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태의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고재성(Koh, Jae S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형태는 대상의 자극이 저장된 신경생물학적 패턴 또는 저장된 자극이 없는 신경생물학적 패턴에 언어적 지각이 투영되어 재구성되는 그 순간의 인식작용에 의한 것이다. 인식은 불확실한 것이다. 인식론적 불확실성에 관한 베이스 정리가 형태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형태는 지각과 위상차원의 관점에서 논의된다. 논의를 바탕으로 형태를 저장된 자극에 의한 경우와 저장된 자극이 없는 경우로 구분한다. 전자는 경험적 형태이고 후자는 선험적 형태이다. 각각의 형태는 주체와 수용자에 의해 긍정 또는 부정으로 판단된다. 주체에 의해 판단된 긍정과 부정의 확률이 사전 확률이며 수용자에 의해 판단된 긍정과 부정의 확률이 조건 확률이다. 사전확률과 조건 확률을 베이스 정리에 대입하여 형태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형태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수학공식이 베이스 정리이다. 베이스 정리를 통해 대상과의 개연성이 높은 특수한 형태와 개연성이 낮은 보편적 형태를 확률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전략적 판단이 가능하다. 디자인 형태는 문화적·기술적 맥락 속에서 보편적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특수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형태는 신경생물학적 패턴에 투영된 언어적 지각에 의해 구현되며 지각된 언어적 의미는 문화적·기술적 맥락 속에서 파악된다. 언어적 의미는 수용자의 요구이다. 수용자의 요구는 보편적일 수도 있고 특수할 수도 있지만 지각의 매개인 신경생물학적 패턴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디자인 형태는 보편성을 지향해야한다. 베이스 정리는 특수와 보편의 정도를 스스로 검증하는 수학적 방법이다. 형태의 불확실성에 관한 본 연구는 형태의 보편성을 전략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 form is attributed to cognition at the very moment that the stimulus of an object is restructured as linguistic cognition is projected on either the neurobiological pattern in which the stimulus of an object is stored or the neurobiological pattern without any stored stimulus. Cognition is something uncer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Bayes’ Theorem about epistemic uncertainty can be a way to estimate the uncertainty of a form, and the study method employed for it is as follows. The form i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perceptive and topological dimensions. Based on the discussion, forms are divided into those attributed to stored stimuli and those without stored stimuli. The former is the empirical form, and the latter is the transcendental form. Each of the forms gets to be judged as either affirmation or negation by the agent and the receiver. The probability of affirmation and negation judged by the agent is prior probability while the probability of affirmation and negation judged by the receiver corresponds to conditional probability. This study adopts the method to estimate the uncertainty of a form by substituting prior probability and conditional probability to Bayes’ Theorem. And the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s. The mathematical formula estimating the uncertainty of a form based on data is Bayes’ Theorem. With Bayes’ Theorem, we can judge probabilistically either a specific form with high plausibility about the object or a universal form with low plausibility. In other words, we can practice strategic judgment with it. A design form can be realized as either a particular form or a universal form within cultural·technological context. A form is realized by linguistic cognition projected onto the neurobiological pattern, and linguistic meaning perceived is understood within cultural·technological context. Linguistic meaning is what is demanded by the receiver. The receiver’s demand can be either universal or specific; however, because the neurobiological pattern which is the medium of cognition is universal, the design form should pursue universality. Bayes’ Theorem is a mathematical method that verifies the degrees of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n its own. This study that deals with the uncertainty of a form is expected to be used as a way to judge the universality of a form strategically afterwards.

      • KCI등재

        현대건축의 비정형형태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상호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박상준 ( Sang Jun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건축의 전반적인 형태변화는 디지털패러다임의 영향으로 위계적 형태의 질서를 거부하고, 유기적이며 자유로운 형태를 지향하는 비정형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디자인도구역시 시대와 형태의 유형변화에 따라 발전하고 있으며, 건축을 포함한 형태이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함께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형형태의 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상호관계 분석을 통해, 다양한 비정형형태의 유형분류와 디지털디자인도구 활용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의 비정형형태와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와의 상호관계까지만 설정하였으며, 실제 형태구축의 적용에 관련한 연구는 후속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비정형 관련 연구는 대다수 Parametric, NURBS, 외피구성에 따른 비정형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형태생성을 위한 디자인도구 활용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비정형형태와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정형형태를 Extrude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와 여러 유형으로 분석하여 라이브러리화 하였으며, 비정형형태유형은 2,3장에서, 비정형형태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관계는 3장에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비정형형태의 유형분류를 바탕으로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와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디자인도구의 명령어를 2D, 3D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이러한 상호관계 설정을 바탕으로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 규칙의 조합을 통한 현대건축의 다양한 비정형형태 생성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general conformational changes of architecture refuse the order of hierarchical form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 paradigm, and develop atypical form aiming at organic and free form.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a study on use of digital design Commands and type classification of various atypical forms through an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types of atypical form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In addition, the range of this study sets up the interaction between atypical form of architecture and command language of digital design Commands, and the study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actual form-build will be consistently researched through follow-up studie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informal forms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this researcher analyzes informal forms in various types including Extrude and put it in a library. In chapters 2 and 3 are described informal forms, and in chapter 3 is classified the relations between informal forms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To establish their relations with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informal forms, this study divides design tool commands into 2D and into 3D, defines them, and establishes their correlations. As the result, this study tries to combine the rules of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variety of informal form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 KCI등재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현대디자인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형태 발상은 시각예술의 표현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단계이다. 1980년대 이후 사회 전반적으로 생태학적·친환경적 측면이 강조되면서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에 바탕을 디자인 영역의 형태 발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현대디자인의 사례연구 및 분석을 바탕으로 보편적인 형태발상의 근원으로써 자연 형태의 표현 특성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범위는 자연의 형태와 형태 발상,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현대디자인에 관한 연구, 유기적 형태의 표현 특성 및 현대 디자인의 활용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세부적으로 자연의 형태 발상에 관한 체계적 연구의 시대적 필요성과 사회현상, 자연의 형태 발상의 유형을 분류한다. 또한 자연의 형태에 관한 연구는 건축·제품·시각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형태 발상의 사례연구 및 분석을 한후 디자인 영역에서 유기적 형태의 다양한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 특성 및 활용 가능성에서는 자연의 형태와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 특성, 유기적 형태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생체모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자연은 ‘디자인에 있어 절대로 유행에 뒤쳐지지 않을 단 하나의 원천’이라는 빅터 파파넥의 언급과 같이 자연은 예술의 형태 발상에 가장 근원적인 대상으로 인간의 미적 표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핀스트왈트가 Form Follows Nature에서 언급한 ‘형태는 자연을 따른다, 문화에 따라 형태를 배출한다’와 같이 자연의 현상과 구조에서 발견한 원리를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자연의 형태나 기능을 모방하여 적용하는 ‘생체모방’을 활용한 자연과학과 디자인 등의 학제 간 연구가 활발하고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한다. ‘형태는 자연을 따른다’는 말처럼 생체모방에 바탕을 둔 자연의 형태발상은 현대 디자인의 영역에서 발상의 기본 구조, 조형의 구성 원리, 보편적 아름다움의 기준으로서 디지털 시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자연의 형태에서 발견하는 비례·색채조화·구조·재질 등은 시대와 문화권·개인의 취향·과거와 현재를 뛰어넘는 ‘보편적’ 조형의 원리이자 보편적 아름다움이라 할 수 있다. 특히 21세기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가상현실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면서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디자인 연구는 학제간 융합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 기계공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The idea conception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phase for the expression of visual art. Since the 1980, the ecological factors were generally highlighted,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nature in the form of the design are, research on the idea going on actively. This study proposes expressive characteristics for natural form and potentiality of active usage as a source of morphogenetic based on standard study for modern design, activating to natural organic form & analysis of subject to study.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follow. The range of the study of natural forms and shape, modern design, utilizing organic forms of nature on the systematic study of the historical necessity and a social phenomenon, the idea of natural form are being composed.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nature form study, products & visual design is centered. Ideas on nature in the form of detailed systematic study of the historical necessity and a social phenomenon, the natural form of thinking is classified, but also in the form of research on natural building product and visual design, mainly in the region of the subject study form generation and analyzing a variety of organic forms in the design area, then take advantage of modern possibilities are presented. The Nature ``do not fall behind the trend as a single source design``, Victor Papanek mentioned, it is most fundamental ideas in visual arts for human aesthetic expression. We need to apply positively the design principles that are found in the structure and behavior of nature, as Rudolf Finsterwalder mentioned ``form follows nature, culture cradles form`` from his book Form Follows Nature. And also, we expect, there is a need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be actively proceed: mimic the natural form or function of ``biomimicry`` in natural science and design. The idea conception of natural form, as a phrase ‘form follows nature, based on biomimetic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rn design as an idea of the basic structure, the principles of plastic elements, the universal standards of beauty. The proportion, color, harmony, structure, materials found in the natural form which go beyond the era and culture, personal taste of the past and present as an universal principles of formative arts and universal beauty. The shape of the modern architecture of the natural product and visual design area in the form of ideas, while the most basic role in the 21st century, the town council of the new technology is anticipa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 KCI등재후보

        비정형 건축디자인의 형태분류에 관한 연구

        박상준(Park, Sangjun),이경훈(Lee, Kyunghoon),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4

        비정형의 개념은 디자인에 새로운 조형언어를 생성시키고 과거와는 다른 다양하고 역동적인 공간, 비기하학적인 형태 및 공간, 다양하고 독창적인 형태로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디자인에서의 비정형은 창조적인 조형 언어로 표현되며, 기존의 유클리드 기하학적 공간 해법과는 다르게 시도되는 새로운 디자인 표현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비정형의 복잡한 곡면과, 유동적 또는 유선형으로 대변되는 비정형 형태를 완성하기까지는 다양한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비정형 형태 생성 방법이 반드시 필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의 형태를 분류하고 비정형의 형태요소와 인자의 분석을 통하여 비정형 형태분류 체계를 구축하였다. 1990년 이후의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분석된 본 연구는 비정형의 형태를 파악하고, 유형의 용도별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정형 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정형 형태요소와 형태인자를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실제 비정형 형태를 적용시키기 위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형태 분류 결과, 비정형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형태생성 요소 및 인자가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생성요소에 적절한 대응을 위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프로세스 및 형태 생성방법을 필요로 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디자인도구의 기능 적용을 통해 비정형 형태를 도출하는 디자인 방법의 선행 연구와 디지털디자 인도구의 적용방법을 연구하는 선행 연구로서의 가치가 있다. 디지털디자인도구의 속성의 이해와 함께 비정형형태 분류에 의한 추론알고리즘에 관한 부분은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An atypical concept offers an infinite possibility in various, creative forms by forming new figurative language in design and creating various, dynamic spaces, non-geometric forms and spaces, and natural shapes in area. In design, the atypical concept is expressed in a creative figurative language, which is new way to express design. Expecially in completing an atypical complex curved surface and an atypical form representative of a flexible or streamline form, various methods are required, so to achieve this, a way to generate an atypical form will be an essential factor. In this study, the atypical form was classified and the system of atypical form classific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atypical form element and factor. This study that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works after 1990 figured out the atypical form and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 for each usage. And it classified them into atypical form element and form factor to analyze the atypical form. Such classification can be used as a database to apply the actual atypical form. As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form, it could be recognized that the element and factor of generating the form are used in complex way to produce the atypical form. So, it would be the reasonable result that the proces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form that is appropriate for each characteristic are required to correspond to form-producing-element that is used in complex wa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previous study on design methods to produce atypical forms through the application of digital design tools and that on methods to apply those design tools. As for heuristic algorithm by the properties of classification of atypical form factors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properties of digital design tools, continuous studi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

        ‘나의 포-름’: 문신의 ‘플라스틱 아트’와 선적인 형태

        정은영 미술사연구회 2022 미술사연구 Vol.- No.43

        After attempting a serious change of artistic career from painting to sculpture in the late 1960s, Moon Shin (1922~1995) devoted himself to creating his unique sculptural form for over thirty years. The strong presence or intense vitality of his sculptures comes not from their resemblance to living things such as insects or plants, but rather from their clear and solid form itself, which appears to exist as a seemingly unidentifiable, self-sufficient entity in its own. In order to emphasize his unique form, which he called himself “my form”, he carefully selected the materials that could bring the form to the fore most effectively, and removed all unnecessary elements, including matière (rugged texture), to make the surface of the wood or metal extremely polished and smooth. This sculptural method started right after he showed three-dimensional irregular sculptures that he called “plastic arts” at his second going-to-France exhibition in 1967, and continued to persist until he passed away. This study deals with Moon Shin’s sculptural work that he called “plastic arts” from the perspective of a ‘creation of form’; it particularly focuses on his ‘linear’ style that emphasizes only the form with clear contours and smooth surfaces. Thus, the main interest of this paper lies not in examining the iconographical content of his form, but in analyzing the formal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his forms and the process of creating such forms. To this end, the author makes a theoretical reference to Henri Focillon’s concept of ‘form’ and Heinrich Wölfflin’s notion of ‘linear’ style. In the analysis of Moon Shin’s works, the author discusses both his drawings and sculptures; his ‘linear form’ is conceived in drawings and materialized as sculptures; if a form comes into being in a drawing, the fully embodied form is constructed in sculpture. As such, this paper illuminates the ways in which two-dimensional forms born out of the act of ‘drawing a line’ are materialized into three-dimensional sculptures with ‘concrete quantities’. Moon Shin’s ‘linear forms’ are accentuated by clear contours, dynamic symmetries, and smooth surfaces; by closely attending such formal aspects and work processes, the author attempts to suggest the ontological implications ‘the act of creating linear forms’ had for the sculptor and the man Moon Shin. 문신(1922~1995)은 1960년대 후반 회화에서 조각으로 본격적인 방향 전환을 시도한 이후 30여 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자신의 고유한 조각 형태를 창조하는 데에 매진하였다. 그의 조각이 지닌 강렬한 존재감이나 강한 생명력은 그것이 곤충이나 식물 등의 생명체를 닮아서가 아니라 오히려 정체를 알 수 없지만 어떤 독립적인 실체로 존재하는 듯한 분명하고 견고한 그 형태 자체에서 나온다. 문신은 스스로 ‘나의 포-름’이라 불렀던 자신만의 고유한 형태를 강조하기 위해 형태 자체가 가장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는 재료를 엄선했고 마티에르를 포함한 일체의 부수적인 요소들을 제거하며 목재나 금속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했다. 문신의 이러한 조각 작업 방식은 1967년 제2차 渡佛에 즈음하여 그가 자신의 3차원 조형물을 ‘플라스틱 아트’라 칭하며 본격적인 입체 조형을 선보인 직후 급격하게 시작되었고 그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본 연구는 문신이 ‘플라스틱 아트’라 칭했던 조각 작업을 ‘형태의 창조’라는 ‘조형’의 관점에서 다루되, 분명한 윤곽선과 매끄러운 표면으로 오직 형태만을 강조하는 그의 ‘선적인’ 양식에 집중하여 그 조형적 특징을 분석한다. 본고의 주요 관심은 문신의 이러한 ‘선적인 형태’가 지닌 형식적·양식적 특징과 그 형태가 조형되는 양상을 면밀하게 기술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앙리 포시용(Henri Focillon)의 ‘형태’ 개념과 하인리히 뵐플린(Heinrich Wölfflin)의 ‘선적인’ 양식을 중심으로 ‘선적인 형태’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이론적인 참조 틀을 마련할 것이다. 작품과 작업의 분석에 있어서는 문신의 드로잉과 조각을 함께 다룬다. 문신의 ‘선적인 형태’는 드로잉에서 잉태되어 조각으로 실체화되는 바, 드로잉에서 형태가 도래한다면 조각으로 형태가 구축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선을 긋는’ 행위에서 탄생하는 2차원의 형태가 ‘구체적인 양’을 지닌 3차원의 형태로 실체화되는 문신의 작업이 고유한 형태를 조형하려는 그의 ‘플라스틱 아트’ 개념에 근본적으로 맞닿아 있음을 확인할 것이다. 나아가 명료한 윤곽, 확고한 균제, 매끈한 표면이 돋보이는 그의 ‘선적인 형태’와 조형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영속적이고 항구적인 ‘형태를 만드는 행위’가 인간 문신에게 어떤 존재론적 함의를 지니고 있었는지 조심스럽게 헤아려볼 것이다.

      • KCI등재

        기업조세의 법형식 중립성 원칙

        박승재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학 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기업형태의 다양화와 관련한 과세방식의 적정성 여부를 다루고 있다. 최근 들어 기업들의 활동영역이 국제화되면서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기업형태들이 국내에 진출하는 사례가 늘어나 이에 대한 과세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종래 우리의 기업과세제도는 경제적 실질과 법 형식 사이에 괴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인격의 유무에 따라 법인세 혹은 소득세를 부과하는 단순한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 등의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적용받는 기업형태들이 진출해 옴에 따라 이에 대한 과세의 근거법률을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정부는 기업형태의 다양화에 부응하는 조세체계를 마련하고자 미국식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파트너십 과세제도는 기업내부의 기업단계와 출자자단계의 이중과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수직적 측면의 접근법이기 때문에 기업외부의 다양한 기업형태 사이의 조세중립성 문제는 해결할 수가 없다. 즉, 파트너십 과세제도가 도입되면서 세법에서 이 제도의 적용범위를 합명회사와 합자회사, 일부 유한회사 형태의 전문직 기업 등에 한정함으로써 수평적으로 상호 경쟁하는 기업들 간에 어떤 기업형태는 소득세만 납부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주고, 어떤 기업형태는 법인세와 소득세를 각각 납부하게 하는 조세차별 문제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단지 기업의 법적형태가 다르다는 이유로 조세의 차별을 받게 되는 것이다. 정부의 정책적 목적을 감안하더라도 조세제도가 특정한 기업형태에 조세특례를 집중한 것에 대해서는 그 정당성을 인정하기 어려우며, 공평과세 측면에서 헌법적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조세제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법형식을 만들어 놓은 것에 대해서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즉, 조세는 개개의 법형식에 대해서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말은 납세의무자가 법형식을 기술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조세부담을 부당히 줄이려는 행위를 할 원인을 제공해서는 아니 된다는 것이다. 물론 개개 기업의 실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담세력을 파악할 수 있는 조세체계의 마련이 중요하지만 조세체계 내에서 납세의무자가 법형식의 선택을 통해 조세회피행위를 할 유인이 되도록 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기업의 유익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기업형태를 만들어야 한다는 상법적 시각에서의 논의는 자칫 기업의 이익을 위해 세법을 거기에 적응시켜 달라는 논의로 비쳐질 수 있다. 세법의 체계성과 실질적 법치국가원리 및 조세부담의 공정한 분배라는 측면에서 법형식 여하를 불문하고 적용하여야 할 세법적 원리가 있음을 감안하여야 한다. 원래 기업과세 분야는 복합적인 측면이 있다. 기업내부의 수직적 측면에서는 이중과세 문제가 있고, 경제활동을 하는 시장에서의 수평적 측면에서는 기업형태별 공정한 과세방식의 적용문제 등이 있다. 이들 문제는 어느 한 측면만을 가지고 접근해서는 해결할 수가 없다. 오히려 조세중립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최근 도입한 동업기업 과세제도의 경우에도 합명회사와 합자회사 등의 기업형태에 특별히 과세특례를 부여함으로써 기업형태별 조세중립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들 일부 기업형태에 대해서는 과세특례를 적용하여 이중과세 문제를 제거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동 제도의 적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조 ...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ether the existing business taxation method is appropriate or not, which is recently issued as the business forms are getting more diverse. As the range of business activities is expanded to the world, new types of business entity more often access to domestic market, so recently the taxation method becomes controversial. A previous taxation system seemed to be simple because it has accessed the corporate income tax or the individual income tax, jus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incorporation. As the business entity, applied by a partnership taxation expands to domestic market from U.S. and so on, it is hard for the government to find a legal basis to impose tax. As a result, the government introduced "Partnership Taxation" to the business income taxation, which can be the way to deal with the diversification of business forms. Partnership Taxation, however, could not solve the matter of neutrality among the various business forms, because it was vertically focused on solving the problem of double taxation between the investors and corporation within a single corporation. That is, as "Partnership Taxation" is applied only to the limited, unlimited company and the certain type of incorporated companies, the discrimination has emerged, so some forms of business entity should pay the individual income tax, while others pay the corporate income tax, only due to the difference of business form.Of course it is understandable the government's intention to restore non-incorporated firm, which has not been popular under the previous Korean business law. However, it is not justifiable for the taxation system to concentrate tax favors on the certain type of business entities, and it would make a constitutional problem violating an aspect of equal taxation. Taxation should be neutral among business forms. That means, the taxation system should not provide taxpayers to some reasons of unfairly reducing their tax burden, by choosing one among those various business forms. There is a discussion from the view of the business law, saying that various business forms are necessary for business profit. That can be shown as the logic that the tax law has to be applied for corporation’s profit. However, peopl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ultimate principle of taxa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business forms, from the aspect of systemicity of tax law, a principle of constitution and the equal distribution of tax burden. The field of corporate income taxation is a kind of complex one. Vertically, there is a problem of double taxation within a single corporation, and horizontally, there is also an application matter of an equal taxation in a competitive market. Those problems seem to be hardly solved when they are dealt with from a single aspect. If so, that can aggravate the neutrality of taxation. In case of a recently introduced "Partnership Taxation", it particularly gave tax favors on the forms of limited and unlimited company so it damaged to the neutrality of taxation. Fundamentally, the business taxation should be neutral to the forms of law(types of business entity). Therefore, the request for the neutrality of taxation requires legal judgement according to a constitutional value;efficiency and equality. Efficiency, fair competition and request for the equal taxation are basic principles that should be based on when lawmakers set up the taxation system, and are standards of legal judgment. If a certain taxation system violates the above rules excessively, it would be unconstitutional one that infringes the human rights. Of course people should not judge the system unconstitutional, just because it is inefficient or unequal. It should be judged carefully by considering whether it is reasonable difference or restriction.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fact that the complicated problems of the business taxation will be never solved with the existing income taxation system. Therefore, I would l...

      • KCI등재후보

        디자인에 적용된 유기적 형태에 관한 연구

        강병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1

        A value is being delivered in various routing line of form, function, meaning etc. and is used by a tool that maximize satisfaction user's other sex and the sensitivity enemy the modeling enemy who appear in all designs. Also, worry thing which is many on contradictory constituent called usability and among a lot of problems that great many designers meet in process that unfold design. Is created from beginning of the world and nature mode of life that is providing origin of all artificial forms evolving is solving a lot of design problems by rationality of the form and function and order created in nature is becoming important motive of design form study. Thus, form formed according to growth of natural phenomenon, creature is called organic form, all organisms of nature do peculiar state that have pattern of oneself adjusted orderly form and structure, and form that organisms are seen individually contains infinite variety. All forms of nature are origin of infinite form study in design, and human flows out the essential order creatively and have utilized by form of design. Each form seen in nature combines with special purpose even if has other reaction sensuously and is in design application. This includes forms that have some specific purpose as well as meaning as figurative element and rationality that feel beauty darkly aesthetically. This studies wish to define on example whether characteristic and designs applied with principle of nature are being expose by some rationality and value through design process that analyze organic forms that are used and are approached variously in design environment, and also reflect organic element. 모든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가치는 형태, 기능, 의미 등의 다양한 경로로 전달되어지며 사용자의 이성 및 감성적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도구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수많은 디자이너들이 디자인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만나는 많은 문제들중에서 사용성과 조형성이라는 상반되는 요소로 많은 고민을 하기도 한다. 태초부터 생성되고 진화하면서 모든 인공적 형태의 근원을 제공하고 있는 자연생태는 그 형태와 기능의 합리성으로 많은 디자인 문제들을 해결해 주고 있고 자연에서 생성된 질서는 디자인 형태연구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연현상이나 생물의 성장에 따라 형성된 형태를 유기적 형태라고 부르는데, 자연의 모든 유기체들은 스스로 조절되는 질서 있는 형태와 구조의 패턴을 지닌 고유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각기 유기체들이 보여주는 형태는 무한한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다. 디자인에 있어서 자연의 모든 형태는 무한한 형태연구의 근원이며, 인간은 그 본질적 질서를 창조적으로 유출하여 디자인의 형태로 활용해 왔다. 자연에서 보여 지는 각각의 형태는 감각적으로 다른 반응을 갖고 있으며 디자인 적용에 있어서도 특수한 목적과 결합한다. 이것은 막연히 미적으로 아름다움을 느끼는 조형적인 요소로서의 의미만이 아니라 어떠한 구체적인 목적과 합리성을 가지고 있는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환경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접근되어진 유기적 형태들을 분석하며, 또한 유기적 요소를 반영한 디자인프로세스를 통해 자연의 특성과 원리를 바탕으로 적용되어진 디자인들이 어떠한 합리성과 가치로 나타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해서 정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비정형 건축형태에 나타난 디지털디자인도구의 형태생성 과정과 속성에 관한 연구

        박상준 ( Sang Jun Park ),홍관선 ( Kwan Seon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건축 또는 실내공간의 형태 구축에 있어서, 디자이너들마다 형태를 생성, 변형, 구축하는 방식은 서로 다르지만, 각자의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해 디지털디자인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비정형의 복잡한 곡면과 유선형으로 대변되는 비정형 형태를 완성하는데 있어서는 다양한 방법이 요구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비정형디자인의 형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비정형 디자인의 사례를 분류하였고, 비정형의 형태 분석을 위하여 비정형의 형태를 10개의 형태요소로 분류하고, 각각의 요소에 맞는 34개의 인자로 분류하여 비정형 작품사례에 적용 하였다. 그리고 디지털디자인도구의 언어 분석을 통하여 비정형의 형태요소 및 인자, 디지털디자인도구의 상호관계를 정리 하였다. 그 결과 비정형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형태생성 요소 및 인자가 단일 혹은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형태 요소 및 인자는 그 속성이 비정형 형태생성의 언어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점차 다양하고 복잡해져 가는 비정형 형태에 적절한 대응을 위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프로세스 및 디지털디자인도구의 형태생성 과정과 속성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Designers` methods to create, change, and build forms in building forms of architecture or interio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y are using digital design tools to express each design. Especially, various methods are required to complete freefrom forms which represent freeform complicated curved surfaces and streamline forms. Analyses on forms of freefrom design must be required to realize it. This study classified freeform design examples by analyzing the precedent studies, classified freeform forms into 10 form elements to analyze them, and applied freeform work examples by classifying them into 34 factors. And it arr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form form elements and factors and digital design tools through the analysis on languages of digital design tools. The result could be found that elements and factors to create forms are independently or complexly used to create freeform forms and their attributes become a language to create freeform forms. And studies on the process which meets each characteristics, the process to create digital design tools` forms, and their attributes are required to respond to freeform forms which gradually get to be various and complicated properly.

      • KCI등재

        비정형 디자인의 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박상준 ( Sang Jun Park ),홍관선 ( Kwan Seon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패러다임의 변화, 디지털디자인도구의 발전은 형태를 재현하는 방법에서부터, 개념의 생성, 형태구축방식, 형태구성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디자이너에게도 다양한 디자인의 가능성을 부여하였다. 디자이너들마다 형태를 생성, 변형, 구축하는 방식은 다르지만, 각자의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해 디지털디자인도구를 사용하고, 그 기술을 디자인 과정에 적용시켜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형태화한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해결 할 수 없었던 표현들이 디지털디자인도구를 통해 가능해진 것이다. 특히 비정형의 복잡한 곡면과, 유동적 또는 유선형으로 대변되는 비정형 형태를 완성하는데 있어서는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비정형디자인의 형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1990년 이후의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분석된 본 연구는 비정형의 형태를 파악하고, 유형의 용도별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비정형 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정형 형태요소와 형태인자를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실제 비정형 형태를 적용시키기 위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는 디지털디자인도구의 기능 적용을 통해 비정형 형태를 도출하는 디자인 방법의 선행 연구로서 가치가 있으며, 향후 비정형 디자인의 형태요소 및 인자 분석을 통하여 비정형 디자인의 형태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hange in paradigm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sign tools brought much change from an architectural form reproduction, a conceptual generation, and a form construction method to a form constitution, and granted an possibility of various designs to designers also. Depending on designers, their way to generate, transform, and construct forms are different, but they use digital design tools to express their own design, and apply the design and formalize it to show the same design. This means that expressions not solved in the existing way became possible through digital deign tools. Expecially in completing an atypical complex curved surface and an atypical form representative of a flexible or streamline form, various methods are required, so to achieve this, a way to generate an atypical form will be an essential factor. This study that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works after 1990 figured out the atypical form and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 for each usage. And it classified them into atypical form element and form factor to analyze the atypical form. Such classification can be used as a database to apply the actual atypical form.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previous study on design methods to produce atypical forms through the application of digital design tools and that on methods to apply those design tools. In this study, the atypical form was classified and the system of atypical form classific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atypical form element and factor.

      • KCI등재

        박물관의 비정형 건축형태와 중심공간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박상준(Sang-Ju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박물관 건축의 작품 중 특별 전시의 기능을 제외한 상설전시가 주를 이루는 박물관을 중심으로 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나타난 정형, 비정형, 세그먼트, 사선형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164건의 작품사례에 적용한 결과 건축형태를 비정형, 정형, 반정형, 세그먼트, 사선형, 선형으로 재분류 하고, 박물관 건축 형태와 중심 공간과의 상관성의 유무를 유추함으로써 비정형 건축형태와 중심공간과의 관계가 성립하는가를 도출하고자 다음과 같이 내용을 정리하였다. 전체적으로 대부분 비정형박물관건축형태와 일치하는 중심공간의 비정형 형태로서 92.7% 분포도를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으로 박물관 비정형 건축형태가 다수 나타났으며 정형보다는 비정형 건축형태에 있어서 중심공간과의 상관성이 성립되는 것으로서 향후 박물관 건축형태는 비정형이 지속적으로 발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중심 공간 실내건축 설계는 건축형태와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설계를 지향하는 기초적 근거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useums mainly holding permanent exhibitions except for the function of special exhibition in museum architectural works.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possibility to establish the 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form and central space of museums, by applying the forms like formal form, informal form, segment form, and diagonal form shown through a case study to total 164 work cases, reclassifying the architectural form into informal form, formal form, semi-formal form, segment form, diagonal form, and linear form, and then analogizing the matter of cor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form and central space of museums. The relevant conten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most of the central spaces according with the informal architectural form of museums were the informal form, which showed 92.7% distribution rate. overall, there were many cases of informal architectural form of museums. Compared to the formal form, the informal architectural form showed the higher correlation with central space. The informal architectural form of museums is estimated to be continuously developing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basic data aiming for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central space and architectural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