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 분석

        김리나 ( Ri Na Kim ),신항균 ( Hang Gyun Sih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이 학생들의 수학 수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현직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수학 수업과 관련한 교사의 지식은 단순하게 수학 문제를 푸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을 넘어, 수학적 내용을 학습자 수준에 맞게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는 지식을 지칭한다. 이와 유사하게 수학 교육 과정 지식 역시 교사가 단순히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주제들의 제시 순서를 암기하는 수준이 아니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주제들의 관련성을 해석하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활용하는 지식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학습 주제들의 연관성의 이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자체 개발하였으며, 동일 문항을 사용하여 317명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17명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설문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은 교사의 성별, 초등수학교육 관련 학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교사 연수 및 학위 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과 관련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was to explore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indicates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mathematics topics,which were presented by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South Korea.However, it does not represent teachers`` simple memorization about the order of topics in the curriculum. It is because teachers apply their knowledge regarding the relationship among mathematics topics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m according to students`` characteristics.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re appli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female elementary teachers might have more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than male teachers. Also,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lementary teacher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in terms of their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However, there is a little affect of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certification levels on the teachers``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quantitative study would help us to understand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which have a deep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Automatic Fracture Detection in CT Scan Images of Rocks Using Modified Faster R-CNN Deep-Learning Algorithm with Rotated Bounding Box

        Chuyen Pham(추엔 팜),Li Zhang(장리),Sun Yeom(염선),Hyu-Soung Shin(신휴성) 한국암반공학회 2021 터널과지하공간 Vol.31 No.5

        본 논문에서는 암석시료의 CT 촬영 이미지상의 균열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새로운 인공지능 딥러닝 기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 기법은 2단계 딥러닝 객체인식 알고르즘인 Faster R-CNN을 기반으로 회전 가능한 경계박스(bounding box) 개념을 도입하여 알고리즘을 개조하였다. 회전 경계박스의 도입은 관심 균열 영역 밖의 배경의 불균질성 및 균열의 크기와 형태에 영향을 받는 딥러닝 객체인식기법 상의 고유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 역할을 한다. 본 회전형 경계박스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상 수평 축과 평행한 경계박스 사용의 경우와 비교하여 긴 형태의 균열 형상 특성에 매우 잘 부합된다. 즉,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경계박스 내 균열 이외 배경영역의 비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회전 경계 박스의 추가적인 이점은 인식된 균열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추론되는 경계박스를 통해 균열의 방향과 길이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제안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미지상에서 매우 불균질한 화강암 시료에 인공적으로 균열을 발생시킨 다수의 암석시료 영상을 딥러닝 학습에 사용하고 추론 성능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외에도, 동일 조건에서 사암과 셰일 암석 시료에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기법을 통해 균열 객체 인식의 평균 추론정확도(mAP)값이 0.89 정도 수준의 우수한 추론 성능을 보였으며, 기존 기법에 비해 추론된 경계박스 내 균열과 배경 영역의 비율 측면에 서 배경의 비율이 획기적으로 최소화되는 유리한 추론 검증 결과를 보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approach for automatic fracture detection in CT scan images of rock specimens. This approach is built on top of two-stage object detection deep learning algorithm called Faster R-CNN with a major modification of using rotated bounding box. The use of rotated bounding box plays a key role in the future work to overcome several inherent difficulties of fracture segmentation relating to the heterogeneity of uninterested background (i.e., minerals) and the variation in size and shape of fracture. Comparing to the commonly used bounding box (i.e., axis-align bounding box), rotated bounding box shows a greater adaptability to fit with the elongated shape of fracture, such that minimizing the ratio of background within the bounding box. Besides, an additional benefit of rotated bounding box is that it can provide relative information on the orientation and length of fracture without the further segmentation and measurement step. To valid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we train and test our approach with a number of CT image sets of fractured granite specimens with highly heterogeneous background and other rocks such as sandstone and shale.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our approach can lead to the encouraging results on fracture detection with the mean average precision (mAP) up to 0.89 and also outperform the conventional approach in terms of background-to-object ratio within the bounding box.

      • KCI등재후보

        한국교육의 역사 속에서 살펴본 "초등교육"의 의미와 특성

        정윤경 ( Yun Kyoung Ch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3

        본고는 초등교육의 의미가 한국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은 교육대상인 아동, 교육과정(교육목적과 내용), 초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본고의 시기 구분은 초등교육을 담당한 학교 명칭의 변화를 준거로 하여, 서당시기(조선), 소학교 시기(갑오개혁∼1906년), 보통학교 시기(1906년 보통학교령∼1941년 초등학교령 이전), 국민 학교 시기(1941년 국민학교령∼1996년), 초등학교 시기(1996년 이후)로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Ⅱ장에서는 초등교육 대상인 아동을 보는 관점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과정(또는 교재)에 나타난 초등 교육목적과 내용, 그리고 시대사회적 배경 속에서 초등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한국 역사 속에서 초등교육의 의미와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초등교육의 과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have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Korean history. The analysis is done with focusing on the meaning of child(subject of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aims & content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social percep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he period of analysis is classified on the basis of change of elementary school names. The period of analysis is as follows: Seodang period(Chosun Dynasty), the Gabo Reformation -1906, 1906-1941 elementary education rules, 1941-1996(the year of changing school name into elementary school), after 1996.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meaning of a child through Korean history was analyzed in ch. Ⅱ. The aims, contents, and social percep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period were searched in ch. Ⅲ. Based on the discussion so far,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were discussed and the tasks for develop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동진 ( Dong Jin Kim ),구덕회 ( Duk Hoi Ko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과학과 IT를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과 IT의 적절한 융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에 적용할 수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로 설정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및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하여 총 4개 주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기존 과학과의 영역인 ‘물질, 운동과 에너지, 생명, 지구와 우주’에 속하는 단원 중에서 IT의 적용이 학습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단원을 선정하여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반과 통제반을 선정하여 두 반의 과학흥미도와 ICT 리터러시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과학흥미도와 IT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일부 학생의 실험 결과는 그 효과를 전체 학생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져가는 우리 주변의 문제에 대해서 보다 융합적 사고를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21세기에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이다. 즉, 과학과 IT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한 가지의 방법으로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ne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gainst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 by develop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topics w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2. Analysis of the applying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previous studies on IT convergence education and science program, and to analyze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the sixth grade. Then, a new program which consists of four theme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selected one unit from the sixth grade textbook which was related to each of four following science fields, ``substance, movement and energy, biology, earth and universe``. The units were also selected based on appropriateness to apply the elements of IT. Finally, a teaching program with a suitable IT element for each theme was developed. To apply the developed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program, one class was pre-selected while other classes followed traditional education.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 for interest in science and ICT literacy was conducted. As a result, tw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These results imply that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rom this study has a great potential to help students to improve ICT literacy and interest in science ompared to other existing education programs. However,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developed program sole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unreasonable. Nevertheless, in modern society with more complex and diverse Science IT, the convergence of thinking and IT literacy are very important skills for learners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for new convergence education has enough significance in developing bright minds with convergence thinking skills.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이강미 ( Kang Mi Lee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생명경시 풍조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생의 역할 모델인 초등교사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에 관련된 변인들을 규명하고,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 및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 중소도시 지역의 초등교사와 학생 362명과 287명을 대상으로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 및 인식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으며, 교사들에 대해서는 초등학교에서 생명윤리교육의 수행 실태 및 생명윤리교육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있는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확대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그리고 종교유무별로는 영역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종교가 있는 교사의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들도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은 높았으며, 성별, 종교별,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생명윤리교육 시 어려운 점은 적용 가능한 자료와 프로그램의 부족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명윤리교육에 적합한 수업 방법은 시청각 수업이나 토론 수업이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생명윤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n the perception of bioeth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6th grade students,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ioethics education and provide the information on bioethics education in order to solve a trend of making the light of life that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problem. For these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by 36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87 students in Seoul and small- or medium-sized cities of Gyeonggi Province that were chosen for purpose sampling.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e attention and perception of bioethics, variabilities according to sex, religion, age and service area for the teacher group, and sex, religion, age and school area for the student group. And, the teachers were also measured through 23 questions made up 13 items for learning topics to bioethics education, 5 items for role of the teacher for bioethics, 4 items for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materials for bioethics education. Statically analysis was conducted on each of the variables through mean, t-test and F-distribution, Scheffe test through SPSS 12.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follows: First, the teachers became realized about the importance of bioethics education and had much interest in bioethics. And, th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ioethics among themselv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service area, except for the religion. Second, the students also discovered the importance of bioethics education and had much interest in bioethics. And, th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ioethic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sex, area and religion. Third, becaus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high level of perception on the lack of materials and programs that could be applied to lesson, it is needed to solve these problems to activate the bio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ield. Also, many of them mentioned audio lessons, video lessons and discussion lessons as the proper type of lesson for bioethics education, and raised a need to develop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to provide teachers with accurate information about bioethics. In conclusions, the strengthening of bioethics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of prim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 and in-service teachers training course is necessary to meet the knowledge and values of bioethics for teachers because the class teacher instructs almost all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increase the ethical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ny programs containing learning contents should b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time situation and need to be developed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student.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초등학교 고학년용 녹색소비교육이 초등학생의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명숙 ( Myung Sug Kim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소비교육과 녹색교육의 관련 문헌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5·6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여, 소비자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획, 설계 및 검증, 적용,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초등학교 고학년용 녹색소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8주 동안 총 1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검사지는 목건문(2010)과 김미란(2010)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5·6학년 교과 중에서 실과 교과가 소비자교육의 전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며, 특히 ‘친환경소비와 문화’ 영역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어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가장 적합한 교과였다. 이에 5·6학년 실과 교과에서 소비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구안·적용시켰다.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의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소비의식과 소비행동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의식이 높은 학생일수록 소비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성적 분석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일 뿐만 아니라 녹색소비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실천 의지 및 소비행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로서 앞으로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지향하는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을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비롯한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awareness for the consumption of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documentary and investigatory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reafter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was implemented by following the 4 stages of planing, design/verification, field test, evalu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ne-group pretest-postest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for two hours every week i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for 8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 awareness and behaviour on the consumption.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benefits and verify its effec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 dealing with the green consumption through not only the analysis of the course of study, or the consideration of the case studies, but also the research for the references on the green growth education and consumer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n 5th/6th grade textbook and the guide book of 2007 revised curriculum, practical arts was the most suitable curriculum organizing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because it covered evenly the area of consumer education containing ``eco-friendly consumption and culture`` area etc. B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the relevant green consumption contents in this 5th/6th grade practical arts,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Second,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onsumption awareness and behavior. Third,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683) between consumption awareness and behavior. Fourth,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in the gr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 learning motivation and comprehension after receiving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bring the case of study of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field.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follow-up activity.

      • KCI등재후보

        녹색성장 개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실과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유진 ( Yu Jin Cho ),강종표 ( Jong Pyo Kang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녹색성장 개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초등실과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마와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제 7차 및 2007 교유과정의 실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추출한 녹색성장교육 내용을 토대로 완격, 생활, 기술, 경제영역에서 영역당 두 개 의 학습 주제를 프로그램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그래고 개발된 프로그램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개의 학습을 대상으로 전,후 검사설계를 통하여 16차사에 걸쳐 수업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및 2007 실과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녹색성장 관련 내용을 재구성하여 녹색성자 기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실과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쨰,녹색성장 개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실과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해였다. 둘째, 녹색성장 개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실과 통합교육 프로그램 적용은 초등학생의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과 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써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차후 초등학교의 녹색성장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이와 관련된 보다 심층적인 연구 및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n the elementary practicalarts based on green growth concept,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green growth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documentary and investigatory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reafter an integrated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3 stages of planning, preparation and implement. And, the experiment was made progress as two-group pretest-poisttest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for every two hours in a week i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for 8 week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hrough restructruing the green growth related contents extracted from the 7th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2007 curriculum.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green growt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attitude. Fourth through the result of a case analysis of observation, interview and protfolio, most stydents had an interested in green growth concept and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wowards green growth. In conclusion,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based on green growth concept is applicable to the deucation field. Moreover,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6th graders towards green growth. This suggests an intefrated green growth education with practical arts in meaningful as a new method of green growth education and needs to research more intensively and systematically on the professor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an integrated education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 KCI등재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조혜연 ( Hye Yeon Cho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운영현황과 교육 시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11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발된 교육현황과 장애요인을 알아보는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에 있어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지 결과 분석은 엑셀과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운영현황과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장애를 느끼지 않는 교사에 비하여 수업시간에 ‘생물다양성‘과 ‘먹을거리‘ 주제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할 때, 대부분의 교사들은 ‘기후변화’, ‘에너지’, ‘생물다양성’, ‘물의 이용’과 같은 환경 영역의 주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볼 때, 환경, 사회 및 경제 영역에 대한 균형성을 가진 주제를 발굴하고, 그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수업자료를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대중매체를 통해 교육자료를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인터넷에서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를 위한 필요 요소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확대’와 ‘교재 및 수업자료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 공감대가 형성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수업 자료들이 확충되는 등 여건이 조성될 때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자료개발이나 연수 기회의 확대와 같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elementary school and ESD, identifies the barrier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oing ESD.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eachers who were selected to work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questionnaire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was modified and us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the barriers of ES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he Excel and i-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acing barriers in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are inclined to have more education topics of ``biodiversity`` and ``food``. But, most ESD topics that are used in elementary school class are composed of the environmental domain such as ``climate change``, ``energy``, ``biodiversity``, ``water use``. So, it needs further development of a well-balanced topic amo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domain. Second, the teachers facing barriers of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need to support the educational materials with diverse and high quality on the internet, because they tend to obtain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e mass media than others. Third, most teachers need ``Expanded awareness of ESD`` and ``Expansion of teaching materials on ESD`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ES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activate ESD of elementary school if ESD is included in curriculum after expanding the awareness and forming an educational consensu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need the awareness cultivation and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on ESD to activate ES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on ESD, expansion of mor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물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 고학년용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김유라 ( You Ra Kim ),이지은 ( Ji Eun Lee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본 연구는 인간이 사용하는 물의 양의 나타내는 지표인 물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고학년용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에서 물의 소중함, 물 오염과 부족, 물의 보존과 같은 물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의 학습자 발달단계뿐만 아니라 복잡한 시스템이나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보다는 일상생활과 연계된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물 환경교육과 물발자국에 대한 이론적 고찰, 물 환경교육 모형 설정, 교육프로그램 목표 및 주제 선정, 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전문가 검토, 수정·보완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한 개 학급(3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에 적용하고, 물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물 환경교육에 활용할 8개 주제 16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수·학습 과정안, 활동지, 읽기 자료, 평가 자료로 구성된 교사용 교수자료와 활동이 포함된 활동지, 읽기 자료, 학습자용 자료로 구성하여 실제 수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물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최근 국제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물 오염과 부족, 물의 보존 등과 관련한 물 환경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우리 사회가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이 물 환경교육을 효율적으로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ater footprint concept-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he water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o achieve the effectiveness of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aining precious water, pollution and shortages of water, th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following 4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verification, field test and evaluation. The experiment made progress a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in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hour for 8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on water environment.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program follows the three regions which are contents process of water conservation, practical part on water conservation based on water footprint concept and expanding environments principle in accordance with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is made up of eight parts: our life and precious water, water pollution and shortages, understanding of water footprints, closing & textiles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dietary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housing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reducing water footprints of school and local community life, and reducing water footprint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 life. Thir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on water environment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n conclus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an applicable example on water-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y provide to teaching material to proceed with effective class on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by field teacher toward sustainable society.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more intensively and systematicall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lated to a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초등학교 2학년 "봄" 교과서의 "봄 나들이" 단원을 활용한 PBL 기반 환경교육 자료 개발

        김정민 ( Jung Min Kim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2

        본 연구는 효과적인 초등학교 저학년 환경교육을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의 `봄’교과서 의 `봄 나들이’단원을 활용하여 PBL 기반 환경교육 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토대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환경교육의 성격, 환경교육에서 PBL의 교육적 의미와 초등 저학년 대상 PBL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둘째, 문헌 연구를 기초로 하여 초등학교 2학년 `봄’교과서의 `봄 나들이’단원에 적용할 PBL 문제를 개발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고 교육과정의 목표가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봄 나들이’단원을 바탕으로 환경교육에 관련한 문제를 개발하고, 개발한 문제에 대한 자기평가와 전문가 평가를 받아 문제를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완성된 PBL 문제를 바탕으로 조연순(2006)이 고안 한 문제 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탐색 및 재탐색하기, 해결책 고안하기, 발표 및 평가하기의 5 단계로 교수·학습 과정을 계획하고, 학습 전 과정의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섯째, 개발한 교수·학 습 계획은 전문가에게 타당성을 검토 받고 수정·보완하여 최종 PBL을 기반한 초등학교 저학년 환경교육 자료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 내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PBL 기반 환경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개발된 PBL 기반 환경교육 자료를 통한 학습은 환경문제와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석을 이룰 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의사결정력, 문제 해결력을 신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개발된 PBL을 활용한 환경교육 자료가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그 효과성 검증받아 보다 완성된 교육자료가 완성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후 초등학교 저학년 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있어 후속 연구를 통한 교육 자료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based on PBL utilizing ‘spring outing’unit of elementary school 2nd grade ‘spring’ textbook in order to perform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To achieve this study`s purpose, the research procedures was as follows. First, the documentary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haracter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low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educational meaning of PBL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PBL for the low grade in elementary school. Second, on the basis of the documentary research, PBL problems were developed though the spring outing’unit of elementary school 2nd grade ‘spring’ textbook on the subj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problem development, the emphasis was 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the purpose of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problems was checked and revised through self-evaluation and feasibility assessment of experts. Third, to apply to the lesson using the developed PBL problems, a teaching-learning process is applied to Jo`s(2006) process model, which consists of 5 steps-meeting a problem such as making a troubleshooting plan, exploration/re-exploration, devising a solution, and presentation/evaluation. And evaluation plan is built up to assess not only the result of learning but also the whole process of learning by diversifying assessors,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methods. Fourth, the final education materials were complet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using the feasibility assessment of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