 확대하여 연어를 학습하는 것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지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후속 연구로 학년 군, 연어 유형에 따른 연어 지도법을 구체화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FL learners with limited exposure to English-speaking environment often encounter difficulties learning a broad range of vocabulary, and therefore require productive vocabulary teaching methods to effectively enhance their communication skills. Lewis(1993), acknowledging that English language is comprised of multi-word phrases, suggested the use of collocation-based teaching method. Note that previous studies mostly aims at comparing the effects of collocation learning against those of individual vocabulary learning; this study consults the relevant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bases itself on the premise that collocation-bas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vocabulary learning. Provided that collocation-bas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is study shall examine the different methods most efficacious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learners. Expressly, the study concentrates on the different effects of spoken- and written-based collocation learning on the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s of third- and fourth-grade learners.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results of post short-term speaking tests indicat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aking ability between the groups, domains, and levels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Since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llocation-based learning method as set in this stud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mproving the speech ability in the short run. On the other hand, the post long-term speaking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in the long run, spoken- and written-based collocation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peaking ability. For instance, in the case of third grade, the group that studied with spoken-based colloc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other group. Also, the spoken-based collocation learning method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affective domain than the written-based collocation learning meth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focuses on the teaching method of collocation-based vocabulary learning and its effects on speaking ability. For instance, the customization of the ratio, extending the third-grade learners toward the spoken-based, and fourth-grade learners to the written-based collocation learning can help learners` speaking ability. The suggested study is meaningful as a follow-up study on the collocation teaching method by embodying learning method for different grades and collocation type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연어 복잡성 측정 연구

        유소영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4

        Linguistic complexity, which is widely used to measure the L2 development of second language learners, is measured by focusing on individual words or on grammatical syntactic relationships. Accordingly, we did not pay attention to units such as word combinations that lie on the boundary between vocabulary and grammar. Collocation is a fluency index that differentiates proficient learners from non-proficient learners; therefore, to accurately measure learners’ L2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xtend linguistic complexity to collocation uni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competence of Korean learners to use collocations depends on their proficiency, and ultimately to verify whether collocational complexity can function as an index to measure learners’ L2 development. Collocational diversity and collocational sophistication were assumed as constructs of collocational complexity, and collocational complexity was measured for the collocations used by learners in the learner corpu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collocational diversity and collocational sophistication were found to increase with proficienc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ollocational complexity can be used as a valid indicator to discriminate the proficiency level of Korean learners. 제2언어 학습자의 언어 발달을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언어 복잡성은 개 별 단어에 중점을 두고 측정하거나 문법적 통사 관계에 중점을 두어 측정함에 따라, 어휘와 문법의 경계에 놓인 어휘 간의 결합 관계에 주목하지 못하였다. 어휘 간의 결합 관계를 일컫는 연어는 능숙한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를 구별하는 유창성 지표로, 학습자의 언어 발달을 보다 적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는 언어 복잡성을 연어 단위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연어 사용 능력이 숙달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연어 복잡성 차원에서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연어 복잡성이 학습자의 언어 발달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어 복잡성의 하위 구인 으로 다양도와 세련도를 상정하고, 학습자 말뭉치에서 학습자들이 사용한 연어 를 추출하여 연어 복잡성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연어 다양도와 세련도 모두 숙달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연어 복잡성이 한국어 학습 자의 숙달도를 변별하는 데 있어 유효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영어 연어(連語)의 범주 분석에 관한 소고

        유선영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category of English collocation, which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collocation and presented examples of collocation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collocation. In addition, the concept and examples of the idiom were described together before analysing the categories of collocation that may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paper,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idiom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ollocation and analyzing categories, and various examples are schemed using tables. In addition, examples of collocation were analyzed in combination form, and various types of collocation were schemed and tabulat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concepts of the idioms and the examples of idioms to analyze the categories of idioms so that they can be used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concepts, thereby clarifying the concepts of the idioms and clarifying the limits on the categories of collocation along with idiom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to be understood based on clear definitions and categories of collocation and idioms in English education and learning English. 본 연구는 영어 연어(collocation)의 범주를 분석하는 연구로써, 연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연어의 개념을 살펴보고 연어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연어의 범주를 분석하기에 앞서 관용어(idiom)의 개념과 예를 함께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어의 개념 이해와 범주 분석에 필요한 관용어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다양한 예시들을 표를 이용하여 도식화하였다. 더불어, 연어의 예시들을 품사의 결합 형태로 분석하여 나타난 여러 가지 연어의 형태를 도식화하여 표로 정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확한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연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영어 연어의 범주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용어의 개념과 예시들을 살펴보고 관용어의 범주를 분석함으로써 연어와 관용어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관용어와 더불어 연어의 범주에 대한 한계선을 명확히 마련함에 그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영어 교육 현장과 영어 학습에 있어서 연어와 관용어의 명확한 정의와 범주를 바탕으로 이해되는데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연어 습득 연구 - 목술 관계 중심으로 -

        여숙연 ( Lushujua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7 한국어와 문화 Vol.22 No.-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려면 어휘의 중요성을 간과하면 안 된다. 어휘를 하나씩 배우는 것보다 어휘의 덩어리를 배우면 더 효율적이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유의어나 다의어의 의미 변별을 잘 하지 못하거나 한국어의 중국어의 어휘 의미 차이를 잘 몰라서 목술 관계 연어를 사용할 때 오류가 많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문은 향후 본격적인 실험을 하기 위해 먼저 숙달도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 총 6명을 대상으로 표본적인 실험을 하였다. 숙달도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의 목술 관계 연어의 서술어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에게 목술 관계 연어를 교육할 때 제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첫째, 기존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연어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했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중국인 학습자의 연어 사용 오류 분석을 하였고 숙달도에 따른 연어 습득에 관한 연구가 한 편밖에 없다. 특히 목술 관계 연어의 오류율이 높지만 목술 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없다. 따라서 목술 관계 연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보인다. 둘째, 한국어와 중국어의 목술 관계 연어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 서술어 타동사는 의미적으로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한국어 유의어 간 의미 차이, 다의어 의미의 다양성,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 어휘의 의미 차이 등이 중국인 학습자들의 목술 관계 연어 오류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실험 연구는 『세종 전자사전』을 참고하여 사용 빈도에 따라 서술어 타동사 33개를 선정하였다. 이 33개 타동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서술어+목적어` 연어를 한국어 `목적어+서술어`로 번역하라는 방식으로 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오류의 원인은 주로 모국어 영향과 목표어 영향으로 보일 수 있다. 초급 학습자들은 주로 모국어 영향을 많이 받고 모국어 직역과 한중 의미 차이로 인한 오류가 많이 생긴다. 한국어 수준이 높아질수록 모국어 영향보다 목표어 영향을 더 많이 받아서 유의어나 다의어의 의미 변별, 그리고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분을 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숙달도에 따라 목술 관계 연어의 오류율이 떨어지고 정확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목술 관계 연어를 교육하는 데 시사점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사와 동사의 결합으로 된 덩어리 형식으로 교육한다. 둘째, 유의어나 다의어를 제시할 때 각자에 결합수 있는 명사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보여준다. 셋째, 한국어 자동사와 타동사를 교육할 때 형태적으로 자동사와 타동사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설명해 준다. 넷째, 한국어 동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동사가 서로 어떤 의미 차이가 있는지 설명해 준다. 다섯째, 중국어 한자를 일대일로 한글로 직역하여 나타난 오류를 줄이면 한자어가 나타날 때 한국어와 중국어에서의 의미 차이에 대해 설명해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6명만 연구 대상으로 표본적 실험을 하여 제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앞으로 더 많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실험을 할 것이다. 그리고 서술어 타동사는 30개만 선정하게 된 것도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이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목술 관계 연어를 교육하는 데 도움이 조금이나마 되기를 바란다.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should not be overlooked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Chinese learners to communicate in Korean. Learning a lump of vocabulary is more efficient than learning a vocabulary one by one. Chinese learners have a lot of errors when using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because they are not good at distinguishing the meaning of the Korean and Chinese words, or because they do not know the meaning of the Chinese vocabulary in Korea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acquisition patterns of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according to Korean proficiency in Chinese learners, and suggested suggestions and suggestions for training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to Chinese learners. First, I examined the studies on Korean Collocation in existing Chines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analyzed the errors of Chinese learners` use of Korean Collocation, and there is only one study on acquiring Korean Collocation according to proficiency. Especially, although there is a high error rate of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there is no research centering on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related to kel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Second, we examined the correspondence patterns of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in Korean and Chinese. The Korean and Chinese predicates can be divided semantically into one to one, one to many, and many to many. The differences in meaning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s, the diversity of meanings of meanings, and the difference in meanings between 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are the causes of mistakes in Chinese learner `s using of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Third, the experimental study was based on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selected 33 transitive verb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nd to translate the Chinese `predicative + object` Collocation corresponding to 33 transitive verbs into Korean `object + predicate`. And the analysis of error patterns shows that the causes of error are mainly influenced by mother language and target language. Elementary learners are often influenced by their mother tongue, and there are many mistakes due to differences in meanings of mother tongue and meanings of mother tongu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Korean language,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the target language than the influence of the mother tongue. According to the mastery, the error rate of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is lowered and accuracy is improved. Fourth,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educating Chinese learners about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are as follows. First, they are taught in the form of chunks of nouns and verbs. Second, it shows what noun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when presenting synonyms or plurals. Third, when you are teaching Korean autographs and transitive verbs, they explain the features of autobiographical and transitive verbs morphologically. Fourthly, it explains the meaning difference between Chinese verbs corresponding to Korean verbs. Fifth,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difference of meaning in Korean and Chinese when Chinese characters appear by reducing the error expressed by one-to-one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is study was left with only 6 Chinese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And the fact that only 30 of the narratives are selected is also a limitation. Although this study has many deficienci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Chinese learners to learn the Structure of Predicate and Object a little.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내용 연구 - `일상생활`과 관련된 어휘를 중심으로 -

        송대헌 ( Song Dae-heon ),윤정아 ( Yun Jeong-a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4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연어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밝히고, 그에 따른 연어 교육 내용을 주제별로 구성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어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고, 어휘를 확장하여 실제 의사소통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한국어 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는 초급, 중급, 고급에 따라 단편적으로 제시되고 있고, 각각의 교재별로도 제시가 통일되어 있지 않아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용 연어를 선정하고, 선정한 연어 항목을 등급별, 범주별로 배열하여 한국어 연어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학습용 연어를 9개의 주제로 선정하고 이들 주제를 소주제로 세분화한 후 학습용 연어들을 배열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주화된 주제 중 `일상생활`과 관련된 연어들에 교육 등급을 부여하기 위해 등급화의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에 따라 연어의 등급을 매겼다. 이렇게 주제별 등급별로 배열된 연어 항목들을 조직하여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This study is said to Collocaition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Korean learners. And depending on the subject by constructing a Collocaition training content is the goal of finding a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Collocaition education of Korean learners. The Collocaition is composed of two words.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can not easily predict Korean learners. Therefor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rses to learn the meaning of Collocaitions, suffer from a lot of trouble going to extend the use of the Collocaitions. And if they do not learn the correct meaning of Collocaitions from beginner Korean learners are likely to produce Collocaitions use the error reached an advanced stage. This paper was selected for this purpose for the study Korean language learning Collocaition and Collocaition were organized and selected topics to the array. Thus `Daily life`, `Leisure`, `health`, `thoughts and feelings`, `collective life`, `interpersonal`, `economic activity`, `society and culture`, nine theme of `nature` was selected. Sub-themes of this subject , and an array of learning Collocaition. Finally, the categorization of topics related to the `life` in order to give the standard for Collocaitions grading education.

      • KCI등재

        연어(collocation)의 어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김규훈,이준영,김혜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이 연구는 어휘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해 ‘연어(collocation)’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방안을 탐색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연어와 어휘 교육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이들을 결합적으로 논의하였다. 연어는 의미가 투명하고 빈번하게 결합하는 어휘소의 공기 관계이다. 이에 연어는 국어교육의 텍스트 소통 과정에서 어휘 사용 능력을 함양하기에 적합한 어휘 자료이다. 어휘 교육 검토를 통해 설정한 연어 활용의 내용 범주는 ‘창조적인 어휘 사용’, ‘어휘의 맥락적 이해와 표현’, ‘어휘적․문법적 의미 탐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어의 유형인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를 바탕으로, 어휘적 연어의 경우 ‘어휘 의미 이해와 창조적 표현’에, 문법적 연어의 경우 ‘호응 관계 탐구와 문장 쓰기’에 관한 교수-학습 활동을 예시해 보았다. 일련의 연구는 학습자가 텍스트를 소통하는 과정에서 실제적인 어휘의 사용을 유도하는 연어 활용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vocabulary education using collocations for improving a learner’s vocabulary using compete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previous research about the “collocation” and the “lexical education” were searched, and these two are converged. Collocation is a co-occurrence lexeme relation with transparency and frequency. So collocation is an appropriate material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al text communication. Contents categories of collocation using are “creative vocabulary using”,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vocabulary”, “the lexical․grammatical meaning inquiry”. Following to these contents categories of collocation using in vocabulary education, the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could be set. Based on the type of collocation, “lexical colloca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 the activities are proposed from these two types. These are, “understanding vocabulary meanings and creative expression” in lexical collocation, and “agreement-collocation and sentence writing” in grammatical colloca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to approach an authentic educational way of vocabulary using in text communication.

      •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적 연어 연구

        이인희(Lee In He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硏究 Vol.22 No.-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적 연어 제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효과적인 언어 학습 방법 중의 하나로 연어를 통한 학습 방법이 있다. 연어는 크게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로 나눌 수 있다. 문법적 연어는 문법 요소와 어휘 요소가 결합한 구성을 말한다.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의사소통을 하려면 문법적 연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범위에 따라 문법적 연어를 가리키는 용어가 다르다. 문법적 연어의 이해를 위해 먼저 문법적 연어의 개념을 알아보고 문법적 연어의 특성을 형태, 통사, 화용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 기관 한국어 교재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오류와 교사 난이도를 고려한 효과적인 문법적 연어의 제시 방법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method for the grammatical collocation for Korean learners. The collocation is one of the effective language learning. The collocation can be divided into lexical colloca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 The grammatical collocation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ombines the elements and components. The grammatical collocation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ombines the grammar elements and lexical elements. The Korean learners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 to communicate naturally in Korean. The term of grammatical colloc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ang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grammatical collo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tical collocation were classified as morphological, syntactic, pragmatic. To find out the about the grammar collocation, examined the status of Korean textbooks and looked for an effective way to present the grammatical collo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