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언어인식(language awareness)’의 전이를 중심으로-

        김규훈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way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awareness” as an attitudinal educational contents in the grammar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s discourses of the Korean subject curriculum and the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awareness and apprehends problems of them. It finds out the conceptualization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is incompletenes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lack of practicality even though those are related to the “language awareness”. To get over these problems, this study confirms the educational contents in all domains of Korean subject about Korean language awareness and apprehends the language awareness needs to be spread. This study spreads the concept of functional, critical dimensions in the language awareness and the educational designing methods of the language awareness into an area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specially it also checks a possibility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awareness about the power relations by spreading th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On a basis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suggests categories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al contents, “the social dimension: Interest in Korean language phenomena, the personal dimension: Reflex and improve Korean language life”, and makes educational contents elements in each category. Furthermore, this study exemplifies an educational content and a practice for Korean language awareness, that is a task about the political power and ideology, which are not deal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ntil now. 이 연구는 문법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 의식에 관한 문법교육의 교육과정과 연구 담론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국어 의식에 대한 개념화가 미흡하고 언어인식과 관련을 이루되 실천성이 결여된 교육 내용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고자 이 연구는 국어 의식과 관련된 국어과 범영역적 교육 내용을 확인하여 언어인식의 실천적 논의를 전이할 수 있음을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언어인식에 대한 기능적, 비판적 차원의 개념과 교육적 설계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비판적 언어인식을 통해 국어 의식의 교육에서 힘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언어인식 기반의 국어 의식 교육 내용에 대한 범주를 ‘사회적 차원: 국어에 대한 관심’과 ‘개인적 차원: 국어생활의 성찰과 개선’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내용 요소를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그간 국어교육에서 다루지 못했던 권력과 이념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과 실제를 예시해 보았다.

      • KCI등재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개념적 체계화와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김규훈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3 민족연구 Vol.-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and to consider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criticall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consciou sness is biased to studies of the language awareness was identified by piecing the existing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together. To overcom e this bias phenomenon, this study recalls the multi-layered features of the “Kore an language”, and investigates conceptual roots of the “Consciousness” in Korea n language education. On a basis of this works,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i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attitude of inquiry, attitude of awareness, attitude of value”, and the conceptual elements at each category are established. And then,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Korean consciousness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in 2022 curriculum. As a result,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is state d clearly in the key idea, the contents elements are leaned towards the language awareness in the contents system of 2022 curriculum. In achievement standards of 2022 curriculum, it is feared that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education could be just declaring education becaus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which are related to the value・attitude in grammar domain, are mostly connected to knowledge・understanding category of those domain. Nevertheless, a possibility is found that the valuable attitud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could be constructed by the contents related to language-culture of Korean language use. 이 연구는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을 체계적으로 개념화하고 국어 의식에 관한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 의식에 관한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국어 의식의 개념이 언어 인식과 관련하여 편중되어 있음을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어교육에서 ‘국어’의 중층성을 상기하고 ‘의식’의개념적 근원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어 의식을 탐구적 태도, 인식적 태도, 가치적 태도로 범주화하고 각 개념 요소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2022 교육과정에서국어 의식에 관한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용 체계에서는국어 의식이 핵심 아이디어에서 명시되었으나, 언어 인식 중심으로만 내용 요소가제시되어 있었다. 성취기준에서는 문법 영역의 가치・태도에 관한 국어 의식 교육내용이 지식・이해 범주와 주로 연계되어 선언적 교육에 그칠 우려가 있었다. 그럼에도국어 의식의 가치적 태도 교육이 국어 활동의 언어문화 관련 내용으로 구성될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일고찰 - 국어과 과목 설정 문제를 중심으로 -

        김규훈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for development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it focused on checking Korean subject setting issues criticall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hecks base discourses which is a background of curriculum development at first. These are “key competence, integration, creativity․character, convergence”, and “key competence” is important thesis among them in this curriculum revision. And then this study arranges reconstruction ways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subject system” would be mainly checked due to it is a focus point of a reconstruction. Based on this, the validity of Korean subject setting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to be considered critically. It is focusing matters, “relationship with key competence, integration for Reading subject, validity of Language and Media, ambiguity of Classic Reading”. 이 연구는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을 살피고, 특히 ‘국어과 과목 설정’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과정 개발의 배경이 되는 기저 담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들은 ‘핵심 역량, 통합, 창의․인성 및 융․복합’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핵심 역량’은 현 교육과정 개정을 추동하는 가장 중요한 명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 이번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중점 과제인 ‘교과 체제’를 확인하는 데 집중한다. 일련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과목 설정의 타당성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핵심 역량과의 관련성, 독서 과목의 통합성, 언어와 매체의 타당성, 고전읽기의 모호성 등에 대해 집중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향후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의 본격적인 개정 작업을 위한 성찰과 지향을 담은 논의로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생태언어학의 교육과정 재개념화 방향 - 2009 교육과정 문법 과목의 내용 재구성 방안 모색 -

        김규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s at spreading grammar education contents with reconceptualizing ecolinguistics 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is is based on a paradigm of an ecological view, the academic evolu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onvergences between studies. Ecolinguistics has "live-together" philosophy toward harmony because it is from ecological understanding, monism and whole thoughts. Especially, the core of ecolinguistics, "the sustainability literacy" is a concept to consider language environment of individuals and groups, so it has cognition of ability to think "social integration through language" and "natural coexistence through language". The grammar education is an education about language and a research on accuracy and appropriacy of various language environments. At this point,reconceptualized spreading is in a "Korean language and living" category of the grammar curriculum, because this category has cont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environment and its appropriacy. For spreading, this study analyzed critically four items of this category, ordinary language · media language · social language · academic language. As a result, "ordinary" and "social" language don't get a balance because these are based on a same theory, sociolinguistics. To solve this problem, the ecolinguistics which is not only a close to sociolinguistics but also a difference to it, could be reconceptualizing to the grammar curriculum. The way is that an integration contents of social language with ordinary language, the ecolinguistics contents spread in ordinary language. The contents elements are "language dynamics, language conflict and settlement, criticizing human-oriented language". Especially, the criticizing human-oriented language reveal its innate features, so the ecological thoughts could be cultivated by using language for coexistence with nature. 이번 연구는 생태언어학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방향을 설정하여 생태언어학의 이론적 내용을문법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전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는 학문 간 결합에 의한 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진화라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국어교육을 바라보는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한다. 생태언어학에서는 생태학적 인식을 기저에 두기 때문에 모든 대상은 일원론적이자 총체적이며,조화와 화합을 향해 상생(相生)한다는 철학이 깔려 있다. 특히 생태언어학의 핵심인 ‘지속가능성 문해력’은 개인과 집단이 사용하는 언어를 고찰하여, ‘언어를 통한 사회의 통합’과 ‘언어를 통한 자연과의 공존’이라는 사고력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생태언어학은 개인 화자의 언어 역동성, 언어와 사회, 언어와 자연을 아우르는 언어 현상을 탐구한다. 문법교육이 언어에 대한 교육이자, 다양한 언어 현상의 정확성과 적절성을 탐구하는 것이기에 생태언어학에서 지향하는 상생적 언어 현상은 문법교육으로 재개념화 될 수 있다. 이때 문법 교육과정의 ‘국어와 삶’ 범주에서 생태언어학의 내용을 전이하고자 하는데, 그것은 이 범주가 국어의 현상과 그 적절성을 교수-학습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 교육과정의 ‘국어와 삶’ 범주를 교육과정 내용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국어와 삶’ 범주의 네항목인 ‘일상 언어, 매체 언어, 사회 언어, 학술 언어’ 가운데 특히 ‘일상 언어’와 ‘사회 언어’ 항목에서 내용 요소의 균형에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것은 두 항목의 배경 이론이 직접적으로 사회언어학을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언어학과 가까우면서도 차별성을 가지는 생태언어학의 이론적 내용을 문법 교육과정으로 전이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일상 언어’의 내용을 ‘사회 언어’의 내용으로 통합하고, ‘일상 언어’에서 생태언어학의 이론적 내용을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일상 언어’ 항목에서 ‘언어의 역동성, 언어의 갈등과 해소, 인간 중심적 언어의 비판’이라는 내용 요소를 새롭게마련하였다. 특히 인간 중심적 언어의 비판은 생태 언어의 고유한 특성이 드러나는 것으로서, 자연과의 공존을 위한 언어 현상을 탐구하여 학습자의 생태적 사고력 함양을 유도할 수 있다.

      • KCI등재

        문법의 교육과정 통합 실재화 방안- 2022 교육과정 <화법과 언어> 과목을 중심으로 -

        김규훈 배달말학회 2023 배달말 Vol.7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possibility on curriculum integration of the grammar focused on the <Speech & Language> subject in 2022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purpose, it looks at the meaning of curriculum integration, and checks aspects of curriculum integration of the grammar diachronically. The inter-domain integration in the grammar curriculum since 2009 curriculum is not embodied. And then, it inspects the integrations of <Speech & Language> in 2022 curriculum. As a result, there is an achievement standard on a high level integration in part, but mostly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grammar and the speech exist separately. This study suggests two ways to make a possibility of the grammar and the speech integration high. One is a content of inquiring expressive intentions with speakers’ vocabulary choice on a basis of frame theory, the other is a content of analyzing discourse features in speeches on a basi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 chain of these discussions have a meaning to suggest a method for settle down curriculum integration of the grammar in <Speech & Language>.

      • KCI등재

        ‘비판적 담화분석’ 기반 비판적 수용의 통합 활동 개발 : ‘언어와 매체’의 통합을 중심으로

        김규훈,김효연,김다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grated activity of critical acceptance based 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Critical acceptance essentially aims for domain integrated activities, but a current practice is weighed in reading or listening as a domain of understanding.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is problem, makes a domain integrated activity recovering the essence of critical acceptance. To do this, we pay attention to CDA as an adjoining theory of Korean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critical acceptance, and we investigates educational contents of critical acceptance by steps through being shifted to learners’ activities from CDA’s analysis categories. This is the CDA’s Korean educational applying frame, confirming a text(a “text reading” step), observing language constructing a text, inquiring meaning performances making by linguistic features, acknowledging sociocultural contexts on 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a text(a “critical analysis of text” step), and arranging a critical acceptance result of a text and suggesting a way of a recognition improvement(a “text recognition” step). After this, we make detailed contents in each steps of this applying frame by reviewing achievement standards of grammar domain and media related contents in Korean subject curriculum(2015). And then we develop and implement an integrated activity of critical acceptance which could use in an actual class, and it gets feedback through the class criticism. This study has a meaning to gain a foothold for reinforcing the integration of Korean education, by trying to make an authentic method for recovering the essence of critical acceptance. 이 연구는 ‘비판적 담화분석’을 기반으로 비판적 수용의 통합 활동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비판적 수용은 본질적으로 영역 통합적인 활동을 지향함에도 교육적 실천은 주로 읽기나 듣기의 이해 영역에 치우쳐 있다. 이 연구는 여기에 문제의식을 갖고 비판적 수용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는 영역 통합적인 활동을 구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판적 수용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어교육의 인접 이론인 ‘비판적 담화분석’에 주목하고, 그 분석 층위를 학습자의 활동으로 전이하여 비판적 수용의 교육 내용을 단계별로 밝혔다. 구체적으로 텍스트의 내용 확인(이상 ‘텍스트 독해’ 단계), 텍스트를 형성하는 언어에 대한 관찰, 언어적 특징에 의해 구성되는 의미의 수행성 탐구, 텍스트의 생산과 해석에 작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이상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 단계), 텍스트의 비판적 수용 정리와 인식 개선을 위한 방안 제안(이상 ‘텍스트 재인’ 단계) 등으로 비판적 담화분석의 국어교육적 적용 틀을 구안하였다. 그런 다음 ‘언어와 매체’ 관련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 내용 요소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비판적 수용의 통합 활동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이를 비평적으로 환원하였다. 이 연구는 비판적 수용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구안하려는 시도로서, 궁극적으로 국어교육의 통합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공공언어 교육으로서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방안 - 공공 어휘의 타당성 탐구를 중심으로 -

        김규훈 한국문법교육학회 2023 문법 교육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way to valid vocabulary education as public language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established categories for vocabulary usage in public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ategorized accurate, appropriate, and valid vocabulary using based on different areas of vocabulary education within public language education. And then, this study developed the content for valid vocabulary education and created a pathway for its implementation in public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 of valid vocabulary education was found to involve understanding the conceptualization of vocabulary, exploring the expressive intent and effects evident in vocabulary selection, and recognizing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vocabulary. Lastly, this study designed instructional content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public vocabulary using. It was determined that public vocabulary education primarily examines the validity of specialized terminology used in official documents. Based on this, the research proposed a learning activity to explore the validity of legal vocabulary used in a news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