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설야의 전향기소설과 노신의 「공을기」,「광인일기」의 영향관계 고찰

        김명숙 ( Myoung Sook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3 No.-

        1934년 6월부터 일 년 반 간의 전주감옥생활은 한설야로 말하면 전면적인 반성의 시간이었으며 그것을 계기로 한설야의 사상과 작품은 새로운 특징을 보여주었다. 학계에서는 한설야 출옥 후의 일부 비슷한 특징을 보여준 계열의 작품을 흔히 전향소설의 범주에 넣지만 본고에서는 ‘전향기소설’이라 함으로써 보다 자주적인 연구공간을 얻고자 하였다. 후에 한설야는 언론을 발표하여 자기가 전주감옥시절에 가장 많이 생각한 작품으로 노신의「광인일기」와 「공을기」라고 하였고 그로부터 “적지 않은 암시를 받”았다고 하였다. 본고는 한설야의 이런 언론을 근거로 비교문학의 각도에서 한설야의 전향기작품과 노신의 「광인일기」, 「공을기」와의 영향관계를 연구하였다. 한설야와 노신 두 작가는 모두 입세적(入世的) 작가로서 사회와 정치운동에 대한 그들의 정열은 문학에 대한 심미적 태도에 대등하거나 심지어는 압도적이다. 총체적으로 볼 때 두 작가의 문학과 사상은 커다란 차이가 있으며 그러나 한설야가 노신의 두 작품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 그 부류의 작품을 살펴보면 내용과 형식 여러 면에서 상통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예컨대 두 작가가 그린 인물형상은 궁지에 처한 인테리이거나 곤혹을 거쳐 반항에로 나아가는 지식인의 정신상태를 보여주었다는 점이 그러하다. 한설야는 노신의 ‘공을기’로부터 자기를 비추어보면서 실패자의 삶에 수긍해서는 안된다고 스스로를 격려하였고 자기의 작품에 경제적으로 가난하고 정치적으로 박해받는 그 시기 조선지식인의 무기력한 형상을 그릴 수 있었다. 그리고 ‘광인’으로 부터는 그 강렬한 의분과 반항적 정열에 감복하였던 것이다. 요컨대 한설야의 전향기소설은 작가의 소중한 반성의식을 보여주었으며 끝없는 자기확인, 방황과 고민을 거쳐 종국에는 새로운 힘의 분출을 준비하는 정신역정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것은 생존곤경을 타개해 나가는 삶의 과제의 완수 과정이며 한 개 우수한 인테리로서 스스로의 문화신분(文化身分)을 찾기 위한 몸부림의 표현이기도 하다. 형식면에서 한설야의이 시기 소설은 자기의 생활경험과 체험에 충실하는 세속화에 편향하는 창작태도를 취함으로써 이왕의 관념화의 경향을 바로잡을 수 있었고 좌익문학에 보편적인 “선전(宣傳)”화의결함을 성공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More than one and a half year in prison in Jeonju from June 1934 gave the writer HanSeol-ya many opportunities to conduct a comprehensive self-examination. Indeed, HanSeol-ya`s thoughts and works in prison showed new features and his new works after hewas released from prison turned entirely different in style and content from his worksbefore. His new works were called “turn novels” in academic world. This thesis called hisnovels as “novels in turn period” in order to obtain more free research space. Later on,Han Seol-ya once said that what he thought about the most in prison was Kong Yiji and Amadman`s Diary from Lu Xun, in which the figures accompanied him through the hardesttimes, so Han Seol-ya`s change in writing was motivated by Lu Xun`s works. According toHan Seol-ya`s remarks on Kong Yiji and A Madman`s Diary, the thesis took a researchmethod of comparative literature to discuss the relations between turn of novels from HanSeol-ya and Kong Yiji and A Madman`s Diary from Lu Xun. Han Seol-ya and Lu Xun were writers, whose enthusiasm about society and politicswere the same as or higher than that of their aesthetic value on literature. Generallyspeaking,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ir literature and thoughts. However,Han Seol-ya`s novels during turn period had been influenced by Lu Xun`s Kong Yiji and Amadman`s Diary, and the novels from the two writers could be explored many commonfactors in content and style. For example, the figures in their novels showed the predicamentsand spiritual dilemma of the intellectuals in that historic period, and revealed theresistance deep in the intellectuals` heart to the society. Han Seol-ya reflected himselffrom Kong Yiji`s destiny, thought about his cultural identity and social influence, and motivatedhimself to walk out of the failed and survival situation that Kong Yiji faced. Then he noticed the necessity of irreconcilable contradiction and resistance to society betweenhimself and the old society and old regime. The turn novels from Han Seol-ya manifested that Korean intellectuals in that historicperiod had undergone the experience from confusion and hesitation to accumulatingstrength and resistance. The experience could be said a struggle for survival after overcomingdifficulties to march forward bravely, or an exploration for pursuing a culturalidentity. In the art form, Han Seol-ya took a form of “novel on hand”, that is the novel describedtrivial things in life experience which happened around him. His novels in turnperiod were created in realism in order to express the life itself. Therefore, his novels gotrid of the connectional restriction, and successfully overcame the content-oriented andidealism often seen in the novels of the left wing, which brought new vitality to hisnovels.

      • KCI등재

        1950~60년대 중국 문단에 소개된 한설야와 그의 문학평론 연구

        申先玉(Shen, Xianyu)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3 No.-

        1950~60년대 중국 문단에서는 한설야의 문학평론을 중역하여 외국문학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문예지 <譯文>에 게재하였는가 하면, 한설야의 시사평론을 중역하여 정치적 경향이 짙은 <文藝報>, <人民日報>에 게재하면서 한반도에 대한 북한 문인의 인식과 계급적 입장을 기사화했다. 한설야의 글들이 중역되어 출판된 데에는 한설야의 북한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장이라는 신분과 그가 북한 문단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한설야의 “인민문학” 평론은 1950~60년대 중국 학계에서 한국(조선) 문학 연구의 기준을 세우는 데 필요한 문헌으로 활용되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950~60년대 중국 문단에 소개된 한설야와 그의 문학평론을 조명하면서, 그 당시 중국 문단에서는 한설야의 어떤 문학사상을 번역하였는지, 그런 점이 중국에서의 한국(조선)문학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중국에서의 한국(조선)문학 연구의 발전 과정을 뒤돌아봄으로써 현재 중국에서의 한국(조선)문학 연구 현황을 점검하도록 하며, 중국에서의 외국문학연구사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문헌을 제공해줄 것이다. Han Seor-ya’s literary reviews were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China in the 1950s and 1960s. The translated literary reviews were published in Translation Magazine, a specialized periodical in rendering foreign literature. In addition, Han Seorya’s commentary was also translated into Chinese and published in such publications with political slants as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Art and China Daily. Such translation work could convey the proletarian position of North Korean men of letters. Han Seorya’s literary reviews could be brought into China for two reasons that cannot be ignored. First, Han Seor-ya was the chairman of the League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Art, occupying the dominant position in the realm of literature in North Korea. Second, the commentary written by Han Seor-ya on the “literature created by people” could serve as a reference for China to work out the standards for foreign literature studies. This paper, therefore, focuses on Han Seorya and his literary reviews that were introduced to China in the 1950s and 1960s, clarifying which of Han Seorya’s thoughts on literature were imported to China and what effect the introduction of his thoughts has had on Korean (and North Korean) studies conducted in China; and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ry criticism of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in China.

      • KCI등재

        한설야의 「혈로」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인식 연구

        남원진(Nam Won-jin)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한설야의 1946년 판본 「혈로」는 김일성의 '함경북도 6도시 진공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는데, 구체적인 항일무장투쟁 과정을 묘사한 것이 아니라 김 장군의 작전 구상이 탄생하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단편소설이다. 또한 이 작품은 김일성을 북조선의 최고 지도자로 만드는 과정에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널리 알리고자 한 북조선예술총련맹의 여러 작업의 일환으로 창작된 것이다. 이런 한설야의 「혈로」에서 보듯, 북조선 지식인들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국제공산당 노선의 일환으로 파악한다. 즉, 한설야의 항일무장투쟁의 형상화는 김일성을 우상화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 소련이 선택한 새로운 사회주의 국가를 이끌 북조선의 최고 지도자로, 민족의 영웅으로 인식했던 북조선 문학인들의 보편적 인식에 닿아 있다. 따라서 김일성 '중심으로' 모든 것을 해석하는 우상화를 목적으로 한 작품이라기보다는 한설야의 단편소설 「혈로」(1946)도 리찬의 가요 「김장군의 노래」(1946)나 조기천의 장편 서사시 「백두산」(1947)과 마찬가지로 항일무장투쟁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기초로 해서 민족의 영웅, 새로운 지도자에 대한 무한한 찬사를 드러낸 작품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Han Sulya's 1946 block book A Way of Blood, which dealt with the process where General Kim Ilsung made 'a plan to attack the six cities in Hamgyungbuk-do', is the short story which did not describe his concrete process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ut concentrated on formalizing the process where he started to work over his operations. Also, the work was created as part of various works by 'The General Federation of North Josun Art' which tried to widely announce hi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process of making him North Josun's best leader. As shown in it, the intellectuals in North Josun understood the struggle as part of international communist party line. Namely, his formalizing the struggle did not aim at idolizing Kim Ilsung but touched the universal awareness by the intellectuals who recognized him as North Josun's best leader to lead the new socialist country chosen by the Soviet Union, and hero of the people. Thus, it is more valid to see Han Sulya's short story A Way of Blood(1946) as a work of pronouncing unlimited eulogies on a hero of the people and new leader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like Lee Chan's song The Song of General Kim(1946) or Jo Gichun's long epic Mt. Baekdu(I947) rather than aiming at idolizing Kim Ilsung by interpreting all things 'centering on' him.

      • KCI등재

        한설야 단편소설의 개작 양상 연구 -외국인 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경재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8 No.-

        한설야 단편 소설의 개작은 미학적 완결성의 추구라는 일반적인 목적 위에 크게 두 가지 의도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는 일제 시기 엄혹한 시대 상황으로 인해 표현할 수 없었던 작가의 사상을 해방 이후에 비로소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두 번째는 1950년대 북한이라는 시공 속에서 강화된 정치적 의식을 반영하기 위해 개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과도기>와 <씨름> 두 편을 제외하고는, 북한에서 출판된 소설집 『귀향』에 실린 소설들이 모두 카프 해산 이후 쓰여진 작품이라는 것에서 방증을 얻을 수 있다. 외국인 형상의 변화를 통해 볼 때, 특히 한설야의 내셔널리즘이 강력하게 개입해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개작된 여러 작품들에서 강렬한 반일의식이 전면적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것 은 <과도기>와 ‘탁류3부작’과 같은 작품에서 식민지적 생산관계를 선명하게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원작에서 보이던 생산력의 발달이 가져온 성과에 대한 중립적인 시각은 지워져 있다. 또한 중국인의 형상화에 있어서도 일제 말기와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일제 말기 중국인에 대한 한설야의 의식이 식민주의적 (무)의식과 반식민주의적 의식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중층적인 모습이었다면, <보복>의 개작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이 해방 이후 소설에는 반식민주의적 의식만이 선명하게 드러날 뿐이다. 일본인과 중국인의 표상에 있어, 이처럼 달라진 양상은 1950년대 한설야가 지닌 내셔널리즘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해방 이후부터 북한은 실제적인 이유에서건 국가 재건을 위한 이유에서건 외부의 적을 상정하고 그에 대한 강렬한 적개심을 드러냈다. 이 때 외부의 적으로 등장한 것은 미국과 일본이였다. 반대로 중국과는 6.25 의 대규모 파병이 증거하듯이 혈맹의 관계를 맺어왔다. 이러한 당대의 정치적 담론이 『귀향』의 개작본에는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인과 중국인을 포함한 작중인물 형상화에 있어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은 이데올로기적 구분에 따른 선악의 이분법이 크게 강화된 것이다. 이것은 주제소설로서의 성격을 지니는 해방 이후 한설야 소설의 일반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인물 형상화에 있어 선명해진 선악의 이분법은 작가의 현실 극복 의지가 강화된 것과 맞물려 있다. 현실 극복 의지의 강화는 작품 결말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일제 말기 한설야 소설이 확보했던 복합적이며 성찰적이었던 생활의 공간과 예술성을 담지한 사상의 공간은 사라지게 된다. 소설집 귀향에 실린 개작 단편들은, 1950년대 북한문학의 이데올로기적 담론에서 자유롭지 못하던 한설야 문학의 특징을 보여주는 구체적 사례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revision in Han Sul-Ya’s short novel with an emphasis on the change of foreigner figure. The purpose of revision is to express his ideology that can’s write in japanse colonial period. Secondly, the purpose of revision is to reflect political ideology in the 1950’s. The changes made in the narrative contents are characterized by strengthening of anti-Japanese consciousness, nationalism. Because of this, colonial production relation comes out in the <a transitional period> and ‘a muddy stream trilogy’. Anti-Colonialism is exposed in the novel written after liberation in reference to the chinese figure. The North Korea made external enemy and exposed intense hostility. External enemy were Japan and USA. On the contrary, The North Korea had relationship with chinese as a blood alliance. This political discourse became known in ≪Homecoming≫.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by ideology was strengthened. The will to overcome world changed novel’s end. Consequently, the complex and intelligent works disappeared. The short novels in ≪Homecoming≫ are the examples that ideology gave Han Sul-Ya’s literature serious influence.

      • KCI등재

        한설야의 문제작 「개선」과 김일성의 형상화에 대한 연구

        남원진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4

        Han Sulya's short story A Triumphal Return involved many block books. It was adapted from the 1948 block book to the block books in coming generations continuing to discover Kim Ilsung's new aspects and modifying 'Taegukgi(the national flag of Korea)' or 'a red flag', which was frequently used i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into 'a flag' in the books, which meant denying 'the Republic of Korea' represented as 'Taegukgi', that is, incorporating it into the cold war system by its pressure. Also, it chose to secure the orthodoxy of North Josun led by the young leader called Kim Ilsung by giving a different answer about the negative eyes for him. Han Sulya tried to dissolve the misgivings raised from 'Kim Ilsung is young' and endow him with the feature of the leader for new North Josun, that is, the character of one's affectionate parents and teacher. These two desires of his gave birth to the disharmony between 'a young leader' and 'an old leader'. And they were the problems which the young leader Kim Ilsung would have to solve and difficult problems which new North Josun would have to solve. Here, formalizing Kim Ilsung and North Josun corresponds to the agony North Josun literature is in and problem it will have to solve. It is the central task resulting from the literature assuming a political problem and difficult problem. Also, further, it is the old task of establishing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that modern literature has assumed. 한설야의 단편소설 「개선」은 여러 판본이 있었는데, 1948년 판본 「개선」에서 후대 판본 「개선」으로 여러 부분이 개작되면서 김일성의 새로운 면모를 계속 발견하는 한편 해방기에 빈번하게 사용되었던 '태극기'나 '붉은 기'가 후대 판본에서는 '깃발'로 수정되었다. 특히 후대 판본 「개선」은 '태극기'로 표상되는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즉 냉전 체제의 압력에 의해 냉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려는 방향으로 개작되었다. 또한 한설야의 「개선」의 핵심적 사건인 '평양시 민중대회'는 북조선이 주장하는 것처럼 김일성을 환영하는 자리가 아니라 소련군을 환영하는 자리였다. 그런데 한재덕이나 오영진 등의 평양시 민중대회에 대한 증언은 냉전체제의 압력을 실감할 수 있었는데, 한설야의 「개선」에서도 김일성에 대한 부정적 시선에 대한 다름의 대답을 제시하여 젊은 지도자가 이끄는 북조선의 정통성을 담보하려 했다. 북조선 문학예술계를 이끌던 한설야에겐 '김일성이 젊다'는 것에서 제기된 의구심을 해소해야 했으며, 또한 새로운 북조선을 이끌 지도자에 대한 특성, 즉 자애로운 어버이이며 스승의 품성을 부여하려 했다. 한설야의 이런 두 욕망이 '젊은 지도자'와 '늙은 지도자'의 부조화를 탄생시켰다. 그런데 한설야의 두 욕망은, 곧 젊은 지도자 김일성이 해결해야 할 문제인 동시에 새로운 북조선이 해결해야 할 난제이기 한 것이었다. 여기서 김일성과 북조선에 대한 형상화는 북조선 문학이 안고 있는 고민인 한편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이는 북조선 문학이 정치적 문제를 떠맡으면서 생긴 중심 과제이며 난제인 것이었다. 또한 더 나아가서 근대 문학이 떠맡은 문학과 정치의 관계 설정이라는 오래된 과제이기도 한 것이었다.

      • KCI등재

        대륙의 주인은 누구인가? -한설야의 _대륙_에 나타난 현실인식

        이해영 ( Li Haiyi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2

        이 글은 한설야의 『대륙』에 나타난 현실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한설야는 적어도 중국인의 땅인 대륙에서 이루어지는 오족협화 내지 동아협동체라면 평등한 관계에 앞서 주인인 중국인의 허락과 동의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보았다. 한설야는 또한 당대의 만주담론과는 전혀 반대되는 `만주국`에서 설 자리조차 없는 조선인을 그려냈다. 일본의 무력 침략에 의해 세워진 `만주국`에서 조선인은 원래의 그 땅의 주인이었던 만주인들에게는 일본인의 앞잡이로 취급될 수밖에 없으며 일본인들에게는 또한 도구 정도밖에 되지 못한다는 것. 그래서 만주국에서 조선인은 설 자리조차 없다는 것이 한설야의 인식이다. 한설야는 또한 의용군을 결성해 일본에 저항하는 항일세력이기는 하지만 온갖 착취와 폭정을 일삼아 만주의 3천만 주민을 궁핍에 빠뜨리고 참상에 밀어 넣은 장본인인 장학량 역시 원래도 대륙의 주인이 아니었지만 대륙의 주인이 될 자격을 상실한 대륙의 부랑아일 뿐이라고 보았다. 한설야는 1939년의 시점에서 장학량 의용군의 부패와 무능, 타락으로부터 반만항일 실패의 원인을 찾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인식들은 한설야가 결코 동아협동체론이나 오족협화로 대표되는 일본 제국의 담론을 수용하지 않았고 그것을 원천적으로 부정한 자리에, 즉 `만주국`의 건국 자체를 부정하는 자리에 서있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studies on the reality recognition of Han Seolya`s The Continent. Han Seolya thought that the "Five-Race Harmony" and the "East Asian Cooperative Community" should be built on the equality and be admitted by the Chinese who were the hosts. He also wrote about the Koreans who even had no place to put their feet on in `Manchukuo` which was completely opposite to the contemporary Manchuria discourse. In "Manchukuo" establish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armed forces, the Koreans were regarded as Japanese stooge by the Manchurians who were the owners of the original land, and they were regarded as only tools by Japanese. What Han Seolya recognized was that the Koreans had no place to put their feet on in Manchukuo. He also recognized that although the volunteer army was built as an anti-Japanese force, its continuous exploitation and tyranny put 30 million inhabitants of Manchuria in poverty and misery. For this reason, Zhang Xueliang who spin a cocoon around himself lost the qualification to be the host of the continent, although he had never been the host of the continent. Han Seolya thought that Zhang Xueliang was only a vagrant. He pointed out that the failure of anti-Manchukuo and anti-Japanese struggle was caused by the corruption, incompetence and depravity of Zhang Xueliang`s voluteer army in about 1939. With this reality recognition, Han Seolya could never accept the "East Asian Cooperative Community" and the "Five-Race Harmony"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 discourse of Japanese Empire. He thought that these discourses were wrong at the very beginning, and it was wrong to establish `Manchukuo`.

      • KCI등재

        북조선의 역사, 자주성의 욕망- 한설야의 『력사』 재론

        남원진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6 No.-

        Han Sulya’s History which dealt with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as the novel which had been created according to the question for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A series of Han Sulya’s creative practices such as such creation or creation and discontinuance of Bochunbo, a sequel to the novel, aimed at confirming the North Josun-centered historical evaluation that the struggle in the 1930s reigned over domestic movement. Also, as they emphasized the creative application of Marxism-Leninism, they revealed a clue to the desire that Han Sulya who chose to interpret with North Josun-centered history, further, Kim Ilsung-centered history, further, the intellectuals of North Josun had. And the North Josun-centered historical interpretation or Josun’s strong desire for independence may perhaps result from the dual experiences such as the bitter past experience of the Minsaengdan Incident in the colonial age and the humiliating present experience of the complete exclusion from war command after Chinese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Also, North Josun-centered history or North Josun’s strong desire for independence may be based on historical facts like Han Sulya’s History, but result in historical exaggeration, further, distortion. 한설야의 『력사』는 아동혁명단과 함께 시난차 전투, 황니허즈 전투 등의 1930년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다룬 최초의 장편소설이었다. 1950년대 북조선의 대표적 평자들이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다룬 대표작으로 거론했지만, 1960년대 한설야의 숙청과 함께 한설야의 『력사』는 한동안 사라졌다가 다시 복권된 작품이었다. 또한 남한의 대부분 연구에서의 평가와 달리 『력사』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에 대한 문제에 따라서 창작되었던 문제작이었으며, 한설야는 더 나아가 속편격인 『보천보』 창작으로 나아갔으나 중단되었다. 그런데 이런 『력사』 창작이나 『보천보』의 창작과 그 중단 등의 일련의 한설야의 창작적 실천은 1930년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이 국내 운동 위에 군림했다는 북조선 중심의 역사적 평가를 확인하는 방향으로 나아간 것이었다. 또한 이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창조적 적용을 강조함에 따라 북조선 중심의 역사 더 나아가서 김일성 중심의 역사로 해석하고자 했던 한설야, 더 나아가서 북조선 지식인이 가졌던 욕망의 단초를 드러낸 것이었다. 그런데 이런 북조선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해석이나 조선의 자주성에 대한 강한 욕망은, 아마도 식민지 시대 민생단 사건의 쓰라린 과거의 경험과 함께 6․25전쟁기 중국의 참전 이후 전쟁 지휘에서 온전히 배제되는 굴욕적인 현재의 경험 등의 중첩적 경험이 낳은 결과였을 것이다. 또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 또는 북조선의 자주성에 대한 욕망이 강화되면 될수록 한설야의 『력사』처럼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의 과장, 더 나아가서 역사의 왜곡을 낳는 것인지도 모른다.

      • KCI등재

        한설야, ‘문예총’ 그리고 항일무장투쟁사

        남원진(Nam, Won Ji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60 No.-

        한설야는 분단의 역사에서 가장 문제의 작가였다. 그는 북조선 ‘문예총’의 결성과 전개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는데, 1949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제3차 대회 이후 계속 ‘문예총’ 위원장직을 맡으면서부터 실질적인 북조선 문예조직의 일인자로 활동했다. 또한 ‘문예총’의 역사와 더불어 해방 후 창작적 실천도 이루어졌는데, 이는 항일무장투쟁사를 복원하는 것이었다. 그의 『설봉산』에서는 1932~1933년 적색농민운동과 항일무장투쟁의 연계를 암시했고, 『력사』에서는 항일무장투쟁이 국내 진공계획의 일단, 즉 ‘조국에의 한 걸음 한 걸음’임을 보였고, 「혈로」에서는 ‘김 장군의 부대’의 ‘함경북도 6도시 진공 계획’이 ‘거룩한 광명’임을 그렸다. 즉, 1930년대 초반 함경도 농민운동의 확대 강화를 다룬 『설봉산』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과 국내 운동이 연결된 것임을 밝히려는 의도였고, 『력사』와 「혈로」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이 국내 진공 작전을 위한 것임을 천명하는 작업이었다. [표는 본문참조] 그의 이런 창작적 실천은 국내 투쟁과 연계된 항일무장투쟁이나 국내 진공 계획 등의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항일무장투쟁의 모든 과정을 형상화하려는 의도였다. 이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사의 전체적 지형도, 더 나아가 주변부의 역사에 머물렀던 항일무장투쟁사를 중심으로 한 북조선 역사의 전체적 지형도를 형상화하려는 한설야의 욕망이 작용했던 것이었다. 또한 그가 작품에서 묘사했던 항일무장투쟁의 길이란 ‘휘황한 새 아침’이나 ‘새희망의 빛’, ‘거룩한 광명’으로 표현된 이상적인 것이었다. 항일무장투쟁을 다룬 그의 대표작은 이러한 이상적인 시공간에서 펼쳐진 것이 북쪽의 역사임을 증명하고자 했다. 이는 한반도 남쪽 중심의 역사에서 가려졌던 한반도 북쪽의 역사, 즉 휘황한 ‘새 조국’, 북조선 중심의 역사를 그리려 했고, 더 나아가 조선 시대 변방이었던 함흥과 연계된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 중심의 역사, 즉 식민지 시대 주변부의 역사에 불과했던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사를 중심부의 역사 또는 성스러운 역사로 만들고자 했던 한설야, 즉 북조선 지식인이 가졌던 욕망의 단초를 드러낸 것이었다. Han Sulya was the most problematic author in the history of the division. He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General Federation of Literature & Art’ of North Josun: he had been active as the substantial number-one man of the federation since he continued to take charge of the office of ‘a chairman of central committee of the federation’ after the 3rd rally of the federation in 1949. Also, he also made creative practices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the federation, which restored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His work ‘Mount Sulbong’ suggested the connection of the Red Agrarian Movement from 1932 to 1933 and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showed that the struggle was the one stage of domestic attack plan, that is, ‘one step, one step toward the fatherland’ and ‘A Way of Blood’ indicated that ‘the plan of attacking the six cities in Hamgyungbuk-do’, which was made by ‘General Kim’s troops’ was ‘a holy light’. ‘Mount Sulbong’, which dealt with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the agrarian movement in Hamgyung-do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s, intended to clarify that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as connected with domestic movement and the works of ‘History’ and ‘A Way of Blood’ made clear that the struggle was for domestic attack operations. Such creative practices of his aimed at formalizing all the processes of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cluding anti-Japanese armed struggle connected with domestic struggle or domestic attack plan. His desire to formalize a general topographical map of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further, a general topographical map of North Josun history centering on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remaining in the history of the surrounding parts might have functioned. Also, a way to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hich he described in his works, was ideal which was expressed as ‘brilliant new morning’, ‘the light of new hope’ or ‘holy light’. Such typical works which dealt with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imed at prove that the history of the north was developed in such ideal time and space. They chose to depict the history of the 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d been hidden in the history centering on its south, that is, the history centering on North Josun, brilliant ‘new fatherland’. Further, they revealed a clue to the desire of the North Josun intellectuals including Han Sulya who wished to make a history of the central part or a holy history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which was but the history centering on the regions adjacent to the Yalu and the Tumen, which were connected with Hamheung, a frontier in the Josun age, that is, the history of the surrounding parts in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황혼』 다시 읽기 : 1930년대 후반 상황과 한설야의 입장, 그리고, 핵심 인물 경재에게 초점을 맞추어

        홍래성(Hong, Rae-seong)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6 No.-

        본 논문은 1930년대 후반 상황과 한설야의 입장, 그리고, 핵심 인물 경재에게 초점을 맞추어 『황혼』을 꼼꼼히 분석해보려는 의도로 쓰여졌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황혼』의 창작 배경을 파악하고자 신건설사 사건 이후 한설야가 발표한 언설들을 탐색해보았다. 한설야는 이 언설들에서 기존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지닌 도식성을 타파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비쳤거니와, 이를 위해 진실한 인간을 그려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황혼』은 이러한 견해를 담아내고자 한 작품이었다. 둘째, 『황혼』의 핵심 인물 경재를 둘러싼 문제를 탐색해보았다. 한설야는 『황혼』을 구상할 당시 경재를 핵심 인물로 설정했는데, 이는 전형기라는 시대적인 분위기를 고려한 것이었다. 또한, 한설야는 『황혼』을 써나가면서 원래 의도와는 달리 경재보다도 여순, 준식을 더 매력적으로 형상화해 버렸는데, 이는 무의식적 동일시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셋째, 『황혼』에서 경재가 처한 현실적인 제약 및 경재가 보여준 관계 맺음 방식의 한계를 탐색해보았다. 경재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딜레마에 놓여 있었거니와, 이로부터 회피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한설야의 의도를 따른 것이었다. 더불어, 경재는 여순에게도 현옥에게도 ‘동정 → 사랑’의 감정 메커니즘으로 관계를 맺었는데, 이는 근원적인 한계를 지니는 것이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carefully analyzing Twilight, focusing on the situation of the late 1930s, Han Seol-ya"s position, and main character Kyung-jae. This paper proceed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explored the criticisms published by Han Seol-ya after the Sin-geon-seol-sa incident. This was to understand the creative background of the Twilight. In these criticisms, Han Seol-ya argued that the stereotypes of old proletarian literature should be overcome. Also, he insisted on portraying a true human being. And, Twilight was a work that reflected Han Seol-ya’s view. Second, this paper explored the problem surrounding the main character Kyung-jae in Twilight. The reason why Han Seol-ya set Kyung-jae as a main character is because he considered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called Transition Period. In addition, Han Seol-ya has more attractive features of Yeo-sun and Jun-sik than Kyung-jae by writing Twilight. The reason was unconscious indentification. Third, this paper explor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Kyung-jae and the way of establishing relationship of Kyung-jae. Kyung-jae was in a dilemma. Also, Kyung-jae showed a side to avoid this dilemma. All of this was Han Seol-ya’s intention. In addition, Kyung-jae has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Yeo-sun and Hyun-ok as mechanism of ‘sympathy → love’. This kind of relationship has fundamental limitations.

      • KCI등재

        문학과 정치

        남원진(Nam, Won-J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2 No.-

        한설야의 『력사』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다루었던 인민상 계관작품이며 널리 북조선에서 읽혀졌던 장편소설이었는데, 여러 판본이 있었다. 1953년 연재된 후 1954년 단행본으로 출판되면서 여러 부분이 개작되었는데, 김일성의 형상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항일무장투쟁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특히 ‘시난차 전투’와 ‘황니허즈 전투’에 대한 것이 변경되었고 조국광복회의 강령도 개작되었다. 김명수의 평가 이후 이런 개작으로 인해 엄호석 등의 여러 평문이나 안함광 등의 문학사에서는 개작본 ?『력사』를 가지고 내용을 정리하거나 평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는 한설야의 문학에 국한된 것이 아니기에 더욱 문제일 수밖에 없었다. 북조선 문학이 최초로 발표된 후 인용이나 재수록 등의 과정을 통해서 빈번하게 개작되었듯, 북조선 평문이나 문학사<br/> 도 이에 자유롭지 못했다. 이런 것이 북조선 문학이나 연구의 한 특징이었다. 그래서 여러 가지 문제가 생겼다. 아마도 이는 문학이나 문학사를 바라보는 북조선의 근본적 입장에서 온 것이었다. 북조선 문학은 줄곧 정치적 문제를 떠맡았는데, 이로 인해 북조선 인민들에게 공산주의 사상을 교양해야 하며 더 나아가 당 정책을 교양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이는 북조선 문학이 정치적 문제를 떠맡으면서 생긴 난제인 한편 중심 과제이었는데, 사회주의 문학 더 나아가 근대문학이 그러했듯 북조선 문학에선 문학과 정치는 분리할 수는 성질의 문제가 아니란 말이다. 이러하듯 북조선 문학은 ‘문학과 정치’라는 근대문학의 오래된 과제를 떠맡고 있다. Han Sulya’s History was the work laureate of the People’s Award which dealt with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novel which was widely read in North Josun, which had various block books. When it was serialized in 1953 and published in book form in 1954, its various parts were adapted and modified to more reinforce the form of Kim Ilsung and solve the problem for hi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istory. In particular, what were about ‘the Sinancha Battle’ and ‘the<br/> Hwangnihuz Battle’ were changed and the platforms of Association of the Restoration of the Fatherland were also adapted. After Kim Myungsoo’s evaluation, such adaptation caused the problem that Um Hosuk and others arranged or evaluated the contents of various plain texts with History adapted or Ahn Hamgwang and others literary history. It was inevitably more problematic because it was not limited to Han Sulya’s literature. Because literature of North Josun was frequently adapted through the process of quotation or reinclusion and so on after it was first published, plain text or literary history of North Josun was not free from it. Such a thing was one feature of literature or research of North Josun. It caused various problems. Perhaps it came from the fundamental position of North Josun toward literature or literary history. Literature of North Josun continually undertook political questions, which caused it to assume the task of having to inoculate the people of North Josun with communist idea and further with party policy. It is a challenge and central task resulting from literature of North Josun undertaking political questions, which means that literature is inseparable from politics in literature of<br/> North Josun like socialist and further modern literature. Like it, literature of North Josun has undertaken the long task of modern literature called ‘literature and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