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핵심가치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인성 및 정서 함양을 중심으로 -

        곽영걸,안동현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5 경찰복지연구 Vol.3 No.1

        교육훈련의 목적은 실무에서 당면하게 되는 다양한 업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는 데에 있다. 현재 핵심가치과정 교육훈련은 3일 동안 짧은 기간 내에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단기간의 핵심가치 과정 교육훈련은 실무에서 요구하는 모든 지식과 기술을 배우기에 충분하지 않고,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 육기간 중에 소화해야 할 교육내용이 지나치게 많아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핵심가치교육을 받은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핵심가치교 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와 인성, 그리고 긍·부정적 정서 상태를 살펴보고자 한 다. 이를 통해 경찰공무원의 인성 및 정서 함양을 위한 핵심가치교육훈련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치안서비스를 제공 및 경찰공무원들의 직무능력 향 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핵심가치 교육훈련의 의의와 내용, 경찰의 인 성교육과 긍정적 정서함양, 경찰교육훈련제도, 그리고 외국의 경찰교육훈련제도와 경찰윤리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우리나라의 현재 경찰교육훈련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대전시에 근무하면서 핵심가치교육을 받은 경찰공무원을 대상으 로 핵심가치교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와 인성, 그리고 긍·부정적 정서 상태를 알 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경찰공무원들은 경찰공무원의 인성 및 정서 함양을 위해 핵심가치교육이 필요 하며, 핵심가치교육은 경찰공무원들의 인성 및 정서 함양에 도움을 주고, 자신의 업무와 관련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핵심가치교육의 강의실 시설이 그다지 양호하지 않다고 인식하였으며, 핵심가치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경찰공무원들은 인성 중에 외향성이 높은 반면에 내향성은 낮았으며, 긍정적 정서는 높았고, 부정적 정서는 낮았다. 교육시설 및 자료의 부족이 경찰공 무원들의 인성 및 정서 함양을 위한 교육훈련의 가장 큰 문제점이며, 인성 및 정서 함양을 위한 교육내용으로는 대인관계 훈련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경찰인성교육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며,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이 효과적 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양강좌 개설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경찰교육을 대상으로 핵심가치 즉, 인성 및 정서 함양 을 위한 교육훈련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핵심가치교육 필요성에 대한 홍보 강화와 건전한 조직문화의 조성을 통해 핵심가치교육에 대한 경찰공무 원들의 인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참여식 교육기회 확대 및 교육내용 차별화 와 교육환경의 개선, 그리고 복리후생 제도 개선과 보수 수준의 적정화 등을 통해 핵심가치교육에 대한 경찰공무원들의 만족도를 제고시켜야 하며, 핵심가치교육의 효과를 증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성 및 정서 함양 교육과정이 체계화되 어야 하고, 교육내용의 강화와 방법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전문 교수요원 의 확보 및 교육환경의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e goal of education and training is to foster an executive ability to perform a wide variety of duties. Currently, education and training about core value are conducted just for three days. But this core value education and training are not long enough to acquire every required knowledge and knowhow, and there are too many things to learn during this educational period, which results in deterio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olice officers receiving core value education about that education, their satisfaction level, character and emotional state. It's basically meant to explore how to provide core value education and training to step up the character building and emotional cultivation of police officer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public security service and of the job competence of police officers. The significance and content of core value education and training, police character education, positive emotional cultivation, domestic and foreign police education/training systems and police ethics were discussed, and the state of current police education and training was analyzed to find out what problems there were. Besides, a survey was conducted on police officers who worked in the city of Daejeon and received core value education to find out their awareness of that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character and emotional stat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olice officers investigated thought that core value education was necessary for the character building and emotional cultivation of police officers, and that the education was of use for the character building and emotional cultivation of police officers and was related to their work. They didn't think that lecture rooms where that education was provided were well equipped, but they were satisfied with that education in general. As to character, the police officers were more extrovert and less introvert, and they had more positive emotion and less negative emotion. A shortage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materials was viewed as the biggest problem with that education and training. As for the content of that education,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he necessity of interpersonal training. They thought that a police character education center should be installed, and that a wide rang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should be offered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core value education should be more publicized to bolster the efficiency of education and training about core value, namely character building and emotional cultivation. And a sound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way police officers look at core value education. The enlargement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ntent of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improvement of the welfare system and the adjustment of pay are all required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police officers with core value education. The curriculum of character building and emotional cultivation should be systemized,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should be diversified. Finally, professional instructors should be fostered.

      • KCI등재

        국내 대기업의 핵심가치 교육 사례연구

        이진구(Jin Gu Lee),박순원(Soon Won Park),전기석(Ki Seok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6

        최근 핵심가치 교육은 성과 향상 및 지속가능한 경영을 이루기 위한 주요 방법의 하나로 각 기업으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기업 그룹사의 핵심가치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각 대기업의 핵심가치 교육 수준을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고, 핵심가치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핵심가치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기업 그룹사 다섯 곳을 선정하여 핵심가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현직 HRD 담당자 및 각 사의 핵심가치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현직 사원을 대상으로 면담 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기업이 핵심가치를 성과 향상의 핵심 요소로 보고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지만 구체적인 실천전략, 운영방식, 인사 제도와의 연계방안 등에서는 각 사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 핵심가치 실천의 수준도 다섯 개 그룹 공히 핵심가치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수준에는 해당되었으나, 핵심가치를 실제 업무에서 실천하는 수준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기업에서 핵심가치를 효과적으로 내재화하고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핵심가치와 업무 사이의 정렬을 통한 실천 유도, 업무 특성에 맞는 맞춤형 핵심가치 교육 실시, 평가 보완 및 관련 제도와의 연계 확대 등이 필요하다. These days, corporations which are eager to improve employees performance and focus on consistent management highlight core values and core valu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 case study on the core value education administered by large corporations, to analyze and compare them, and finally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core value education. For this purpose, 5 large corporations in Korea have been select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condary sources an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resent and former educators in charge of core value education of those corporations. This study found that 5 large corporations commonly considered their core value as a main source of competitiveness and focused on the systematic core value education. But at the same time, each of them chose its own way to educate employees. Their strategies, management methods, and connection to the personnel policy differed in details. 5 large corporations were shown that they reach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empathy, but only 2 large corporations were interviewed as to reach the level of practice. To make core value internalized in the employees thoughts and acts,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alliance between core values and work which encourages workers real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to have a divers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work categories and regions, and to emphasize the connection with other policies especially evaluation policy.

      • KCI등재

        Comply or Explain 방식의 기업지배구조 공시와 기업가치 - 핵심지표를 중심으로 -

        안성희 ( Sung-hee Ah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4

        우리나라는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Comply or Explain(원칙준수, 예외설명)」방식의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를 도입하였다.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에 따라, 기업들은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을 적용한다면 그 사실을 밝히고(Comply), 모범규준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를 상세히 설명(Explain)하는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공시하고 있다. 동 제도는 지배구조의 투명성 향상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중장기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하는 데 그 취지가 있다. Comply or Explain 방식의 기업지배 구조보고서는 2018년까지 자율적으로 공시되다가, 2019년부터 대규모 유가증권 상장기업에 한해 의무공시되고 있으며, 기업지배구조보고서가 제공하는 정보의 비교가능성과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당국에서 제시한 15대 핵심지표 준수여부를 O, X형태로 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 의무공시기업의 핵심지표 준수현황을 살펴보고, O, X 형태로 공시된 핵심지표 준수정도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19년, 2020년에 O, X 형태로 핵심지표 준수여부를 기업지배구조보고서에 공시한 약 326개 기업-연도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규모 유가증권 상장기업은 지배 구조의 15개 핵심지표 중 8.4개 정도를 준수하는데 그쳐, 보다 적극적인 지배구조 개선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핵심지표의 분류별로 살펴보면, 주주 관련 핵심지표 준수율이 약 32%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감사기구 관련 핵심지표 준수율이 70%이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개의 개별 핵심지표 중에서는 집중투표제를 채택한 기업이 가장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핵심지표의 준수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가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업지배구조보고서상의 핵심지표 준수율이 높을수록 투자자들은 기업지배구조가 양호하다고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이사회 및 감사기구와 관련된 핵심지표 준수율이 높을수록 기업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주주관련 지표의 준수정도는 기업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들이 주주 관련 핵심지표 준수여부에 대해서는 차별적인 가치를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개별 핵심지표 준수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집중투표제 채택은 기업가치와 유의한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집중투표제의 채택이 경영권을 위협한다는 기업의 우려와 일맥상통한 결과이므로 핵심지표로서 적정한지에 대한 추가적인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O, X형태의 핵심지표 준수여부가 포함된 Comply or Explain 방식의 기업지배구조 공시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연구한 최초의 연구라는 공헌점이 존재한다. 또한 그간 선행연구에서는 이사회, 감사위원회 등 주요 기구의 기업지배구조 현황과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연구한 반면, 본 연구는 주주, 이사회, 감사기구를 포괄하는 정량화된 지배구조 수준을 토대로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연구했다는 측면에서 선행연구 대비 차별점을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26년까지 전체 유가증권 상장기업으로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를 확대하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최근 ESG가 화두인 상황에서 기업의 경영진은 법적인 의무에 따라 단순히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작성ㆍ공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재고하는 측면에서 해당 기업에 가장 바람직한 지배구조 모델을 찾아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best corporate governance standards, Korea introduced the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of the “Comply or Explain” method. According to the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System, companies disclose the Corporate Governance Report that explains the fact if they apply the Best Corporate Governance Standards (Comply) and explains why if they do not apply the Best Corporate Governance Codes (Explain).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enhanc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to contribute to enhancing mid- to long-term corporate value by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corporate governance. The Comply or Explain method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 was voluntarily disclosed until 2018, and has been made mandatory only for large-scale securities- listed companies from 2019. Compliance with the 15 core indicators suggested by the authorities is indicated in the form of O and X. This study examines the compliance status of core indicators of companies with mandatory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and analyzes how the degree of compliance with key indicators disclosed in the form of O and X affects corporate value. The sample of this study is about 326 company-years that disclosed compliance with core indicators in the corporate governance report in the form of O and X in 2019 and 202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rge-scale securities listed companies in Korea only comply with 8.4 out of 15 core indicators, suggesting that more active efforts to improve governance are needed. When looking at the core indicators by category, the shareholder-related core indicators compliance rate was the lowest at about 32%, and the compliance rate of the audit organization-related core indicators was the highest at over 70%. Among the 15 individual core indicators,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adopted the concentrated voting system is the lowest. Second, the higher the compliance ratio of the core indicators, the higher the firm value was,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compliance ratio of the core indicators, the higher the investor’s evaluation of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mpliance ratio of core indicators related to the board of directors and monitoring organizatio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irm value, while compliance ratio of the shareholder related indicator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Finally, it appears that the adoption of the cumulative voting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firm value. This is a result consistent with corporate concerns that the adoption of cumulative voting threatens management rights, so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is appropriate as a core indicator. This study contributes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iance of core indicators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using Comply or Explain method and firm value. In addition, while previous studies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status and firm value of major organizations such as the board of directors and audit committe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antified level of governance that includes shareholders, board of directors, and audit organizations. It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values. This study supports the government’s policy to expand the disclosure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to all companies listed on securities by 2026. Corporate management does not simply disclose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according to legal obligations, but seeks the most desirable governance model for enhancing firm value in the long term.

      • KCI등재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핵심가치 실천과 핵심가치교육, 핵심가치 전개활동 및 조직신뢰의 관계

        최재영,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re value practice, core value education, core value development activity and organizational trust of employees in large corporation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to identify the effect of core value education on core value practice,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 value development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value education and core value practice,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value education and core value practice.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are participants in core vale education, which is being operated in the 10 large group corporations. Data was collected via online and offline mail, and 243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the 10 large group corporations. After screening the data, 233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core value practice, core value education, core value development activity and organizational trust.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core value eduction had an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re value practic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re value development activity exis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value education and core value practice.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has exis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value education and core value practice. Also, trust in the organization and trust in the superior which is the sub factors of organizational trust had on moderating effect between core value education and core value practice.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 further research need to study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level of core value development activity and organizational trust. Secon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need to classify the personal level and the organizational level by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s(HLM). Third, follow-up studies about other variables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value education and core value practice need to develop the result of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핵심가치 실천과 핵심가치교육, 핵심가치 전개활동 및 조직신뢰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0대 그룹사의 핵심가치 교육에 참여한 참가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243부(48.6%)가 회수되었고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총 233부(46.6%)의 유효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로써 첫째, 핵심가치교육과 핵심가치 실천의 관계에서 핵심가치교육은 핵심가치 실천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핵심가치교육과 핵심가치 실천의 관계에서 기업의 핵심가치 전개활동은 순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핵심가치교육과 핵심가치 실천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수준은 조절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가치 전개활동과 조직신뢰 수준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핵심가치 실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을 개인차원과 조직차원으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활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핵심가치교육과 핵심가치 실천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개인/조직차원의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기업 핵심가치 인지 정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핵심가치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고정주,이윤철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6 No.-

        21세기 들어서면서 기업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지속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원동력으로 핵심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임직원 전원이 참여하여 진정한 핵심가치를 제정하고 그 핵심가치를 임직원에게 내재화 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는 흐름을 항공사에도 접목시켜보고자 한다.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항공사야 말로 직원들의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를 아까지 않아야 한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인적자원으로 꼽을 수 있는 객실승무원들에 대한 역할은 고객접점에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항공 객실승무원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고객 접점에 있다는 것은 객실승무원의 언행과 행동 하나하나가 회사를 대표한다는 뜻을 내포한다. 각 개인의 언행과 행동은 각자의 사상, 가치관, 신념에 근거하기에, 고객 접점에 있는 직원들에게 기업의 핵심가치를 교육시킴으로써 기업의 기업 철학을 바탕으로 한 직원들의 통일된 언행은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영향력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게다가 이러한 핵심가치 교육으로 인해 기업의 핵심 가치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여 업무 수행 시 회사의 가치관과 신념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회사와 개인의 행동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정확하기 인지한다는 것을 의미함으로 혼란스러움과 시행 착오가 줄어듦에 따라 업무만족도의 상승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을 대상으로 기업의 핵심가치를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 지와 직무만족도를 조사해 그 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핵심가치 교육에 대한 이해도와 만족도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에 대한 핵심가치 교육을 통해 직무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보고자 한다. 많은 선행 연구들을 통해 직원들의 핵심가치 교육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도 같은 연구 결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핵심가치 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핵심가치 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강화될 것이며, 핵심가치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핵심가치 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강화 될 것이라 기대해본다. 이를 통해 각 항공사들은 객실 승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신입 교육 및 직무교육에 있어 기업의 핵심가치에 대한 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핵심가치 교육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더욱 힘써야 함을 알리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을 둔다.

      • KCI등재

        핵심가치 내재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김익섭(Ik-Sup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2 No.2

        21세기 들어 기업환경은 날이 갈수록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매년 많은 기업들이 성장과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생존하기 위한 방식으로 개별기업들은 기존 전략의 수정 혹은 CEO의 교체 그리고 조직의 쇄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존의 방식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생존방식의 일환으로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핵심가치 중심의 경영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운 환경과 핵심가치 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 초일류기업들의 핵심가치 중심의 경영에 대한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조직 구성원들에게 전파하고 내재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 모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어려운 경영환경을 핵심가치 중심의 경영을 통해 극복하고자 한 특정기업의 핵심가치 전파 및 내재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국 조직구성원들의 의식과 행동의 발현을 위한 핵심가치라는 DNA는 지속적인 반복학습을 통하여 구성원들이 핵심가치가 왜 필요한지에 대하여 공감하고 마음 속에 내재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판단하게 되었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competition among for-profit organizations has been intensified. As many firms rise and fall, the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several ways to survive. They changed their strategy towards market, acquired a new CEO, and reformed the table of structure. Among these attempts for survival, the management that is more focused on core values emerged for more suitable and sustainable growth. This study focused on how organization manages its core values and what it tells us in the difficult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a for-profit organization makes the employees understand and internalize the core values by developing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yielded that repeatedly reminding and educating employees is the best way to internalize these core values.

      • KCI등재

        고객경험기반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핵심가치 도출 프로세스 연구

        이은실(Eun Sil Y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제품이나 서비스의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에 있어기본적인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는 브랜드 핵심가치는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고객의 경험을 중시하는 경향과 더불어 브랜드 아이덴티티 역시 고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브랜드의 핵심가치 도출 프로세스 역시 고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전개와 활용에 있어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브랜드 가치는 공급자의 목표가 아닌 고객의 경험을 통해 도출되어야 한다는 두 가지 가설을 세우고 고객 경험에 기반 한 브랜드 가치 도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치과용 영상진단 서비스를 대상으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고객경험에 기반 한 브랜드 핵심가치를 도출하였다. 생산자의 목적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방식의 브랜드 핵심가치와 대조 되는개념으로, 고객의 경험을 통해 도출되는 고객경험 기반의 브랜드 핵심가치를 도출하는 전략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전통적 관점의 브랜드 가치가 제품이나서비스의 특징과 장점을 함축하여 전달하는 메시지라면 경험적 브랜드 가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험을통해 고객에게 전달해야 할 감성적인 메시지로 볼 수있다. 고객 경험기반의 브랜드 핵심가치 도출을 검증하기 위한 적용대상으로는 고객 경험의 관여도가 높은 의료서비스 중 치과용 저선량 영상진단 서비스를대상으로 선택하여 진료 현장을 방문하고 고객의 경험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고객 경험 가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고객경험기반의 브랜드 핵심가치도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핵심가치는 저선량 영상진단 장비의제품브랜드 혹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과병원의 서비스 브랜드 핵심가치가 되어, 첫째, 생산자 및공급자 중심의 브랜드가 아닌 고객 중심의 브랜드 확립을 위한 기본 가치를 제공하고 둘째, 브랜드 플랫폼의 최상위 단계인 브랜드 핵심가치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기준이 되어 주며 셋째, 다양한 브랜드 마케팅및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고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브랜드 활동과 관리가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Brand core value, guiding directions and fundamental standards for product/service marketing and communication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rand identity design. Recently, with the whole industry tending to focus on customer experiences brand identity is doing so, and the deriving of brand core values must be developed to focus on customer experiences.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two hypotheses -the brand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lays a key role in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brand identity design and brand value should be derived from the customer experience not the objectives of the provider- and then suggested a brand value deriving process which is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To verify this process, it is applied on a dental imaging services and brand core value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is derived. Unlike the traditional way of brand core value deriving, which focuses on the producer’s purpose, this study shows a strategic framework for deriving brand core value through customer experience. When the traditional view of the brand values implies the features and benefits of the product or service, the experiential brand core value is an emotional message delivered to custom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product of service. The low-dose imaging dental health care services, showing high involvement of the customer experience, selected to verify the framework and customer experiential value is derived through medical site visits, customer research and analysis. Based on this experience, the deriving of brand core value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process is suggested. Core value derived by this way is a service brand core value of dental clinics that provide products or services in such low-dose imaging equipment, so that first, producers and suppliers can be provided a default value to establish a customer-based brand and second, provides a standard to determine and select brand core value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brand platform, and third, at brand marketing and brand communications, provides a customer experience-based direction to enable consistent brand activity management.

      • KCI등재

        조직의 학습문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핵심가치 인식, 조직몰입 간의 관계

        김은수(Eunsoo Kim),김부길(Boogil Kim),정정필(Jeoungphil Jeoung),관월(Yue Guan),박용호(Yongho Park)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핵심가치 인식을 개인 차원의 핵심가치 내재화와 조직차원의 핵심가치 전개활동으로 구분하고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의 학습문화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핵심가치 내재화의 성과 변인으로서 조직몰입을 가정하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학습문화, 변혁적 리더십, 핵심가치 내재화, 핵심가치 전개활동,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실천적 및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분석은 사무직 종사자 340명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연구가설이 지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독립변인인 조직의 학습문화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매개변인인 핵심가치 내재화와 핵심가치 전개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은 모두 종속변인인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아울러 핵심가치 내재화와 핵심가치 전개활동이 조직의 학습문화 및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사이를 매개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climate and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core value internalization and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Also,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effects of core value internalization and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 other words,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climat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re value internalization,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40 clerical work employees. Study results showed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In other words, the in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learning climate and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s on core value internalization and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which are the mediators of this study. Also, the independent and mediating variables have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results find the mediating effects of ore value internalization and core value expansion supporting activity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oo.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 and suggestion for the future study were provided.

      • KCI등재

        전시컨벤션 산업에 대한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 핵심 역량, 직업 기대, 전공 만족에 관한 연구

        김난영 한국무역전시학회 2016 무역전시연구 Vol.11 No.3

        전시컨벤션 산업은 경제적 파급효과와 일자리 창출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국가에서 성장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컨벤션 산업은 괄목할만한 양적 성장을 기록하였을 뿐 아니라 향후 지속적 성장이 예측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질적 성장의 평가에서는 부정적인 것이 사실이다. 유능한 인적자원의 양성과 확보는 전시컨벤션 산업의 질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취업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시컨벤션 산업에 대한 취업 가치관, 전시컨벤션 산업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전시컨벤션 산업에 대한 취업 가치관과 핵심 역량이 취업 기대와 전공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나아가 취업 가치관과 핵심 역량이 일반적 사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전시컨벤션 산업의 취업 가치관은 5개, 핵심 역량은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취업 가치관과 핵심 역량은 취업 기대와 전공만족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 가치관과 핵심 역량은 일반적 사항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Exhibition·Convention industry is a highly value-added industry with huge economic impacts and capability of creating jobs which has been raised b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a strategic growth industry. Recently, exhibition·convention industry in Korea not only has recorded remarkable quantitative growth but also is expected to sustain its growth trajectory in the future. Despite enormous quantitative growth,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assessment on its qualitative growth is negative. Cultivation and securement of competent human resource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o induce qualitative growth of exhibition·convention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jobs regarding values on jobs and core competencies in exhibition·convention industry. In addition,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lues on jobs and core competencies on the desire for employ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and, further, examined if values on job and core competenc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traits. As the result of analysis, values on jobs were classified into 5 values while core competencies were classified into 4 factors. Values on job and core competencies had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sire for employ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In addition, recognition on surveyed factor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demographic trait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was discussed the several implications.

      • KCI등재

        성취가치가 대학생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핵심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원빈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d career planning and job search process. For this purpose, 124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 at the 4-year H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using K-CESA tool to measure their core competencies and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on achievement value and career identity I conducted an investiga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value, core competencies, and career identity. First, achievement value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identity. Second, achievement value has a direct effect on core competencies. Third, core competencies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identity. Fourth, achievement value has a greater effect on core competencies mediation than individual effects on career identity. In addition, achievement value, core competencies, and career identity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correlated. This led to a policy implication that there is a need to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core competencies to improve students’ career identity during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진로계획의 수립과 직업탐색의 과정을 보내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에 관련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4년제 H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핵심역량진단(K-CESA) 도구를 활용해 핵심역량을 측정하고, 성취가치와 진로정체감에 대해 자체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성취가치, 핵심역량 및 진로정체감 간 관계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첫째, 성취가치는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가치는 핵심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은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가치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개별효과보다 핵심역량을 매개로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가치, 핵심역량 및 진로정체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대학생 시기 학생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해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과정 개선과 이와 관련한 비교과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