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상누층군 셰일의 내구성 특성

        박성식 ( Sung-sik Park ),예성렬 ( Sung-ryol Ye ),김교원 ( Gyo-won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경상누층군 셰일에 대한 슬레이크 내구성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자 즉, 시료형태, 시료개수, 회전속도, 총 회전수, 건조온도 및 수침용액의 산도 등을 제어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시료형태가 정육면체인 경우 가장 낮은 내구성 지수를 보였으며 부채꼴 시료가 가장 큰 내구성 지수를 보였고, 시료개수는 증가할수록 시료들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내구성지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회전속도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내구성 지수는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시료 건조온도가 증가할수록, 수침용액의 산성도가 증가할수록 내구성지수는 감소하였다. 대기 중에 노출되어 쉽게 풍화하는 특성 때문에 낮을 것으로 예상하였던 셰일의 내구성지수가 결정질 암석과 뚜렷한 차이가 없어서 기존의 실험법은 셰일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교결도가 양호한 경상누층군 셰일의 장기적인 내구성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새로운 내구성 실험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ecause of a fissility characteristics of shale in the Gyoungsang super-group, it breaks down to debris when daylighted by construction work and causes a slope unstability. To assess the durability property of shale, a series of slake durability tests was conducted by controlling test conditions such as shape of specimen, number of specimen, revolution speed, revolution number, drying temperature and pH of submerging liquid. For the specimen shape, cube one showed relatively lower durability index than cuboid and/or fan shape one. The test with the more number of specimens showed the less durability index because of a higher friction among specimens in the drum. The durability index is linearly decreased by increasing the total number of revolution, while the revolution velocity could not affect the index. And the durability index is also decreased by increasing the drying temperature of specimen and by decreasing the pH of submerging liquid. Because the durability index of shale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crystalline rocks, the disintegration characteristics of shale could not be assessed by the slake durability test recommended by ISRM, and thus a new test method by changing the total revolution number may be required for the shale having fissility characteristics.

      • 옥내용 내화뿜칠재의 촉진내구성 평가방법 연구

        최동호,김대회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건축물의 대표적인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와 철골조를 들 수 있으며, 이때 철골조는 화재발생시 철골이 고온에 노출되면 내력저하 현상이 발생하여 내화피복을 의무화하고 있다. 내화피복재는 내화뿜칠재와 내화도료로 크게 분류되며, 국내의 고층 건축물에서는 주로 내화뿜칠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가에서 운영하는 내화구조인정제도에 의해 내화뿜칠재의 내화성능에 대한 인정 취득 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내화구조 인정제도는 제품의 초기성능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어 내화뿜칠재의 장기적인 내구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어 왔으며, 미국의 세계무역센터 붕괴 최종보고서에서도 내구성 검토를 언급함에 따라 미국, 유럽 등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내화뿜칠재에 대한 내구성 평가방법을 제정 및 사용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내화뿜칠재의 90%이상이 업무용시설의 천장내에 시공되는 등 주로 옥내에서 사용되는 점에 착안하여 다양한 조건의 내구성 평가방법에 앞서 국내의 옥내 환경조건에 대응한 내화뿜칠재의 촉진내구성 평가방법을 정립하여 내화뿜칠재의 내구성 평가 및 기술개발에 활용함으로써 내구성 관련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복싱글러브 및 헤드기어 충격량 측정시스템 개발과 충격유효성 분석

        권경배 ( Kyoung Bae Kw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복싱 선수의 안전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복싱글러브와 헤드가드를 시험할 수 있는 충격유효성 시험기와 내구성 시험기를 제작하여 국내에 시판되는 복싱글러브와 헤드가드를 대상으로 충격유효성 시험과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복싱용품 시험장비를 이용하여 복싱용품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시험하여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안전한 생활 스포츠로서 복싱 인구를 늘리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국내 복싱용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하며 국산용품에 대한 인식제고와 국내 복싱용품 생산업체의 수요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국내 제품 9종과 해외 제품 7종을 대상으로 충격유효성 시험과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복싱용품의 경우 내구성 시험에서는 해외 제품과 대등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복싱글러브의 경우에는 충격유효성 시험에서 세계 최고 수준과는 다소 격차가 있었다. 헤드가드의 경우 충격유효성 시험에서는 해외 제품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내구성 시험에서는 그 차이가 더욱 커져 내구성의 보완이 보다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글러브에 비해 헤드가드는 내구성에서 취약한 면을 보이고 있다. 글러브의 경우 내구성 시험으로 평균 29%의 성능 저하가 있었으나, 헤드가드의 경우는 평균 41%의 성능 저하를 보이고 있다. 제작된 충격유효성 시험기와 내구성 시험기는 복싱용품뿐만이 아니라 운동용 안전모와 태권도 헤드가드를 비롯한 운동용 보호장비의 안전성 시험과 각종 글러브의 안전 시험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복싱 선수들의 펀치력 측정을 위한 장비로도 활용할 수 있게 제작되어 복싱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도 이바지하리라 기대한다. In this study, impulse and fatigue measuring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test of boxing gloves and headguards which is essential to the safety of boxers. Boxing gloves and headguards which was distributed in the country were tested and the impulse and fatigue test results were analys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test and evaluate quantitatively the safety of boxing equipments using the impulse and fatigue measuring system, and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boxing population and the demand of boxing equipments of domestic suppliers by the promotion of quality improvement using the test results. 9 domestic boxing equipments and 7 foreign boxing equipments were tested with the impulse and fatigue measuring system which was developed. The test result shows every domestic and foreign boxing equipments is almost on the equal status in the durability. However, in case of boxing gloves, there were a good bit difference between domestic products and the world best products in the impulse test. And in case of headguards,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domestic products and foreign products in the impulse test but more difference in the fatigue t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domestic headguards. Especially headguards were inferior to gloves in the durability. In the fatigue test, boxing gloves showed 29% decrease but headguards 41% in average. The measuring system developed can be used in the safety test of other sports helmets, many kinds of gloves, Takwondo headguards and also can be used as the punch power measuring system of boxers.

      • 수전해 시스템용 치수안정성 전극의 가속수명평가에 따른 내구수명 예측에 관한 연구

        박성철,정연재,구석본,박종하,손성호 한국표면공학회 2021 한국표면공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6

        수전해 시스템의 전기 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차아염소산수는 최근 친환경 살균소독제 이용이 많아지고 있다. 수전해 시스템의 핵심부품으로 사용되는 치수안정성 전극은 Ti 기판에 Ir, Ru, Ta, Sn, W 등의 금속산화물 혼합코팅 공정을 통해 제조하고 있으며, 최근 Ir 등 귀금속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사용량을 최소로 하며, 내구성을 우수한 전극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전해 시스템용 치수안정성 전극의 제조공정조건에 따른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nano-embossing Ti표면 전처리 및 Ir, Ru 및 Ta의 다원계 금속산화물 코팅층의 조성비를 변수로 전극을 제조하였다. 치수안정성 전극은 일반적인 수전해 시스템 작동조건에서 내구성을 평가하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로 인해 20 A/cm<sup>2</sup>의 초고전류밀도를 인가하는 가속수명평가법을 사용하여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최초전압 기준 50% 이상 증가 시점을 failure time으로 규정하였다. 내구성 평가결과 Ir-Ta 계 조성 치수안정성 전극에서는 Ir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구수명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Ru 계 치수안정성 전극에서는 Ir-Ta계 전극의 내구수명보다 매우 낮은 내구성을 가졌다. 장수명 DSE를 제조하기 위해 Ti 표면에 nano-embossing형상을 구현한 Ir-Ta계 치수안정성 전극의 failure time은 처리 전 전극 대비 약 2배 값을 나타내었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수명평가가 끝난 샘플의 표면을 FE-SEM으로 분석하여 전극의 손상기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처리 전 Ir-Ta 계 전극의 표면을 분석한 결과 귀금속 산화물층이 없어진 Ti 표면형상이 나타났으나, nano-embossing전처리 후 Ir-Ta 계 전극의 경우 얇은 두께의 일부 귀금속 산화물층이 관찰되었다. 이는 nano-embossing 전처리로 인하여 금속산화물과 mechanical interlocking효과로 인하여 밀착력을 증가시켜 치수안정성 전극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북한체제 내구성에 관한 연구: 수령제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이흥석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0 통일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uryong's rule is the driver of the durability of the system despite the unstable environ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oot of the North Korean regime is Kim Il-sung's struggle against Japan's armed forces,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is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the Suryong's rule. Second, Suryong's rule was institution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arty Covenant and Constitu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volutionary tradition. Third, the proactive Suryong's rule is a product of the following actors and the pathological constraints on their policy changes. Finally, route-dependent and system-enhancing policy decisions overcame the crisis of the collapse of the receiving system and drove the third generation succession.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context, leading to the first-in-one dictatorship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which has driven the durability of the regime.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체제가 불안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의 동인임을 규명하는 데 있다. 북한은 사회주의체제 전환, 선대 수령의 사망,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3대 세습에 성공했다. 하지만 북한체제의 내구성에 관한 기존연구는 체제 내구성의 중요한 동인으로 볼 수 있는 수령의 3대 세습이 제도화되는 역사적 과정에 대한 이해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특히 독재자와 권력 엘리트의 길항관계에 바탕을 둔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동인이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수령제의 제도화가 체제의 내구성에 기여한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체제의 뿌리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이며, 항일무장투쟁의 역사적 맥락은 수령제의 제도적 환경이다. 둘째, 수령제는 혁명전통에 따라 당 규약과 헌법에 따라 제도화되었다. 셋째, 수령제라는 선행적 제도는 후속하는 행위자와 그들의 정책변화를 제약하는 경로의존적인 산물이다. 마지막으로 경로의존적이며 체제 강화적인 정책 결정은 수령제 붕괴의 위기를 극복하고 3대 세습을 견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북한정치체제는 역사적 맥락에 따라 제도화를 거치며 수령 세습의 일인독재로 이어지면서 체제의 내구성을 견인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함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북한의 비핵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북한체제의 안정성은 매우 중요하다. 북한체제가 안정되어야 협상의 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체제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동인으로 볼 수 있는 수령제의 안정성을 진단함으로서 비핵화 협상은 물론 대북 정책을 추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양환경에 노출된 고내구성 콘크리트의 전기화학적기법을 이용한 부식저항성 평가

        양은익(Yang, Eun-Ik),김명유(Kim, Myung-Yu),이동근(Lee, Dong-Gun),한상훈(Han, Sang-Hu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7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9 No.4

        해양콘크리트구조물의 내구성은 일반적으로 해수의 침식 작용과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염분의 확산에 따른 부식에 의해 크게 피해를 입으며, 이러한 내구성 저하는 해양콘크리트구조물의 과다한 유지 관리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해양구조물의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고내구성 재료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물질 혼화재(실리카흄,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미분말)와 표면처리 철근(스테인리스 봉강, 에폭시 코팅) 그리고 부식억제제를 사용한 해양콘크리트의 부식저항 특성을 전기화학적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고내구성 재료사용에 따른 내구성 증진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안하였다. The durability of marine concrete structures is severely degraded by corrosion due to seawater attack and diffusion of chloride in concrete. The deduction of durability causes high repair cost for maintenance of marine concrete structure. So, the applicability of high-durable materials i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durability in marine concrete structures. For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corrosion prevention of marine concrete structures mixed with the mineral admixtures(SF, FA and BFS), the modified steel(stainless and coating steel), and corrosion inhibitors are evaluated using electro-chemical methods. As a results of this study, it is quantified for the effect of promotion of durability by high-durability materials in marine concrete structures.

      • KCI등재

        북한체제 내구성에 대한 소고: 비교권위주의적 시각

        정성윤,차현진,정재관 통일연구원 2017 統一 政策 硏究 Vol.26 No.1

        How could North Korea have been sustained so far despite that it has been considered as a failed state? Why there has been no coup d’etat or rebellion in North Korea? This article aims to seek the sources of the North Korean regime’s durability by drawing on the insights of comparative authoritarianism that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in the past decade. According to comparative authoritarianism, regime durability varies by the type of authoritarianism. North Korea is classified as a mix of personalist and one-party dictatorship, which is considered more durable than other types of dictatorships. However, this type of dictatorship is most likely to break down by a coup or rebellion. This article thus proposes a multi-level theory of rebellion and calls for an analysis of the North Korean regime’s durability based on the multi-level theory. As a theoretical hypothesis, we also speculate the reason why the North Korean regime shows a surprising longevity is that it developed an elite control system that has maintained an ideological and organizational unity of elites and their loyalty to the regime, thereby removing the seed of rebellion. As long as its elite control system functions effectively, it is unlikely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collapses by a coup or rebellion. 실패국가로 간주되어 온 북한의 정치체제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북한에서는 왜 반란이나 쿠데타 같은 정치 갈등이 발생하지 않나?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 괄목할만한 성장을 해온 비교권위주의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북한체제 내구성의 원천을 이론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비교권위주의 연구에 의하면, 권위주의 체제는 유형에 따라 역사적으로 상이한 내구성을 보여 왔다. 북한을 권위주의 체제 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일인독재와 일당독재가 혼합된 정치체제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체제들은 통상 다른 유형의 체제들보다 높은 내구성을 보여 왔다. 반면에 북한 같은 유형의 독재체제들은 민중봉기나 쿠데타와 같은 반란에 의해 붕괴될 가능성이 또한 가장 높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북한체제 내구성의 원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란 발생의 다층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화와 이를 기반으로 한 체제 내구성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분석틀에 따라 본 논문이 이론적 가설로서 제시하는 바는 북한체제가 놀라울 정도의 내구성을 보이는 이유는 엘리트들의 이념적·조직적 통일성과 충성심을 유지하기 위해 고안된 통제 시스템이 쿠데타와 반란의 싹을 미연에 제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엘리트 통제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한, 북한체제가 쿠데타나 반란을 통해 붕괴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할 것이다.

      • KCI등재

        동절기 낙상사고 예방을 위한 발열매트의 환경 및 운용 내구성 평가

        강동훈,박주엽,장혜림,김세모,강래형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22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42 No.3

        There is no practical solution to pedestrian fall accidents due to icing in winter constantly occurring every year. Spraying a deicing agent such as potassium chloride is only a follow-up measure, and it takes a lot of time and has side effects such as surrounding corrosion. In addition, the buried hot wire has limitations, including low thermal efficiency and high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A heating mat using carbon fiber film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and has proven its effectiveness in outdoor fields. However,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long-term environment and operational durability in the actual applic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he performance impact evaluation on the heating mat’s long-term environment and operating durability. Specifically, the durability against deterioration was tested by simulating the winter environment with an environmental chamber. A repetitive load-imparting device evaluated the durability against the load applied to the heating mat when pedestrians are using i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heating mat has proven excellent durability for long-term environment and operation. It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improving pedestrian safety in winter when practically applied in the future. 동절기 결빙으로 인한 보행자 낙상사고는 매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해결책이 부재한 상황이다. 염화칼륨과 같은 제설제 살포의 경우 사후대책에 불과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주변 부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열선 매립의 경우 낮은 열효율과 시공 및 유지보수 비용이 크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탄소섬유필름을 활용한 발열매트가 개발되어 야외 현장에서 효과성을 입증한 바 있다. 하지만 실 적용 시 고려해야 하는 장기적인 환경 및 운용 내구성에 대한 성능 평가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열 매트의 장기적인 환경 및 운용 내구성에 대한 성능 영향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환경 챔버로 동절기 환경을 모사하여 열화에 대한 내구성을 테스트하였으며, 반복 하중 부과 장치를 이용하여 보행자 이용 시 발열 매트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발열 매트는 장기적인 환경 및 운용에 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입증하였으며, 향후 실 적용 시 동절기 보행자의 통행 안전도 향상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오폴리머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

        온정권(Jeong-Kwon On),김규용(Gyu-Yong Kim),사수이(Sasui Sasui),이예찬(Yae-Chan Lee),유하민(Ha-Min Eu)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21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9 No.4

        이산화탄소 및 온실가스의 배출, 과도한 에너지 소비 및 천연자원의 고갈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의 대체재를 찾는 것은 건설업의 해결과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보다 환경친화적인 지오폴리머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실제 시공을 목적으로 강도 및 내구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오폴리머의 강도 및 내구성은 알칼리 용액의 종류 및 농도, 전구물질, 양생 온도 및 시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지오폴리머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조성 및 미세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연구에서 최적의 알칼리 용액의 종류 및 농도, 전구물질, 양생 온도 및 시간을 통하여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이러한 요인이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였다. Owing to the production of conventional concrete/cement, the climate crises is increasing and is mainly caused greenhouse gas (GHG) emission into the environment by industrial process. To reduce the emission of GHG, and excessive consumption of energy, research on geopolymer binder is increasing as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inders such as Portland cement. The research on improving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geopolymer cement becomes one of the trending researches. Generally,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geopolymer binders are improved by altering alkaline solution & its concentration, the precursor materials and curing temperature & time,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geopolymer to which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geopolymers relies. This paper included the detailed discussion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geopolymer binder and the influence of reaction mechanism on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geopolymer is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메타카올린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장기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에 관한 연구

        양은익,김명유,양주경,박해균,최윤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5 No.3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면서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내구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성능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새로운 광물질 혼화재로써 실리카흄과 같은 수준의 강도와 내구성 확보가 가능한 메타카올린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의 메타카올린에 대한 연구 및 대체사용은 미진한 수준이며, 메타카올린 콘크리트를 교량바닥판에 적용하기 위한 검토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메타카올린 콘크리트를 교량바닥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역학적 특성 및 교량바닥판에 요구되는 내구성에 대한 다양한 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메타카올린 콘크리트를 적용한 교량바닥판의 장기적인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을 양생 재령에 따라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역학적 특성은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측정되었으며, 내구성의 경우는 건조수축, 염화물 저항성, 스케일링, 동결융해 저항성을 양생 재령에 따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메타카올린의 대체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 발현이 초기 및 장기 재령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내구성 측면에서도 염화물 침투 저항성과 동결융해 저항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건조수축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quirement for durability of concrete bridge deck is increasing as the deterioration for the concrete bridge deck exposed to severe environment has been increased. For this reason, the concern about high-durable concrete is being high. Recently, a metakaolin is highly spotlighted as new admixture because its strength and durability are equivalent to silica fume. On the other hands, there are few researches for the metakaolin concrete bridge deck in domestic. So many various long-term data on the mechanical property and durability is needed to apply metakaolin concrete at the concrete bridge deck construction field. This study is aim to evaluate the long-term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metakaolin concrete bridge deck with curing age. Mechanical properties are estimated by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and the drying shrinkage, the chloride resistance, the scaling, and freezing and thawing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curing age.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he metakaolin concrete is used, the development of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proceed in both the early and old ages. It is also improved the resistance of chloride penetration, freezing and thawing in concrete. It was showed that replacement of metakaolin was efficient for the reduction of the drying shrink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