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작업치료사 역량지표개발을 위한 타당도 연구

        홍민경,김정란,최강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적 모델에 기반을 두고 교사, 학생, 학부모, 학교 관계자 등과 협력적 팀 접 근을 이루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작업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특성 등에 관한 핵심 역 량을 규명하여 학교작업치료사에게 필요한 역량지표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교작업치료 경험이 있는 작업치료사 8명을 델파이 위원으로 구성하여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1차에서는 학교작업치료사의 역량에 관하여 개방형 설문을 통해 의견을 수집 한 뒤 전문가 자문의원 5명의 자문을 통해 2차 델파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역 량에 대해 적합도와 중요도 각각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고, 델파이 조사결과에 대해 전문가 자문의원 5 명에게 자문을 받은 후에 최종 역량 지표룰 도출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결과 39개의 지표가 도출되었으며, 2차 델파이 결과 내용타당도 비율이 낮게 나온 7개 문항에 대해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정 및 통합하여 최종 36개 지표가 도출되었다. 3개의 역량군은 전 문지식, 직무기술, 개인적 특성이었으며 각각 14개, 11개, 11개의 항목이 역량지표로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학교작업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하여 전문지식과 직무를 파악하고 타 전문가와 소통하는 작업치료사로서 필요한 기술과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의료적 모델이 아닌 사회적․교육적 모델에 기반을 둔 학교작업치료사의 역량을 도출하여 향후 학교작업치료사의 전문성 함양 을 위한 교육과정의 기틀을 마련하고, 특수교육대상자의 학교생활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교사 등과 협력 적 팀을 이루어 접근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etency indicators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SBOT). Identification of core competencies which includes knowledge, skills, and characteristics is required for successful performance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Method: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in two parts with eight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SBOT background. Five therap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ith pediatric to adolescent population were selected from the Delphi responses. Competency indicators for SBOT in Korea were developed through collection and modification of the final Delphi data. Result: A total of 36 indicators were developed as competency indicators for SBOT. Three competency clusters— expertise knowledge, job skill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each consisting of 14, 11, and 11 competency indicators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ompetencies needed as SBOT on expertise knowledge and job skills,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needed to communicate with professionals from other disciplines. The competency indicators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developed in this study derives from socio-educational model, not medical model. Thus, this indicators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school curriculum.

      • 고령자의 운전능력검사를 위한 수정된 선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의 기준점 제시

        홍민경,김현정,이지선,정민예 한국운전재활학회 2018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Vol.1 No.1

        목적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운전기능 선별검사 또는 운전적성검사로 사용되고 있는 선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A, B)를 고령 운전자가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선잇기 검사-숫자, 요일로 변형하여 치매노인 및 경도 인지장애노인들의 수행능력을 관찰하였다. 또한 무사고 자가운전 고령자와 인지기능의저하를 보이는 고령자 사이의 수행시간을 비교하고 무사고 자가운전 고령자의수행능력을 기준으로 안전운전 수행 기준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 : 컴퓨터기반의선 잇기 검사-숫자와 선잇기 검사-요일의수행능력을 관찰하기 위하여 무사고자가 운전 고령자 12명과 장기요양등급을 받고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고령자 40명을 대상으로 수행능력을 관찰하고 측정․비교하였다. 인지기능의측정은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를 이용 하였고 컴퓨터 기반의수정된 선잇기 검사-시간, 요일의수행시간을 수행가능성을 관찰하고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 선잇기 검사-숫자, 요일 모두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MMSE와 선잇기 검사는 강한 음의상관관계를 보여 인지저하를 보일수록 선잇기 검사의수 행시간이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사 고자가운전고령자 그룹의수행 수준을 참고하여 선잇기 검사-숫자의 경우 실수를 2회 이하로 수행하고 100초이 내로, 선잇기 검사-요일의기준 점은 선잇기 실수를 2회 이하로 수행하고 60초로 이내로 정하였다. 결론 : K-MMSE의 점수에 따른 고령자의운전기능평가로 활용되는 선잇기 검사-숫자, 요일의기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안전운전에 의심 또는 위험군의인지 검사를 빠르게 선별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검사를 실시한 후에 운전하기 적합하지 않은 인지저하운전자를 보다 자세한 검사로 측정하거나 전문적인 관찰을 요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time of general and cognitively impaired elderly and to provide a reference point for the Modified Trail Making Test. Method : Twelve ordinary elderly people and forty elderly people attending long-term care and day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The results of the K-MMSE ranged from 27 to 30 for elderly with no cognitive impairment, and range of 8 to 24 points for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Result : More than twice the difference in the mean between the two groups was examined. In the group with K-MMSE score below 27 points, the average execution time was 90.4 seconds and the average K-MMSE score in the group with 28 points or more was 41.3 seconds. The error range doubled. The reference point for the Modified Trail Making Test-A is designated as 100 seconds. For Modified Trail Making Test-B, lower K-MMSE group showed an average of 69.5 seconds while higher K-MMSE group took an average of 32.3 seconds to complete. Number of errors doubled for the lower K-MMSE group, and the reference point for the Modified Trail Making Test-B is designated as 60 seconds. Conclusion : We confirmed the baseline point of the Modified Trail Making Test-A,B that will be used to evaluate driving fun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score of the K-MMSE.

      • 아스팔트 바인더의 침입도에 따른 점도 특성연구

        홍민경,전종명,박찬수,김병준,차종훈 한국도로학회 2015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0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순환골재를 사용한 재생 배합설계시 침입도를 사용한 방법에서 절대점도를 사 용한 방법으로 전환함에 따라 다양한 침입도등급에 대한 점도 특성 비교연구가 요청되고 있다. 또한 점도 시험시 요구되는 기술적 문제들로 하여금 시험에 대한 재현성이 낮은편이며, 측정오차가 크기 때문에 높 은 숙련도를 갖추지 않고서는 정확한 점도 측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는 다양한 침입도를 갖는 아 스팔트 바인더를 제조하여 점도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ㅇ사의 아스팔트 바인더(AP-3, AP-5)를 가지 고 공용성(PG)등급 시험시 단기산화를 모사하는 회전박막가열시험기(RTFO)와 장기산화를 모사하는 압력 노화시험기(PAV)를 활용하여 5개의 침입도등급을 가지는 바인더를 제조하였고, 60℃ 절대점도, 120℃, 150℃, 180℃ 동점도를 측정하여 침입도에 따른 점도 변화 양상을 평가하였다. 먼저, 총 7개의 시험조건 중 6개가 목표 침입도 범위를 만족시켰으며 1개는 목표 침입도 등급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동일 등급 내에서도 침입도가 상이한 결과를 보이므로 모두 점도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60℃ 절대점도는 침입도가 높을 때는 둔감한 변화를 보이나 침입도가 낮아질수록 민감하게 변화 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120℃, 150℃, 180℃ 온도에 따른 동점도 역시 침입도가 높을 때 보다 침입도 가 낮을 때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폭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높은 온도(180℃) 보 다는 낮은 온도(120℃)에서 변화양상이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구어 담화표지 ‘어디’의 운율 특성

        홍민경,홍종선 한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 Vol.0 No.1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sodic features of the discourse marker "eodi (어디)." Using speech data collected from 10 (F5, M5) participants, prosodic features. such as tonal pattern, duration, and utterance rate of "어디",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functions. The discourse marker "어디" is located at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the utterance, and can be presented as a single utterance. The specific tonal pattern of the discourse marker "어디" in each function can be noted at IP boundary tone, which is realized on the IP-final syllable "di (디)": H+L% (utterance initiation), L+L% (maintenance of utterance), L+H% (positive attitude, only in single utterance), L+HL% (negative attitude), and L+LH% (emphasizing). The average length of the discourse marker "어디" was the longest in the function of maintaining utterance (454 ms) and the shortest in positive attitude (267 ms). The study results also show that speakers modulate the speech rate of the discourse marker "어디" in their own utterance by lengthening or shortening the duration of each syllable.

      • KCI등재

        구어 담화표지로 쓰이는 ‘어디’의 기능

        홍민경(Hong Minkyoung),홍종선(Hong Jong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구어에서 담화표지로 널리 사용되는 의문사 ‘어디’의 기능에 대한 검토 및 분류를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의문사 담화표지를 논한 기존 연구들이 의문사형 담화표지의 기능을 설정함에 있어서, 담화표지 그 자체가 아닌 담화 전체 혹은 문맥에 이끌려 의미기능을 논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이전 연구에서 사용한 담화표지의 기능 설정 방법을 일일이 검토하여 오류의 근거를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검토를 통해 의문사 ‘어디’의 담화표지 기능을 크게 텍스트적 기능과 대인적/상호작용적 기능범주로 나누어 분류한 후, 전자에는 ‘발화 시작, 발화 유지’를, 후자에는 ‘긍정적 태도 표현, 부정적 태도 표현, 강조’라는 5가지 기능을 설정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라 담화표지 ‘어디’가 실제 구어에서 사용되는 양상을 두 종류의 구어 말뭉치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말뭉치 자료에 따라 그 사용빈도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는데, 다양한 담화표지들의 사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구어 균형 말뭉치의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것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후속 연구인 의문사 담화표지 ‘어디’의 운율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이 될 것이다. 또한 앞으로 다른 담화표지들의 의미 기능을 연구하는 데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the interrogative word 어디(where) used as a discourse marker in spoken language. There are previous studies which discussed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어디(where) . They, however, failed to clarify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sentence and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marker itself. we examined previous research and pointed out that their approach to classifying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어디(where)‘ is partially wrong. In this paper, we set two categories for classifying the discourse marker 어디(where) ; the textual mode and the interpersonal mode. There are five functions as a sub-category; one set of functions(initiating discourse, sustaining discourse) belongs to the former and another set of functions(positive attitude, the negative attitude, emphasizing) belongs to the latter.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provide much implication for studying the semantic function of discourse markers in future studi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usage and distribution of the discourse marker 어디‘ in two other spoken corpus and obtained different result depending on the data. This finding suggests that large, balanced, spoken corpus should be constructed for related research.

      • KCI등재

        자유 대화에서의 한국어 원어민 화자와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발화 속도 비교

        홍민경 ( Minkyoung Hong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어 교육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eech rate of advanced Korean(L2)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spontaneous utterances.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the two groups’ speech pattern according to utterance length. Eight advanced Korean(L2) learners and eight Korean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recording their conversation and physical measurements (speaking rate, articulatory rates, pause and several types of speech disfluency) were taken on extracted 120 utterances from 12 out of the 16 participants. The findings show that advanced Korean learners’ speech pattern is similar to that of Koreans in the short-length utterance. However, in the long-length utterance, two groups show different speech patterns; while the articulatory rate of Korean native speakers increased in the long-length utterance, that of Korean learners decreased. This suggests that the frequency of speech disfluency factors might affect this result. (Korea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