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境界二谛与言教二谛理论结构之比较 ―围绕净影慧远“四宗二谛”与嘉祥吉藏“四重二谛”―

        조윤경 한국중국문화학회 2013 中國學論叢 Vol.38 No.-

        이 논문은 수대 삼대법사 가운데 정영사 혜원(523-592)과 가상사 길장(549-623)의 이제론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 구조가 내포하는 사상적 특징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제는 남북조 불교계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되었던 핵심 주제 가운데 하나로, 대략적으로 이제를 境界라고 여기는 입장과 言教라고 주장하는 입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혜원의 四宗二諦은 지론종 남도파의 입장에서 이제를 境界로 해석하지만, 길장의 四重二諦는 이제를 가르침으로 여기는(二諦是教) 삼론종의 전통을 계승하여 이제를 言教로 해석한다. 같은 시대를 공유했기 때문인지 아니면 종파 간의 사상적 영향 때문인지 단언할 수는 없지만, 四宗二諦와 四重二諦는 형식구조상 매우 유사한 양상을 띠고 있다. 四宗二諦는 비담론, 성실론, 삼론, 지론의 四宗 교판을 통해 각 학파의 이제를 위계적으로 포괄한 이제론이다. 四重二諦는 교판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역시 비담론사, 성실론사, 지론사, 섭론사의 잘못된 이제 이해를 직접적인 교화의 대상으로 삼아 네 단계의 이제를 펼친 것이다. 이 두 이론은 모두 전 단계의 이제가 다음 단계의 이제 속으로 포섭되면서 대상 세계에 대한 인식 범위가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함의를 세밀히 살펴보면 두 이제론이 사상적으로는 전혀 다른 구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四宗二諦에서 각 단계의 이제는 온전하지는 않지만 진리를 부분적으로 담고 있는 경계로서, 궁극적으로 진실한 여래장의 同一體性 속에서 모두 포섭된다. 그러나 四重二諦에서 이제는 고정된 경계가 아니라 중생을 교화하기 위한 언교일 뿐이므로, 교화대상이 집착하여 머무르는 진속이제는 모두 철저히 부정되고, 진리를 가리키는 지표로서의 진제는 새롭게 설정된다. 또한, 四宗二諦는 중심 범주의 축이 유무에서 진속으로, 다시 진속에서 체용으로 전환되면서, 마지막으로 체용론에 기반한 여래장연기를 통해 모든 법을 포용하는 순환적 구도를 형성한다. 그에 반해, 四重二諦는 변증논리를 통해 양변이 대립하는 상대적인 세계를 지양하고 끊임없이 무소득의 진리를 추구하는 개방적 직선 구도를 그리고 있다. 이와 같이 혜원과 길장은 이제론을 통해 각각 여래장사상과 중관사상을 압축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 KCI등재

        왕필의 得意忘象에 관한 연구

        구미숙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2 No.-

        “뜻을 얻으면 象을 잊어라”는 왕필의 得意忘象論은 漢代 象數易에 대한 비판으로, 」周易略例」 「明象」에 나오는 내용이다. 象은 「周易」의 특수한 용어로 「易經」을 구성하는 卦와 辭의 필연적 연관성을 설명하기 위해 「십익」에서 사용한 개념이다. 「십익」 가운데 「설괘전」에서는 특히 8괘 物象을 나열하고 있는데, 漢代 상수학자들은 이 8괘 物象을 「易經」을 이해할 수 있는 주요한 수단으로 삼아 卦變·互體·半象 등의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내고 이 외 曆法과 五行 등의 「주역」 외적 요인을 끌어왔다. 왕필은 상수학자들의 易해석은 오류라고 본다. 상수학자들처럼 8괘 物象 중심으로 「역경」을 해석할 때, 象을 통해 드러내고자한 「역경」의 본뜻은 놓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왕필 스스로도 8괘 物象을 부정하지는 않고, 다만 象은 「역경」의 본뜻을 포착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보다 자세히는 「역경」의 卦와 辭를 言과 象과 意로 나누고, 辭를 구성하는 언어[言]와 卦와 辭를 연결하는 象은 卦와 辭의 의미[意]를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라고 한다. 그는 辭의 언어[言]는 象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고, 象은 뜻[意]을 드러내기 수단이므로 궁극적으로 이해해야 할 것은 뜻[意]이라고 보았다. 왕필은 자신의 이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장자」 외물편의 올가미와 통발의 비유를 사용하고 있다. 이 비유 때문에 많은 학자들이 왕필의 「周易注」는 노장적 관점에서 「주역」을 이해하였다고 잘못 이해하고 있다. 왕필은 老莊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지만, 得意忘象論에서 잊어야할 대상으로서의 言과 象은 老莊에서 비판하는 인간의 사유체계로서의 언어가 아니고, 얻어야할 뜻[意]은 현상계를 초월하는 의미에서의 道가 아니다. 「역경」과 老莊의 사상이 일치하는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왕필은 「역경」의 구성체계에서 言·象·意를 이야기하고, 그가 言과 象을 통해 뜻을 얻는[得意] 과정에는 「십익」의 도움을 얻지만 그 가운데 특히 「彖傳」과 「象傳」의 해석에 의존하여 經文을 해석하고 있다. 그의 「역경」 해석에 있어서 「십익」에 대한 의존성과 그가 궁극적으로 포착한 의미에 儒家 윤리적 성격이 짙은 義를 사용하는 점에 있어서 그의 역 해석은 유가적 성격을 띤 義理易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왕필의 易 해석은 그의 해석체계 내에서는 정합성을 띤다. 이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소지는 그가 포착한 經文의 뜻이 과연 정확한가 하는 점이다. 經文의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필자는 「역경」 가운데 나오는 故事를 중심으로 갑골문 연구와 고증학의 성과를 검토하였다. Wang Pi(A.D.226-A.D.249) assume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school of Hsiang-Shu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ages in I Ching and it was in full flourish at the Han era. Many scholars in that period was too exclusively riveted on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words or images of eight trigrams so that the priority of the meaning founded on images was neglected. They applied to the changes in the hexagrams if the trigram did not correspond to word, for examples Ch'ien is the horse and K'un is the cow. And in addition they applied the p'ang tung method, consisted in the co-ordination of hexagrams that are opposites in structure, and took the five states of chang, wu hsing, into account. Wang Pi reversed this atmosphere to go back to the essentials. He boldly disregarded the method of precedence and a series of studies of a general character putting the separate themes of the I Ching into the right perspective again. By means of the meaning he penetrated once more to the real sources of the book. His treatise on the images makes this clear. He said that images give the meaning and words make the images clear. To exhaust the meaning there is nothing better than the images, to exhaust the images there nothing better than the words. The words ought to concentrate on the images, then the right words for contemplating the images are found. The images ought to concentrate on the meaning, then the right images for contemplating the meaning are found. If the precept is to the effect that one should act forcefully, what need of the horse? If it is to the effect that one should be obedient, what need of the cow? If the individual lines correspond to obedience, what need of saying that K'un is the cow? And if the precept demands forceful action, what need of saying that Ch'ien is the horse? The meaning is exhausted by means of images. The images are exhausted by means of the words. It is like following a trail to catch a hare. once one has the hare, one forgets the trail. Or it is like putting out wicker traps to catch fish. Once one has the fish, one forgets the traps. Now, the words are the trails of the images, and the images are the traps of the meaning.

      • KCI등재

        교육적 관점에서 본 공자와 묵자의 말[언(言)]에 관한 이론

        황성규 ( Hwang Seong-kyu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이 글은 공자와 묵자가 제시한 말[言]에 대한 진술들을 분석하여 교육적 관점에서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우선 전제되어야 할 점은 공자와 묵자는 공통적으로 말을 수신(修身), 즉 교육 과정의 하나로 삼아 매우 중시했다는 점이다. 공자는 말을 통해 자신의 뜻이 정확하게 상대에게 전달되어야 하며, 상대를 기만하거나 현혹하는 것이 아닌 의사소통을 가장 기본적인 말의 기능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았다. 또 그는 말과 덕은 상호 불가분의 관계여서 덕을 떠난 말은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였으며, 말은 말로써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실천이 담보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묵자도 마찬가지이다. 그는 말의 실천을 누누이 강조하였는데, 말은 말로써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실천이라고 하는 책임으로 이어져야 함을 강변하였다. 이는 묵가의 실천 지향적 사상적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또 묵자는 명(名)이 지닌 뜻을 실(實)로 드러냄으로써 진리를 추구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명이 지닌 의미를 왜곡됨 없이 드러내는 것이라고 파악했기 때문이다. 공자와 묵자가 제시한 말의 기능과 작용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이 글은 양자의 공통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공자와 묵자는 의사전달 수단인 말이 인간관계와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과 해악성을 잘 이해하고 이를 교육의 주된 내용으로 삼아 경계하였다. 사회를 구성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떤 말로써 소통하느냐에 따라 그 공동체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중국 고대의 두 성현, 공자와 묵자의 언어에 대한 이론은 올바른 말하기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이론적 재료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이론들을 오늘날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심도있게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ements of Confucius and Mozi about the words (言)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first thing to be premised is that both Confucius and Mozi highly valued words for the moral training (修身), in order word as one of the curriculums. Confucius believed that one's ‘will’ should be conveyed to the other party accurately through the 'words' and .it should not deceive or delude others but make them basic communication tools. He also emphasizes that words are a manifestation of the virtue of a person, and the words must not end as just words but the practice should always be guaranteed. This is also true of the Mozi. He emphasized the practice of words and argued that words should not end as just words but lead to responsibility for practice. In addition, Mozi taught that we should pursue the meaning of Names (名) by revealing it as a reality (實) without distortion. Although there is a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Confucius and Mozi’s teachings, It is tried to considerate the common aspects of the two Theories at this writings. Confucius and Mozi understood the influence and harm of words on human relations and community and were wary of them as the main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language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where daily diversification is being made, the theory of words of Confucius and Mozi provides many educational implications. Therefore, the Confucius and Mozi’s theory of words should be considered at today’s educational practices.

      • KCI등재후보

        민족대표 槿谷 朴東完의 기독교 민족주의- 信·思·言·行의 사상을 중심으로

        박재상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1 피어선 신학 논단 Vol.10 No.1

        Pak, Tong-wan(1885.12.27.-1941.2.23.), the only national representative to sig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s a journalist,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ath of death at the relatively age of 33. For the next 10 years, he abandoned his status as a Christian journalist and worked as an independent activist. Such action was completely contrary to the situation where Christian workers at that time were becoming professional or class. Christianity today faces a fundamental question of the role of light and salt. The Christian nationalism of Pak, Tong-wan's “Shin-sa-eon-hang” can be presented as an answer to the basic question. His Christian nationalism was analyzed using the framework of the “Shin-sa-eon-hang” in his writings. The structure of the ‘Shin-sa-eon-hang’ is useful for understanding Pak Tong-wan’s Christian nationalism and his life in a comprehensive and multi-dimensional way. Pak lived in a unified manner of faith-based thinking, expressing, and acting. Based on the absolute trust in God, Pak lived his entire life in an uncompromising way during the dark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박동완의 기독교 민족주의를 그의 글에 나타난 ‘信·思·言·行’의 틀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信·思·言·行’의 구조는 박동완의 기독교 민족주의와 삶을 종합적이며 다차원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그의 삶과 사상은 ‘信·思·言·行이 일치된 삶’이다. 그는 절망할 수밖에 없었던 일제강점기를 하나님에 대한 절대 신앙을 기초로 하여 知言行合一의 비타협적인 자세로 평생을 살았다. 박동완은 하나님에 대한 절대 신앙을 지녔기에, 일제와 결코 타협하지 않았다. 언제나 그에게는 조선의 절대 독립과 비타협만이 있었다. 민족대표 가운데 유일하게 언론인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박동완은 비교적 젊은 나이인 만33세에 죽음의 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이후 그는 10년 동안, 기독언론인의 신분을 버리고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이러한 행동은 결국 생업을 버린 것으로, 당시 기독교 교역자들이 직업화하거나 계급화 되던 상황과는 전혀 상반된 행동이었다. ‘기독교 민족주의자’였던 그는 사회주의를 정확하게 꿰뚫어보았으나 그들과 손잡고 신간회 창설에 앞장섰으며 초창기 주역으로 활약하였다. 당시 그는 대표적인 기독교계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로 일반에 널리 각인되어 있었다. 하와이 망명 이후에는 한인기독교회 소속의 와히아와교회의 초대 담임목사로 작은 시골 교회에서 한글교육에 열정을 쏟았다. 죽는 순간까지 자신의 건강은 뒤로 한 채, 하와이 한인 교포들의 화합과 조국의 독립을 위해 애쓰다 이 땅에서의 삶을 마감하였다. 오늘날 기독교는 빛과 소금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신앙과 일상의 괴리현상에 따른 ‘사고와 실천의 부조화’나 ‘말과 행동의 불일치’는 결국 성서의 말씀과 실제적 삶에 있어서 분열현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고립된 지금의 기독교는 그 해결점을 찾아야만 한다. 박동완의 ‘信·思·言·行’의 기독교 민족주의가 기본적 물음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될 수 있다. 정파, 종교, 교단의 차이를 뛰어넘어 민족의 화합을 위해 애쓴 그의 삶과 사상은 남북갈등, 남남갈등, 세대갈등, 빈부갈등, 다민족국가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시대적 대안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 한‧중‧일 품사론 형성에서의 ‘言, 詞, 辭, 字’ 개념에 대한 小考

        김주상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ncepts of ‘言, 詞, 辭, 字’ were formed and changed through the process in the formation of word class theory in the modern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case of China, we looked at the relations between 實字(full characters) and 虛字(empty characters), and between 死字(dead charaters) and 活字(living characters). and we examined changes of their meaning and contrasting feature of them and change from 字 to 詞 after 馬氏文通 (1898). In the case of Japan, we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正 and 助, 實 and 虛, 體 and 用, 動 and 靜 in the word class theories of school of national studies. And in subsquent grammar books, we looked at changes of 體 and 用, and ‘言, 詞, 辭’ 3 types word class system. On the other hand we examined change of names of parts of speech, and apperance of 言, and competion of 詞 and 辭, and change of 辭 after defeat in the word class theories of school of western studies. In the case of Korea, we examined relation between 行語, 着語, 助語 of Seong Hyun and 死字, 活字, 虛字 of China. and 實字, 虛字, 半實半虛字 of Choi Sejin, and compared 名, 情, 事 of Jeong Yakyong with word class system of Fujitani Nariakira of Japan. And we found that Korean modern grammar book received 詞, 言, 辭 from concepts of Japanese grammar. We wish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tudy about formation and improvement process of word class system in the modern Korean and China and Japan.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한‧중‧일 품사론 형성에서 나타난 ‘言, 詞, 辭, 字’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과정을 통하여 변화하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중국의 경우에는 實字와 虛字의 관계와 死字와 活字를 주목하여, 實字와 虛字의 의미 변천과 死字와 活字의 대립적 성격, 그리고 마씨문통(1898) 이후의 字에서 詞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일본의 경우에는 국학류의 품사 분류에서 正과 助, 實과 虛, 體와 用, 動과 靜의 대립을 살펴보고, 이후의 문법서에서 體와 用의 변화와 言, 詞, 辭의 3분 체계를 살펴보았다. 한편, 양학류의 경우에는 품사명의 변천을 살펴보면서 이른 시기의 言으로부터 詞와 辭의 경쟁과 詞에 패배한 이후 품사명에서 배제된 辭의 변화를 보았다. 한국의 경우에는, 조선시대의 성현(成俔)의 분류에서 거론된 行語, 着語, 助語와 중국의 死字, 活字, 虛字의 관계를 보고, 최세진의 實字, 虛字, 半實半虛字 3분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정약용의 名, 情, 事 분류를 통해 일본의 후지타니 나리아키라(富士谷成章)의 품사 체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개화기 이후 한국의 문법서들의 품사명에서 일본 문법의 詞개념의 수용과, 體言과 用言 등에서 言의 수용, 接頭辭와 接尾辭 등에서 辭의 수용을 살펴보았다. 현재, 한·중·일 문법의 품사명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言, 詞, 辭, 字’ 개념들에 대한 이번 연구가 각국의 품사 체계 정립 과정을 밝히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日本書紀』の表記字「言」について - 発話引用に用いるものを中心に -

        金連花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7

        The book of The NIHONSHOKI was completed in AD.720 years. This book is regarded as the first written history book of Japan form the origin tale to the Jito Tenno emperor. Because it is a history book, there are presented various kinds of people and many contents to describe speech act of the characters of the people in the book. To deal with the characters’ speech act there are used of many kinds of Kanji notations such as “曰․言․云․謂”. Even though they is letter to express the meaning of “say”, the writer would have chosen the kanji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In this article, we firstly outlined the use of situation of “言”, and then focusing on the examples used for utterance quotations considered three angles of the usage of “言” which are the form of utterance citation, the subject who spoke and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poken subject and the object. We also examined how the usage of “言” differs from ‘曰’ which is already discussed. “言” are used as verbs and nouns, when “言” used as verbs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quotations and epics. However there is not found as noun and epic in the usage of “曰”. “言”. For Conversation quotation “言” is not used in quoting the emperor's utterance, but “曰” has no such restriction. “言” is used for quoting conversation to a superior person. but “曰” is used for quoting conversation to Same level and inferior person.

      • KCI등재

        単語の社会的コノテーション

        姜炅完(강경완, Kang, Kyung-Wan)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5 No.-

        単語のコノテーションの一種である「社会的コノテーション」を、コー パス意味論の方法を参考にしつつ、より客観的に抽出․記述するために、新聞コーパスを用いた計量的な分析方法を独自に提案する。社会的コノテーションとは、その単語の表す対象の、社会におけるあり方․ものの見方を反映した言語使用が繰り返されることによって、その単語に付加される暗示的意味である。本稿では、「現代人」という単語を例に、言説の集合としての新聞コーパスからその社会的コノテーションを抽出する方法を、言説的意味のとりだし→言説的意味傾向のとりだし→社会的コノテーションのとりだしの3段階にわたって具体的に説明し、「現代人」に<本来の人間性を失った存在><過去から切り離された存在>という二つの社会的コノテーションがとりだせることを論じる。その上で、本稿の抽出法を用いることによって可能となる、新たな社会的コノテーション研究の可能性を示す。

      • KCI등재

        イロニ─と倒語の間

        오경환(吳京煥)(Oh, Kyong-Hwan) 일본어문학회 2012 일본어문학 Vol.58 No.-

        批評家保田与重郎は「日本浪漫派」の広告文で「イロニーとしての日本」を提唱する。以後イロニーは保田与重郎に於ける思考の原理になった。しかし、その原理はドイツ浪漫派の理論家シュレーゲルの概念を離脱した使用法に基づいたものであった。「創造」と「破壊」の中間に浮遊する主体が辿りつく知の不可能という浪漫的イロニーは保田与重郎の思考の中では伝統の断絶による知の不可能という位相に置き換えられた。保田与重郎はそのような状況認識を正岡子規論の中で「歌うべくして語った精神の悲劇」として表現した。 その歌と語りの分裂は富士谷御杖の言霊倒語説による「詠哥」と「言語」の分裂から借用した言葉であった。保田与重郎はそのような富士谷御杖の言語論を過渡期という時代の閉塞状況の理解のために転化したのである。それは正岡子規に於ける詩の喪失と詩の當為を共に要求する空間としての日本の近代に対する状況認識であったと言えよう。保田与重郎はここに至る観念生活の過程に於いて、浪漫的イロニーと言霊倒語説の交錯の上に自己精神の近似値を発見したのである。 本論稿はそのような過程に於ける転化の方法を具体的に論じたものである。

      • KCI등재
      • KCI등재

        같지만 다른 이야기

        金明求 한국중국소설학회 2018 中國小說論叢 Vol.54 No.-

        《聊齋志異》에서 《醒夢駢言》으로의 ‘재창작’에는 서사형식과 서사구조 및 주제의식의 변화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분명하고 구체적인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은 ‘서사내용의 변화’이다. ‘서사내용의 변화’에는 다양한 특징이 나타나는데, 대체로 ‘부연(敷衍)’, ‘축소(縮小)’, ‘확대(擴大)’, ‘변환(變換)’, ‘첨가(添加)’, ‘삭제(削除)’ 등의 현상이 보인다. 만약 ‘다름’의 광범위한 틀에서 살펴보면,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이어받아 묘사하는 ‘답습’도 이런 변화의 확장된 범위 안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변용’의 대척점에 있다고 할 수 있는 ‘답습’은 원작의 내용을 비교적 그대로 이어받은 ‘같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변용’은 원작의 내용을 다르게 바꾸는 ‘다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같음’과 ‘다름’은 서로 대립되고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대를 반영하고 포용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계승하거나 유지하는 서사적 특징인 ‘답습’과는 달리, ‘변용’은 원작의 내용을 예술적으로 다르게 재현하는 서사적 특징을 가진다. ‘변용’의 관점에 치중하여 내용을 조정하는 서사방식에는 인물이나 사건이 뒤바뀌거나 완전히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거나 혹은 생소한 내용이 부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서사적 변화’를 적극 운용하는 기법에서 ‘부연(敷衍)’, ‘축소(縮小)’, ‘확대(擴大)’, ‘변환(變換)’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적극 운용하는 과정을 ‘변화의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는데, ‘변화의 시작 단계’에는 인물을 포함한 등장인물의 수, 인물의 행동과 인물의 심리 변화도 있고, 서사관점, 묘사대상, 내용순서, 서술주체의 변화도 있으며, 편폭이나 이야기의 확대 혹은 축소의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변화의 시작 단계’라고 볼 수 있는 ‘서사내용의 변화’에는 원작의 기본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같은 듯 다르게 내용을 묘사하고 있는데, 이것은 소위 저자의 ‘서술 책략’ 혹은 ‘서술 계획’하고도 관련이 있다. 기존의 내용을 표면적으로 유지하면서 독자에 대한 대응과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사회 문화적 요구와 변화를 작품 내용에 적절하게 표현해내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변화의 완성 단계’에서 보이는 것처럼 단순하면서도 직접적인 운용 수법보다 교묘하면서도 치밀하게 서사 기교를 변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서사내용의 변화 과정을 복잡하면서도 유기적으로 얽어 놓아 높은 서사적 예술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다양한 내용적 변화를 통해 작품 내용을 보다 더 입체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In reproduction of Yojaejiyi(聊齋志異) into Seongmongbyung-eon(醒夢駢言), it is true that the form and structure of narration and the theme change, but the most obvious and definite change appears in the ‘contents of narration’. The ‘change in contents of narration’ can be characterized in various ways, but largely there are ‘amplification’, ‘reduction’, ‘expansion’, ‘conversion’, ‘addition’, and ‘deletion’. When looking at ‘difference’ as a broad sense, ‘following’ the original work could be included into the expanded range of change. Considered to be at the opposite side of ‘transformation’, ‘following the original work’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identical’, while ‘transformation’s characteristic is ‘being different’. However, such being ‘identical’ and ‘different’ do not conflict, but rather they reflect and embrace each other. Unlike ‘following the original work’, which is a narrative characteristic that inherits or maintains the original contents, ‘transformation’ has a narrative characteristic of reproducing the original contents in an artistically different way. In the narration method that modifies the contents from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a character or an event changes, a totally novel character appear, or a unfamiliar content is added. Among the techniques that actively utilize such ‘narrative changes’, there are ‘amplification’, ‘reduction’, ‘expansion’, and ‘conversion’. The procedure in which such methods are actively used can be described to be ‘the beginning of the change’. In ‘the beginning of the change’, there appear changes in the characters and their numbers, actions, and minds ; changes in the points of view, targets of description, orders of the contents, and the subjects of narration; or expansion or reduction of the quantity or story of the work. The ‘change in contents of narration’, which can be considered to be the ‘beginning of the change’, maintain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original work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is similar but still different, and this is related to the author’s so-called ‘narration strategy’, or ‘narration planning’.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ontents at superficial level, the author intends to reflect the reactions to the readers and trends and to include the sociocultural needs and change into the contents appropriately. The narration techniques used here are transformed both simply, as in ‘the beginning of the change’, and more carefully and skillfully than the techniques applied directly. Additionally, by arranging the change in narrative contents complexly and organically, the author shows high narrative artistry, and at the same time, he/she changed the contents of the work more multi-dimensionally through a variety of changes in the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