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계몽기 시가의 역사의미론적 이해

        이형대 ( Hyung Dae Lee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7 No.-

        이 논문은 전통시대의 장르적 관습에서 벗어나 근대의 공론장(public sphere)에 편입된 근대계몽기 시가를 역사의미론적(historical semantics)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사의미론적 탐색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대 행위자들의 내면 의식을 좀 더 면밀하게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근대세계의 탄생과 관련하여 언어혁명의 의미를 근대계몽기 시가에 부여할 수 있으리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개념사적 방법론을 원용하여 근대계몽기의 역사 행위자를 주목하고, 그들이 남긴 근대계몽기 시가에서의 기대지평과 경험공간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근대계몽기에 출현한 다수의 새롭고도 선험적이며 미래연관적 개념들이 근대를 추동한 동력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근대계몽기는 코젤렉이 말한 바, ‘말안장 시대’에 해당되는데, 계몽지식인 공론장과 평민공론장이 출현하여 상호연대하고 공명하였던 시대이다. 계몽시가 작품들은 전통시가의 의미를 재맥락화하거나 변형 또는 새로운 양식으로 창안되어 일제의 식민지배 야욕의 청산과 근대국가 건설을 향한 열망을 담아내었다. 근대계몽기 후반부부터 현실 역사의 흐름은 식민지 지배가 가속화되는 방향으로 치달았지만, 당대의 행위자들은 역사를 근대 문명화를 향한 진화 과정으로 인식하였다. 그들은 그들이 미처 경험해보지 못한 기대지평 속의 새로운 개념들을 끊임없이 수용, 창안하거나 변개시키며 새로운 정치적 행동공간을 열어 갔다. 본고는 계몽시가가 이처럼 근대국민국가를 만들어내기 위한 일종의 언어혁명적 기능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각별히 유념하고자 하였다. 군주제의 틀을 유지하고 있던 역사상황 하에서 새로운 근대국가에 대한 꿈을 담아내었다는 점에서 계몽시가에서의 경험공간과 기대지평 사이의 격차는 컸다. 그러나 이 시대에 제출된 숱한 미래연관적 개념들과 밝고 씩씩한 어조의 노래들에는 사회진화론적 논리구도를 뛰어 넘을 정도의 강렬한 사회변혁의 열망이 내재되어 있었으며, 미래의 경험 영역들을 창조하고 있었다. 역사는 결국 이러한 기대와 경험의 격차를 좁히며 근대로 이행하였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계몽기시가는 미래의 경험을 노래하였다고 할 만하다. This essay aims to re-think the enlightenment period poetry, which finally accommodated public sphere away from convention of genre.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semantics, this research closely examine inner consciousness of people of the time furthermore, this approach might authorize the enlightenment period poetry with meaning of language revolution as the emergence of the Modern. Methodologically this paper makes a development with conceptual history analysis. As in generally known, the poetry of the enlightenment period embodies many concepts which predict the emergence of the modern. What this essay tries to point out is that many concepts which people of that time described are not what they really experienced. In this reason their songs are transcendental dimension. Even though there is a gap between experiential space and horizon of expectation, people of the enlightenment era keep express their wishes for the future through the poetry. They convinced the progress of history, and their songs of anticipation made a change ultimately. In this perspective, this essay argues that the enlightenment period poetry is a song for the future.

      • 일반논문 : 미셸 푸코와 "근대성의 놀이들" -『말과 사물』과 「계몽이란 무엇인가?」의 사이에서

        허경 ( Kyoung Huh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2 도시인문학연구 Vol.4 No.1

        논문의 목적은 근대성의 개념이 프랑스의 사상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84)에게 어떻게 이해·설정되어 있는가를 밝히고, 그러한 토대 위에서 푸코의 근대성 개념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토론하고자 하는 데 있다. 16세기 이래 1960년대까지의 서양 곧 자신의 문화와 합리성에 대한 일종의 ``민족학``을 수행하고자 하는 1966년의 『말과 사물』은 푸코 자신이 서양 문화의 계보에 속하는 자이므로 자기 자신의 문화에 대한 분석이다. 이러한 서양 문화와 이성에 대한 민족학적 작업은 서양의 오늘 곧 현대를 만든 근대를 탐구해야 한다. 자신의 문화 곧 서양 문화를 포함한 여타 문화들을 사유하려는 푸코의 이러한 작업은 1980년대 들어 자기의 테크놀로지 개념으로 확장되어 다시금 푸코의 사유에 출현하게 된다. 이 자기의 테크놀로지 개념은 1984년의 논문 「계몽이란 무엇인가?」에서 또 다른 방향과 차원으로 전개된다. 논문은 하버마스·리오타르 등으로 대표되면서 근대성을 역사상의 한 시기로 바라보는 관념을 거부하고, 근대성을 ``주어진 시대 주어진 문화의 한 인물이 자신의 현재 곧 동시대를 바라보는 태도``로서 바라보며 푸코는 이를 근대성의 태도(attitude de modernite)라 이름 짓는다. 근대성의 태도란 한 사람이 자신의 당대·시사(actualite)를 바라보는 태도이다. 논문은 이러한 근대성의 태도를 확정하는 주요한 역사적 참조로서 칸트와 니체 그리고 보들레르를 든다. 푸코에 따르면 칸트는 서양 역사상 최초로 철학에 시간을 도입한 인물이다. 칸트 이래의 근대 철학은 ``지금이 시점의 우리는 누구인가?``와 같은 구체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이에 답하려 한다. 니체는 물론 이 모든 질문의 결정적 대변자이다. 보들레르는 「근대적 삶의 화가」를 통해 프랑스적 예술적 근대성의 개념을 확립한다. 보들레르적 근대인의 특징은 자기 스스로를 자신이 매일매일 새롭게 창조하는 자, 자기 자신을 만드는 자라는 것이다. 푸코적 근대성의 태도는 모든 스스로를 ``진리``로 주장하는 이른바 ``진리들``이 사실은 다만 역사적으로 구성된 하나의 진리 놀이에 불과하다는 주장, 따라서 만약 우리가 이러한 진리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면 우리는 더 이상 어제까지와는 달리 생각하고 살 수도 있으리라는 주장이다. 이제 푸코의 세계 안에서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기존의 개념들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 곧 개념 놀이임이 밝혀진다. 합리성이란 사실상 합리성 놀이이며, 보편성 역시 보편성 놀이이며, 근대성 역시 근대성 놀이가 된다. 서양적 근대성은 단 하나의 그러나 지배적인 근대성의 놀이일 뿐이다. Enjeu est de comprendre la notion de modernite chez Michel Foucault(1926-1984) et montrer comment nous pourrions l`utiliser pour comprendre notre aujourd`hui en Coree du sud. Dans son Les mots et les choses en 1966, Foucault nous montre comment faire l`ethnologie de rationalite et sa limite de ``notre`` culture, c`est-a-dire celle de l`Occident, donc comment faire l`analyse de ses propres rationalite et culture. Son analyse est dans ce sens en fait pour but d`analyser l`epoque moderne pour comprendre sa contemporaneite. Cette analyse de sa propre culture revient sous la notion de technologies de soi au debut des annees 1980, et ensuite se transforme encore sous une nouvelle interpretation de l`Aufklarung dans son article ``Qu`est-ce que les Lumieres?`` en 1984. Dans cet article, Foucault essaie de definir la motion de modernite, pas comme celle de historiographie comme chez J. Habermas ou J.-F. Lyotard, mais comme celle d`une attitude ou ethos chez les Grecs anciens. La modernite est une attitude dans laquelle une person voit sa propre actualite, son propre present. Les references historiques de cette attitude de modernite sont I. Kant, F. Nietzsche et C. Baudelaire. Selon Foucault, kant la premiere figure majeure dans la philosophie (occidentale) qui pose la question de present comme cruciale. Depuis Kant, nous posons la question ``Que-sommes nous dans ce moment precis dans Iequel nous pose la question?.`` Kant introduit la question de present dans la philosophie dont le champion philosophique par excellence est Nietzsche. Baudelaire dans son Le peintre de la vie moderne en 1863 etablit la notion ferme de la modernite esthetique francaise dont le hero s`invente sa propre identite, lui-meme, dans ses pratiques artistiques. L`attitude de modernite foucaldienne est donc une proposition philosophique qui consideretoutes les verites comme un resultat d`une formation historique avec laquelle nous pourrions faire les transformations de la verite comme outil de notre propre transformation de soi. Dans cette attitude, nous pourrions peut-etre penser et vivre autrement qu`aujourd``hui pour nous creer nous-memes. Dans le monde foucaldien, tous est transformable dans le sens que tous est historiquement formule comme une sorte de jeux de verite. La dite modernite aujourd`hui n`est qu`une seule modernite occidentale mais dominante. La modernite est une sorte de jeux de modernite.

      • KCI등재

        근대시 형성 과정의 제문제

        유성호 ( Sung Ho Yoo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7 No.-

        일찍이 근대성 논의는 고전문학 연구자들에 의해서 광범위하게 해명되고 문제 제기되어 왔다. 그 대표적 견해들은 사설시조나 잡가 등을 근대시의 전사(前史) 혹은 맹아 상태로 보려는 시각을 담고 있다. 이는 한결같이 문학사를 일종의 내재적 연속성에서 파악하려는 민족주의적 충동을 담고 있고, 문학사가 고대 - 중세 - 근대로 선형적 이월을 했다는 역사관을 반영하고 있다. 그 가장 뚜렷한 사례로 조선후기의 사설시조를 근대시의 동일 연속체로 간주하는 시각이 대두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식은 다분히 심정적 자문화 중심주의를 짙게 반영한 것임을 후세대 연구자들이 여러 차례 증명하고 있다. 결국 그 동안 근대의 단초를 사설시조에서 찾기 위해 몇몇 오도된 샘플링이 있었고, 그 추인 과정도 잇따랐다는 점이 여러 차례 비판된 것이고, 그러한 담론적 실증성이 놀라우리만치 축적된 것이다. 그리고 근대문학 연구 쪽에서는 더 많은 사례가 축적되어 있다. 최근 연구사는 크게 보아 사설시조 연원설, 개화기 시가양식의 혼재설, 최남선의 신체시의 영향설, 주요한이나 김억의 시에서 비롯하였다는 설 등 네 가지 정도로 근대시 이행기에 대한 판단을 개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근대성 논의는 이제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대개 내용상의 개성 발견 그리고 형식상의 자유시 구현에서 근대성의 징후를 찾아내는 현상 기술적인 단계에서, 그것들이 진정한 근대성의 성취에 값하는 것인지에 대한 인식론적, 미학적 탐색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근대 초기의 시가 그 자체로 ‘개성’과 ‘주체적 판단’을 근거로 하는 근대적 주체의 형성 과정을 잘 보여주지만, 시대 상황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비판적 주체로서의 정립 과정에는 현저하게 미달한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시적 주체들은 과도기적 성격에 머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세적 형식의 탈피라든가, 세계사적 문명에 대한 감수성 그리고 새로운 주체를 형성하려는 근대적 의욕의 진원지로서 이 시기의 문학사적 몫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근대시의 초기 양상은 1920년대를 전후하여 가장 왕성하고도 세련된 동인지 시대를 맞아 근대시의 확연한 착근과 확충의 시기로 이어진다. A discussion on modernity has been extensively explained and questioned by researchers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early period. Representative studies of classical literature present a view of considering Saseolsijo or japga as prehistory or sprouting of modern poetry. They contain nationalistic impulse to understand Korean literary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continuity and reflect the view of history that literary history is carried forward lineally from ancient to medieval and to modern times. One of the most distinguishing example of them is to see Saseolsijo of late Choson as the same continuum of modern poetry. However, researchers of later generation proved that this diagram heavily reflected emotional ethno cultural centrism. Up until now, there have been several misdirected sampling of looking for the clue of modernity from Saseolsijo and the process of confirmation was followed by. Recent researches have four theories; originated from Saseolsijo, mixture of various poetic genres of enlightenment period, influence of new style poem by Choe, Nam-seon, originated from Joo, Yo-han or Kim, Ok. A discussion on modernity in modern Korean poetry has entered a new phase now. It is moving forward from the stage of describing phenomenon in which researchers look for signs of modernity from individuality of content and realization of modern poetry in form, to the stage of epistemological, aesthetic exploration on whether those signs truly belong to the accomplishment modernity. Poetic subjects of this period remain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eriod in that poems of early modern period clearly express the process in which modern subject is being formed based on ‘individuality’ and ‘independent decision’, however, fall short of the process in which they stand up as a critical subject who looks at the stage of a period generally. Nevertheless, breaking from medieval forms, sensitivity on world civilization and source of the will to form a new subject have done important role in the literature of this period. These aspects of early modern poetry is connected to the period of definite settling down and expansion of modern poetry facing most vigorous and refined period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around 1920s.

      • KCI등재후보

        미셀 푸코의 '근대'와 '계몽'

        허경 서양근대철학회 2010 근대철학 Vol.5 No.1

        Le Moderne ou la modernité est un problème de critères. C'est un point crucial par rapport à notre point de départ, parce que, dans toutes les études sur la modernité y compris “la nôtre”, tout dépendra des critères, c'est-à-dire des définitions. Cet article examine la notion de modernité, à travers toute l'oeuvre de Michel Foucault. Nous allons essayer de savoir précisément quels sont les critères ou définitions que Foucault leur donne, à quels points, dans quelles mesures et dans quelles circonstances historiques ils sont valables. L'enjeu est donc de construire une étude généalogique de toutes ces notions chez Foucault. La première apparition du mot ‘la modernité’ se trouve dans Histoire de la Folie [HF], mais juste une fois : “la conscience de la folie s'accompagne au contraire d'une certaine analyse de la modernité, qui la situe d'entrée de jeu dans un cadre temporel, historique et social.”Nous pouvons dire que c'est un usage conventionnel du mot dans la mesure où il est juste une expansion de l'expression ‘l'époque moderne.’ Deuxièmement, un autre type d'utilisation est saillant depuis HF en 1961. Foucault donne un sens très particulier et unique à ce mot. Déjà, dans HF, il essaie de lui donne de nouvelles significations,de nouveaux sens qui émergeront dans Les Motds et les Choses [MC]quelques années plus tard. Si nous empruntons une expression de MC,nous pourrions l'appeler l'usage épistémique du moderne. Dans MC, la modernité, c’est une époque “dont nous ne sommes pas encore sortis”,donc la nôtre. Ce fait affirme que ce sont toujours des usages conventionels. C’est seulement à la fin des années soixante-dix que Foucault essaie de lui donner un nouveau sens auquel nous allons donner le nom d’usage éthique. 본 논문은 미셀 푸코의 저작 특히 1966년의 『말과 사물』에 나타난 근대 및 근대성 개념 그리고 향후 이에 대한 종합으로서 제시되는 계몽 관념의 발생 및 발달의 역사를 추적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보통명사가 아닌 고유명사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근대’와 ‘근대성’의 개념도 구분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근대’라는 용어는 다음의 두 용법으로 쓰인다. 1) 관습적 용법: 이는 이른바 근대라는 용어로 번역되는 역사의 한 시기를 지칭하는 말이다(근대 생물학, 근대 철학 등). 2) 에피스테메적 용법: 이는 자신의 저작 ‘말과 사물’에 나타난 에피스테메의 개념에 입각한 것으로 각 시기에 단 하나씩만 존재하는 에피스테메로서의 이른바 ‘근대’ 시기의 제반 사항을 지칭하는 말이다(근대 인간, 근대적 광기 혹은 에피스테메 등). 한편 ‘근대성’이라는 용어도 두 가지 용법을 갖는다. 1) 역시 관습적 용법으로 이는 단순히 근대적이라는 형용사의 명사화로 볼 수 있으며 특별한 의미상의 추가가 없다(형법학 혹은 생물학의 근대성). 2) 윤리적 용법: 이는 푸코가 말년에 개진한 윤리적 함축을 갖는 용어이다(보들레르적 근대성에 기반을 두고 이를 고대 그리스ㆍ로마적 자아의 기술과 연관시켜 어제와 다른 나, 나 자신과 다른 나, 그렇게 스스로를 만들어가는 자기 형성의 기술(테크놀로지)을 지칭하는 이른바 ‘근대성의 태도’). 이렇게 푸코는 흔히 그에 대해 말해지고 있는 바와는 정반대로 ‘포스트모던’이라는 문제설정을 근원적으로 거부했으며, 오히려 자신이 속해 있는 유럽, 서양의 오늘을 만든 시기로서의 ‘근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이 시기를 대략 1775년-1825년으로 제시하면서, 이 기간 동안 산업혁명, 프랑스 혁명에서, 칸트의 철학, 퀴비에의 생물학, 리카르도의 경제학 등 유럽의 ‘오늘’을 이루는 기본적인 사회체제가 구성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기본적인 시각 아래에서만 푸코의 사상은 올바로 조명 받을 수 있으며 그가 천착했던 주제들인 광기, 심리학, 의학, 지식, 권력, 주체, 성(섹슈얼리티) 등의 문제들도 제대로 평가될 수 있다. 푸코 사상에 대한 계보학적 탐구를 목표로 하는 이러한 광범위한 작업은 우리의 ‘근대’(서구화)를 실질적으로 디자인한 일본, 그 일본적 근대화의 모델이 되었던 (이른바 ‘근대’ 초기로부터 19세기, 그리고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서구 사회의 구성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오늘 우리의 근대성, 합리성, 보편성 개념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또 이미 오래 전부터 참다운 보편적 사고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서구 중심적 보편성’ 개념을 감싸 안고 넘어서는 새로운 ‘보편성의 사유양식’을 창출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자리매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푸코의 문제화 개념이 우리가 보편을 사유하는 새로운 방식( une nouvelle manière de penser l’universel)을 구성하는데 적절히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방식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하는 의도 안에서 쓰인 것이다.

      • SELECTIVE MODERNIZATION AND ALTERNATIVE MODERNITIES: In Search of an Alternative Theory

        Kyong-Dong KIM 대한민국 학술원 2008 학술원논문집 : 인문, 사회과학편 Vol.47 No.2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esent an alternative theory of modernization taking a uniquely different approach than the existing theories originated in and centered around the Western intellectual circle. Because theories of modernization thus far have overly been immersed in the discourses on modernity assumed to be a form of cultural universal distinctly Western in character, they have fallen short in providing a more proper and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modernization in the late-comer societ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part of Europe and North America. For a theory of modernization to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s of various nations all over the world, it needs to pay due attention to stipulating the historical dynamics of the process. Since modernization in the late modernizer societies, especially outside the West, has been initiated by the global changes inherent in the early Western modernization, any theory has to start from this vantage point.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modernization is to be defined and understood as a dialectical process of twin changes of the initial international acculturation on a global scale emanated from the West and the adaptive change of each nation affected by the cultural contact resulting in indigenization of modern culture. In short, it is more appropriate to define modernization as a selective change each society pursues and modernity as a resulting cultural mixture. In fact, the search for alternative discours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utside the West happens to be an example of alternative modernity. Thus, the thesis of 'multiple modernities' suggested by and discussed in the sociological and historical studies today implies the diversity of alternative modernities. The selective modernization entails two basic forms of selection, political and cultural. Any society facing the challenge of international acculturation has to make political decisions involving various social forces vying for an upper hand to selectively adopt or reject certain elements of incoming foreign cultures to begin with. Their selective adaptation then necessarily is affected by the cultural traditions unique to the society. Since the dominant subculture of the competing social forces engaged in the political selection is reflected in the adaptive change, analysis of the degree of structural flexibility of the society is also needed. The consequences of such dialectical dynamics of the twin processes of acculturation and adaptive change are manifested both in convergence and indigenization of modern culture. The sense of identity and its assertion is prominent in the formation of alternative modernities. ‘選擇的 近代化’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서방 중심의 기존이론과는 차별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목적이다. 근대화의 이론이 지나치게 歐美 중심의 근대성 개념에 집착한 나머지 후발사회의 근대화를 이해하는 데 한계를 드러내었다. 근대화의 이론이 우리의 역사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것이 되려면 근대화의 역사적 과정이 지니는 역동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특히 非西方 세계의 근대화는 초기 유럽 근대화에 내재한 全地球的 차원의 변동이 유발한 과정이므로 이를 명확히 하는 데서 출발하여 근대화의 이론과 개념을 재정립해야 한다. 이런 견지에서 근대화는 전지구적 범위의 국제적 文化接變과 그 물결에 접한 사회들이 適應的 변동을 시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생성하는 변증법적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마땅하다. 결국 근대화는 사회마다 추구하는 일종의 선택적 변동의 한 유형이며 그 결과로 각기 근대화를 土着化시켜 代案的인 근대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으로 규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인문․사회과학의 대안적 담론 추구도 바로 대안적 근대성의 한 사례가 된다. 이렇게 볼 때 최근 역사학계와 사회학계 일부에서 새로이 제시한 ‘多重的 근대성’ 이론도 요는 대안적 근대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관점을 내포하는 셈이다. 근대화의 선택적 변동에는 ‘政治的 선택’과 ‘文化的 선택’이 이루어진다. 국제적 문화접변에 직면한 사회는 이를 어떻게 수용할 지에 대한 정치적 결정을 내려야 하고 거기에는 여러 사회세력들의 각축이 개입하며 그러한 정치적 선택에는 그 사회의 특유한 文化的 傳統이 작용한다는 뜻이다. 이처럼 대안적 근대성의 형성에는 경쟁하는 사회세력들의 부문 문화가 영향을 미치므로 선택적 근대화의 이론은 사회구조의 柔軟性 정도에 대한 분석도 필수적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사회의 근대성은 어차피 국제적 문화접변으로 서방의 原型을 모방하게 되므로 同質化가 불가피한 동시에 선택적 변동에 의하여 사회마다 특이한 근대성을 형성하는 異質化도 필연적이다. 이때 특히 주목할 것은 대안적 근대성에는 사회마다 자기 나름의 正體意識을 내포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야담의 근대적 전환과 대중문화로서의 기획

        신상필(Shin Sang Phil)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본고는 한국 서사문학의 큰 흐름 가운데 하나로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모에 따른 다양한 인물군의 등장과 그들에 얽힌 이야기를 담아 낸 야담(野談)의 근대적 전환 양상에 주목한 연구이다. 특히 본고가 주목하는 부분은 조선후기 야담 가운데 일부가 한문단편(漢文短篇)으로도 지목되었듯 단편소설에 값했던 현실주의적 서사성, 사회 변화에 따라 등장한 다양한 인물 형상과 연계된 시대성에의 관심, 한문의 기록 양식이 국문 전용의 근대에 처한 문학적 대응 양상의 세 가지 방면이었다. 그 과정에서 확인된 1900년대~1930년대까지 야담의 근대적 전환 양상을 신문의 언론매체에 의해 호출된 근대야담의 등장의 시대, 구활자본으로 대표되는 근대 야담집의 시대, 야담운동으로 전환한 문화운동의 시대, 야담 전문잡지의 출현에 따른 문화기획의 시대로 대략적인 구분을 지어 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는 근대의 도래, 한일병합, 3.1. 운동, 식민지 체제의 장기화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요컨대 전근대 야담의 국문으로의 전환, 야담을 통한 애국계몽에의 시대적 호응, 야담의 서사성을 활용한 근대 소설 대중의 양성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른 근대 야담의 변모이자 기획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점에서 본고는 근대 야담의 변모 양상을 시대별 구도로 잡아보려는 시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910년대 이후의 보다 세밀한 미시적 면모는 지속적인 확인을 통해 후고로 남기고자 한다. This paper is one of the major trends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various character groups due to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story of Yadam. Particularly, this section focuses on the realistic narrative that was worthy of short novels, some of which were pointed out as short stories in Chines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three aspects of the literary response in the modern age. The modern transformational patterns of Yadam confirmed in the process were divided into the period of the storytelling which is represented by the roughly old fonts from the 1910s to the 1930s, the era of the cultural movement that transformed Yadam movement into the Yadam movement, I tried to summarize this, I could understand it as a cultural transformation and plann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That is, the transition to the Korean language of the pre - modern era, the response of the era to the patriotic enlightenment through yadam, and the fostering of the modern novel by utilizing the narrative of Yadam.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essay trying to catch the approximate aspect of the modernization of the modern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confirmation of the microscopic aspect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period since the 1910s.

      • KCI등재

        전통, 근대, 탈근대의 결합 ― 청계천 복원 담론을 중심으로

        정성원 동양사회사상학회 2004 사회사상과 문화 Vol.9 No.-

        여러 가지 이유로 근대(사회)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그 해소 방안에 관심을 가지면서 전통과 근대의 ‘조화’, 근대와 탈근대의 변증법적 ‘통일’을 제시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청계천 복원 담론 분석을 통해 이러한 ‘조화’와 ‘통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다시 말해 우리가 흔히 근대(사회)의 위기 해소 방안을 생각할 때 직면하게 되는 ‘조화’ 내지 ‘통일’이라는 논리의 실체를 확인하는 데 있다. 만약 이 논문이 그 나름대로의 연구 의의를 가진다면 바로 이 점에 있다. 청계천 복원 담론이 사회학적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은, 그 담론의 내용이 전통을 매개로 하여 그러한 위기를 풀어내려고 했다는 점에서이다. 뿐만 아니라 탈근대가 이 담론을 통해 근대와의 적극적인 차이를 드러내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이다. 다시 말해 청계천 복원 담론은 근대(사회)의 위기 극복이라는 차원에서 전통근대, 근대탈근대 결합의 그 타당성과 적실성을 판가름할 수 있는 하나의 리트머스 용지이다. 즉 그 담론은 전통, 근대, 탈근대 등이 상호 교차하고 있는 하나의 논쟁 공간이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기존의 논의에서 주장되고 있는 전통과 근대의 ‘조화’는 근대의 이익, 즉 자본 일반의 확대재생산이라는 차원에서 전통을 일방적으로 선택함으로써, 그러한 조화는 결국 전통과 근대의 대칭성이 아닌 비대칭성을 강화시킬 수밖에 없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근대(사회)가 직면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차원에서 제시되는 근대와 탈근대의 변증법적 ‘통일’ 또한 논리적 차원에서는 가능하다. 그러나 청계천 복원 담론 분석의 결과는 여전히 양자는 대립각을 세우고 있으며, 특히 근대와 탈근대 공히 강조하는 삶의 질의 문제 해결과 관련해서는 상당한 차이를 드러낸다. 또한 전통과의 결합에 있어서는 다른 이유로 전통을 차별적으로 선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근대(사회)의 위기 해소와 관련하여 제시되는 ‘조화’와 ‘통일’의 관점은 일정 부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본다.

      •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비판 - 『반일 종족주의』 비판 -

        김병기 국학연구소 2020 국학연구 Vol.24 No.-

        『반일 종족주의』라는 책은 일제의 식민사관을 再論하는 저술이다. 이 가 운데 ‘식민지근대화론’은 일제식민지 통치시기에 비로소 한국의 근대화가 촉진되었다는 것이다. 일제가 한국을 수탈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혜(施 惠)를 베풀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일제가 한국을 무력으로 불법 강 점한 사실과 민족말살정책을 부정하는 한편 그들의 식민통치를 통해 한국 은 후진성을 극복하고 ‘근대화의 길’로 나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식민지근대화론의 허구성은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1)한국사의 정체성론은 해방 후 남북한 학자들에 의해 ‘내재적 발전론’으로 극복되었다. 한국에서는 17~18세기에 이미 자생적 근대화의 싹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2)식민지근대화론자들은 조선시대까지 이루어진 경 제발전은 과소평가하고 일제에 의한 개발을 과도하게 평가하고 있다. 이는 통계에 대한 자의적 해석과 오독(誤讀)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한국경 제를 비교해 보면 모든 통계는 식민지적 질곡에서 벗어나면서 비로소 근대 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수치로 말해주고 있다. 3)일제강점기 한국사회를 식민지근대화론자 주장처럼 경제논리로만 이해하는 것은 위험한 분석이다. 정치적 발전, 사회적 발전을 비롯하여 문화적 발전 등도 함께 검토해 보아 야 한다. 일제하 국민주권, 국민참정권 등이 철저히 제한되었고, 한국어 말 살정책, 역사 문화의 왜곡 말살을 통해 한국인들의 입지는 철저하게 제한 되었음을 함께 살펴야 할 것이다.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대로 일제시기가 좋았다는 식민지 미화론, 식 민지 시혜론이 난무한다면 상대적으로 국권회복을 위해 힘썼던 독립운동은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Anti-Japanese Ethnicism" is a book that re-examines Japanese colonial history. Among them,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is that modernization of Korea was promot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y say that the Japanese did not take away Korea, but rather gave benefits. This is a logic that denies the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annihilation policy, and that through colonial rule, Korea overcame backwardness and achieved "modernization". Many scholars have already criticized the fiction of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1) The theory of stagnation in Korean history was overcome by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with "internal development theory" after liberation. In Korea,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spontaneous modernization had already sprung. 2) Colonial modernizationists underestima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hosun era” and overestimate the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t is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misreading of statistics. A statistical comparison of the Korean economy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shows that modernization took place only after it escaped from the colony. 3)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argue, it is dangerous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only economic logic. Naturally,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must be reviewed together.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s were thoroughly regulated due to restrictions on the suffrage, the erad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distortion of history. If “colonial beautification theory” and “colonial benefit theory” are insisted,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have argu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tried to find the country will lose its place.

      • KCI등재

        朴殷植의 自家精神과 近代 主體 認識

        박정심(Park Jeoung Sim) 한국양명학회 2006 陽明學 Vol.0 No.16

        이 논문은 박은식의 自家精神과 주체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적 근대사상을 모색하였다. 흔히 근대 이후 서구문명이 보편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한국의 근대는 서구와 동일하게 될 수 없는 미완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나 근대 시기 한국적 주체성을 상실하지 않고 서구문명의 근대성과 야만성을 수용비판하면서 한국근대를 건설하고자 하였던 박은식의 사상적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서구문명만을 근대잣대로 삼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박은식은 자가정신을 준거로 하여 주자학의 경직성과 중화주의를 비판하고, 다시 양명학을 수용하여 한국근대주체로서 양지를 구현한 ‘眞我’를 제시함으로써 한국근대가 안고 있던 重層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진아가 근대국가의 주체가 될 때 근대국가는 침략과 야만의 경계가 아니라 세계평화를 실현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그리고 한국이 바로 세계평화와 인도를 실현하는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Korean Modem Idea with self identifications and self mind(自家精神) of Park Eun Sik(朴殷植). Park Eun Sik criticised Sinocentrism (中華主義) and the ligidity of the Jujahak(朱子學). And then he tried to solve multiplicative problems of the Modern Korea by presentation of the true self(眞我) to realize of the Korean Modern self to accept the scholar of the Wang Yangming school. He thought that when true self(眞我) is to be with the Modem Nation itself, Modern Nation itself is not the border of the savagery buy the center to world peaceful contents.

      • KCI등재

        현대문학 :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이일림 ( Il Rim Lee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본고에서는 1930년대에 한국 시의 주류를 형성했던 한 시인으로서 백석 시의 근대성의 구현양상에 대해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이유는 백석 시의 근대성에서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인데,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근대성의 내면에 강고하게 병리학적인 성격으로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연구사 검토를 통해 전통적 시작에 몰두하였던 백석의 시세계에 나타나는 전통성에 근거해서 보들레르가 말하는 미학적 개념과 상통하는 점을 고찰하고 그 여파로 나타나는 백석 시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행해졌던 백석 시에 대한 논의를 살핀다. 백석 시의 근대성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토속성의 이면과 모더니티의 접합과정을 살피고 백석 시가 이룬 모더니티의 경로에 대한 이해관계를 고찰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백석 시의 토속성은 김기림이 주장하는 모더니티의 구성요소들과 접합된다. 방언의 리얼리티와 모더니티를 절묘하게 혼합하는 방식의 창조된 주지주의적 시선은, 백석이 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시세계의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점에서 모더니즘이 토속성의 이면으로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장에서 이러한 백석 시의 속성을 고찰했다면, 3장에서 중요한 것은 본고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구체적 요인이 되는 백석 시 근대성의 구현을 병리학적 샤머니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이다.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에 있어서 절실하고 확연하게 드러나는 시세계가 전통적이고 신화적인 샤머니즘적 시세계이다. 본고의 고찰은 백석 시에 나타나는 토속성을 포괄적인 범위로 다루는데, 그 한 갈래의 경향인 토속성의 이면을 좀 더 세부적으로 연구하는 차원에서시세계에 내재하는 근대성의 방향을 점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이다. 그러기 위해 백석 시의 근대성과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교섭점을 알아본다. 백석 시의 근대성에 있어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은 치유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그것은 백석 시의 근대성이 치유의 형식으로도 나타나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방편이며, 일제강점기에 말살 위기에 놓인 전통 신앙인 무가에 대한 애착심과 민족심의 발로였다는 것을 밝히는 과정이다. 결국 이는 백석 시의 근대성이 내포한 희원의 우회적인 기법이며 시대상황을 퇴치할 방도를 찾기에 고심한 치유의 흔적으로써, 민간 전통신앙인 샤머니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 기저로 작용하고, 그의 시문학에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수용하게 된 계기로 수렴된다. 백석 시는 동시대 시인들이 전통과의 단절을 미덕으로 삼고 도회적 이미지와 서구적 감각을 찾으려 노력한 반면, 백석 시는 과거의 것에서 시어를 끌어올렸다는 점, 그리고 사라져가는 전통관습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점, 고유의 전통인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치유의 방도로 시문학에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모더니티의 의미가 오히려 더 깊게 다가온다. 백석 시의 근대성의 획득은 전근대성을 저변에 깔고 있다. 시공간 의식에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시편들은 전근대성의 토대를 가지는 전통성에서 출발한다. 이는 근대적 주체가 인식하는 민족 수난과 상실감에서 비롯된 것이며, 타자에 의한 인식의 변화가 호응할 때 가장 근대적인 것을 획득한다. 샤머니즘적 시세계는 대부분 유년의 시절에 근거한 기억에서 끌어오고 있다. 그러나 가장 토속적이고 민족적인 소재와 언어의식을 통하여 근대적 주체를 확립하며, 고유의 옛것을 통속화시키지도 않고 그렇다고 표면적인 모더니티도 아니게 가장 신선하고 가장 사실적인, 보다 심층적인 ‘모더니티’를 구현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가장 전통의 것을 소환하여 현실에 환기시키는 형식은 극도의 통감을 끌어들이게 충분하며, 나아가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시적 국면은 백석 시의 미적 형상화에서 한 걸음 더 진보하여 독특한 백석 시 고유의 ’모더니티‘를 개척한 것이다. 백석 시의 ‘모더니티’가 추구한 귀결점은 전통성을 담지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담아내는 형식의 모더니티한 면모를 보인다는 점에서 근대성의 핵심적인 요소를 획득한 데 있고, 전통을 통해서 모더니티를 획득하는 백석 시의 전략은 동시대에 아무도 범접할 수 없는 그만의 창조성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ifestation patterns of modernity in the poetry of Baek Seok, one of the poets that formed a mainstream in the poetic circles of Korea in the 1930s, with a focus on pathological shamanism since the shamanistic works could never be neglected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were firmly present inside modernity as a pathological nature.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to examin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the poetic world of the poet, who was committed to writing traditional poems, that would correspond with the aesthetical concept of Baudelaire and look into the resulting discussions about hi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and modernism in his poetry. Th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converging with modernity and the interest relations of the modernity path established in his poetry to investigate modernity in his poetry. The folk nature of his poetry merged with the components of modernity argued by Kim Gi-rim in the process. The view of created intellectualism according to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dialect reality and modernity reveals that modernity emerges as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in that the poet used the approach to seek after newness in the poetic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Chapter 2 covered those attributes of his poetry. Chapter 3 investigated the manifestation of modernity in his poetry, which was the specific element to be examined in th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pathological shamanism. A traditional and mythical shamanistic poetic world makes a desperate and definite appearance in the research on modernity in his poetry.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folk nature in his poetry within a comprehensive scope as a way approach the directionality of modernity in his poetic world in a gradual fashion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one of the tendencies, more in-depth. The study thus looked into the negotiation points between modernity and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ry. Pathological shamanism includes the concept of healing as for modernity in his poetry. It is a means to demonstrate that modernity also took the form of healing in his poetry and a process to show that it was the expression of his nationalist sentiment as well as love for shamanistic songs, part of the traditional faith at the risk of abolition during the Japanese rule. In the end, it was a detour technique for the hope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the trace of healing to contemplate a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t served as the bas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hamanism, a traditional faith, and the opportunity to include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ic literature. Unlike his contemporary poets that found a virtue in separation from traditions and tried to find urban images and western senses, Baek Seok added more depth to the meanings of modernity in that his poetry pulled up poetic words from the past and awakened the consciousness of disappearing traditional customs and that the works based on shamanism, a unique tradition, settled down as the means of healing in poetic literature. The achievement of modernity in his poetry is based on pre-modernity. In the consciousness of time and space, the works of pathological shamanism start with the heritage with a pre-modern foundation. It stemmed from the people`s suffering and sense of lost perceived by the modern subjects. When a change to the consciousness of others reacts, the most modern can be obtained. The shamanistic poetic world mostly comes out of childhood memories. However, he succeeded in manifesting the most refreshing and realistic and more profound "modernity," which was not superficial, by establishing a modern subject with the most folk and national materials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and not popularizing the unique oldness. The form of summoning the most traditional and rousing them in reality is enough to induce an extremely keen sensation. Furthermore, the poetic aspects of pathological shamanism pioneered "modernity" unique to his particular poetry, making a further step forward from aesthetic embodiment in his poetry. The ultimate point that "modernity" of his poetry sought after obtained the essential elements of modernity in that it maintained the traditional value and, at the same time, exhibited a modern aspect of the form holding it. The strategy of attaining modernity through tradition in his poetry should be evaluated as his own creativity that no other contemporary figures of his could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