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사격 조사 교수 방안 연구 -‘에’, ‘에서’, ‘로’를 중심으로-

        김석기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한국어는 실질형태소에 형식형태소가 첨가되어 뜻을 나타내는 교착어에 속하기 때문에 문장 속에서 격조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격조사에는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관형격조사, 부사격조사, 호격조사가 있다. 격조사들 중 부사격조사는 다른 말과의 의미적 관계를 나타내는 데 비해, 주격조사를 비롯한 다른 격조사들은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부사격조사 가운데 다양하게 사용되며 그 용법이 다소 복잡한 것이 바로 ‘에’와 ‘에서’, 그리고 ‘로’일 것이다. ‘에'는 그 쓰임새가 다른 조사보다 매우 다양하며, ‘에서'와 혼동되는 의미로 사용될 때가 있다. 부사격조사 ‘에’, ‘에서’, ‘로’는 장소, 이동, 원인, 이유, 수단, 시간의 의미에서 공통된 의미를 갖는다. 첫째, 장소에 있어서 공간의 개념을 갖고 넓은 장소를 나타낼 때는 ‘에서’를 사용하고, 사물의 개념을 갖고 좁은 장소를 나타낼 때는 ‘에’를 사용하며, 사물에 가까이 가는 행위(다가감)의 경우에는 ‘에’를 사용하고, 사물에서 멀어지는 경우에는 ‘에서’를 사용한다. 둘째, 이동을 나타내는 ‘에’는 ‘도착하다, 이르다, 도달하다' 등 목표점(귀착점)을 나타내는 서술어에, ‘로'는 ‘떠나다, 출발하다, 옮기다, 이사하다' 등 방향을 나타내는 서술어에 사용되며, 경유나 통과의 의미를 갖는 동사를 서술어로 할 경우는 ‘로'가 쓰이며, ‘보내다, 흘러들다, 다가가다, 모이다, 가져가다' 등의 ‘지향점'을 나타낼 때는 ‘로'만 쓰인다. 셋째,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낼 때, 경험이나 심리상태 표현 또는 피동문 형태에는 ‘에’를 사용하며, 과정이나 사건 표현 또는 능동적 도구 사용에는 ‘로’를 사용하며, 주체의 상태 변화와 그 상태의 지속을 나타낼 때는 ‘로’를 사용하며, 원인에 문장의 중점이 있을 때는 ‘에’를 사용한다. 넷째, 수단을 나타낼 때, ‘에’는 대상성을 중시하고, ‘로’는 과정성을 중시하며, ‘에’는 결합된 명사구에 중점이 있고, ‘로’는 서술어의 동작의 의미에 중점이 놓인다. 다섯째, 특정한 시간을 나타낼 때는 ‘에’를 사용하며, 행동이 계속 이루어지는 시간을 나타낼 때는 ‘로’를 사용하며, 특정한 때에 행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날 때는 ‘로’를 사용하며, 주기적인 행동이 없이 서술어에 중점을 둘 때는 ‘에’와 ‘로’를 사용한다.

      • KCI등재

        한(韓)ㆍ일(日)ㆍ유(琉) 격조사 비교연구 - 주격(主格)ㆍ목적격(目的格) 조사를 중심으로 -

        이갑 ( Li Jia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6 No.-

        韓國語ㆍ日本語ㆍ琉球語 세 언어는 여러 면에서 비슷한 점이 있다. 본 논문은 韓國語ㆍ日本語ㆍ琉球語 세 언어의 문법 범주인 격조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를 중심으로 하여 격조사의 형태와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세 언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고 앞으로 더 심층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韓國語, 日本語, 琉球語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중세국어시기부터 이미 상당한 형태상의 차이가 남을 밝혔다. 형태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언어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기능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가 다른 조사로 나타나는 경우 세 언어는 각각 차이점을 보였다. 한국어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다 보조사로 쓰일 수 있으며, 일본어의 경우는 주격조사가 접속조사로 사용될 수 있고 목적격조사는 간투조사(間投助詞)로 사용될 수 있다. 유구어의 주격조사는 일본어의 주격조사와 유사한 용법으로 사용된다. Compared with other Altaic languages,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are much closer to each other in grammar, and also to Ryukyuan languag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Korean people are the first foreigners to record Ryukyuan language in a written form. In the passage “pronunciation interpreting the Ryukyuan Kingdom” from A Journey to the Eastern Countries (1512), Korean people perfectly preserved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s of words and sentences in Ryukyuan language in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which is an extremely valuable material. Unfortunately, the later time period witnessed stagnation after a prominent beginning. In order to clarify the language family to which Korean belongs to,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compare Korean language with Japanese and Ryukyuan languages. Different from lexis, grammar underwent a slow and gradual process of vari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ree languages can provide strong evidence for defining the language family of Korean. Based on this rationale, this paper starts from the comparison of grammar elements of these three languages, aiming at case markers including the nominative case markers and the accusative case markers, and observe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iachronically. Based on the examples from the medieval data, it is found that the nominative case markers and the accusative case markers of these three languages vary from each other in forms and origins. Although they show some similarities in functions,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re is no cognate for the three languages in the history.

      • KCI등재

        한국어 어휘격, 부사격 조사의 문법화 양상

        한주희(Han Ju-hee)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6 No.-

        교착어인 한국어에서 조사는 명사구에 결합하여 격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의미를 한정해 주기도 한다. 주격이나 목적격처럼 문법 기능 표지로서의 조사를 구조격 혹은 문법격으로 정의하고, 부사격처럼 어휘적 속성을 지니는 격조사를 어휘격 혹은 의미격이라고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사격 조사를 ‘어휘격’으로 보는 이유는 ‘주격, 목적격’과 달리 ‘격기능’을 나타냄과 동시에 어휘적(의미적) 속성의 정도가 커서 ‘생략’이 자유롭지 않다는 데에 있다. 한국어는 SOV 언어로 서술어 앞에 두 개의 명사구가 위치한다. 이러한 유형의 언어에서는 두 개의 명사구를 구분하는 장치가 필요하고,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발달한 것이 주격 조사인 ‘이/가’와 목적격 조사인 ‘을/를’이다. 분석적 격 표지가 발달한 한국어의 유형적 특성상 격 표지는 명사나 동사와 같은 실사에서 후치사로, 후치사에서 격 접미사로 발달해 오는 양상을 보여 주므로 문법화의 정도가 강한 주격, 목적격에도 어느 정도 의미 기능이 온존해 있다고 본다. 따라서 격조사의 실현 여부에 따라 의미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부사격 조사는 구조격에 비해 문법화의 정도가 약하므로 어휘적 속성이 강하게 존재하여 선행 명사구에 의미역을 부여할 수도 있고 생략이 어렵다. 이러한 한국어 격조사의 특징을 고려한다면, 동일한 부사격 조사라고 할지라도 문법화의 정도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현재에 합의된 부사격 조사는 이미 통시적으로 문법화의 과정을 거친 것이라고 할지라도, 주격이나 목적격이 실사에서 문법화된 것일 수 있다는 것처럼 부사격 조사도 시간이 흐른 후에 주격, 목적격처럼 높은 수준으로 문법화가의 정도가 진행되어 어휘적 의미가 약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 하에 부사격 조사 내에서의 문법화의 정도가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부사격 조사의 유형별 분포를 통해, 격조사로의 대체 여부, 작용역을 도입하여 조사간의 중첩 양상을 분석하여, 문법화 정도의 차이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grammaticalization rank of adverbial case markers through the combination patterns. And also the scope is imposed to explain the function of them. Adverbial case markers show various semantic and syntactic functions. Concretely they represent semantic attributes comparing to other structural case markers. Korean language is called SOV, with two noun phrases placed before a verb. In this type of languag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wo noun phrases so the nominative case and the objective case have been developed. Due to the type of Korean language with strong case markers, the case markers have been changed from the lexicon to the postposition. In Korean language, the case markers not only refer the cases to noun phrases but also limits their lexical meaning. The nominative or the objective case is called structural cases by means of a sentence system and adverbial cases are called as lexical cases. The reason why the adverbial cases could be omitted due to their degree of lexical qualities. In addition to that even the adverbial cases could have the different degree of lexical and grammatical meanings. Therefore they could be replaced by other case markers on the basis of the semantic criteria. Their combination patterns refer to the grammaticalization rank because preceding case markers have more lexical attributes. In addition to this, some case markers could be replaced by other case markers such as ‘i/ka, eul/reul’.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s, this paper arrives at the following conclusion ‘ro>ey, wa/gwa>ege, eseo’. Korean Copus supports the results. This paper the first step explaining the grammaticalization rank of adverbial case markers.

      • KCI등재

        한국어 속격 조사와 처소격 조사의 분화 가능성에 대한 고찰 ―속격 조사 ‘ㅣ’ 모음의 기원형을 중심으로―

        조영헌(Jo Young-Heon)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4 No.-

        이 글의 목적은 고대와 중세국어 문헌에 보이는 소위 ‘특이처격 조사’로도 분류되는, 후기중세국어의 속격조사 ‘-/의’의 기원형 설정을 통해, 조사들의 교체 및 분화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중세국어 문헌에 서 주격조사 ‘ㅣ’와 속격조사 ‘ㅣ’와 ‘/의’, 그리고 처격조사 ‘애/에’는 모 두 형상적 유사성뿐만 아니라 기능상 관련성을 보이는데, 즉, 중세어의 경우 이들 조사들은 문헌상에서 각기 상이한 형상적 특징을 지녔으나, 동 일한 기능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모음 조사들이 모두 기원적으로 동일한 범주에 속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주 격조사 ‘ㅣ’와 달리 처속격조사 ‘ㅣ’와 ‘/의’, ‘애/에’는 모두 동일한 기원 형 [/긔]에서 기원하여, ‘ㄱ’이 탈락 혹은 약화되어 활음화된 후, 다양 한 이중모음으로 분화되었음을 가정하고, 그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논의를 위해 처속격조사의 기원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처속격조사의 기원형의 기저형을 ‘/긔’이라 가정하고, 향가 에서 처속격조사로 쓰였던 ‘矣’, ‘衣’, ‘希’, ‘中’ 을 형태 음소적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였다. 이 가운데 ‘원가’의 ‘行尸浪阿叱沙矣以攴如攴’에서 ‘沙 矣’는 모래에 대응하고, 모래의 고어형이 ‘몰개’임을 통해 ‘矣’가 ‘/긔’에 대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여 방언형과 몽골어, 구결, 계림유사 등 의 사례를 통해 /k→h→ø/의 과정 즉 자음의 약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 다. 이러한 자음의 약화에 의한 활음화는 주모음에 영향을 미쳐, 주모음 이 약화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물로 속격조사 ‘ㅣ’가 출현하게 됨을 논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ltern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ase markers through the original setting of the genitive case marker ‘- / 의’ in the ancient and medieval Korean language, which is also classified as the so-called “special locative case markers”. In the medieval Korean texts, the nominative case marker ‘ㅣ’, the genitive case marker ‘ㅣ’, ‘/의’ and the locative case marker ‘애/에’ all show not only formal similarity but also functional relevance. That is, in the case of medieval Korean language, these case markers have different features in the texts, but they often have the sam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postpositional particles consisting of vowels all originally belonged to the same category.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locative case markers ‘ㅣ’, ‘/의’ and ‘애/에’ all originated from the same origin [/긔], unlike the nominative case marker ‘ㅣ’. Under this assumption, it was also assumed that ㄱ was deleted or weakened and became active, and then it was differentiated into various vowels. And this study confirmed the change pattern. The origin of the locative case markers was examined through these discuss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ssumes that the origin of the locative case markers is ‘ / 긔’ and compares them morphologically of ‘矣’, ‘衣’, ‘希’ and ‘中’ which were used in Hyangga as the locative case mark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ossibility that ‘矣’ corresponds to  / 긔 through the fact that ‘沙矣’ corresponds to 모래 in ‘行尸浪阿叱沙矣以攴如攴’ of Wonga and the origin of ‘모래’ is ‘몰개’. We examined the process of / k → h → ø /, that is, the process of weakening consonants, through examples such as dialects, Mongolian language, Gugyeol and Gyeorimyusa etc. These weakening of the consonants and glide derivation affect the main vowels, leading to the process of weakening the main vowels. As a result of this process, the following glide plays the role of the main vowel, and the possibility of emergence of the genitive research ‘ㅣ’ was discussed.

      • KCI등재

        문맥을 활용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 방법 -부사격조사 `-(으)로`를 중심으로-

        우창현 ( Woo Chang-hyun ) 겨레어문학회 2016 겨레어문학 Vol.57 No.-

        이 글은 한국어 격조사의 문법 의미를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특히 한국어의 격조사 중에서도 다양한 해석 가능성이 있는 부사격조사를 중심으로 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격조사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개별 격조사의 문법 의미를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고 문맥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를 `격조사 문법 의미 해석 규칙`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부사격조사 `-(으)로`의 문법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만 부사격조사 `-(으)로`의 경우 서술어 그리고 부사격조사 `-(으)로`와 결합하고 있는 명사구에 의해 문법 의미가 결정되는 것으로 보았다. 다음,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부사격조사 교육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글에서는 과정 중심 문법 교육 방법을 기반으로 부사격조사의 문법 의미와 관련 있는 표현들을 중심으로 한 대화를 먼저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해당 문법 의미를 추론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만 대화를 통해 필요한 표현들을 이해하면서도 해당 문법 의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입력 강화 기법`을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문법 의미와 관련 있는 서술어들이 포함된 문장들을 제시하여 해당 문법 의미가 어떤 서술어에서 나타날 수 있는지를 추론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paper aims at how to educate the meaning of the case marker of Korean first of all I tried to find a methodology for interpretate the meaning of case marker. Individual case marker wait for specification after the reference of syntactic context. I therefore, suggests that the Interpretational Rule of case marker, that is, "Firstly see syntactic context, Secondly bestow the meaning of case marker. This paper tried to verify the Interpretational Rule of case marker with the adverbial case marker of `-(eu)ro`. The type of adverbial case marker by NP which is bound by it in addition of predication. On the basis of Rule of case marker, this paper suggest educational methodology on adverbial case marker. The first step is to present dialogue which includes in the expressions related with grammatical meaning of adverbial case marker with the background of the Process Centered Grammatical Education Methodology(PCE). The second step is to induce the individual meaning from the dialogue by using Skill of Input Enhancement with which the learners interest in the grammatical meaning before understanding necessary expressions. The third stpe is to guess the appropriate adverbial case marker chosen to individual predicates presenting the sentences included in the predicates related with the grammatical meaning of adverbial case marker.

      • KCI등재후보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임동훈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3

        본고는 한국어 조사 전체를 대상으로 분포와 의미가 상관적이라는 전제 아래 그 하위 부류를 나누고, 각 하위 부류 간에 존재하는 결합상의 제약과 결합 순서를 밝히고자 하였다. 격조사는 여러 통사적, 의미적 특성에 따라 문법격 조사와 의미격 조사로 나뉘는데 전자에는 ‘이/가, 을/를, 의’가, 후자에는 ‘에/에게, 에서, 으로/로, 와/과’가 속한다. 그리고 특수조사는 통합상의 특징과 의미의 성격에 따라 후치사와 첨사로 나뉘는데, 전자에는 ‘만, 까지, 다가, 밖에, 부터, 조차, 처럼, 같이, 보다, 만큼, 뿐, 대로’ 등이, 후자에는 ‘은/는, 이야/야, 도, 이나/나, 이라도/라도’가 속한다. 후치사는 기원적으로 보어를 취하는 명사나 동사가 문법화한 것으로서 선행 명사의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의미격 조사에 후행하는 특징이 있고 첨사는 그 의미가 선행 명사구만을 한정하지 않아 항상 명사구의 맨 뒤에 통합하는 특징이 있다. 문법격 조사, 의미격 조사, 후치사, 첨사 간의 통합 관계는 명사 어기에 의미격 조사가 가장 가까이 오고 문법격 조사와 첨사가 가장 뒤에 오며 그 사이에 후치사가 끼어들 수 있다. 물론 후치사 앞에 의미격 조사가 항상 오는 것은 아니어서 명사 어기 뒤에 바로 후치사가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의미격 조사는 의미가 조화될 수 있는 범위에서 제한적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고 후치사는 원칙적으로 서로 결합하지 않으며 문법격 조사와 문법격 조사, 첨사와 첨사, 문법격 조사와 첨사는 서로 결합하지 못한다. Korean has about 100 'Josa's and they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e total number of josa forms in Korean is too numerous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ir distribu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Korean josas on the basis of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and to reveal the combination patterns between them. Korean josas are divided into case markers and non-case markers, and the former can be classified into grammatical case markers and semantic case markers. 'i/ga, eul/reul, ui' belong to grammatical case markers, and 'e/ege, eseo, euro/ro, wa/gwa' belong to semantic case markers. Non-case markers can be classified into postpositions and particles, and the former includes 'man, kkaji, daga, bakke, buteo, jocha, cheoreom, gachi, boda, mankeum, ppun, daero' etc, the latter includes 'eun/neun, iya/ya, do, ina/na, irato/rado' etc. Historically postpositions developed from nouns and verbs requiring syntactic complements, and comes after nominal bases and semantic case markers. Particles have some modal functions and comes farthest from the nominal bases. The combination patterns between grammatical case markers, semantic case markers, postpositions and particles are that semantic case markers comes closest to the nominal bases, and grammatical case markers and particles comes farthest from the nominal bases, and postpositions can be inserted between semantic case markers and grammatical case markers, particles. The combination between semantic case markers can be possible as far as theri meanings are coherent, and the combination between postpositions is very restricted, and the relation between grammatical case markers each other, and between particles each other, and between grammatical case markers and particles is exclusive.

      • KCI등재후보

        부사격 조사 교수 방안 연구 -"에", "에서", "로"를 중심으로-

        김석기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한국어는 실질형태소에 형식형태소가 첨가되어 뜻을 나타내는 교착어에 속하기 때문에 문장 속에서 격조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격조사에는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관형격조사, 부사격조사, 호격조사가 있다. 격조사들 중 부사격조사는 다른 말과의 의미적 관계를 나타내는데 비해, 주격조사를 비롯한 다른 격조사들은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부사격조사 가운데 다양하게 사용되며 그 용법이 다소복잡한 것이 바로 ‘에’와 ‘에서’, 그리고 ‘로’일 것이다. ‘에``는 그 쓰임새가 다른 조사보다 매우 다양하며, ‘에서``와 혼동되는 의미로 사용될 때가 있다. 부사격조사 ‘에’, ‘에서’, ‘로’는 장소, 이동, 원인, 이유, 수단, 시간의 의미에서 공통된 의미를 갖는다. 첫째, 장소에 있어서 공간의 개념을 갖고 넓은 장소를 나타낼 때는 ‘에서’를 사용하고, 사물의 개념을 갖고 좁은 장소를 나타낼 때는 ‘에’를 사용하며, 사물에 가까이 가는 행위(다가감)의 경우에는 ‘에’를 사용하고, 사물에서 멀어지는 경우에는 ‘에서’를 사용한다. 둘째, 이동을 나타내는 ‘에’는 ‘도착하다, 이르다, 도달하다`` 등 목표점(귀착점)을 나타내는 서술어에, ‘로``는 ‘떠나다, 출발하다, 옮기다, 이사하다`` 등 방향을 나타내는 서술어에 사용되며, 경유나 통과의 의미를 갖는 동사를 서술어로 할 경우는 ‘로``가 쓰이며, ‘보내다, 흘러들다, 다가가다, 모이다, 가져가다`` 등의 ‘지향점``을 나타낼 때는 ‘로``만 쓰인다. 셋째,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낼 때, 경험이나 심리상태 표현 또는 피동문 형태에는 ‘에’를 사용하며, 과정이나 사건 표현 또는 능동적 도구 사용에는 ‘로’를 사용하며, 주체의 상태 변화와 그 상태의 지속을 나타낼 때는 ‘로’를 사용하며, 원인에 문장의 중점이 있을 때는 ‘에’를 사용한다. 넷째, 수단을 나타낼 때, ‘에’는 대상성을 중시하고, ‘로’는 과정성을 중시하며, ‘에’는 결합된 명사구에 중점이 있고, ‘로’는 서술어의 동작의 의미에 중점이 놓인다. 다섯째, 특정한 시간을 나타낼 때는 ‘에’를 사용하며, 행동이 계속 이루어지는 시간을 나타낼 때는 ‘로’를 사용하며, 특정한 때에 행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날 때는 ‘로’를 사용하며, 주기적인 행동이 없이 서술어에 중점을 둘 때는 ‘에’와 ‘로’를 사용한다. 韓國語屬於粘著語,在實質形態素上添加形式形態素來表達意思,因此格助詞在句子中的作用□重要。格助詞有主格助詞,賓格助詞,屬格助詞,副詞格助詞和呼格助詞。格助詞中副詞格助詞與其□詞語結合表達意味關系,與此相比,以主格助詞爲代表的別的格助詞與其□詞語結合表達語法關系。副詞格助詞中用法多樣□且多少有些復雜的可能就是‘에’,‘에서’和‘로’。比起其□助詞,‘에’的用法非常多樣,□且在表達意思上有時會與‘에서’混淆使用。副詞格助詞‘에’, ‘에서’, ‘로’都有場所,移動,原因,理由,手段,時間的意思。第壹,對於場所而言,具有空間的槪念□表達寬廣的場所時用‘에서’,具有事物的慨念□表達狹窄的場所時用‘에’,表達□近事物的行爲時用‘에’,遠離事物的時候用‘에서’。第二,表達移動的‘에’與‘도착하다,이르다,도달하다’等表達目標點(著落點)的謂語連用,‘로’與‘떠나다,출발하다,옮기다,이사하다’等表達方向的謂語連用,也用在表達經由或通過的動詞做謂語時的句子中,在和‘보내다,흘러들다,다가가다,모이다,가져가다’等表達‘落脚點’的動詞連用時只能用‘로’。第三,在表達原因或理由時,表現經歷或心理狀態時,或在被動句中用‘에’,在表達過程或事件表現或能動地使用工具時用‘로’,在表達主體的狀態變化和狀態的持續時用‘로’,把重點放在原因的句子中的時候用‘에’。第四,在表達手段的時候,‘에’重視對象性,‘로’重視過程性,‘에’把重點放在結合的名詞句中,‘로’把重點放在謂語的動作意味上。第五,表達特定時間的時候用‘에’,表達行動持續的時間的時候用‘로’,表達在特定的時間行動呈現周期性時用‘로’,沒有周期性的行動而把重點放在謂語上的時候‘에’和‘로’都可以使用。

      • 러시아어 통ㆍ 번역을 전제한 한국어의 주격조사 ‘이/가’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연구

        김성완(Kim, Sung-Wa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1

        각 언어에서 단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법은 다양한데, 이 글의 대상 언어인 한국어에서는 조사가, 러시아어에서는 굴절이 그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조사 중에서 주격조사 ‘이/가’가 러시아어의 주격조사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 분석하여 한국어와 러시아어 간의 통․번역에 응용할 수 있는 규칙을 설정하고자 한다.명사와 결합하여 문장 내에서 다른 단어와의 관계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한국어 조사와 러시아어 격어미는 비슷하지만 격어미가 자 립성이 없이 명사의 어미변화에 의해 명사 뒤에서 격이나 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데 반하여, 조사는 문법적 의미만을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어휘적 의미를 실현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어에서 조사는 크게 2가지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격조사는 문장에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조사로, 보조사는 어휘적 기능을 수행하는 조사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모든 조사는 문법성과 어휘성을 다 같이 가진다는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소고는 들어가는 말, 주격조사의 생략과 실현, 주격중출문, 맺는말로 이루어져있다. 다른 격조사에 비해 어휘적 관념보다는 문법적 관념이 훨씬 우세한 주격조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주격조사에 대해서 많은 학자들이 의미를 갖는다고 하였는데, ‘배타적 대립’, ‘선택적 지정’ 등의 의미로 파악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이/가’는 선행하는 명사구를 주어로 만들어 주는 주격조사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 알려져 왔으나, 이처럼 다양한 특성으로 파악이 될 수도 있는 만큼 어느 한 측면에 치중한다면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실제적인 담화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국어의 발화에서는 주격이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으며, 이 경우에 주격조사의 생략이 러시아어로의 번역에 있어서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는다. 국어 문장에서 격조사가 사용되면 그 격조사는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국어 문장의 격조사가 경우에 따라서 생략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화자의 의도에 따라 첨가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문형상의 특징 중의 하나는 주격중출문2)인데, 이 경우에 조사 ‘이/가’는 주격조사의 기능보다는 의미상의 지정과 강조의 기능을 하고 있다. 주격으로 쓰이지 않는 조사 ‘이/가’는 담화 상에서 초점이 배타적일 때, 절대성 부여, 강조 등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수 있으며, 주격조사의 위치가 아닌 곳에서 쓰이는 ‘이/가’는 격조사가 아니며, 특수한 의미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어 주격조사 ‘이/가’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분석은 러시아어 를 한국어로, 한국어를 러시아어로 통․번역할 때에 좀 더 정확한 의미의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문장이 국어 어순에 맞지 않을 경우와 문장구조가 복잡하여 격의 혼동을 일으킬 수 있을 때에는 조사 ‘이/가’가 실현되어 격기능을 하지만 국어 문장의 어순에 합당한 경우에는 격기능만을 하는 조사 ‘이/가’는 일반적으로 생략된다. 문맥에서 조사 ‘이/가’가 실현되어 어떠한 의미기능을 한다면 이는 러시아어로 통․번역이 될 때에도 어휘적 첨가나 의미강세의 모습으로 나타 나야 하며, 러시아어를 한국어로 통․번역할 경우에도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The study has the purpose to analyze how the proposition of Korean language, ‘이/가’, is realized in Russian language, which is an inflected language, and provide Russi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ith actual assistance. From the aspect that it expresses the relationship with other words in sentence by combining with a noun, proposition of Korean language is similar to the declensional ending of Russian language. Although the declensional ending of a word has the role to express a case in the end of noun by the change of the noun's ending without independence, however, the proposition of Korean language is more independent. Generally, the proposition is recognized as two kinds. Among them, it has been regarded that declensional proposition is the one performing the grammar function in the sentence and supplementary proposition is the one performing vocabulary function. In recent year, however, the viewpoint that all propositions have grammar and vocabulary functions at the same time is appearing. Note is composed of suggestion of issue, omission and realization of subjective proposition, 주격중출문, and conclusion.A lot of scholars have given much meaning to the subjective proposi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hey have understood it as the meanings such as ‘exclusive confronting’ and ‘optional appointment’. Generally, it was known that ‘이/가’ plays the role of subjective preposition making precedent noun phrase as the subjective. Because it can be understood as various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apt to mistake that we do not understand whole characteristic when we attach to certain one aspect. In many cases, th subjective is not realized in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performed in practical conversation. In this case, the ommission of subjective preposition does not give any intervention to the translation to Russian language. When preposition is used in Korean sentence, the preposition will be in charge of a special function. It means that the preposition of Korean sentence is added according to speaker's intention rather than it is omit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ne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is 주격중출문. In this case, the preposition, ‘이/가’, operates as an appointment and emphasis of meaning rather than as a subjective preposition. The preposition, ‘이/가’, which is not used as the subjective, has the meaning of grant of absoluteness and emphasis when its focus is exclusive in conversation. The preposition, ‘이/ 가’, which is used in the place that is not the position of subjective preposition, is not declensional proposition and has special meaning function. Analysis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Korean language preposition, ‘이/ 가’, is more accurate when translating or interpreting from Russian language to Korean language and vice versa. When the sentence is not same as the word order of Korean language and it gives confusion because of the complex sentence structure, the preposition, ‘이/가’, is realized and has the declensional function but it is generally omitted when it is proper for the word order of Korean language. If the preposition, ‘이/가’, is realized in the sentence and has a certain function, it shall appear as the figure of addition of vocabulary or emphasis of meaning when translating or interpreting to Russian language and it requires more careful attention when translating or interpreting to Korean language.

      • KCI등재

        중세국어의 격조사 생략에 대한 고찰 : 석보상절과 석독구결 자료를 중심으로

        황국정,차재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民族文化硏究 Vol.41 No.-

        본 연구의 목적은 15세기 국어 자료인 석보상절과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를 중심으로 중세국어의 격조사 생략 양상을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화자의 직관에 의존하거나 일부의 용례를 중심으로 조사의 생략을 기술해 왔던 기존의 연구를 반성하고 격조사의 생략 현상을 정확하게 살펴보기 위해 문자열 검색 공개 프로그램인 hgrep97을 이용하여 생략 현상을 고찰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라 격조사의 생략 빈도를 살펴보면, 15세기 국어의 경우는 목적격 조사(55.2%)>주격 조사(17.4%)>접속 조사(15.7%)>관형격 조사(9.1%)>부사격 조사(2.6%)의 순서가 되며, 고려시대의 경우는 주격 조사(47.6%)>목적격 조사(36.4%)>접속 조사(9.3%)>관형격 조사(3.8%)>부사격 조사(2.9%)의 순서가 된다. 따라서 15세기와 고려시대 모두 주격 조사나 목적격 조사의 생략이 부사격 조사의 생략보다 빈번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주격 조사가 빈번하게 생략되는 경우의 환경을 살펴보면 15세기와 고려시대 모두 존재동사 구문과 상태동사 구문이라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15세기 국어와 고려시대는 격조사가 생략되는 양상에 있어 차이점을 나타내기도 했다. ‘다다, 아니다’의 경우 15세기 국어에서는 ‘NP2' 논항에 격조사가 실현되었으나, 고려시대 석독 구결에서는 ‘NP2’ 논항에 격조사가 생략된 형태로만 실현되었다. ‘삼다’의 경우 15세기 국어에서는 ‘NP1을 NP2를 삼다’와 ‘NP1로 NP2를 삼다’ 구조가 모두 실현되는 데 반해 고려시대 석독 구결에서는 ‘NP1을 NP2를 삼다’의 구성은 실현되지 않았다. 그리고 ‘니르다’의 경우 고려시대 석독구결에서는 ‘NP1에 니르다’로 부사격 조사가 생략되지 않았으나 15세기 국어에서는 ‘NP1 니르다’로 생략되는 경우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for the ellipsis of case marker in Middle Korean, which is discussed centering around the materials of the 15th century and the Sokdok Gugyol of Koryo Dynasty. The ellipsis phenomenon was studied by using hgrep97 on the subject of Seokbosangjeol and Sokdok Gugyol. From the results, it can be known that the ellipsis of the nominative and objective cases was often occurred more than the other case markers including the adverb case in both the 15th century and the period of Koryo.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redicates which appeared with the ellipsis of the nominative cases were the existence and state verbs in both the 15th century and the period of Koryo.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e predicates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gument structure in the 15th century and the argument structure in the period of Koryo. The predicates are ‘dah?-, ani-, sam-’, and ‘nireu-’. In the material of Gugyol, ‘dah?-, ani-’ did not accompany the case marker for the NP2 argument, which present a striking contrast to the materials in the 15th century. Compared with the 15th century in which both ‘NP1-lul NP2-lul sam-’ and ‘NP1-lo NP2-lul sam-’ were realized, ‘NP1-lul NP2-lul sam-’ did not realized in the material of Gugyol. In addition, the Sokdok Gugyol shows ‘NP1-e nireu-’ in contrast to the ellipsis of the adverb case in the 15th century.

      • KCI등재

        연변지역 격조사 사용실태 조사 연구

        장승환 한국방언학회 2014 방언학 Vol.0 No.20

        This paper examines the usage of case markers in Yanbian through the phenomenon of linguistic changes in case markers recently used in the Yanbian northeast dialect. Since the establishment of Sino-Korea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the Korean language has influenced the northeast dialect in Yanbian for more than 20 years. This gradually resulted in linguistic changes in the northeast dialect of Yanbian.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s the case markers used in the Yanbian northeast dialect from a sociolinguistic synchronic standpoint. Som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ase markers used in the northeast dialect are as follows: The nominative particle [i] is pronounced under an open syllable、[i] has a sound of [iga]、gwanhyeonggyeok [ɨj] is pronounced as [i]、 the objective particle [ɨl] sends a [ɨ] sound、busagyeok [ege] is pronounced as [ge]、the busagyeok particle [esə] is pronounced as [isə]、the busagyeok [ɨro] is pronounced as [ɨlru] and the conjunctive particle [gwa] has a sound of [ga] with the elimination of [w].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sage of case markers in Yanbian in order to expose the phenomenon of language changes. As such,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Yanbian to find out whether the use of case markers was affected by the northeast dialect. This survey was classified into gender, age, place of birth, and occupation. Based on this data, the research also analyzes the phenomenon of language change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연변지역에서 사용되는 동북방언의 격조사 사용에 대한 언어 변이 현상을 통하여 연변지역어 격조사 사용을 전망하는데 의의가 있다. 1992년 한중수교이후 20년 지난 지금 연변지역 동북 방언은 한국어의 언어 간섭을 받으며 언어 변이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 언어학의 공시적 입장에서 연변지역 동북 방언 중 격조사 사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북 방언 격조사 사용 특성을 보면 주격조사 ‘이’가 개음절 아래에서 발음되는 현상과 주격조사 ‘이’를 ‘이가’로 발음하는 현상, 관형격조사 ‘의’를 ‘으’로 발음하는 현상, 목적격조사 ‘을’을 ‘으’로 발음하는 현상, 부사격조사 ‘에게’를 ‘게’로 발음하는 현상, 부사격조사 ‘에서’를 ‘이서’로 발음하는 현상, 부사격조사 ‘으로’를 ‘을루’로 발음하는 현상, 접속조사 ‘과’에서 [w]가 탈락된 접속조사 ‘가’로 발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상의 특성을 바탕으로 연변지역에서의 격조사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언어 변이 현상을 밝히고자 한다. 조사를 위하여 연변 전 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격조사 사용 중 동북방언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조사로서 조사는 성별, 연령, 출생지, 직업으로 분류하여 자료를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언어변이 현상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