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잊혀진 미술의 신, 技藝天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다카무라 고운 작 <기예천>

        류승진 국립중앙박물관 2017 미술자료 Vol.- No.92

        "Most of the artworks in the Japanese modern art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at were acquired in the 1930s and 1940s were originally submitted to the Official Exhibition (官展) by artists who were born after the Meiji Restoration (明治維新) and had honed western artistic techniques. Among such works, the Buddhist sculpture Gigeiten (技藝天) is a rare exception, as it was created by Takamura Koun (高村光雲)—one of the last Edo Bushi (江戸佛師: Buddhist sculptors based in Edo), who were trained under the traditional apprentice system. Takamura Koun was born in Edo (present day Tokyo) before the Meiji Restoration and mastered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Buddhist sculpture to become a master craftsman. However, in response to the rapid wave of modernization, he adapted to the new institutions of the art world. Consequently, he assumed honorable positions such as Teishitsu Gigeiin (帝室技藝員: Imperial Craftsman), professor of sculpture at Tokyo Art School, and member of Teikoku Bijyutsuin (帝國美術院: Imperial Academy of Art). Despite the fact that Gigeiten was created by such a master, detailed background information does not remain to provide clues for further investigation. Nonetheless, Gigeiten's unique iconographical features are noteworthy. Giyecheon is one of the deities that appear in the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She had not been a subject of artistic endeavor in East Asian Buddhism before modern times, though there is a single example in a compilation of icons appearing in esoteric Buddhism published in Japan after the 12th century. However, interestingly, a few artworks of the deity were produced in Japan after the advent of modern times. This article aims to study Gigeiten of Takamura Koun, whose context of production is unknown, by investigating the discovery and temporary popularity of the ico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n esoteric Buddhism, Giyecheon is described as donning splendid ornaments and holding one end of her robe with her right hand and a heavenly flower with her left. In compilations of icons such as Dosangcho (圖像抄), the Giyecheon is illustrated holding a bowl full of flowers with her left hand. The bowl filled with flowers held with the left hand has become Giyecheon's most salient iconographic feature. This feature is often observed in the artworks produced by the professors and students of the Tokyo Fine Arts School. It seems to come from the influence of Okakura Tenshin (岡倉天心), the headmaster of the school at the time. Through an investigative project on Shinto shrines and Buddhist temples in Nara he had been undertaking for several years, Okakura discovered that the sculpture of a deity in Akishinodera (秋篠寺) that had until then been considered to depict Giyecheon did not match the description in the scriptures. He went on to encourage fellow artists to recreate the Giyecheon as illustrated in the compilation. Okakura Tenshin gained support among some artists in establishing Giyecheon as an Eastern counterpart of the muse in Western culture, but he could not change the public's perception. Giyecheon faced the same fate as Japanese craftsmanship—the driving force of modernism—which lost its original privilege as the new concept of ‘art’ proliferated. A socio-institutional response to such changes is observed in that the system of designating expert craftsmen as Teishitsu Gigeiin—the most highly honored craftsmen in the Japanese art world at the time—has fallen into desuetude, and Teikoku Bijyutsuin (Imperial Academy of Fine Arts) was established in its place. Although the exact date of production is unknown, based on the general trend in sculpture, it is presumed that the work was produced after the 1920s, when the artist had reached old age. By then, the temporary vogue of Giyecheon had passed, and the era of new ‘art’ had already begun. However, he retained the belief that ‘craftsmanship’ was the most important virtue, even for artists of the new era, as seen in the attitude he demonstrated toward production until his last days and in an essay by Takamura Toyochika—his third son and a metal craftsman—who sold the piece to Yi Royal Family Museum of Arts. This work is undoubtedly a traditional Buddhist sculpture based on an iconographic theme from the religion; however, it is also a work of ‘art’ in the most modern sense, which Takamura created to express his belief as an artist through his independent creative will. The fact that he produced this piece of sculpture in his later years has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ed analysis of Takamura, which places him on the border between traditional craftsmen and modern artists." 1930~40년대에 수집된 국립중앙박물관의 일본근대미술 컬렉션 중에는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에 태어나 서구식 미술 교육을 받은 작가들의 官展 출품작이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컬렉션 가운데 전근대적 徒弟 교육을 받은 ‘마지막 에도 불사(江戶佛師)’ 다카무라 고운(高村光雲, 1852~1934)의 전통적 불교조각 <技藝天>은 매우 이례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다카무라 고운은 메이지 유신 이전에 에도(지금의 도쿄)에서 태어나 전통적인 불상 조각 기술을 배운 장인이었으나, 급변하는 근대화 물결 속에서도 새로운 미술 제도에 유연히 적응하여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조각과 교수, 帝室技藝員, 帝國美術院 회원 등 당시 미술가로서 오를 수 있는 최고의 자리에까지 오른 인물이다. 그가 남긴 『고운 회고담(光雲懷古談)』은 메이지 시대를 연구하는 좋은 자료로 활용되고 있지만, 정작 그의 작품에 대한 기록은 적은 편이며, 특히 이왕가미술관이 구입한 <기예천>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정보조차 얻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카무라 고운 작 <기예천>의 정확한 제작 시기나 배경 등,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하기 위한 유일한 단서로서 이 작품의 주제인 ‘기예천’이라는 불교 도상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기예천은 모든 기예를 관장하고 복을 가져오는 불교의 天部 중 하나이다. 이와 관련된 밀교 修法에서는 그 모습에 대하여, 화려한 장식을 몸에 걸치고 오른손으로는 치맛자락을, 왼손에는 天華를 들고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일본에서 중세 이후 편찬된 『圖像抄』 등의 도상집에서는 이를 왼손에 꽃이 가득 담긴 그릇을 받쳐 들고 있는 모습으로 강조하여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도상집 속 기예천의 모습은 근대 이전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에서 조형예를 찾아볼 수 없고, 다만 1890년대 이후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 1863~1913)이 교장으로 있던 일본의 도쿄미술학교를 배경으로 한 작가들의 작품에서 산견될 뿐이다. 오카쿠라 덴신은 1880년대부터 나라(奈良)의 神社와 사찰 문화재 조사 사업에 참여하였는데, 여기에서 그동안 유일한 기예천으로 여겨진 아키시노데라(秋篠寺)의 천부상이 경전 속 기예천과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도상집 속 기예천의 모습을 재현하기 위하여 주변 예술가들의 연구와 제작 활동을 독려하였다. 그는 기예천을 서양의 뮤즈에 대응하는 동양의 미술의 신으로 정립시키려는 구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구상과 의도는 일부 예술가들의 찬동을 얻는데 성공하였으나 세간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19세기 말 일본 근대화의 원동력이 되었던 ‘기예’가 ‘미술’ 개념의 확산에 따라 본래의 지위를 잃게 된 것과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내 미술계의 최고 지위를 의미하던 ‘제실기예원’ 제도가 폐지되고 ‘제국미술원’이 이를 대신하게 되는 것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사회제도적 반응일 것이다. 다카무라 고운의 <기예천>은 정확한 제작 연대를 알 수 없지만, 그의 대략적인 제작 경향을 근거로 1920년대 이후의 노년작으로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이미 기예천의 일시적인 유행이 지나고 새로운 ‘미술’의 시대가 열린 뒤의 일이다. 그러나 고운이 마지막까지 유지하였던 제작 태도, 그리고 이 작품을 이왕가미술관에 판매한 고운의 三男이자 금속공예가인 다카무라 도요치카(高村豊周, 1890~1972)의 글 등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그는 새로운 시대의 미술가에게도 ‘기예’는 여전히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 여기고 있었으며, <기예천>의 제작은 이러한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불교 도상을 주제로 한 전통적인 ‘불상’임이 틀림없지만, 종교적 예배대상이 아니라 다카무라 고운이라는 미술가의 개인적 신념의 발현을 위한 수단이며, 자발적인 창작 의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근대적 의미의 ‘미술품’이라 할 수 있다. 고운이 노년에 이러한 작품을 제작하였다는 사실은, 여전히 전근대적 장인과 근대적 예술가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카무라 고운에 대한 평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새 무형문화재법과 전통적기예·무예 조사방향

        심승구 국립무형유산원 2016 무형유산 Vol.- No.1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a comprehensive nationwide survey of skills and martial arts according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aw which came into effect in 2016. The new law significantly expanded the defin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viously confined to 'artistic talents and skills' into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daily customs'. As a result, the skills and martial arts field which have been broken or vulnerable to transmission came under attention. Some suggestions to prepare before the next nationwide comprehensive research into the traditional skills and martial arts aspec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as follows. First, set concepts and categories for the traditional skills and martial arts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after defining the concepts and categories, the present-condition research must take precedence over the events that were cataloged, up to the present among the skills and martial art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such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State-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ity/Province-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National Reserve List. Third, there is a need for comprehensive research studies to extract new items in the field of skills and martial arts. Fourth, if there are some items which have been already included in oth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tor in the skills and martial arts,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on how to handle the issue. Lastly, in the case of skills and martial arts, there seems to be a need to examine the way in which we designate Moder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sides designating the exis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protect and transmit them because there are lots of events which were restored and reproduced in modern times. 이 글은 2016년부터 시행된 무형문화재법에 따라 기예와 무예의 전국적 종합조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새 무형문화재법은 종래 ‘예능과 기능’에 국한된 무형문화재를 ‘전통지식과 생활관습’ 등으로 전승영역을 크게 확장하였다. 그 결과 그동안 단절되었거나 전승취약 종목에 해당하는 기예와 무예의분야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특히 기예는 종래에 없던 새로운 분야로 설정된 것이다. 향후 기예와 무예의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에 앞서 준비해야할 과제를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유산으로서 기예와 무예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는 일이다. 이 같은 작업은 해당 분야의 대상과범위를 조사하고 설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가 될뿐 아니라 사업 전체의 체계성과 적합성을 담보하는 조건이 되리라 여겨진다. 둘째, 개념과 범주가 정해지면, 현재까지 기예와 무예 가운데 무형문화재(인류무형문화유산, 국가무형문화재, 시·도무형문화재, 국가예비목록)로 지정되거나 목록화되어 있는 종목의 현황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같은 작업은 현재 기예와 무예 항목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여 향후 조사의 방향을 가늠하는데 일정하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셋째, 기예와 무예 분야의 새로운 항목 추출을 위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그동안 기예와 무예 분야는 전승이 단절된 대표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현행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큰 비중을 갖지 못하였다. 하지만, 새 무형문화재법에 따라 조사 분야로 설정된 만큼,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종합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하리라 여겨진다. 넷째, 기예와 무예의 항목이 이미 타 무형문화재 분야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 처리의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예컨대 남사당놀이의 경우, 줄타기나 버나돌리기가 이미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줄타기와 버나돌리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종합연희의 경우에 포함된 기예 종목과 개별 종목(예, 버나 돌리기나 줄타기 등)사이의 구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이상의 작업은 마지막으로 무형유산으로서 기예·무예의 조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립 기예단’ 창단을 통한 전통 기예들의 복원과 전승

        손태도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6

        Sandaehui (산대희, a grand festival that was performed by the jester, etc., using a large mountain-shaped construction as both stage and scenery) represented the dance of a Great Turtle in the east sea. That turtle burdened its back the legend mountains, so-called ‘Samsinsan’ (삼신산, 三神山), and danced whenever the country was very peaceful. Sandaehui was initiated by China. But in Korea the Sandaehui was already held at King Jinheung of the Shilla Dynasty. In addition, Korea liberated ‘Changu’ (창우, 倡優, the jester)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1894. While on the other, Japan liberated ‘Sanakho’ (산악호, 散樂戶) at 782, and China liberated ‘Akho’ (악호, 樂戶) at 1164, both were officially called out at Sandaehui. As that result, Sandaehui was actually not held at Japan, and had been radically declined at China. But Korea had continually held Sandaehui as nation’s major event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s that result, Sandaehui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high level over the East Asia at that time. Because Sandaehui, Left team and Right one was competing each other, had the tendency of development in years. So Chines envoys had said ‘world best’ at the sights of SSangjultagi (쌍줄타기, playing on the two ropes hung very highly), Sotdaetagi (솟대타기, playing on the very high pole) etc. at Sandaehui of at the late Joseon Dynasty. But these world’s best crafts disappeared rapidly as the so-called ‘Gwandae group’ (광대 집단, the jester) officially in charge of these crafts liberated and Korea underwent the trial of Japanese colony during early modern ages. In other hand, the record, picture and photo of these SSangjultagi and Sotdaetagi remains much even today, and Oejultagi (외줄타기, playing on the one rope hung very highly), TTangjaeju (땅재주, acrobat) and Daejeobdolrigi (대접돌리기, similar with dish-turning play with a rod) have been reserved as the form of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Heritages. So we can restore and hand down well these crafts if we have that goal intentionally. So today, we need the group like ‘National Craft Group’ that restore and hand down well these traditional crafts. Because these crafts are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 we had developed since King Jinheung of the Shilla Dynasty. 산대희는 ‘국가가 태평하면 봉래, 방장, 영주 등 삼신산(三神山)을 떠받치고 있는 동해 바다의 거북이가 춤을 춘다’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동아시아에서 공유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진흥왕 때부터 국내의 큰 경사나 중국 사신 맞이에 이 행사를 해 온 전통 사회의 대표적인 축제적 공연물이었다. 더욱이 이러한 산대희의 백희를 하는 광대들이 일본에서는 782년 산악호(散樂戶)가, 중국에서는 1164년 악호(樂戶)가 해산되며 사실상 산대희가 이뤄지지 않거나 점차 약화되었지만, 우리나라는 1894년에 와서 ‘광대’라는 하나의 신분 집단을 해방시키는 등 조선시대 말까지도 이 산대희를 국가적 행사로 해 왔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는 우리나라의 산대희가 같은 동아시아권에서도 그 수준이 높았다. 특히 쌍줄타기 같은 기예는 당시 중국에도 없던 것으로 중국 사신들도 매번 ‘천하제일’이라고 놀라고 가곤 했다. 산대희는 좌․우로 나눠 경쟁하는 것이기에 오래 지속될수록 보다 발전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 무렵 이러한 산대희의 백희를 공식적으로 담당하던 광대들이 ‘광대’라는 하나의 신분 집단에서 해방되고, 우리 민족의 역사도 일제강점기란 시련기를 겪으며 이러한 조선 후기 높은 수준의 산대희 기예들이 더 이상 제대로 이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조선 후기 높은 수준을 자랑했던 솟대타기, 쌍줄타기 등의 기예들에 대한 기록들이나 그림, 사진 등이 오늘날에도 남아 있어, 우리가 마음만 먹으면 이들을 상당 부분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외줄타기, 땅재주, 대접돌리기 등과 같은 기예들도 국가 중요무형문화재의 형태로 어느 정도 전승되고 있다. 따라서 지금에라도 ‘국립 기예단’과 같은 책임질 수 있는 공공 단체를 만들어 사라진 기예들을 복원하고, 어느 정도 전승이 되는 것들도 보다 제대로 전승․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물론 현재로서는 인적 자원 면에서 당장에 제대로 된 국립 기예단과 같은 단체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예들의 복원과 전승에 있어서 그 당사자들에게는 상당한 위험들이 있고 일생을 걸어야만 되는 일이기에, 어쨌든 이와 같은 국립 기예단과 같은 공공 단체가 있어야 이런 일을 시작할 수 있다. 신라 진흥왕 이래 천수백 년 동안 우리가 발전시켜 온 세계적 차원에서도 수준 높았던 우리 전통 기예들이 근대 무렵에 와서야 갑자기 사라지기 시작했다. 지금에라도 전통 계승의 차원에서 오늘날 사라졌지만 복원이 가능한 기예들(솟대타기, 쌍줄타기, 농환, 죽방울받기, 작대기 땅재주, 외발타기 등)을 살펴보고, 오늘날 무형문화재 속에 들어 있는 전통 기예들의 전승 상황도 살펴보아 이들 기예들을 복원․전승․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국립 기예단' 창단을 통한 전통 기예들의 복원과 전승

        손태도(Son Tae-D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36 No.-

        산대희는 '국가가 태평하면 봉래, 방장, 영주 등 삼신산(三神山)을 떠받치고 있는 동해 바다의 거북이가 춤을 춘다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동아시아에서 공유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진흥왕 때부터 국내의 큰 경사나 중국 사신 맞이에 이 행사를 해 온 전통 사회의 대표적인 축제적 공연물이었다. 더욱이 이러한 산대희의 백희를 하는 광대들이 일본에서는 782년 산악호(散樂戶)가, 중국에서는 1164년 악호(樂戶)가 해산되며 사실상 산대희가 이뤄지지 않거나 점차 약화되었지만, 우리나라는 1894년에 와서 '광대'라는 하나의 신분 집단을 해방시키는 등 조선시대 말까지도 이 산대희를 국가적 행사로 해 왔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는 우리나라의 산대희가 같은 동아시아권에서도 그 수준이 높았다. 특히 쌍줄타기 같은 기예는 당시 중국에도 없던 것으로 중국 사신들도 매번 '천하제일'이라고 놀라고 가곤 했다. 산대희는 좌·우로 나눠 경쟁하는 것이기에 오래 지속될수록 보다 발전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 무렵 이러한 산대희의 백희를 공식적으로 담당하던 광대들이 '광대라는 하나의 신분 집단에서 해방되고, 우리 민족의 역사도 일제강점기란 시련기를 겪으며 이러한 조선 후기 높은 수준의 산대희 기예들이 더 이상 제대로 이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조선 후기 높은 수준을 자랑했던 솟대타기, 쌍줄타기 등의 기예들에 대한 기록들이나 그림, 사진 등이 오늘날에도 남아 있어, 우리가 마음만 먹으면 이들을 상당 부분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외줄타기, 땅재주, 대접돌리기 등과 같은 기예들도 국가 중요무형문화재의 형태로 어느 정도 전승되고있다. 따라서 지금에라도 '국립 기예단'과 같은 책임질 수 있는 공공 단체를 만들어 사라진 기예들을 복원하고, 어느 정도 전승이 되는 것들도 보다 제대로 전승·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물론 현재로서는 인적 자원 면에서 당장에 제대로 된 국립 기예단과 같은 단체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예들의 복원과 전승에 있어서 그 당사자들에게는 상당한 위험들이 있고 일생을 걸어야만 되는 일이기에, 어쨌든 이와 같은 국립 기예단과 같은 공공 단체가 있어야 이런 일을 시작할 수 있다. 신라 진흥왕 이래 천수백 년 동안 우리가 발전시켜 온 세계적 차원에서도 수준 높았던 우리 전동 기예들이 근대 무렵에 와서야 갑자기 사라지기 시작했다. 지금에라도 전통 계승의 차원에서 오늘날 사라졌지만 복원이 가능한 기예들(솟대타기, 쌍줄타기, 농환, 죽방울받기, 작대기 땅재주, 외발타기 등)을 살펴보고, 오늘날 무형문화재 속에 들어 있는 전통 기예들의 전승 상황도 살펴보아 이들 기예들을 복원·전승·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Sandaehui (산대희, a grand festival that was performed by the jester, etc., using a large mountain-shaped construction as both stage and scenery) represented the dance of a Great Turtle in the east sea. That turtle burdened its back the legend mountains, so-called 'Samsinsan' (삼신산, 三神山), and danced whenever the country was very peaceful. Sandaehui was initiated by China. But in Korea the Sandaehui was already held at King Jinheung of the Shilla Dynasty. In addition, Korea liberated 'Changu' (창우, 倡優, the jester)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1894. While on the other, Japan liberated 'Sanakho' (산악호, 散樂戶) at 782, and China liberated 'Akho' (악호, 樂戶) at 1164, both were officially called out at Sandaehui. As that result, Sandaehui was actually not held at Japan, and had been radically declined at China. But Korea had continually held Sandaehui as nation's major event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s that result, Sandaehui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high level over the East Asia at that time. Because Sandaehui, Left team and Right one was competing each other, had the tendency of development in years. So Chines envoys had said 'world best' at the sights of SSangjultagi (쌍줄타기, playing on the two ropes hung very highly), Sotdaetagi (솟대타기, playing on the very high pole) etc. at Sandaehui of at the late Joseon Dynasty. But these world's best crafts disappeared rapidly as the so-called 'Gwandae group' (광대 집단, the jester) officially in charge of these crafts liberated and Korea underwent the trial of Japanese colony during early modem ages. In other hand, the record, picture and photo of these SSangjultagi and Sotdaetagi remains much even today, and Oejultagi (외줄타기, playing on the one rope hung very highly), TTangjaeju (땅재주, acrobat) and Daejeobdolrigi (대접돌리기, similar with dish-turning play with a rod) have been reserved as the form of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Heritages. So we can restore and hand down well these crafts if we have that goal intentionally. So today, we need the group like 'National Craft Group' that restore and hand down well these traditional crafts. Because these crafts are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 we had developed since King Jinheung of the Shilla Dynasty.

      • KCI등재

        동아시아 공중기예의 발달과 변모

        이호승,신근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4

        본고에서는 줄타기와 솟대타기 등 공중기예들을 중심으로 외부의 연희가 동아 시아에 전래된 이후 자국화되는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공연문화의 역사성과 생명력을 고찰하였다. 동아시아의 공중기예는 자생적인 연희 위에 서역에서 전래된 산악백희의 자극 과 영향을 받아 크게 변화․발전해 왔다. 고대의 공중기예는 한중일 모두 산악백 희의 기예들을 학습하고 발전시키는 방식으로 전개해 갔다. 뛰어난 연희자들을 양 성하고 수준 높은 공연을 만들기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들을 관리감독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중앙에서 지방으로, 궁중에서 민간으로 연희의 향유층이 확대되 었고 민간에서도 수준 높은 기예들이 연행되면서 저마다 자국의 공연문화에 맞는 새로운 방식의 공중기예들로 변모해 갔다. 한중일의 공중기예들은 근대에 이르러 전승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점차 전 통공연예술의 독자성과 활용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새로운 형식의 전통 기예를 창출하거나 사라진 기예의 복원을 시도하는 등 자국 공연문화의 역사성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공중기예 복원의 충실한 사례로 진주 농악을 중심으로 진주 솟대쟁이패 복원이 활발히 진행 중이고 솟대타기 기예의 충실한 이행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 각 속에 되살아난 솟대쟁이패 공연이 전통연희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We examin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culture of East Asia, focusing on aerialist acts such as tightrope walking and sotdae riding (pole arts). Change and development were attributed to San-ak-baek-hui (散樂 百戲) spontaneous performance introduced from the West, which influenced the ancient aerialist acts of Korea, China, and Japan as these East Asian countries learned its techniques and developed their own. National efforts to cultivate outstanding performers and create high-quality performances expanded the enjoyment of such form of entertainment from the capitals to the provinces, and from the court to private audiences. Eventually, high-quality performances with their own private audiences became new types of performances that fit their cultures. Although transmission of traditional arts of Korea, China, and Japan is difficult in these modern times, uniqueness and utilization are highlighted in efforts to protect the history and diversity of the performance culture of East Asia–through new renditions of traditional techniques, or through restoration of lost techniques.

      • KCI등재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휘하는 실제기예 탐색-Schwab의 the practical을 중심으로

        이주영(Lee, Juyoung),정광순(Jeong, Kwa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한 과정에서 Schwab의 실제기예(practical art)를 발휘하는 모습을 기술하고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서 L교사가 교실에서 한 수업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교육과정 개발 사례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교사가 발휘한 실제기예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는 과정이 곧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제 인식 기예‣문제 구체화 기예‣문제 해결 기예를 발휘하는 것을 탐색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세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교사가 개발한 교육과정 자체가 Schwab이 말하는 the practical이라는 점, 둘째, 교사는 실제기예를 발휘하면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는 점, 셋째, 이런 실제기예를 발휘할수록 교사가 개발하는 교육과정(실제)는 통합수업으로, 즉 학생에게로 다가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urriculum developed by teachers who use the practical art as Schwab calls it, and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art, one of the skills teachers demonstrat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Methods To this, first, we described as the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based on this explanation, we analyzed the practical art that the teacher performed. In this respect, the study is one of the case studie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could see that the process of improving their classes wa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curriculum. Second, the practical art displayed by this teacher in each class were shown in the process of problem recognizing art ‣ problem refining art ‣ problem solving art. Conclusions Three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curriculum developed by the teacher itself is what Schwab calls the practical. Second, teacher develop curriculum using the practical art. Third, the more practical teachers use the practical art, the closer they become to students. In other words, it is closer to curriculum integration.

      • KCI등재

        이문열 소설『금시조』의 ‘文字香 書卷氣’ 미학 고찰 - 기예적 예술관과의 갈등 및 포용을 중심으로 -

        한용화 한국동양예술학회 2022 동양예술 Vol.55 No.-

        본고는 이문열의 소설 『금시조』에서 강조한 ‘문자향 서권기(文字香 書卷氣)’의 미학 정신을 고찰하였다. 『금시조』는 국내 소설 중에서 전통 서화(書畵)의 ‘문자향 서권기’ 사유(思惟)를 다룬 소설로 유일하다. 이문열은 문자향 서권기 예술관과 기예(技藝)적 예술관을 대립시켜 진정한 예술정신이 무엇인지를 독자에게 물었다. 이는 좀 더 유연한 예술관을 갖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본고에서 『금시조』를 분석한 내용의 첫 번째는 스승 석담(石潭)이 중시하는 ‘문자향 서권기’에 관한 내용을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 제자 고죽(孤竹)의 기예(技藝)적 예술관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로 상호간의 예술관을 수용하고 포용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금시조』에서 전달하고자 한 예술정신이 학식과 인품을 담은 미학인가, 아니면 타고난 재능과 미의 추구인가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의도는 상호 예술관을 이해하고 포용하면서 보다 넓은 미학적 안목을 키워보고자 하는 데 있다.

      • KCI등재

        다산(茶山)의 외국(外國) 선진문화(先進文化) 수용론(受容論) -「기예론(技藝論)」과 증서(贈序)를 중심으로-

        김상홍 ( Sang Hong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조선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茶山 丁若鏞(1762~1836)은 利用厚生을 위해 외국의 선진문화를 수용하자고 했다. 다산은 「技藝論」에서, 利用厚生을 위해 淸나라의 百工技藝와 新式妙制, 즉 첨단 과학기술문명을 도입하자고 했다. 또한 일본의 ① 國防의 견고함, ② 우수한 造船技術, ③ 館倭의 房朧(격자창)의 長點을 배우자고 했다. 다산은 申維翰이, 通信使 일행으로 가서 일본의 "器物의 정교함과 여러 가지 調鍊하는 법"을 관찰하지 않은 것을 비판했다.(「跋海차見聞錄」) 다산은 贈序에서, 使臣은 이용후생에 필요한 백공기예를 수입해오는 것이 제2의 책무라고 했다. 다산은 ① 李基讓과 같이 剝綿攪車를 구입해와 이용후생에 기여한 사신(贈序), ② 申緯처럼 개인취미를 위해 怪石을 구입해오는 사신(「題載石圖」)으로 분류하고, 前者를 높이 평가했다. 淸나라에서 박면교거를 수입해온 李基讓의 공로는, 목화 씨앗을 수입해와 이용후생에 크게 기여한 文益漸의 공적과 비견할 만 하다고 극찬했다. 다산의 외국 선진문화 수용론은 바로 이용후생을 위한 것으로, 현실주의와 실용주의에서 나온 것이다. Dasan(茶山) Jung, Yak-Yong(丁若鏞, 1762~1836) who compiled the Practical Thought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had asserted the acceptance of foreign advanced culture for the people`s utilization and welfare. He, in Giyeron, asserted that Chosun should introduce the hi-tech culture of Chung dynasty for people`s utilization and welfare including all the technical skill and new institutional systems. And he asserted that we should learn the merits of Japan, as it were ① the strengthening of the national defence ② the excellent shipbuilding technology ③ the lattice window of the official residences. Dasan criticized that Shin, Yu-Han(申維翰) who had dropped in Japan as a communication man hadn`t surveyed on "the elaborateness of their industry and various training exercises"in Valhaesagyunmunrok(跋海차見聞錄). He, in prefaces for declaration, asserted that the import of divers hi-tech industry is the second obligation of the ambassador. Dasan who had classified the ambassador into two kinds as like ① the style of Yi, Ki-Yang(李基讓) had contributed to the people`s welfare by introducing their thrashing fan machine for raw cotton<prefaces for declaration>, ② the style of Shin, Wi(申緯) had purchased oddly shaped stones for individual taste<Jaejaesukdo(題載石圖)> judged the latter more highly. He won the highest praise on Yi, Ki-Yang that his achievement could be stood beside Moon, Yik-Jum(文益漸) who had contributed a lot to the people`s welfare by importing the cottonseed first. Dasan`s assertion for the acceptance of foreign advanced culture had aimed just to the people`s easy utilization and welfare had been derived from his realism and practicalism.

      • KCI등재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기예질의(技藝質疑)'의 의미

        차명환 한국무예학회 2018 무예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universal theory for Korean martial arts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universal theory notific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uniqueness of intuitive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eaning to the extension of epistemological outline of Muyedobotongji. First, in order to realize the intrinsic value of Muyedobotongi, it is required to discover the uniqueness of intuitive knowledge, and to make an epistemological approach to establish universal theory by continuously producing basic concepts about martial arts. Secondly, the contents of the 'heoyugyektapmun' included in ‘Kiyejileui’ is intuitive knowledge acquired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f judgment or reasoning against the empirical knowledge. However, even though it is not conceptualized, it can be included as a source of meaningful thought in terms of the existence of reality and the dissemination of thorough personal thought from Muyedobotongji’, and ‘Kiyejileui’. 본 연구는 한국무예의 독자적 학문체계 구축을 위한 보편이론을 정립하는데 있어 '武藝圖譜通志'관련 연구동향 검토와 '技藝質疑'의 내용 분석을 근거로 실증적 지식과 배치되는 직관적 지식의 고유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마리를 추적하고, '武藝圖譜通志'연구의 인식론적 외연 확장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시론적 연구이며, 그 과정을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武藝圖譜通志'의 내재적 가치구현을 위해서는 직관적 지식의 고유성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무예일반에 대한 기초개념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보편이론을 정립할 수 있는 인식론적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技藝質疑'에 수록된 ‘허유격답문(許遊擊答問)’의 내용들은 실증적 지식과 대립되어 판단이나 추론의 개념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획득되는 직관적 지식이다. 그러나 개념화 되지 않았음에도 실체가 존재한다는 점과 철저한 개인적 사고의 소산이라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사고의 원천으로 포섭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武藝圖譜通志' 및 '技藝質疑'를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가장 큰 목표는 바로‘무예수련’을 위한 지식의 전달이었다. 무예의 수련은 곧 몸이 인식주체가 되고, 몸으로 체득되어지는 직관적 지식의 습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실증적 지식과 대비되는 중요한 인식론적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숙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누리과정 구조적 개선을 위한 Schwab의 실제적 접근 및 Wiggins & McTighe의 교육과정 역행설계모형 적용 가능성 탐색 연구

        이재창 ( Lee Jae Ch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2012년 누리과정이 개발·고시된 이후 유아교육연구 일각에서 논의되는 누리과정 구조 개선문제에 주목하여 교육과정 이론을 탐색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대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안을 찾는 방안으로 교육과정 개발주의와 재개념주의의 경계에 서서 이론과 실제의 접합을 꾀하는 Schwab의 실제적 접근을 활용하였다. Schwab은 교육과정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론을 실제문제에 적용하여 주요 시사점을 얻는 절충적 기예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이론이 다루지 못한 측면까지 실제 속에서 면밀히 파악하여 문제화, 대안 마련, 숙의를 통한 해결책 결정을 이끌어내는 실제적 기예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chwab이 말하는 절충적 기예에 한정지어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절충적 기예를 위해 적용한 구체적인 이론은 교육과정 개발 모형이자 개발 이론이라고 볼 수 있는 Wiggins & McTighe의 교육과정 역행설계모형Ⅰ·Ⅱ이며 이를 실제 누리과정에 적용하여 누리과정 구조개선이라는 문제의 해결실마리를 찾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후 이루어질 실제적 기예를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이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lternatives to the Nuri-Curriculum, which was developed and announced in 2012 and thereafter discussed in sev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es, by focusing on the problem of improving this curriculum and by exploring other curriculum theories. In this study, we have used Schwab’s practical approach in finding the alternative as this approach connects both the theory and practic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reconceptualization. Schwab uses the arts of Eclectic to apply key theoretical implications to real problems in solving curriculum-related problems. In addition to this, he takes the arts of Practical to grasp problems that aren’t tackled by the theory in detail, and takes advantage of the arts of Practical that lead to decisive solutions through problem statement, alternatives, and deliberation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limited to the arts of Eclectic mentioned by Schwab. The specific theory applied for the arts of Eclectic is Wiggins & McTighe’s Curriculum Backward Design Model I and II, which are both a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nd a development theory. This was applied to the actual Nuri-Curriculum to solve the problems in structure. This study presents a direction for research for practical contribution and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the theory, following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arts of Eclec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