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韩国中高级汉语学习者“主语遗漏”偏误的考察及教学建议

        刘洁 한국중문학회 2021 中國文學硏究 Vol.0 No.82

        ‘주어 누락’은 한국 학습자의 중국어 작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오류이다. 본고는 한국학생들의 작문자료를 수집하고 ‘주어 누락’의 오류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해 한국학습자들의 ‘주어 누락’이 잘못된 구체적인 상황을 고찰했다. 학습자의 중국어 수준에 따라 그에 대해 구체적인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우선 ‘누락 오류’의 수량을 보면 중급 중국어 수준의 학습자하고 고급 중국어 수준의 학습자가 ‘주어 누락’의 오류는 ‘누락 오류’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 體言성 성분의 제1인칭 대명사 주어 누락은 고급 수준자와 중급 수준자는 모두 60% 이상의 오류가 발생한다. 제3인칭 주어, 지시 대명사 주어 누락 오류는 고급 수준자는 중급 수준자보다 훨씬 적다. 그 다음에 우리는 전체 문장이나 문단의 주어 완전히 누락했는지 아니면 문장 중의 일부분 문장의 주어 누락했는지 여부에 따라 주어누락의 유형을 두 가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문장에서 연결 성분이 있는지, 연결 성분이 없는지에 따라 ‘주어 누락’에 대해 구체적인 하위로 분류했다.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는 ‘문장 전체에 연결 성분없는 문장의 주어 누락’의 오류가 중급 수준 자에게만 나타난다. 그러나 ’전체 문장에 연결 성분이 있고 주어가 누락 되었다’는 경우와 ‘앞 뒤 문장에서 뒤 문장의 주어가 누락 되었다’의 경우가 중급 수준자하고 고급 수준자가 비슷하다. 이를 통해 문장에 연결 성분이 있을 때 와 주어가 문장 단락의 중심 화제로서 강조해야 할 때 그리고 對稱구조의 修辭효과를 고려하여 화제의 주어를 강조해야 할 때 한국 학습자들은 주어를 파악하기 어렵고 누락하기 쉽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주어 누락’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교학 의견을 제출하도록 한다. 우리는 여러 측면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에서 모국어식 사고방식 표현습관의 영향과 작문 문단 연결 학습의 부족은 한국 학습자들이 ‘주어 누락’을 초래하는 주요한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 우리는 ‘자체 검사’ 과정과 작문 문단 연결학습 교육을 중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우리는 ‘주어 누락’이 잘못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자체 검사 표’를 제시하여 학습자에게 자체 검사를 하도록 하고 주어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한다. The error of subject omission is very common in Korean Learners’ Chinese writing. This paper collects more than 50000 words of Korean students’ writing corpus in Chinese writing class. After identification and sorting, 95 sentences with “subject omission” errors a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these sentences, the specific situation of Korean learners’ “subject omission” errors i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learners, we make a specific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learners who have not studied abroad and Korean learners who have studied abroa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e find that “the whole sentence without cohesive elements omits the personal pronoun subject” only occurs to the “non-overseas” students, and the errors of “the subject of the back clause is omitted after the conversion of the subject of the two clauses” also occurs in the majority of the “non-overseas” students; while for the cases of “the whole clause with cohesive elements omits the subject” and “the second clause without interval clause omits the subject”, occurs to both overseas students and “non-overseas” student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and master the sentences with cohesive elements, when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central topic of the passage, or to consider the rhetorical effect of symmetrical structure. Finally, we analyze the causes of the errors and try to give some teaching suggestions.

      • KCI등재후보

        간호수가 누락률 감소활동

        김난자,이용교,김혜진,정옥주,송남경,전미순 한국의료QA학회 200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5 No.1

        문제: 오늘날 간호사는 과거와 달리 현대적 보건의료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훈련된 고급 전문 인력이고, 간호행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생산원가 뿐만 아니라 전문 인력으로서의 훈련 및 유지비용 등도 투입되어야만 가능하게 함으로서 2008년 7월부터 시행한 중환자실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가 책정으로 인해 중환자실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간호행위 중 수가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생기게 되었고 간호행위의 중요성과 더불어 간호를 시행 후 받을 수 있는 수가에 대한 간호사들의 입력에 대한 의무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빈번히 누락되고 있는 간호수가 관리를 통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개선활동을 하고자 한다. 목적: 2008년 7월부터 시행한 중환자실 간호등급에 따른 간호수가 책정으로 인해 중환자실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간호 행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문제 분석과 간호 현장에서의 개선안을 도출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간호수가 누락률을 감소시키고자 함이다. 의료기관: 대구파티마병원 내과 중환자실 질 향상 활동: 업무개선의 방법으로 환자 개인별 간호수가 입력 누락 방지 체크 리스트 사용 및 처방 전달 시스템의 간호수가 재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의 용이성 도모하였고 입력된 간호수가를 처방 전달 시스템 간호수가 조회 프로그램을 이용해 익일 누락여부를 매일 모니터링 하였다. 교육 및 홍보활동으로는 간호수가 입력누락 방지를 위한 간호수가 입력 지침을 제작하여 전체간호사는 년 2회, 신규간호사는 개별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월별 간호수가 누락통계를 실명 공고 하여 간호수가 다 빈도 누락 간호사는 추가 개별교육을 실시하였다. 개선효과: 간호수가 입력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간호수가 평균 누락률이 개선 전 6.5%, 개선 후 1.2%로 5.3%의 누락 감소율을 보였으며 역치 5%를 달성하였고 간호수가 누락금액은 개선 전 2,992,752원, 개선 후 590,787원으로 2,401,965원의 누락 효과 비용을 구할 수 있었다. 본 QA활동으로 중환자실 간호수가 전산입력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부재와 신규간호사들의 잦은 전산누락이 있어왔으나 표준화 된 체크리스트 지침과 입력확인 작업으로 전산입력 누락률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추후 심 평원 청구 작업을 하는 부서와 연계되어 실제 청구 누락률에 대한 비교와 간호사 근무연수와 간호수가 입력 누락률에 대한 상관관계 조사를 제언 해 본다.

      • KCI등재

        원격방사선치료 기록부의 QA 에서 물리적 측면의 고찰

        강위생,허순녕 한국의학물리학회 1999 의학물리 Vol.10 No.2

        원격방사선치료 기록부의 QA 과정에서 관찰된 환자에 대한 부정확한 자료나 방사선치료 기록부에 기록이나 이기의 오류로 인한 선량이나 선량분포의 오류의 종류와 빈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수치 오류을 시정하기 위해 의학물리학자가 치료개시전과 일주일에 일회 이상 방사선치료 기록부의 병록지와 배치도면, MU 계산용지나 치료계획 요약지, 일일 치료기록지를 점검하고 있다. 관찰된 오류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환자신원 확인, 2)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하지 않지만 병록지의 누락이나 미기재, 3) 배치도면의 누락이나 setup 에 필요한 자료의 누락과 착오, 4) MU와 점선량 계산용지에서는 MU의 오류의 중요 원인별로 구분 및 점선량의 오류, 5) 치료계획 요약지의 분실여부와 환자자료의 오류, 6) 일일 치료기록지에서는 치료사실의 기재누락, 치료일정 착오, 처방선량 착오, setup 착오, MU 착오, 누적선량착오, 7) 선량이나 선량분포의 부정확성을 초래한 오류와 그런 가능성은 있지만 실제 실현되지 않은 오류, 단순히 기록상의 오류 , 8) 서명의 누락에 대해 검사하였으며, 결과는 환자의 수 대신 오류 건수별로 분석하였다. 1996년 6월 17일부터 1999년 7 월 31 일까지 방사선치료 기록부의 QA 에서 환자신원의 불일치는 한건도 없었으며 ,399명의 환자에 대해 431건의 오류가 관찰되었다. 물리적인 오류는 405건, 병록지의 누락 또는 미기재가 9 건, 서명누락이 17건이었다. 배치도면이 없는 경우 23 건 (5.7%), 자료의 누락 21건 (5.2%), 자료의 오기 73건(18.0%) 이었으며, MU의 계산용지가 없거나 계산 없이 치료가 시행된 경우는 13건 (3.2%), MU 계산의 착오 68 건 (16.3%), 점선량의 계산착오 8 건(2.0%), 방사선치료계획 결과 용지의 분실이 1건 (0.2%), 환자자료의 입력 오류가 11건(2.7%), 치료기록의 누락이나 치료의 누락이 8건(2.0%), 치료일정의 오류 13건 (3.2%), MU 계산이나 치료계획의 처방선량과 일일 치료기록지 처방선량의 불일치 20건(4.9%), 치료 setup 의 착오 33건(8.1%), MU의 설정 착오 52건(12.8%), 누적선량 착오 61건(15.1%) 이었다. 선량이나 선량분포의 부정확성을 초래한 오류는 239건(59.0%) 이었으며, 그런 가능성은 있지만 실제 실현되지 않은 오류 142건(35.1%), 단순히 기록상 오류는 24건 (5.9%) 이었다. 관찰된 수치 오류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었다. 나타난 대부분의 오류는 선량이나 선량분포의 오류에 직접 기여하거나 기여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방사선치료 기록부에서 물리적인 면의 QA를 철저하게 할 필요가 있다. The aims of this report are to classify the incorrect data of patients and the errors of dose and dose distribution observed in QA activities on teleradiotherapy chart, and to analyze their frequency. In our department, radiation physicists check several sheets of patient chart to reduce numeric errors before starting radiation therapy and at least once a week, which include history, port diagram, MU calculation or treatment planning summary and daily treatment sheet. The observed errors are classified as followings. 1) Identity of patient, 2) Omitted or unrecorded history sheet even though not including the item related to dose, 3) Omission of port diagram, or omitted or erroneous data, 4) Erroneous calculation of MU and point dose, and important causes, 5) Loss of summary sheet of treatment planning, and erroneous data of patient in the sheet, 6) Erroneous record of radiation therapy, and errors of daily dose, port setup, MU and accumulated dose in the daily treatment sheet, 7) Errors leading inexact dose or dose distribution, errors not administerd even though its possibility, and simply recorded errors, 8) Omission of sign. Number of errors was counted rather than the number of patients. In radiotherapy chart QA from Jun 17, 1996 to Jul 31, 1999, no error of patient identity had been observed. 431 Errors in 399 patient charts had been observed and there were 405 physical errors, 9 cases of omitted or unrecorded history sheet, and 17 unsigned. There were 23 cases (5.7%) of omitted port diagram, 21 cases (5.2%) of omitted data and 73 cases (18.0 %) of erroneous data in port diagram, 13 cases (3.2 %) treated without MU calculation, 68 cases (16.3 %) of erroneous MU, 8 cases (2.0%) of erroneous point dose, 1 case (0.2 %) of omitted treatment planning summary, 11 cases (2.7%) of erroneous input of patient data, 13 cases (3.2%) of uncorrected record of treatment, 20 cases (4.9%) of discordant daily doses in MU calculation sheet and daily treatment sheet, 33 cases (8.1%) of erroneous setup, 52 cases (12.8%) of MU setting error, 61 cases (15.1%) of erroneous accumulated dose. Cases of error leading inexact dose or dose distribution were 239 (59.0 %), cases of error not administered even though its possibility were 142 (35.1 %), and cases of simply recorded error were 24 (5.9 %). The numeric errors observed in radiotherapy chart ranged over various items. Because errors observed can actually contribute to erroneous dose or dose distribution, or have the possibility to lead such errors, thorough QA activity in physical aspects of radiotherapy charts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건설폐기물 기업의 폐기물충당부채 인식누락과 이익조정

        김대봉,이효익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mission of recognition of the waste disposal provisions and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adjustment and real activities for the construction waste disposal industry that publicly announced their audit report through DART system from 2008 to 2013. Also, the effects of the increase in the treatment commission of the institutional factors of the Sudokwon landfill site that affected the omission of recognition of the waste disposal were analyzed as well.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companies with omitting the waste disposal provisions would likely experience a rise in profits through the discretionary accruals. Second, the Sudokwon landfill site’s previous rise in the treatment commission as compared to the rise with omitting the waste disposal provisions seemed to be bigger, thus this effect was significantly noticeable in the companies are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s. This study, being the first on the topic, empirically verifie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companies that doesn’t recognize the waste disposal provisions that has been gaining interest due to the rise in profits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as is further proved by the effect of the rise in the treatment commission of the Sudokwon landfill site through the omission of recognition of the waste disposal provisions of the companies are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s. 본 연구는 건설폐기물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의 폐기물충당부채 인식누락과 이익조정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건설폐기물 기업이 폐기물충당부채의 누락을 통해 이익을 상향조정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폐기물충당부채 인식누락에 미치는 제도적 요인으로 수도권매립지의 반입수수료 인상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년간의 분석기간 동안 DART에 감사보고서가 공시된 12월 결산법인인 건설폐기물 기업 중에서 연구를 위한조건에 적합한 138개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폐기물충당부채를 인식누락하는 건설폐기물 기업일수록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의 상향조정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도권매립지의 반입수수료 인상이전보다 인상 이후에 폐기물충당부채 인식누락의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효과는 수도권 소재의 건설폐기물 기업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 결과 폐기물충당부채 인식누락과 이익조정의 관계는 건설폐기물 기업의 사업장 소재지에 따라 차별적이지 않으며, 수도권매립지의 반입수수료 인상효과와 사업장 소재지를 함께 고려할 때 수도권 소재의 건설폐기물 기업의 경우 반입수수료 인상 이후에 폐기물충당부채 인식누락에 따라 재량적발생액을 통한 이익의 상향조정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에 적용되는 회계기준의 변화와 함께 기업의 충당부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폐기물 기업의 고유한 충당부채인 폐기물충당부채를 인식누락하는 기업일수록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의 상향조정 가능성이 크다는 것과 매립대상 건설폐기물의감량화 정책의 일환인 수도권매립지 반입수수료 인상이 수도권 소재 건설폐기물 기업의 폐기물충당부채 인식누락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있다.

      • 한국불교전서 전산화에 있어서 누락문자 관리 시스템

        홍영식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7 전자불전 Vol.9 No.-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표현된 한자를 입력할 때 유니코드로 표현할 수 없는 한자를 관리하는 문제는 한국불교전서 디지털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에 속한다. 본 논문에서는 누락문자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과 지난 8년간 한국불교전서 디지털화 과정에서 개발한 누락문자 처리기법의 변화에 대해서 기술한다. 또한, 그동안 누적된 누락문자에 대한 통계와 누락문자 관리기법과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검토한다. It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problems to manage missing characters in digitalization of Hanguk Bulgyo Chonso due to the limited of number of Unicodes for Chinese character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functional organization of the missing character management system and review the technical scheme for handling missing characters developed during the last 8 years in digitalization of Hanguk Bulgyo Chonso. In addition, we present statistics about missing characters processed during the period and discuss both of the missing character management system and the user interface for retrieval of missing characters.

      • KCI등재

        NPR기반 누락 교통자료 추정기법 개발 및 적용

        장현호,이태경,이영인,원제무,한동희 대한교통학회 2010 대한교통학회지 Vol.28 No.3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collects real-time traffic data, and accumulates vest historical data. But tremendous historical data has not been managed and employed effici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data management systems like ADMS (Archived Data Management System), the potentiality of huge historical data dramatically surfs up. However, traffic data in any data management system includes missing values in nature, and one of major obstacles in applying these data has been the missing data because it makes an entire dataset useless every so often. For these reasons, imputation techniques take a key role in data management system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presents a promising imputation technique which could be mounted in data management systems and robustly generates the estimations for missing values included in historical data. The developed model, based on NPR (Non-Parametric Regression) approach, employs various traffic data patterns in historical data and is designated for practical requirements such as the minimization of parameters, computational speed, the imputation of various types of missing data, and multiple imputation. The model was tested under the conditions of various missing data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outperforms reported existing approaches in the side of prediction accuracy, and meets the computational speed required to be mounted in traffic data management systems. 지능형 교통체계는 실시간 교통자료를 수집하고 방대한 양의 이력자료를 축적한다. 그러나 방대한 이력자료는 효율적으로 관리/이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ADMS와 같은 자료관리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이력자료의 잠재적 활용성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자료관리스템의 교통자료는 다량의 누락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누락자료는 장기간에 걸쳐 빈번하게 교통자료를 이용할 수 없게 하기 때문에, 이력자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주된 장애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누락자료 추정기법은 자료관리시스템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료관리스템에 탑재가 용이하며 이력자료에 포함된 누락자료를 추정하기 위한 누락자료 추정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모형은 비모수회귀식(NPR)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력자료의 다양한 교통자료 패턴을 이용하고 현실적인 요구사항(변수 최소화, 연산속도, 다양한 형태의 누락자료 보정, 다중대체)을 충족하도록 설계되었다. 모형의 평가는 다양한 누락자료 형태의 상태에서 수행되었으며, 자료관리시스템에 탑재되기 위해 요구되는 정확도, 연산 수행속도에서 기존에 보고된 모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KCI등재

        『여지도서』의 누락읍지 보완과 수록순서 보정

        이재두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4

        『여지도서』에 대한 연구는 가장 기초적인 단계라 할 서적 자체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책은 일정한 수록규정에 따라 각 고을에서 편찬한 읍지를 감영에서 모아 올려 보낸 것을 홍문관에서 한꺼번에 성책한 것이다. 현재 한국교회사연구소에는 영인본에 수록된 것 이외의 『여지도서』 잔여분은 없다. 경상도의 누락읍지 두 책과 전라도의 누락읍지 세 책은 분실된 것이며, 이 다섯 책을 포함하면 원래 60책이었다. 수합되지 못한 경도ㆍ한성부ㆍ개성부의 해당부분 세 책을 보태면 63책이 된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료총서에서는 『여지도서』의 원문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다. 조선후기, 특히 18세기 중엽의 지방사회, 혹은 중앙정부의 지방지배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지도서』 보유편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수합되지 못했거나 분실된 누락읍지를 순서에 따라 보완한다는 전제하에서 사업이 추진되었으면 한다. 누락된 해당 고을 읍지들 중에서 이 책과 동일한 시기이거나, 가장 가까우면서 『여지도서』 계통의 읍지를 우선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당연히 『여지도서』의 책 순서도 도별ㆍ고을별로 바로 잡아야 한다. 『여지도서』의 보유편은 권말에 수록할 것이 아니라 보정한 수록순서대로 하여, `『신찬 여지도서』'가 되게 하였으면 한다. 남원처럼 여러 개의 읍지가 있는 경우는 신찬읍지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도 이전에 제공하고 있던 데이터를 바로잡은 수록순서를 따르고, 보유편도 새로이 보완하며, 보완자료는 추가 번역이 필요하다. 아울러 『여지도서』 수록 지도는 원색 이미지로 하고, 본문도 흑백으로나마 원본 이미지를 제공하였으면 한다. 원문 이미지와 함께 『국역 여지도서』도 제공하게 된다면, 조선후기 지방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research on Yeojidoseo did not properly analyze the contents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book, which is the most basic stage. It is a collection of towns from Gamyeong that was compiled from each town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for a fixed number of books. In addition to the current copy, there is no spare Eupjis(local gazetteers). In order to grasp the reality of the local rule of the late Joseon, especially the local society of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or the central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reconstruct the missing Eupjis of Yeojidoseo.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Eupjis should be collected in the order that it is complemented with Eupjis that were not collected or lost. The book should be secured at the same time as Yeojidoseo or at the closest periodically, and Yeojidoseo. Of course, we have to correct the book order. It is recorded in the place according to the one way of holding, and it is recommended that it is put into `New Yeojidoseo'.

      • KCI등재

        구술 발화를 통한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양상 연구— 종성 오류를 중심으로

        배영환,김성란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80 No.-

        이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구술 발화’를 통해 한국어의 발음 오류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고, 나아가 그러한 발음 오류의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는데 이차적인 목적이 있다. 한국어를 배운 지 약 5년이 된 고급 학습자(한국어 숙달도 6급)를 면담 조사를 하고, 그 발음의 오류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어교육에서 발음의 오류를 연구할 때 기존의 논의에서는 대체로 읽기나 낭독과 같은 상태에서 발음의 오류를 조사하고 논의하였다. 그러나 외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연구는 되도록 실제 발음과 같은 모습을 보이는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발음의 오류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언어학에서 쓰이고 있는 구술 발화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그 가운데 종성의 오류를 조사하여 이를분석한 것이다. 중국인 학습자의 종성 발음의 오류는 ‘누락’, ‘대치’, ‘첨가’의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이 가운데 ‘누락’은 ‘ㄱ’의 누락과 ‘ㄹ’의 누락이 두드러진다. 특히 ‘ㄱ’의 누락은 ‘한자어’에서 두드러지는데 이는 모국어인 중국 한자음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누락’의 경우 학습자의 초급 단계에서 습득된것이 굳어져 숙달도가 높아진 고급 수준에 도달해서도 그대로 실현돼 화석화된 양상을 보인다. ‘대치’의 오류는 비음 사이의 오류가 가장 눈에 띈다. 그 가운데 ‘ㅇ-ㄴ’의 오류와 ‘ㅇ-ㅁ’ 등의 오류가 확인된다. 특히 대치의 대상은 ‘ㅇ’ 이며 후행하는 음에 따라 달라진다. 즉, 이들 ‘대치’는 후행하는 자음의 성격에따라 동일한 조음 위치로 발음하려는 경향 때문에 비롯된 것이다. 첨가의 오류역시 ‘ㄴ’과 ‘ㅁ’일 때 두드러진다. 이들은 [+비음성]으로 묶일 수 있을 것인데, 모국어인 중국어에 종성으로 올 수 있는 자음이 ‘ㄴ’과 ‘ㅁ’이라는 점과 관련이있다. 특히 모음 사이에 위치한 ‘ㄴ’과 ‘ㅁ’을 복사하여 중복 발음하는 모습, 즉동일 자음을 첨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결국, 한국어의 종성 ㄱ,ㄷ,ㅂ,ㄹ에 대해서는 누락이, ㄴ,ㅁ,ㅇ에 대해서는 대치나 첨가가 일반적이라는 사실은 모국어인 중국어의 운모 체계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The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patterns of pronunciation errors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narratives" of Chinese advanced learner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y a highlevel learner (level 6 Korean proficiency), who has been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for about five years. In terms of studying pronunciation errors in education using the Korean language as the medium of instruction, it has been found that existing discussions generally investigated and discussed pronunciation errors in reading situations. However, we deem it necessary to look at the errors in pronunciation in natural situations wherein the actual pronunciation is examined such as in the study of pronunciation errors by foreign learn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nunciation errors of Chinese learners and the errors of absoluteness among them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oral speech used in social linguistics. The errors in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learners of the last syllable are in the form of "deletion," "confrontation," and "attachment," wherein "deletion" is marked by the omission of "ㄱ" and "ㄹ." In particular, the omission of “ㄱ” stands out in “hanja,” which can be seen as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character, their native language. Moreover, in the case of "deletion," what was learned in the beginning stage of learners has become fossilized since it was rendered obsolete by reaching advanced levels of proficiency. The error of "substitution" is the most noticeable error between the notes. Among them, errors such as “ㅇ-ㄴ” and “ㅇ-ㅁ”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target of substitution is “ᄋ,” which depends on the following sound. In other words, these "substitutions" are caused by the tendency to pronounce them in the same consonant positio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nsonants being followed. The error in the addition is also apparent in the case of “ㄴ” and “ᄆ,” which can be grouped into “[+nasal],” which is related in that the consonants that can come to the end of the native Chinese language are “ᄂ” and “ᄆ.” Specifically, it duplicates the words “ㄴ” and “ㅁ” located between vowels. In other words, the same consonant is added. After all, the fact that the deletion of Korean finality “ㄱ,ㄷ,ㅂ,ㄹ” is common, and that the substitution or addition is common for “ㄴ,ㅁ,ㅇ,” is the influence of Chinese, the native language.

      • KCI등재

        "중복과 누락" 담론의 재구조화 -성인돌봄서비스의 사례-

        최영준 ( Young Jun Choi ),김주리 ( Juri Kim ),이승준 ( Seungjun Lee ),최혜진 ( Hyejin Choi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1

        최근 성인돌봄서비스는 탈산업화, 성평등화와 고령화 등의 영향이 초래한 전통적 돌봄 모델의 약화와 함께 급속한 확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돌봄에 대한 공적이고 사회적 책임이 부재했던 시기에 비해서 진일보된 모습을 보였지만, 동시에 다양한 문제점들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요약하고, 또한 정책을 개선시키기 위한 핵심적 담론으로 정부와 학계는 ‘중복과 누락’이라는 논의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중복과 누락’ 담론은 개념적, 그리고 이론적으로 검증이 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복과 누락’이라는 담론이 성인돌봄서비스 발전 및 개혁에 있어서 얼마나 유용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성인돌봄서비스의 개념과 이론적 이슈들을 살펴보고, 이후 한국복지패널 분석을 통해서 돌봄욕구와 실제이용 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인돌봄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중복과 누락’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복과 누락’이라는 불명확한 담론 대신에 ‘욕구충족’의 차원, ‘형평성’의 차원, 그리고 전달체계의 효율화라는 차원에서 성인돌봄서비스 발전방향이 논의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Adult social care services are being rapidly developed in South Korea, which undermines the traditional care model in line with de-industralization, gender equality, and aging process. The development demonstrates, on the one hand, stronger public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elderly with care needs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when care was in the hands of family and women.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has caused various problems and the ‘service overlapping and omission’ has been regarded as the key discourse encapsulating current problems in social care by government and researchers. However, very few conceptual and theoret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whether the ‘service overlapping and omission’ discourse could be a usefu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and reform of adult care servic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we examine the concept of adult social care and related theoretical issues, and analyze the care needs and the actual service use of disabled adult and elderly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set. Finally,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dult social care services and discuss the problems of the ‘service overlapping and omission’ discourse. From the analysis, we argue that instead of the ambiguous ‘service overlapping and omission’ discourse, we need to reframe the discourse of adult care services with the issues of ‘needs fulfillment’, ‘equity’, and ‘increasing efficiency of the delivering system’.

      • KCI등재

        딥러닝 및 참고 이미지를 이용한 항공사진 누락오류탐지 및 영역 복원

        위현중(Wi, Hyeon Joong),맹준규(Maeng, Joon Gyu),장인성(Jang, In Sung),홍상기(Hong, Sang Gi)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4

        최근 공간정보 수집 환경 및 활용 도메인 다양화에 따라 공간정보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그중 항공사진은 공간정보 중에서 다양한 수요처에 사용되는데, 가시화 기반자료로 시뮬레이션과 3차원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 서비스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연구기반자료로 객체 검출 및 식생, 환경 조사에 사용된다. 하지만 항공사진은 수집과정 및 서비스 전처리 단계에 데이터 품질이 고르지 못한 문제가 있고, 이를 분석 및 재수집하기엔 많은 양의 데이터, 시간, 지역과 비용 문제 때문에 제한요소가 많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선 합성 곱 신경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해 항공사진에 나타날 수 있는 누락오류를 탐지하고, 누락오류가 있는 항공사진과 관련된 참고 이미지와 부분 합성 곱 기법을 이용하여 누락오류 영역을 복원하는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작했다. 제작된 시스템의 에러 탐지 및 분류는 90.41% 정확도를 보였다. 다양한 에러 유형에 대한 복원은 유-네트워크, 가변 오토인코더 복원 결과와 비교하였고 사각형 누락 에러 유형에 좋은 복구 성능을 보였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spati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utilization. Among them, aerial photography is used in various sources of demand among spatial data, which is used as a simulation, 3D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a research infrastructure. However, aerial photography has problems with uneven data quality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and preprocessing of services, and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analyzing and re-collecting them due to large amounts of data, time, area and cost issues. To solve this problem, we present a system that detects missing parts in the aerial photographs using convolution neural network models and performs inpainting using Partial Convolution. Erro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this systems showed 90.41% accuracy. Restores for various error types were compared with U-Net and Variable Auto Encoder recovery results and showed good recovery performance for square missing error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