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협력적 노사관계의 매개효과: 관계성 모형 접근

        배호영 한국상업교육학회 2015 상업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에서는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협력적 노사관계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고성과작업시스템, 협력적 노사관계, 조직성과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를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2015년 3월 1일부터 4월 31일까지 전국(서울‧경기, 부산‧경남, 대구‧경북, 대전‧충남) 대기업, 중소기업, 공공기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700부를 배포하여 323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에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SPSS 18.0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의미있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은 조직구성원들의 사회적 자본을 증대하여 협력적 노사관계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 둘째, 협력적 노사관계는 노사간 상호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조직성과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 셋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은 협력적 노사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해 결국 조직성과로 연결된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학제적 및 관계성 모형을 적용하여 고성과작업시스템이 협력적 노사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해 조직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선순환 모형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직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노사 모두 고성과작업시스템과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관리에 노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가진다. 첫째, 인적자원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는 고성과작업시스템과 노사관계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는 협력적 노사관계를 연계한 학제적 연구(Interdisciplinary Approach) 성격을 지닌다. 둘째, 고성과작업시스템 매커니즘과 관련한 모형 중 관계성 모형(Relational Model)을 적용하여, 기존의 노사관계 개념에 사회적 자본 개념을 접목시켜 협력적 노사관계를 정의하였다. 셋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의 메커니즘에 관해 대기업, 중소기업, 공공기관을 각각 구분하여 실증분석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개인수준의 연구로 진행되었지만 보다 정밀한 결과도출을 위해서는 조직수준의 연구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국내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연구했지만 중국, 미국 등 해외와의 비교연구를 진행한다면 국제경영·국제법무학 측면에서 의미있는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HPW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especially apply to the relational model of HPWS mechanism.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arget employees in Korea,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finally done with the surveys of effective 323 samples. After in-depth analysis of validity, reliability,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8.0, we can get meaningful findings related to the HPWS an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First, HPWS has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Secon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HPW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But this analysis has also limitations such as the level of analysis, limited samples, and limited regions, so the future research will be needed to resolve the these limitations.

      • KCI등재

        유아특수교육과 작업치료지원의 협력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박소정(Park So Jung),한경근(Han Kyoung Gu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과 협력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유아를 지도한 경력이 3년 이상인 6명의 유아특수교사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한 자료를 전사하고 분석한 결과 22개의 하위범주와 7개의 상위범주를 통해 3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치료는 물리치료와 같이 중도장애유아들이 받는 치료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의학용어로 구성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렵고 자주 접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작업치료사와의 협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유아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와의 협력은 담당하고 있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작업치료사와의 협력 방법으로는 주로 협력의뢰서를 통해 협력을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문서라는 한계로 인해 지속적이고 현실적인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넷째, 구체적인 협력의 어려움으로 우선 수업 외의 업무와 관리자의 승인 등의 절차상의 어려움에 대해 호소하였고 개별화 교육 계획 시 치료사의 부재, 시간과 예산의 확보의 어려움 등을 이야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치료사가 참여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지원, 관리자의 인식 변화, 유아특수교사들을 위한 작업치료 관련 교사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유아특수교사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과 현재 협력 현황을 알아보고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현실적인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었으며 작업치료사는 협력적 중재의 필요성을 느끼고 유아특수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작업치료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기대해 본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the cooperativ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ith over 3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young children undergoing occupational therapy. Upon transcribing and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3 themes were derived, with 22 subcategories and 7 upper categories. Result: First, it is recognized that occupational therapy is a treatment that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receive, like physical therapy, and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rarely encountered because it is composed of medical terms.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positively accepted the cooperation with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 and the occupational therapist could be ver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oblem behavior of the child in charge. Third, several requests for cooperation with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made, however, owing to the limitation of documents, continuous and realistic cooperation was not achieved. Fourth, due to the difficulty of specific cooperation, we first appealed for difficulties in procedures such as work outside of class and approval from the manager, and discussed the absence of a therapist and difficulty in securing time and budget when planning individualized education.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legal/institutional support for therapists to participate, change of manager"s perception and activation of occupational therapy-related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as necessary. Conclusion: It was meaningful that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o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current status of cooperation, and the ability to hear realistic voice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field experts. We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계층적 조정 모델 기반 협력 작업 응용 개발 환경

        김영민(Young-Min Kim),이상호(Sang-Ho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1 No.2

        분산 환경에서 다중 사용자간의 협력 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협력 작업에 대한 요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 작업은 그룹 통신 기술, 분산 처리 기술 등의 다양한 기술적 사항들이 해결되어야 하며, 협력 작업 응용이 갖는 공통적인 요구 사항들이 많이 존재하므로, 응용을 개발할 때마다 이러한 요구 사항들을 중복하여 개발하는 것은 많은 개발비용이 소요되며 중복 투자되는 부분이 많게 된다. 따라서, 협력 작업 응용이 공통적인 요구 사항들과 응용을 보다 경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체계적인 개발 환경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동 에이전트의 조정 모델을 협력 작업응용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계층형 역할 기반 조정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해서 이동 에이전트 기반 협력 작업 응용을 위한 개발환경을 설계한다. 계층형 역할 기반 조정 모델은 이동 에이전트들의 다층형 그룹 개념을 제공하고, 각각의 그룹별로 효과적인 조정 정책 구현을 가능하게 하며, 그룹 단위 별로 역할을 부여해서 효과적인 협력 작업 응용 개발을 지원할 수 있다. The requirements of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supporting efficient cooperative or collaborative works between multi-users have been increasing in distributed environments. The various technical sections such as group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stributed processing technology should be provided in Cooperative Work. The replicated development of Cooperative Work applications of a number of common requirements increases development costs enormously and duplicated investment parts. Therefore, systematical development environments are required to develop these common requirements and applications efficiently in Cooperative Work applications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hierarchical role-based coordination model that improves the coordination model of legacy mobile agent to be appropriate in Cooperative Work applications, and design th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Cooperative Work applications based on mobile agent. The proposed hierarchical role-based coordination model provides multi-layered group concepts of mobile agent, and enables implementation of efficient coordination policy per group. Additionally, it supports efficient Cooperative Work application development by role assignment per group unit.

      • 신뢰와 소통을 기반으로 한 부모와의 협력작업

        전선희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5 발도르프교육연구 Vol.7 No.1

        현대의 아버지들은 육아에 많은 시간을 할애 하고 부부가 함께 고민하고 협력하고 있다고 생각한 다. 하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과제로는 아버지와 어린이집과 편안한 소통을 갖기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대다수의 보육기관의 교사가 여성이고, 아이에 관한 질문은 어머니를 통해서 가능하 다는 통념으로 아버지와 교사와의 소통 창구를 개발 하는 것이 숙제로 남아있다. 또한 예기치 못한 사 고가 생겼을 때 내 자녀만을 생각하는 이기심은 이해가 되면서도 안타까운 현실이고 진정한 공동체 의식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아쉽다. 아이를 포함한 가족과 공동체 그리고 가정에서의 위치를 깨닫고 자신만을 이해하기위한 아버지만의 협력작업 방법을 모색해야 하는 것이 ‘작은숲부모협동어린 이집’의 많은 과제중 하나로 남아있다. 바람직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협력작업의 형태는 계속해서 발전해 나갈 것이다. Fathers of today believe that they are spending enough time on child-rearing and cooperating with their wive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However, there is still an area that needs more effort-comfortable communication between fathers and daycare centers. As most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are female and there is a wide-spread belief that issues about children's education are handled by mothers, there is still not enough communication between fat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When there is an unexpected accident, selfish attitudes that care only about one's own child arise. While understandable, it is still a sad reality, and it is a pity that forming a sense of community is so hard. Understanding the position of family, community, and one's own position inside family and searching for father's specific ways to cooperate in order to understand himself is left as one of many tasks of Small Forest Daycare Center of Cooperating Parents. The type of cooperation to create desirable communities will continue to advance.

      • KCI등재후보

        e-Learning 콘텐츠 개발을 위한 성찰적 협력작업시스템 개발

        김인숙,조은순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3

        e-Learning 콘텐츠는 여러 가지 데이터들로 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되며, 일정 기간 동안 전문가들이 모여 복잡한 절차를 거쳐 개발하게 된다. 따라서 e-Learning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기획자, 내용전문가, 교수설계자, 나레이터, 웹 디자이너, 웹 프로그래머, 플래셔, 일러스트레이터 등 다양한 작업 그룹 구성원들과 함께 협력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e-Learning 콘텐츠 개발에서 중요한 것은 협력작업을 통한 최종 결과물 뿐만 아니라 참여자의 전문성 개발을 통한 품질확보이다. 이러한 전문성은 개념적·기술적 지식의 체계적 축적만으로 개발되는 것이 아니라 진행되고 있는 활동과정과 결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숙고하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참여자들의 전문성 개발을 통해 e-Learning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공동작업의 진행과정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함으로써 결과물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e-Learning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수행에서 중요한 협력작업과 함께 참여자의 전문성 개발은 물론 e-Learning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해 콘텐츠 개발 관련 당사자의 성찰적 학습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성찰적 협력작업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크게 업무 프로세스 지원, 개인작업과 협력작업 지원, 협력적 성찰 지원의 네 가지 지원 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e-Learning contents are composed of compounding multimedia data. It requires many professionals in contents development stage. The process of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can be seen as a collaborative work. In the perspective of a collaborative work process, the whole process of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would be regarded as collaborative work process for each participant as well as for whole group members. Most of collaborative works in contents development field are widely distributed. Members of work groups require workspaces for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each other. In addition to workspaces, it also needs to support collaborative reflection such as planning for collaborative work and monitoring for work process.This paper is intended to develop the reflective collaborative work system for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in order to support the systemic process of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The reflective collaborative work system is composed of four supportive parts: work flow management, personal workspace, collaborative workspace,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 KCI등재

        협력문명의 사회적 기원―협력공동체의 형성과 해체에 관한 문명사적 탐색―

        조대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6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ocial origins of human beings forming a community of cooperation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The core social origin of cooperative civilization can be found in labor, religion and ideology. Humankind has passed through the era of ‘working cooperation’, ‘religious cooperation’, and ‘ideological cooperation’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The new cooperative civilization has appeared as the existing cooperative order was dismantled. The inequality gap in social life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of the day was extreme, and new cooperation civilization was born under conditions where exclusion and grievance could no longer endure. The civilizations of working cooperation, religious cooperation, and ideological cooperation were formed and dismantled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circulation of civilization. The cycle of cooperative civilization isn’t a sequential order of civilization in which a civilization completely had collapsed and a new civilization has appeared. While the existing cooperative civilization has been weakened to extreme or distorted forms, new cooperative civilization has appeared with the additional and cumulative forms. The fourth cooperative civilization that we should open in the new era after the ideological cooperation, what is called the third cooperative civilization, can be expected to be ‘value cooperation’. 이 글은 인류가 협력의 공동체를 구성하는 사회적 기원에 대해 문명사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협력문명의 주요한 사회적 기원은 노동과 종교와 이념에서 찾을 수 있다. 인류는 문명사적으로 작업협력, 종교협력, 이념협력의 시대를 거친 것이다. 새로운 협력문명은 기존의 협력질서가 해체되면서 나타났다. 당대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격차가 극단적으로 벌어지고 배제와 질곡이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조건에서 새로운 협력문명은 태동했다. 작업협력문명, 종교협력문명, 이념협력문명은 이 같은 문명사적 순환의 과정에서 형성되고 해체되었다. 협력문명의 순환은 하나의 문명이 완전히 몰락하고 새로운 문명이 등장하는 식의 순차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협력문명이 극단적으로 변형되거나 왜곡된 형태로 약화된 가운데 새로운 협력문명이 추가적이고 누적적으로 전개되었다. 제 3의 협력문명이라고 할 수 있는 이념협력의 시대 이후 우리 시대가 열어야 할 제 4의 협력문명으로 ‘가치협력’을 전망할 수 있다.

      • KCI등재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가별 작업치료관련 제도 분석

        정병록,김지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3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와 관련된 국내의 제도와 세계작업치료연맹에 회원으로 가입한 국가들 중에서 경제개발협력 기구 회원 국가들의 제도를 비교, 분석 및 제도 개선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경제개발협력기구 34개 국가 중 회신된 15개의 설문응답 가운데 답변내용이 부족한 2개 국가를 제외한 13개 국가의 자료만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13개 국가 모두에서 정규 학위과정을 통해 작업치료사를 양성하였고, 교육 기간은 평균 4년이었다. 학 위는 대부분의 국가가 학사학위였다. 캐나다, 아일랜드와 미국은 석사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작업치료사 자격 제도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국가자격제도를 운영하고 있었고, 보수교육 실시에 대한 항목에서는 5개 국가를 제외한 나 머지 국가들이 보수교육을 통한 자격관리를 하고 있었다. 2개 국가를 제외하고 11개 국가가 작업치료사와 관련된 법 률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이들 국가 중에서 호주, 체코, 한국과 뉴질랜드만 개별법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작업치 료사의 독립적 치료행위 및 단독 개업 가능 여부를 묻는 항목에서는 벨기에, 에스토니아, 한국과 뉴질랜드를 제외한 나 머지 국가들에서 독립적 치료행위가 가능하였고, 단독 개업에 관한 항목은 응답하지 않은 프랑스를 제외하고, 한국만 이 단독 개업이 불가능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작업치료사 직종과 관련하여 한국은 비슷한 수준의 교육 및 자격 관리 제도를 갖고 있는데 반해, 관련 법률 제도는 빈약한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보건의료 수준이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 해서는 작업치료사 직종과 관련된 현재의 제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참여적 작업관행이 협력적 노사관계,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원진(Kang, Won Jin),이병헌(Lee, Byung Heon),김정식(Kim, Jung Si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5 No.2

        본 논문은 참여적 작업관행이 협력적 노사관계를 통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혁신전략에 따라 이 효과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참여적 작업관행은 근로자들의 지식역량과 조직몰입을 극대화하는 작업조직으로, 본 분석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참여적 작업관행을 참여적 작업조직(과업통합, 작업단위의 자율, 작업장 참여)과 이를 보완하는 인적자원관리관행(동기부여, 숙련형성, 정보공유)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한국노동연구원(KLI)의 2005년 사업체패널조사(Workplace Panel Survey, WPS) 자료를 이용하여 제안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적 작업관행은 협력적 노사관계와 기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협력적 노사관계는 참여적 작업관행과 기업성과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참여적 작업관행과 협력적 노사관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수동적 혁신전략을 실행하는 기업보다 선도적 혁신전략을 실행하는 기업들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igh-involvement work practice on firm performance with using 2005 Work Place Panel Survey data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High-involvement work practice is the work organization that maximizes the employees’ knowledge 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the analysis in this study considered high-involvement work practice as the bundle of participating work organization(task integration, autonomy of work units, workshop participation) and HRM practice(motivation, building skills, information sharing) that compliments participating work organ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as the parameter of both parties to understand the path of influences by the high-involvement work practice on the company performance and looked whether the effectiveness varied depending on the innovation strategy.

      • KCI등재

        대학생 내담자의 작업동맹 지각과 상담자-내담자 언어 상호작용 특성

        김성은,김동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청소년상담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tern of counselor-client interactions related to the working allia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upture-repair and establishment. The WAI is used for measurement of client’s perception on working alliance. Using the collaborative interactions scale developed for the transcript of the counseling sessions, counselor-client verbal interactions of 11 cases are classified as detailed units. Then they are analyzed data by sequential analysis, especially unidirectional independence test and dominance tes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equential response pattern such as client’s alliance rupture marker followed by positive counseling intervention is found to related to positive working alli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unselor’s interactions competence changing client’s negative response to collaborative process played a major role in a client’s perception of the working allianc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작업동맹을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내담자의 상담자-내담자 언어 상 호작용 특성을 작업동맹 결렬-회복 그리고 작업동맹 수립 및 유지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작업동맹 수준 지각에 차이가 있는 11개의 실제 대학생 상 담사례를 대상으로 한 회기씩을 녹음하여 축어록화 한 후, 협력적 상호작용 척도 (Collaborative Interactions Scale; CIS)를 활용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 반응을 코딩하 였다. 유목화 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계분석(sequential analysis)를 수행하였으며, 연계분 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호작용에 대한 축어록 상의 예시를 작업동맹 수준 지각이 높고, 낮은 사례별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작업동맹을 긍정적으로 지각한 사례에 서는 내담자가 상담과정에서 이탈되는 결렬반응 시, 상담자가 긍정적 개입을 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탐색, 피드백, 정서제시, 공감 등의 긍정적 개입 반응이 내담자의 협력, 특히 감정 및 생각 표현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작업동맹을 부정적 으로 지각한 사례에서는 내담자 결렬반응에 대한 상담자의 부정적인 개입 그리고 상담자 의 긍정적 개입 반응을 통한 내담자의 협력반응 유발 실패가 그 특징적 상호작용으로 나 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제 상담에서 작업동맹 결렬-회복 및 작업동맹 유지를 위하여 상담자가 내담자와 어떠한 언어 상호작용을 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 지침 마련에 기여 할 것이다.

      • KCI등재

        학교작업치료사 역량지표개발을 위한 타당도 연구

        홍민경,김정란,최강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적 모델에 기반을 두고 교사, 학생, 학부모, 학교 관계자 등과 협력적 팀 접 근을 이루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작업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특성 등에 관한 핵심 역 량을 규명하여 학교작업치료사에게 필요한 역량지표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교작업치료 경험이 있는 작업치료사 8명을 델파이 위원으로 구성하여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1차에서는 학교작업치료사의 역량에 관하여 개방형 설문을 통해 의견을 수집 한 뒤 전문가 자문의원 5명의 자문을 통해 2차 델파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역 량에 대해 적합도와 중요도 각각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고, 델파이 조사결과에 대해 전문가 자문의원 5 명에게 자문을 받은 후에 최종 역량 지표룰 도출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결과 39개의 지표가 도출되었으며, 2차 델파이 결과 내용타당도 비율이 낮게 나온 7개 문항에 대해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정 및 통합하여 최종 36개 지표가 도출되었다. 3개의 역량군은 전 문지식, 직무기술, 개인적 특성이었으며 각각 14개, 11개, 11개의 항목이 역량지표로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학교작업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하여 전문지식과 직무를 파악하고 타 전문가와 소통하는 작업치료사로서 필요한 기술과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의료적 모델이 아닌 사회적․교육적 모델에 기반을 둔 학교작업치료사의 역량을 도출하여 향후 학교작업치료사의 전문성 함양 을 위한 교육과정의 기틀을 마련하고, 특수교육대상자의 학교생활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교사 등과 협력 적 팀을 이루어 접근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etency indicators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SBOT). Identification of core competencies which includes knowledge, skills, and characteristics is required for successful performance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Method: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in two parts with eight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SBOT background. Five therap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ith pediatric to adolescent population were selected from the Delphi responses. Competency indicators for SBOT in Korea were developed through collection and modification of the final Delphi data. Result: A total of 36 indicators were developed as competency indicators for SBOT. Three competency clusters— expertise knowledge, job skill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each consisting of 14, 11, and 11 competency indicators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ompetencies needed as SBOT on expertise knowledge and job skills,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needed to communicate with professionals from other disciplines. The competency indicators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developed in this study derives from socio-educational model, not medical model. Thus, this indicators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schoo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