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태의 표현 형식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대상의 윤곽을 형태라고 할 때 형태는 지각된 윤곽에 의해 추리된 표현이다. 추리는 표현의 형식이다. 즉 지각된 형태와 표현된 형태는 형식에 의한 것이다. 형식은 보편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현의 형식에 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형태는 비감각적으로 지각된 도형과 감각적으로 지각된 도형으로 구분되며 형태는 그런 도형들을 매개로 표현되기 때문에 연구의 대상은 표현의 매개인 기하학적 도형이다. 감각적 형태는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 그리고 비감각적 형태는 기하학적 관점에서 논의된다. 논의를 바탕으로 헤겔의 추리와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에 대입하여 도출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도출한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각된 형태는 추리되어 기하학적 형태로 표현된다. 표현된 형태는 의미를 지닌다. 의미를 지닌 형태는 객관적 형식에 의해 표현되거나 주관적 형식에 의해 표현된다. 객관적 형식에 의한 표현은 상징적이고 주관적 형식에 의한 표현은 규정적이다. 상징은 무엇인가를 의미하는 것이고 규정은 의미로서 기호이다. 따라서 형식에 의해 표현된 기하학적 형태는 의미를 지닌 상징이거나 기호이다. 상징과 기호를 통한의미 전달을 디자인이라고 할 때 형태의 표현 형식에 관한 연구는 디자인에 관한 것이다. 기하학적 도형으로 디자인된 형태는 무엇인가를 의미하는 상징이거나 의미로 규정된 기호이기 때문이다. If the outline of an object is a shape, the shape is the expression inferred by the perceived outline. Inference is the form of expression. In other words, both the perceived and expressed shapes are based on the forms. The forms are general. Thu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orm of expression and takes the following method for it. Shapes are divided into either sensibly or unsensibly perceived figures. Since shapes are expressed with those figures as their med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geometric figures which are the media of expression. Sensible shapes are discussed from a neurobiological perspective while unsensible shapes are by a geometric viewpoint. Based on the discussion, the study draws results by substituting it to Hegelian inference as well as Wittgenstein`s logic. And with the method, the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 results: perceived shapes are inferred and then expressed as geometric shapes. And the shapes expressed have their own meaning. The shapes equipped with meaning are expressed by either objective or subjective forms. The expression based on objective forms is symbolic whereas that based on subjective forms is defining. Symbol is what defines something while definition is a sign as meaning. Therefore, the geometric shapes expressed by forms are either signs or symbols with meaning. When we say that design is the delivery of meaning through symbols or signs, the study on the expressed form of a shape is what is about design. It is because the shape designed with geometric figures is either a symbol that means something or a sign defined as some kind of meaning.

      • KCI등재

        기억된 이미지의 변증법적 의미와 공감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대학생 3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상기된 이미지의 분석과 상기된 이미지의 공감 반응의 강도를 분석하여 디자인이 독창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변증법적 의미와 공감의 구조를 라캉과 퐁티의 이론에 근거한 도식을 통해 탐구함을 배경 및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장미``와 ``사랑``에 대해 상기되는 이미지의 수와 비율을 분석함과 동시에 상기된 이미지를 중복된 이미지와 중복되지 않은 이미지로 분류하고 전자는 중복된 비율로 후자는 무작위로 각각 1개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공감 반응과 구조를 의미의 변증법을 통해 분석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연구에서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상에서 상기되는 이미지는 5개 이내이다. 즉, 디자인 표현에 사용되는 이미지는 5개 이내에서 결정된다. 상기된 이미지는 대상과 주체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에 의해 생성된 의미이며 객관과 주관이 황금비율()에 근사한 비율로 표현되었다. 상기된 이미지는 객관적인 대상으로 변형되어 공감 반응된다. 공감은 대상과 주체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에 의하기 때문에 긍정과 부정이 상호 내재된 표현이다. 즉, 공감은 긍정과 부정이 황금비율()에 근사한 비율로 구조화된 표현이다. 객관이 내재된 디자이너의 표현은 대상의 잉여로서 부정의 표현이다. 부정의 표현이 곧 독창성이다. 부정의 표현은 객관화된 대상에 의해 억압된 디자이너의 욕망으로서 상징이다. 객관적으로 대상화된 디자인은 대중과 소통할 수 없기 때문에 부정의 표현은 사회적 통념이 지양된 소통으로서 독창성의 개념이 된다. 디자인 행위에서 공감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공감은 소통으로 디자인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디자인 소통의 전제는 독창성이다. 의미는 주체가 추구하는 목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객관적일 수 없다. 따라서 디자인의 대상이 독창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당위성이 여기에 있다. This study analyzes recalled images and the intensity of sympathetic responses of recalled images with a survey to 37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ppropriateness to express design originatively and explore the dialectic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sympathy through the schemata grounded on Lacan and Ponty`s theory at the same time as its background. In this study, we assess the number and ratio of images reminded by ``rose`` and ``love`` and classify such images into overlapped ones and non-overlapped ones. One of the former images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overlap, and one of the latter images was selected randomly, in order to analyze the reaction and structure of sympathy via the dialectic of meaning.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written below: The images recalled from an object are fewer than five. In other words, the images used to express design are determined as within five. A recalled image is the meaning generated from dialectic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the subject are expressed as a ratio approximate to the golden ratio(). The recalled image is transformed into an objective object and becomes a sympathetic response. Sympathy depends on dialectic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the subject, so it is the expression that mutually internalizes affirmation and negation. In other words, sympathy is the expression that affirmation and negation are structuralized as the ratio approximate to the golden ratio(). Designer`s expression internalizing an object is the expression of negation as the surplus of an object. The expression of negation is the very originality. The expression of negation is symbol as designer`s desire suppressed by an objective object. Since design objectified objectively cannot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e expression of negation becomes the concept of originality with the communication in which the common notion of society is sublated. In the behavior of design, sympathy has crucial significance. It is because sympathy becomes the essence of design through communication. The premise of design communication is originality. Meaning is determined by the purpose pursued by the subject, so it cannot be objective. Therefore, there lies the appropriateness to express an object of design originatively.

      • KCI등재

        상징성의 형태와 표현에 관한 연구

        고재성(Koh, Jae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논리적 가설에 의한 상징성의 정도를 이해함과 동시에 상징적 형태가 갖는 의미와 소통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준거를 탐구함으로서 디자인 비평을 위한 보편적 상징체계를 이해함에 있다. 형태는 직선으로 구성된 형태와 곡선으로 구성된 형태 그리고 직선과 곡선으로 구성된 형태로 구분된다. 표현된 형태는 상징성을 갖는다. 상징성은 형태적 측면과 표현적 측면에서 분석된다. 형태적 분석은 소통과 의미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준거이고, 표현적 분석은 논리적 가설에 의한 상징성의 정도를 이해하는 방법이다. 형태적 분석은 감각과 지각에 관한 과학적 이해가 요구되고, 표현적 분석은 라캉의 이론, 변증법적 논리, 게임이론, 베이스 정리, 정보이론, 게슈탈트 등의 이해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요구되는 부분을 이해하고, 올림픽 엠블럼을 대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확률적 상태에 있는 표현의 논리적 결합관계를 분석하면 상징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징성의 정도는 의미적 잡음이 발생할 확률과 관계한다. 즉 상징성의 정도가 높다는 것은 의미적 잡음이 발생할 확률이 낮다는 것이다. 즉 수신자가 해석할 정보가 없거나 적다는 것이다. 즉 형태에 특이점이 없거나 적다는 것이다. 상징성의 정도가 높은 형태의 표현적 속성은 은유이다. 은유에 의해 상징화된 형태는 의미보다 소통의 가치를 추구한 것이다. 상징성의 정도가 낮다는 것은 의미적 잡음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즉 수신자가 해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3석할 정보가 많다는 것이다. 즉 형태에 특이점이 많다는 것이다. 상징성의 정도가 낮은 형태의 표현적 속성은 환유이다. 환유에 의해 상징화된 형태는 소통보다 의미의 가치를 추구한 것이다. 가치판단의 척도는 특이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niversal symbol system for design criticism by understanding the degree of symbolism by logical hypothesis and exploring the criteria that can judge the meaning of symbolic form and the value of communication. The form is divided into a form composed of straight lines, a form composed of curves, and a form composed of straight lines and curves. The represented form has symbolism. Symbolism is analyzed in terms of morphological and expressive aspects. Morphological analysis i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value of communication and meaning, and expressive analysis is a way of understanding the degree of symbolism by logical hypothesis. Morphological analysis requires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senses and perception. Expressive analysis requires understanding of Lacan"s theory, dialectical logic, game theory, Bayes"s theorem, information theory, and Gestalt. Therefore, this study consists of understanding the required parts through the literature and analyzing the Olympic emblem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By analyzing the logical conjunction of expressions in probabilistic states, the degree of symbolism can be grasped. The degree of symbolicity is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emantic noise.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symbolism,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emantic noise. That is, the recipient has little or no information to interpret. That is, there is no singularity in shape or it is small. The expressive attribute of a form with a high degree of symbolism is metaphor. The form symbolized by metaphor pursues the value of communication rather than meaning. The low level of symbolism means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emantic noise is high. That is, the recipient has a lot of information to interpret. That is, there are many singularities in the form. The expressive attribute of the form with low degree of symbolism is metonymy. The form symbolized by metonymy seeks the value of meaning rather than communication. The measure of value judgment is singularity.

      • KCI등재

        게임이론에 의한 디자인 표현 전략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성공 가능한 디자인 표현 전략을 게임이론을 통해 탐구함을 배경 및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학생 3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구체적대상 ‘기차’와 추상적 대상 ‘슬픔’에 대해 상기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중복된 이미지와 중복되지 않은 이미지의 비율을 분석하고 전자는 중복된 비율로 후자는 무작위로 각각 1개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긍정과 부정의 비율을 분석한다. 분석된 비율을 제로섬게임 모형에 대입해 성공률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 표현 전략에서 구체적 대상 ‘기차’는 개연성이 약한 부정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추상적 대상 ‘슬픔’은 개연성이 강한 긍정의 이미지를 선택할 때 성공 가능성이 높게 된다. 가능성에 기반 한 디자인 표현에서 게임이론은 디자인 표현 전략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design expression strategies with possibility of success through game theory, and the study adopts the following method. With a survey to 37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analyzes the images recalled for a concrete object ‘train’ and an abstract object ‘sadness’ and analyzes the ratios of duplicated images and non-duplicated images. The ratios of affirmation and negation are analyzed by choosing an image respectively in case of the former with duplicated ratios and the latter randomly. Substituting the analyzed ratios to a zero-sum game model, the study constructs a method to explore the success rate. The results gained through this method are as follows: Regarding design expression strategies, possibility of success becomes higher when for the concrete object ‘train’, the negative image with low probability gets chosen, and for the abstract object ‘sadness’, the positive image with high probability is selected. In the design expression in which based on the possibility, game theory may be able to build methodology for design expression strategies.

      • KCI등재

        표현의 중복성과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연구의 목적은 정보이론에서 정의하는 중복성과 불 확실성의 개념을 표현에 적용해 봄으로서 표현의 수량화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정보이론이 기억에 의한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음을 제안함에 있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설문을 통해 예측 가능한 대상의 표현을 분석한다. 표현에서 중복된 표현과 중복되지 않은 표현을 분석한다. 표현이 중복되는 확률이 중복성이다. 중복성은 대상이 표현될 가능성이다. 중복되는 확률을 정보이론에 대입해 표현의 불확실성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현의 본질은 의미의 소통이다. 표현은 중복성과 불확실성을 동시에 지닌다. 중복성은 의미와 관계하며 불확실성은 소통과 관계한다. 표현을 소통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으로 구분할 때 표현의 중복성이 높다는 것은 의미적 측면에서는 통속적이지만 표현의 불확실성은 낮게 되어 소통적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것이 된다. 표현의 불 확실성이 높다는 것은 소통적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이지만 표현의 중복성은 낮게 되어 의미적 측면에서는 독창적인 것이 된다. 표현의 중복성과 불확실성을 파악하면 소비자의 필요에 의한 전략적 디자인이 가능하게 된다. 디자인의 소통적 측면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 있는 반면 의미적 측면을 필요로 하는 대상도 있고 둘 다를 필요로 하는 대상도 있기 때문이다. 표현은 대상에 대해 통속적 의미인지 독창적 의미인지 그리고 얼마의 판단으로 표현된 것인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런 상태를 수량화하면 표현에 대한 과학적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대상에서 예측 가능한 표현이 중복된 것인지 중복되지 않은 것인지 즉 대상에 대해 통속적 의미인지 독창적 의미인지를 판단하는 중복성 그리고 표현이 판단되는데 필요한 횟수 즉 정보량을 파악하면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따라서 표현의 중복성과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는 소비자의 기억에 의한 표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 될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it is possible to quantify expression and to propose that information theory can be a method to scientifically interpret expression by memory by applying the concepts of redundancy and uncertainty as defined by information theory. The research method is constructed as follows. Predictable expressions of subjects are analyzed through a survey. Repeated expressions and unrepeated expressions are analyzed. The probability that an expression will be repeated is redundancy. Redundancy is the probability that a subject will be expressed. The uncertainty of expression is then explored by applying redundancy to information theory. Conclusions drawn through this method are as follows. The nature of expression is the communication of meaning. Expression possesses redundancy and uncertainty simultaneously. Redundancy is related to meaning and uncertainty is related to communication. When expression is divided into communicative aspects and semantic aspects, high redundancy of expression is common from a semantic aspect but because there is low uncertainty of expression, it is effective from a communicative aspect. If uncertainty of expression is high, then this is ineffective from a communicative aspect but because redundancy of expression is low, it becomes unique from a semantic aspect. If the redundancy and uncertainty of expression is understood,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rategic design that lies upon the needs of consumers. While there are subjects that need the communicative aspect of design, there are subjects that need the semantic aspect and those that need both. It is not known whether expression has a common meaning or a unique meaning of a subject or by how much judgment it has been made. If such a state is quantified,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expression is possible. If whether a predictable expression of a subject is a repeated one or an unrepeated one, or in other words, if the redundancy which judges whether an expression has a common meaning or a unique meaning of a subject is understood along with the number of times needed to judge an expression, or in other words, its amount of information, then expression can be interpreted scientifically. Therefore, a study regarding the redundancy and uncertainty of expression can become a method to scientifically interpret expression by consumer memory.

      • KCI등재

        변증법적 원리에 의한 무의식적 메시지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디자인의 메시지가 변증법적 원리에 의한 무의식적 사고에 기반 한 것임을 논의와 적용을 통해 탐구함과 동시에 소통적 상호작용에 의한 정보의 부호화를 이해하고 디자인의 상징적 이미지가 유추에 의한 아이디어의 차원을 넘어 변증법적 논리체계에 의한 무의식의 표현체임을 밝혀보고자 함에 있다. 따라서 변증법적 부정과 은유에 의한 무의식의 논의가 디자인 메시지에 적용되었음을 연구의 대상을 통해 확인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2011년시각디자인부분 특선 이상의 입상작품 중에서 이미지가 결합된 작품 두 편으로 한다. 입상작은 한국인의 디자인 표상체계를 가늠할 수 있는 대상이며 그런 두편의 작품은 논의가 적용될 대상이다. 연구는 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라캉의 기호와 메시지의 구조와의 유사성 그리고 은유에 의한 무의식과 변증법적 부정과의 유사성에 대한 이해와 이를 대상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디자인의 메시지가 변증법적 원리에 의한 무의식의 표현체임을 확인하였다.이는 변증법적 원리에 의한 무의식의 표상체계가 한국인의 디자인 표상체계라는 반증이다. 디자인은 양면적 특성이 있다. 정보의 부호화라는 디자인의 소통·기호적 측면과 정보를 생산하는 디자인의 예술·상징적 측면이다. 전자는 욕구의 충족으로서 개별·특수화된 디자인이고 후자는 욕망의 대상으로서 보편화된디자인이다. 따라서 변증법적 무의식의 체계는 한국적 디자인의 표상체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rough discussion that design messages were based on unconscious thought by dialectic principles, to understand the encoding of information by communicative interactions and to reveal that the symbolic images of design were the entities that could express unconsciousness by dialectical logic system beyond the dimension of ideas by inferen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rough its target subjects that the discussion of unconsciousness by dialectic negation and metaphor was applied to design messag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wo works containing images out of the works awarded at least the special selection awards in the division of visual design provided in the homepage of Korea Design Exhibition of 2011. The works at issue were considered the yardsticks of the design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Koreans so that they were worth being discussed. Based on the theories of Jacques Lacan, the study consisted of discussions of their similarities to the structures of his symbols and messages, the understanding of their similarities of unconsciousness by metaphor to dialectic negation and the methods of applying them to the subjects. Through the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ssages of design were the entities expressing unconsciousness by dialectic principles. This produced contrary evidence that the representation system by dialectic principles was indeed the design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Koreans. There were double-sided characteristics in design. One would be its communicative and signing aspects, encoding of information, and the other would be its artistic and symbolic aspects of producing information. The former could be considered individual and specialized design as fulfillment of a desire, whereas the latter universal design as the subject of a desire. Therefore, it was believed that the system of dialectic unconsciousness could be expressed as the representation system of Korean desig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형태의 추상화에 의한 상징의 구현과 도식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형태란 구체의 공간적 테두리로서 윤곽선이며 윤곽선이 특이점에 의해 분절된 기하학적 선이 추상화된 형태로서 형태소이다. 형태소가 계열화되어 결합된 모듈이 기호로서 상징의 개념이 된다. 따라서 형태의 추상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는 연구의 배경이며 목적은 추상화에 대한 이해와 논의를 형태에 적용하여 상징과 디자인 상징을 구현해 봄으로서 도식에 의한 개념의 확인에 있다. 특이점과 위상에 대한 논의와 퍼스의 기호에 근거한 형태와 형태소 그리고 상징에 대한 논의를 장미와 태극의 형태에 적용하여 기하학적 형태소를 추출하고 계열화하여 상징화하는 과정을 구현해 보는 연구의 방법은 상상에 의한 도식에 관한 것이다. 도식에 의한 개념은 중간치와 계열화 그리고 특이점과 위상이다. 중간치는 상징의 본질이며 은유이다. 계열화는 결합체계이다. 결합의 척도는 조화의 규칙인 황금비율에 의한 피보나치의 수열과 대칭이며 원리는 완결에 의한 좋은 형태(곡선)로서 게슈탈트 그리고 전경과 배경의 교체에 의한 게슈탈트이다. 형태의 본질인 형태소의 개념을 가능하게 하는 특이점과 존재하는 모든 형태는 기하학적 도형으로 동일화가 가능하다는 위상은 추상화에 의한 상징의 도식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상징은 상상에 의한 중간치에 의하며 중간치는 형태가 대상화를 위해 공통된 기하학적 특이성을 찾아가는 은유의 과정에서 도출된 형태이다. 형태의 기하학적 특이성에 의한 상징의 구현은 상상에 의한 도식에 관한 것으로 상징화는 개별적이지만 도식에 의한 개념은 디자인 방법에 관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A form is the outline as the spatial frame of concreteness, and the geometrical line generated by segmenting the outline by singularity is the morpheme as the form of abstraction. And the module combining morphemes through systematization becomes the concept of symbol as the sign. Therefore,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abstraction of forms, and this is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The purpose is to apply the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of abstraction to forms and realize symbol and design symbol to examine the concept with schemata. The research method to realize the process to apply the discussion of singularity and topology and the discussion of forms, morphemes, and symbols based on Peirce`s sign to the forms of roses and Taegeuk in order to extract, systematize, and symbolize geometrical morphemes is about schema by imagination. The concept of schema is the intermediate value and systematization and also singularity and topology. The intermediate value is the essence of symbol and metaphor. And systematization is the combination system. The scale of combination is symmetrical with Fibonacci`s progression by the golden ratio, the rule of harmony, and the principle is the good form(curve) based on completion and is the Gestalt by Gestalt and the replacement of foreground and background. Singularity that allows the concept of morphemes, the essence of forms and also topology that means all the existing forms can be identified as geometrical figures are crucial concepts in the schema of symbols by abstraction. Symbol depends on the intermediate value by imagination, and the intermediate value is the form drawn from the process of metaphor that the form is looking for common geometrical particularity for the objectification. The realization of symbol by the geometrical particularity of forms is about schema by imagination, and symbolize is individual but the concept by schema is found to be about design method.

      • KCI등재

        전통문화를 활용한 디자인 형태분석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김현기(Hyen Ki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자연적·문화적 형태는 대칭·단순·규칙의 원리가 포함된 익숙함이나 과거경험의 원리로 설명되어지는 좋은 형태(좋은 곡선)의 원형으로 그런 형태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지닌다. 한국의 전통적·상징적 조형물인 하회탈의 형태는 한국인의 정서가 스며있는 한국적인 좋은 형태(좋은 곡선)의 전형이다. 하회탈의 형태에는 형태 그 자체가 갖는 형태로서 특수성과 형태소(形態素)로서 보편성을 동시에 지닌다. 따라서 전통문화의 특수화된 형태에서 형태소를 분석하면 전통문화의 형태가 함의된 보편적인 디자인 형태의 분석도 가능하며 기존의 전통문화를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이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이다. 인체의 턱 구조와 같은 4종의 하회탈을 분석 대상으로 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4종의 하회탈의 형태를 2(1/2)의 모듈에 대입하여 분석하고 다음으로 형태소를 2(1/2)의 곡선과 비교 분석하여 패턴화 한다.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회탈의 형태소는 2(1/2)의 한국적 황금비율을 지닌 익숙한 좋은 곡선으로서 패턴이다. 그런 패턴에 의해 디자인된 상징은 독창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지니며 문화를 생성하는 사회적 공간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축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방법은 전통문화가 함의된 보편적인 형태의 이미지를 디자인하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Natural and cultural forms tended to encompass the original pleasing forms (pleasing curves) that could be explained the principles of familiarity and past experiences including those of symmetry, simplicity and rules and these forms had both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The form of Hahoe Mask, one of the traditional and symbolic Korean sculptures, has been an archetype of pleasing forms (pleasing curves) embedded with Korean sentiment. It had both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s the form itself and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as morphemes. Accordingly, it would be possible to analyze the universal design form implicated with the form of traditional cultures and to revitalize the existing traditional cultures if it was possible to do an analysis on the morphemes in the specific form of traditional cultures. This would be the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subjects of study included four types of Hahoe Masks reminiscent of the jaw structure of a human body and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First of all, it analyzed the forms of four types of Hahoe Masks by substituting them into the module of 2(1/2) and patternized the morphemes on them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m with the 2(1/2) curve. The results found were as below. The morphemes of Hahoe Masks had the patterns of familiar pleasing curves equipped with the Korean golden ratio of 2(1/2). The symbols designed by such patterns had both uniqueness and universality and have become an axis that could form the image of a social space generating cultures. Therefore, the method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as a methodology designing the image of universal forms implicated with traditional cultures.

      • KCI등재

        디자인 지각 과정으로서 미메시스의 이해와 구조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소통으로서 상징에는 기호적인 코드와 미메시스적인 코드가 동시에 들어 있다. 전자는 대상 그 자체의 코드이며 후자는 대상의 경험된 흔적에 의해 생성된 코드이다. 즉 상징은 대상의 경험된 흔적에 의해 재현된 대상의 잉여 표현이다. 그런 상징에 의해 인간은 감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현실을 지각할 수 있게 된다. 그로써 가상의 체험이 가능하게 된다. 가상의 체험은 디지털 매체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지각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메시스를 이해하여 디지털 매체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지각 과정을 탐구함과 동시에 가상의 체험으로서 미메시스의 구조가 변증법적 원리에 근거한 무의식이 표상되는 은유의 구조와 유사한 것임을 확인하고 그런 구조에서 이미지가 결합될 확률과 비율에 관한 이해를 배경 및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미메시스의 특징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다. 미메시스의 대상인 비감각적 유사성은 라캉의 무의식에 대입해 이해한다. 무의식이 표상되는 매체는 은유이다. 따라서 은유의 구조를 미메시스의 구조로 이해하고무의식이 출현되는 과정의 아날로지인 피보나치 수열에 대입하여 이미지가 결합될 확률과 비율을 이해한다. 이해를 바탕으로 미메시스의 구조가 무의식이 표상되는 은유의 구조와 유사함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런 구조에서 이미지가 결합될 확률과 비율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메시스의 구조가 변증법적 원리에 근거한 무의식이 표상되는 은유의 구조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미메시스는 디자인 지각 과정이며 그런 과정에서 재현된 이미지는 황금비율에 근사한 확률과 비율로 대상의 이미지와 결합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메시스의 이해와 구조에 관한 논의는 디자인 지각과정의 이해이다. For communication symbols, there are semiotic codes and mimetic codes at the same time. The former is a code of an object itself, and the latter is a code created by the trace experienced of an object. That is, a symbol is the surplus expression of an object that is reproduced by a trace experienced of an object. With such a symbol, humans are able to perceive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ality while exceeding the scope which they can perceive with their senses;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have a virtual experience. A virtual experience is concerned with the perception of design required in digital media. Consequently, also as a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ception process of design required in digital media by understanding mimesis as a virtual experience; and, simultaneously, to confirm that the structure of mimesis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a metaphor where unconsciousness based on a dialectic law is symbolized, and to understand the probability and ratio of the combination of images within that structure. The research method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imesis are as follows. The non-sensible similarity that is an object of mimesis is understood by being substituted for Lacan`s unconsciousness. The medium with which unconsciousness is symbolized is a metaphor. Accordingly, the probability and ratio of the combination of images is understood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a metaphor as the structure of mimesis and by applying it into the Fibonacci sequence, which is an analogy of the process in which unconsciousness appears. Then i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based on that understanding, the similarity of the structure of mimesis with the structure of a metaphor where unconsciousness is symbolized is confi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bability and ratio of the combination of images within that structure is explored. The contents deduced through the above methods are as follow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mimesis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a metaphor where unconsciousness based on a dialectic law is symbolized. Also, the study confirmed that mimesis is the perception process of design, and images reproduced during that process are combined with the images of objects with a probability and ratio close to the golden ratio. Subsequently, discussion on an understanding and structure of mimesis is an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 process of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