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5 세기 국어 이전의 국어 합성법

        황국정 이중언어학회 2001 이중언어학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Ancient Korean compounding, examine Ancient Korean compounds rule, and to compare Ancient Korean compounds rule with Middle Korean compounds rule. It is shown that there are noun compounds, verb compounds, adjective compounds, adverb compounds as the types of word formation in the 15th century before. We can see some major characteristics in this period. Firstly, epenthetic s(ㅅ) is not so as productive as 15th century in the noun compound. Secondly, I also argue for productivity of the asyntactic compounds in this period. Thirdly, there are some different phonetic rules in the word formation: L dropping, glottalization, aspiration, et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자동사 구문의 변화 연구-자동사의 ‘타동성’ 획득을 중심으로-

        황국정 한국어의미학회 2004 한국어 의미학 Vol.14 No.-

        Hwang, Kuk-Jung. 2004. A Diachronic Study on the Syntactic Structure of Korean Intransitive Verbs. Korean Semantics, 14. This article aims at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for the formation of ‘NP-lul’ argument in the structures of intransitive verbs used in the 15th century. All the intransitive verbs of the 15th century were made an object of this study. The study includes the diachronic aspects of the structures and the change of them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In addition, the grammatical meaning of the syntactic change occurred in the structures of intransitive verbs is discussed centering around the ‘NP-lul’ argument. The newly generated ‘NP-lul’ from the structures of intransitive verbs can be divided with the type of -roles. There are ‘NP-lul’ arguments of ‘theme’, ‘source’, ‘goal’, ‘location’, and so on. The formation of ‘NP-lul’ argument in the structures of intransitive verbs has a very important grammatical meaning.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ntransitive verb can obtain the transitivity by the argument. Since the intransitive verb plays a grammatical role as a ergative verb, the argument formation can be regarded as a meaningful change of grammar.

      • KCI등재후보

        15세기 국어 형용사 구문의 변화 연구 : 논항구조가 변하는 몇몇 형용사를 중심으로

        황국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民族文化硏究 Vol.40 No.-

        이 글의 목적은 국어 형용사 구문의 통시적 변화를 살피고 그것의 변천 특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형용사 구문의 특징적인 변화는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명사형어미 ‘-기’가 발달하면서 ‘S-기에’ 구성이 가능해지고 이것이 논항으로 실현된 몇몇 구문은 평가 형용사 구문을 형성하게 된다. ‘닉다’와 ‘쉽다’가 대표적인 예이다. 둘째, ‘경험주’의 ‘NP이’ 논항이 형성되면서 성상 형용사로 분류되던 형용사가 심리 형용사 구문을 형성하게 된다. ‘됴다/둏다’가 이에 속한다. 셋째, ‘원인’의 ‘NP로’ 논항이 형성되면서 장소 보어 교차 구문의 실현이 가능해지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다’가 있다. 넷째, 형용사 구문에서 논항이 소멸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현상으로 ‘기준’의 ‘NP에’ 논항이 사라지는 예가 해당된다 This article aims at the investigation for both the diachronic change of Korean adjective constructions and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The peculiarity of the change of adjective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3 aspects. First, the appraisal adjective construction resulted from the argument using the ‘S-기에’ formed by the development of ‘-기’ nominalizer. The verbs such as ‘닉다’ and ‘쉽다’ were representative examples. Second, the ‘NP이’ argument of experiencer transformed a qualitive-conditional adjective into a psychological adjective. ‘됴다/둏다’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ird, the lost arguments of adjective constructions such as the ‘NP에’ of standard were relatively less than those of transitive and intransitive constructions.

      • KCI등재

        중세국어의 격조사 생략에 대한 고찰 : 석보상절과 석독구결 자료를 중심으로

        황국정,차재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民族文化硏究 Vol.41 No.-

        본 연구의 목적은 15세기 국어 자료인 석보상절과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를 중심으로 중세국어의 격조사 생략 양상을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화자의 직관에 의존하거나 일부의 용례를 중심으로 조사의 생략을 기술해 왔던 기존의 연구를 반성하고 격조사의 생략 현상을 정확하게 살펴보기 위해 문자열 검색 공개 프로그램인 hgrep97을 이용하여 생략 현상을 고찰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라 격조사의 생략 빈도를 살펴보면, 15세기 국어의 경우는 목적격 조사(55.2%)>주격 조사(17.4%)>접속 조사(15.7%)>관형격 조사(9.1%)>부사격 조사(2.6%)의 순서가 되며, 고려시대의 경우는 주격 조사(47.6%)>목적격 조사(36.4%)>접속 조사(9.3%)>관형격 조사(3.8%)>부사격 조사(2.9%)의 순서가 된다. 따라서 15세기와 고려시대 모두 주격 조사나 목적격 조사의 생략이 부사격 조사의 생략보다 빈번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주격 조사가 빈번하게 생략되는 경우의 환경을 살펴보면 15세기와 고려시대 모두 존재동사 구문과 상태동사 구문이라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15세기 국어와 고려시대는 격조사가 생략되는 양상에 있어 차이점을 나타내기도 했다. ‘다다, 아니다’의 경우 15세기 국어에서는 ‘NP2' 논항에 격조사가 실현되었으나, 고려시대 석독 구결에서는 ‘NP2’ 논항에 격조사가 생략된 형태로만 실현되었다. ‘삼다’의 경우 15세기 국어에서는 ‘NP1을 NP2를 삼다’와 ‘NP1로 NP2를 삼다’ 구조가 모두 실현되는 데 반해 고려시대 석독 구결에서는 ‘NP1을 NP2를 삼다’의 구성은 실현되지 않았다. 그리고 ‘니르다’의 경우 고려시대 석독구결에서는 ‘NP1에 니르다’로 부사격 조사가 생략되지 않았으나 15세기 국어에서는 ‘NP1 니르다’로 생략되는 경우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for the ellipsis of case marker in Middle Korean, which is discussed centering around the materials of the 15th century and the Sokdok Gugyol of Koryo Dynasty. The ellipsis phenomenon was studied by using hgrep97 on the subject of Seokbosangjeol and Sokdok Gugyol. From the results, it can be known that the ellipsis of the nominative and objective cases was often occurred more than the other case markers including the adverb case in both the 15th century and the period of Koryo.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redicates which appeared with the ellipsis of the nominative cases were the existence and state verbs in both the 15th century and the period of Koryo.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e predicates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gument structure in the 15th century and the argument structure in the period of Koryo. The predicates are ‘dah?-, ani-, sam-’, and ‘nireu-’. In the material of Gugyol, ‘dah?-, ani-’ did not accompany the case marker for the NP2 argument, which present a striking contrast to the materials in the 15th century. Compared with the 15th century in which both ‘NP1-lul NP2-lul sam-’ and ‘NP1-lo NP2-lul sam-’ were realized, ‘NP1-lul NP2-lul sam-’ did not realized in the material of Gugyol. In addition, the Sokdok Gugyol shows ‘NP1-e nireu-’ in contrast to the ellipsis of the adverb case in the 15th centu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5세기 국어 격 교체의 유형과 통사적 특성

        황국정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1

        이 논문은 15세기 국어 격 교체 구문의 유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중세국어 격 교체 구문의 통사적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15세기 국어의 격 교체 유형을 크게 구조격과 구조격의 교체, 구조격과 의미격의 교체, 의미격과 의미격의 교체로 살폈다. 본 연구를 통해 15세기 국어가 현대국어보다 훨씬 다양한 격 교체의 유형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조격과 구조격의 교체에서 주격과 목적격의 교체에는 목적어 인상 구문의 격 교체, 주어 인상 구문의 격 교체, 중간동사 구문에서의 교체, ‘-게 다’ 사동문에서 피사동주의 격 교체가 실현되었다. 보격과 목적격의 교체는 변성자동사 ‘외다’ 구문에서 나타났다. 속격과 주격, 속격과 목적격의 교체에 대해서도 살폈다. 구조격과 의미격의 교체는 존재동사 구문에서의 주격과 처격의 교체, 주격과 도구격의 교체, 비교동사 구문의 주격, 공동격, 처격, 도구격의 교체가 가능했다. 처격과 목적격의 교체는 이동동사, 태도동사, 심리동사, 인지동사, 사유동사, 화법동사 구문에서 두루 교체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도 이동동사와 수여동사, 화법동사 구문에서 목적격과 도구격의 교체 현상에 역시 현대국어에 비해 다양한 동사 구문에서 가능했다. 의미격과 의미격의 교체는 처격과 도구격의 교체로 이동동사 구문과 결과동사 구문에서 실현되었다. This paper aims at the investigation into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se alternation construction in the medieval Korean by considering the synthetic study of the sentences structure patterns in the 15th century's Korean. In this study, the patterns of the case alternation in the 15th century's Korean are mainly divided into alternation of the structural case and structural case, structural case and inherent case, and inherent case and inherent case. It is clearly confirmed that the 15th century's Korean has more patterns of the case alternation than those of the modern Korean. In the alternation of the structural case and structural case, alternation of nominative case and objective case, complement case and objective case, genitive case and nominative case and genitive case and objective case are examined. In the alternation of the structural case and inherent case, nominative case and locative case, nominative case and instrument case are examined. The alternation of locative case and objective case is frequently shown in the constructions including moving verbs, attitude verbs, psych verbs, cognition verbs, thought verbs, and speech verbs. Finally, alternation of inherent case and inherent case, locative case and instrument case are examined.

      • KCI등재

        계림유사의 독법 검토 - 한자음의 기원을 찾아서

        황국정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1

        The value of this materials could be read by the characters of the sounds of the Hwang ju chinese a few undeciphered writing systems in the Goryeo Jilin leishi(鷄林類事). Moreover, Silla language reflected on qie-yun associated Goryeo gyunyeo hyang ga. The sounds of chinese also afflected on goryeo gugyeol, which was provided transcrip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the provision of phonemes on the phonological systems under Joseon, on focus transcription of the undeciphered writtings the arrounds phonemes lists, this studys on the the sounds changes, change of phonemes lists, changes of Alveolar Coda. Therefore, the publication of the literatures associated on the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the issue Koryo-gayo. In conclusion, we discussed on the legitimacy of Koryo standards sounds and association, the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phonemes systems in the Koryo. According to this Koryo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it was associated by Jilin leishi(鷄林類事), few the shapes and combination types of gugyeol on reading systems. This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was different from Guangyun(廣韻), this systems was reformed systems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from choseon dynasty. 고려 초 간행된 <고려방언 <계림유사>>의 한자음 독법을 통해 당시의 한자음의 계보를 밝히고, 이 문헌 자료 안에 쓰여진 미해독 글자 몇 개의 음독 및 자구풀이를 함으로써 고려방언 내 몇몇 어휘들의 존재를 확인하며, 이로써 당시의 음운사적 논의를 구체화시켜 고려초 음운 목록 및 음운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려고 한다. 이 문헌의 국어사적 가치는 계림유사 문헌 안의 몇몇 미해독글자들을 당시 고려 방언 한자음으로 추정되는 황주 방언 한자음으로 읽어내어 독법을 가능케 했으며, 고려 한자음의 계보를 다시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는 중국 절운 계열의 한자음의 독법이 신라로 유입된 이후 이로 인해 향가의 독음법이 정해지고, 이것으로 고려의 수도 방언을 중심으로 형성된 표준 한자음, 개경부의 한 지역 황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지역 방언의 한자음이 본 연구의 대상 문헌인 계림유사 고려방언의 편찬에 영향을 주었음을 논의하였다는 데 있다. 따라서 이 문헌의 편찬 이후, 당시의 고려가요(속요) 간행을 비롯한 각종 문헌 편찬에서 한자음의 독법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려 시대 표준한자음의 정통성 및 그것의 영향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고, 그로 인한 한자음 및 고려시대 음운 체계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하였다. 이 한자음으로 계림유사를 비롯하여 소수의 음독구결, 능엄경 자료의 독음법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한자음은 당나라 광운 계열과 다른 것으로, 이 독음법은 조선 초기부터 근대 말 고종의 언문개혁 발령 전까지 지켜진 조선의 한자독음법으로 규정된다. 결론적으로 고려말 후두설내 입성음의 파열음화, 내파음화, 그로 인한 어두 초성의 된소리화 현상이 당시의 음운 체계 내의 변화를 가져와 음소 설정 및 음운 체계 내 음소 목록이 달라지는 내적 체계의 변화를 겪는다. 또, 이와 관련하여 미해독 글자의 독음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며, 음운 체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음소 변화를 비롯한 음운사적 논의, 그리고 음운 현상으로 인한 어휘사적 변화 양상에 대한 논의를 살폈다. 본 연구를 통해 음운론적으로 유의미한 음운변화와 재음소 설정에 대한 연구, 고려말 한자음 정리 및 어문사적 양상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