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관광개발영향에 대한 지역주민태도 차이 연구 -인근,비인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장준호 ( Jun Ho J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지역의 관광개발에 있어 긍정적·부정적 관광개발영향이 지역주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관광개발영향과 지역주민태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인근·비인근 지역주민 집단별 관광개발영향과 지역주민태도의 차이를 측정동일성검정 과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1년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실증분석은 총 237명의 표본을 통해 진행되었다. 관광개발영향과 지역주민태도간의 관계를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관광개발의 긍정적 영향은 관광개발지지에 양(+)의 영향을, 부정적 영향은 관광개발 지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주민태도의 관광개발지지는 지역의 미래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선행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주민의 거주지 집단별(인근지역·비인근지역) 관광개발영향과 지역주민태도간의 차이를 측정동일성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인근·비인근 지역주민 집단별 관광개발지지에 대한 관광개발영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의 미래에 대한 관광개발지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test relationships between tourism development impacts and residents` attitudes. Particularly, it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ial groups(nearby and far-off resi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 tourism development impacts and residents` attitudes have been conceptualized, tested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velopment impacts and residents` attitudes through covariance structural models and metric invariance test. A survey (n=237) was conducted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the proposed model. Model fit indice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and negative tourism development impac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m development support of residents` attitudes. In addition, community future was found to be a positive function of tourism development support. Subsequent test of metric invariance demonstrated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ial groups(nearby and far-off residents). Specifically,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velopment support and community future was higher for nearby residents group than far-off residents group.

      • KCI등재후보

        도외 제주인의 제주 지역 애착심이 제주 관광 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지역 정체성의 매개변수 효과를 중심으로 -

        황정진 ( Hwang Jung-jin ),고계성 ( Ko Kye-su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8 Tourism Research Vol.43 No.3

        인구수가 약 60만 명에 이르는 도외 제주인은 ‘제주인 120만 시대’를 여는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해오고 있기에 제주 경제 발전에 대한 이들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도외 제주인이 제주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할 실정이다. 제주 신공항 및 신항 건설, 팜파스 종합휴양관광단지 개발 사업 등 규모 있는 관광 개발 사업들이 계획되어 있거나 이미 진행 중에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제주 관광 개발에 대해서 도외 제주인들이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기존 문헌 분석을 통해 도외 제주인의 제주 관광 개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요인(지역 애착심과 지역 정체성)을 도출하여 이 요인들이 제주 관광 개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제주에서 출생하여 살다가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서울과 부산지역으로 이주하여 살고 있는 도외 제주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외 제주인의 지역 애착심은 지역 정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정체성은 관광 개발의 경제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지역 애착심은 관광 개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정체성은 지역 애착심과 관광 개발의 경제적 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해석해 보면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것처럼 인간의 본성과 관련해서 지역 애착심은 지역 정체성이 완성되기 전에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정체성이 지역 애착심과 관광 개발의 경제적 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고, 지역 애착심은 관광 개발 태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통계적인 측면에서 매개변수의 완전매개 효과가 가지는 특성과 일치한다. 다시 말해, 지역 애착심은 매개변수인 지역 정체성이 없이는 관광 개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못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외 제주인의 제주 관광 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사회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Even though it is easy to anticipate that non-resident Jejurian’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Jeju Island is significant,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non-resident Jejurian on the prosperity of Jeju Island. Nowadays, there are a bunch of ongoing projects of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such as the construction of a new Jeju international airport and a new port city. As following these trends of the tourism development,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on-resident Jejurian on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we found that there are two research variables which can influence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of non-resident Jejurians. These variables are regional attachment and regional identity.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on-resident Jejurian’s regional attachment and regional identity on their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We conducted a survey toward non-resident Jejurians who are living in Seoud and Pusan city. The results show that non-resident Jejurian’s regional attachment significantlly influence their regional identity. Their regional identity also significantly influence economical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But, no effect was found between regional attachment and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The regional identity plays a role of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attachment and economic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to policy makers who want to draw non-resident Jejurian’s positive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 KCI등재

        관광영향이 관광수용태도와 관광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raw the factors of tourism impact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mpacts factors and the attitude of tourism acceptance and tourism development. For this two hypotheses were suggested. Factor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rough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of tourism impact were draw: positive social and cultural impact, negative social and cultural impact,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 and positive economic impacts. In regression analysis the influencing factors to attitude of tourism acceptance were positive social and cultural impact and positive economic impacts. Among four factors of tourism impact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attitude of tourism acceptance was negative social and cultural impact, showing -.158 in β, and t-value of -3.069 (p<0.05). The influencing factors to attitude of tourism development were positive economic impacts and social and cultural impact. Among four factors of tourism impact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attitude of tourism development was positive economic impacts, showing β of .192 and t-value of 3.791 (p<0.001). Therefore, two hypotheses were partly accepted. In conclusion the recommendations to reduce negative tourism impact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강릉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영향문항을 조사하여 관광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수용태도와 관광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분석방법으로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요인분석에서는 관광영향 12문항을 적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에서 관광영향요인으로 긍정적 사회문화영향, 부정적 사회문화영향, 부정적 환경영향, 긍정적 경제영향으로 4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관광영향요인이 지역주민의 관광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영향요인 중 긍정적 사회문화영향, 긍정적 경제영향이 관광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낸 것은 표준화회귀계수가(β)가 -.158, t값이 -3.069(p<0.05)인 긍정적 사회문화영향이었다. 따라서 관광영향이 관광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관광영향요인이 지역주민의 관광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에서는 관광영향요인 중 긍정적 경제영향과 긍정적 사회문화영향이 관광개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낸 것은 표준화회귀계수가(β)가 .192, t값이 3.791 (p<0.001)인 긍정적 경제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영향이 관광개발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연구결론에서는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강릉지역에서 관광으로 인한 관광영향의 부정적 태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슬로시티 개발과 관광객 증가에 따른 지역주민의 태도변화

        도경록 ( Kyung Rok Doh ),강신겸 ( Shin Kyum K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6 No.5

        본 연구는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민의 태도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증분석에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현재 슬로시티를 이용한 관광개발이 진행 중인 신안군 증도의 개발방향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서, 사회적교환이론, 관광지 라이프 사이클 이론, 수용력이론, 사회적붕괴이론 등 기존의 관광객의 태도변화에 대한 이론들을 고찰하고, 이를 증도의 사례에 연결시켜 설명하고자 시도했다. 또한, 최근 급격히 늘어난 증도의 방문객 수의 변화를 연구의 기점으로 하여, 급격한 성장에 따른 지역주민의 슬로시티와 관광개발의 영향에 대한 태도변화를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하기위해 노력했다. 실증분석의 결과, 증도주민의 관광에 대한 태도는 조금은 부정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럼에도 지역의 경제적 영향과 슬로시티관광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증도주민의 관광에 대한 태도의 변화가 기존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나타난 사례들과 유사하게 전개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다만,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민의 유대강화 등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해가는 현상은 기존의 사회적 혼란이론에서의 설명되던 경우와 다른 것으로 나타나 관광에 대한 태도의 변화가 슬로시티를 지양하는 개발의 방식에 대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슬로시티를 지향하는 증도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다양한 태도변화를 바탕으로 앞으로 증도의 개발이 지양해야할 점과 보완해 가야 할 점등을 제언하고 있다. The goal of his study is to increase understanding about attitude changes of residents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offers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Slowcity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the result from empirical investig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 this study first applies various theories such as social exchange theory, tourism life cycle theory, social carrying capacity, and social disruption theory to interpret the attitude changes of residents in Jeungdo. Then, it conducts survey to investigate the attitude changes in residents as development is going on. The focu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is on fi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bridge "Jeungdo-Daegyo". The result of empirical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level of residents` satisfaction with harmony with neighbors is increasing.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concludes there are some positive impact of slowcity tourism development idea such as social collaboration and residents participations to reduce the negative social tourism impact, even though overall attitudes of resident toward tourism development is in decline.

      • KCI등재

        관광단지 개발에 대한 주민의 개인편익인식과 태도 연구-동부산 관광단지를 중심으로-

        박경옥,이상호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perception of personal benefits and their attitude toward tourism resort development(ATD)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In detail, the perception variables were divided into a direct impact such as personal benefit(PB) and indirect impacts such as perception of tourists’ respect(TR), positive tourism impacts(PTI), and community satisfaction(C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92 residents of Gijang-goon in Busa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the PB variable played a significant role among ATD, TR, and PTI without CS. (2)Also, there was important relationships among the TR, PTI and CS. However, PTI among TR, CS had only an effect on the ATD. Therefore, this research contributed to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especially taking into account the regional features of Gijang-goon.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단지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개인편인식과 태도간의 관계를 사회교환이론을 바탕으로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관광단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이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개인편익을 독립변수로, 간접적으로 지역에 유입되는 관광객 대한 존중인식, 관광영향인식, 지역사회만족인식을 매개변수 그에 따른 관광개발에 대한 지지 태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의 동부산 관광단지 개발지인 기장군을 연구지로 선정하고 192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개인적 편익인식은 직접적으로 관광개발에 긍정적 지지태도를 보였고, 지역에 유입되는 관광객에 대한 존중인식과 지역의 경제, 사회/문화, 환경적 측면 영향인식에도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개인편익인식과 지역사회 만족인식 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가지지 못하였다. 또한, 매개변수간의 관계에서 관광객 존중인식, 관광영향인식(경제/비경제적), 지역사회 만족인식 간에 유의적인 영향을 가졌다. 그러나 종속변수인 관광개발지지 태도에 대해서는 개인편익인식과 관광영향인식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개발 시행처가 지역주민과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전략적인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KCI우수등재

        오버투어리즘 지역 주민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 형성 요인 연구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대상으로-

        김송이,강영은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7

        수용력을 넘어서는 수준의 관광객이 지역을 방문하고 이로 인해 지역주민의 생활 불편을 초래하는 오버투어리즘과, 오버투어리즘을 겪는 지역 주민의 반(反)관광객 태도는 관광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버투어리즘 지역 주민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해당 마을 주민 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주민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은 관광개발사업 참여 정도, 마을에 대한 애착 정도, 관광개발사업의 긍정적 사회문화경제환경 영향에 대한 인지, 관광개발사업의 부정적 경제 영향에 대한 인지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광개발사업 도입 이전부터 지역에 거주해오던 지역주민들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에는 관광개발사업 참여 정도와 긍정적 사회문화경제환경영향 인지 정도가 큰 영향을 미쳤으며, 관광개발사업 도입 이후부터 지역에 거주해오던 지역주민들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에는 마을에 대한 애착 정도와 부정적 경제영향 인지 정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버투어리즘 지역을 관리함에 있어 지역주민 참여가 중요하며, 반관광객 태도 개선에 있어 오랜 기간 거주한 주민들에 대해서는 사회문화경제 여건 개선에 주안점을 두되, 새로 이주한 주민들의 경제적 손실을 고려하는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관광레저형 여가공간개발의 영향요인과 태도연구

        송광인,김정준,김용준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4 No.6

        본 연구는 여가공간 개발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영향인식과 이에 따른 지역주민의 개발태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증분석 결과 첫째, 지역관광개발의 개발혜택에 따른 지역주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경제적 혜택은 개발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ㆍ문화적 혜택과 환경적 혜택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역관광개발의 개발비용은 지역주민의 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소득증가, 물가의 상승, 교통체증 혼란, 범죄 유발, 자연경관 훼손, 쓰레기 증가 등 개발에 따른 비용은 개발태도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역관광개발의 개발혜택과 개발태도의 관계에서 개발정책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역주민이 사업주체로부터 얻는 개발혜택과 태도와의 영향관계는 지원정책과 적극적인 추진 등 개발정책지원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지역관광개발의 개발비용과 개발태도의 관계에서 개발정책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사업주체들의 적극적인 사업추진 등 개발정책지원은 경제적 비용에 의해 개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절변수인 개발정책지원이 높을수록 개발태도는 높아지므로 경제적 비용에 의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in terms of economy, social culture, and environment resulting from development of leisure space and to explore the attitude of local people toward leisure spac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ith respect to relationship between local people's attitude and influencing factors, economic benefits were found to be negative impact on locals' attitude toward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social/cultural and environments benefits were positively attributed to locals' attitude. 2. The development costs involved in local tourism (e.g., increases in living costs, crime rates, wastes, and deterioration of natural beauty) did not significant impact on the attitude of local people. 3. The results of moderating effects of development support program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of local people and tangible development benefits from the project owners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various development support programs. 4. It was analyzed that the development support programs positively influenced the local people's attitude towar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rough economic costs.

      • KCI등재후보

        농산촌 수변공간 관광개발이 주민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천시 부항댐 수변공간 관광개발 지역을 중심으로

        박인규,전희원 동북아관광학회 2013 동북아관광연구 Vol.9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김천 부항댐 수변공간 관광개발에 따른 영향인 환경적 영향, 경 제적 영향, 사회적 영향이 주민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수변 공간 관광개발에 대한 바람직한 개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주민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 검정결과 에 따 른 주민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환경적 영향이 가 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으며, 경제적 영향이 두 번째 영향력을 보 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영향을 높게 지각할수록 주민태도가 높아질 것이 라는 가설은 채택되지 않았다. 환경적 영향은 개발에 다른 결과가 쉽게 가시화되는 측 면이 있고, 경제적 영향은 부항댐 수변공간 관광개발에 따른 결과가 주민들에게 경제 적 영향이 있는 반면에 사회적 영향은 개발에 따른 결과가 현재 단계에서는 주민들에 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느끼게 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개발을 추진함에 있어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른 홍보와 함께 후속개발을 추진 해나간다면 정책개발 및 실행의 수월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민태도에 대 한 긍정적 인식을 강화시키고 주민통합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주민의 자기검색성향이 관광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걸재(Keol-Ja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6

        본 연구는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와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충남 논산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관광개발의 참여의식, 개인의 자기검색성향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자기검색성향과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와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자기검색성향이 관광개발의 경제적 태도와 관광개발의 사회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기검색성향과 관련하여 관광개발에 대한 참여의식에 대한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광개발의 참여의식에 모든 요인들이 2배에 가까운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자기검색에서 타인지향성 성향을 갖춘 지역주민들이 증가되면 될수록 관광개발에 있어서 관광개발의 참여 활동에 적극적인 행동을 보여 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was examines an attitude towards Tourism Development that has relevance to social psychological differences of individuals in terms of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on Tourism Development. It used the self-monitoring scale developed by Snyder(1974) who focused on individual behavior, which has been recently paid attention in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academic world from two extensive points of view. One is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out any previous studies on self-monitoring and was performed to arrange the concept of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in the stream. Another one is that this research proved the influence of self-monitoring on the citizen's propensity towards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toward economic impact,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toward social impact and with the tendency of participating in tourism development. Finally,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that has relevance to social psychological differences of individuals.

      • KCI등재후보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태도 및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임화순,고계성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제주 김녕리 지역주민 인식이 태도 및 지지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지역 해양관광개발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설문조사에 따른 분석결과, 첫째, 경제향상 요인이 지역 관광개발 필요 및 개발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력, 직업, 월평균 소득에는 인구통계적 특성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대졸 출신이 높은 사회불안정 우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전문관리직 종사자가 환경파괴와 사회불안정에 대하여 높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300-400만원대 소득자들이 사회불안정을 우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개발을 위한 지침, 이해당사자들의 협력네트워크 가동, 경제규모 가치분석 전문가 제도 도입 활용, 그리고 환경파괴와 사회불안정 우려에 대한 개발계획의 사전공지와 개발 단계별 영향분석 정보 공유, 휴먼웨어가 접목된 관광객, 지역주민, 그리고 개발목표를 수립하는 관광개발 문화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