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독일어권에서 세계철학사의 새로운 기획과 한국철학사 연구 전통의 변화

        박술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5

        세계철학사를 향한 최근의 요구는 18세기 유럽에서 형성되어 정전으로 자리잡은 유럽중심 철학사 서사에 대한 탈식민주의 비판에서 발생한다. 헤겔에 의하면 “동양”의 철학전통은 자연과 이성 사이의 미숙한 발달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불순하고 진리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그결과 고대 그리스에서 독일 관념론에 이르는 선형적 진보의 서사가 구축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하버마스의 최근 철학사 작업 Auch eine Geschichte der Philosophie(또 하나의 철학사)에서도 이러한 유럽중심주의의 틀은 반복되고 있다. 하버마스는 ‘축의 시대’의 모든 비유럽 철학 학파들을 종교적 전통으로 이해하며, 따라서 철학 이전의 단계로서 철학사에서 배제하고 있다. 이처럼 유럽에서 생산된 철학사들이 내재하고 있는 배제장치들은 대부분의 비유럽 철학 전통이 보편 철학사에 포함되는 것을 방해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힐데스하임 대학교의 연구 프로젝트 “Histories of Philosophy in a Global Perspective”는 전세계의 비유럽 철학전통들에서 생산된 대안적 철학사 서술 모델을 연구하고 재통합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언어권별 분류를 적용하여, 각 언어로 기술된 철학사 및 사상사 문헌을 결집, 분류, 해석하는 기초연구를 진행했다. 이 방법론을 넓은 의미의 “한국어” (한국어 화자가 사용하는 한문을 포함) 문헌에 적용한 결과를 본문의 3장 이하에 요약하였다. 한국어로 쓰인 철학사의 경우에는 8세기에서 식민지기에 이르는 문헌을 간략하게 탐구했으며, 한국의 전통적 철학사 서술과 서양 철학사 서술의 방법론적, 담론적 충돌을 보여주고자 했다. 세계 철학사를 의도한다면, 전통적 철학사에 내재된 계보적 지식과 대안적 시간 구조는 어떻게 번역되고 변용되어야 하는가?마지막으로 이처럼 구축된 세계 철학사는 한국철학사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세계 철학사의 지평에서, 미래의 한국철학사는 무엇이 될 수 있을 것인가? The current need for a global history of philosophy arises mainly from the decolonial critic on the canonical Western narrative of philosophy which is constructed in 18th Century Europe. According to Hegel,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of “Orient” are attributed to be impure and non-truth, because they remain in the undeveloped state of mixture between nature and reason. The result is a narrative of philosophy that is a linear development from Ancient Greek philosophy to German Idealism. In a similar manner, Habermas’ new work on history of philosophy Auch eine Geschichte der Philosophie repeats this Eurocentric scheme, excluding all philosophical schools of Axial Age (Achsenzeit) for being religious and thus pre-philosophical. Such inherent mechanisms of exclusion encoded in the European histories of philosophy have prevented virtually all Non-European philosophical traditions from entering the general history of philosophy. The DFG research project “Histories of Philosophy in a Global Perspective” at the University of Hildesheim aims to study and re-integrate alternative modes of historiographic representations of philosophical traditions of the world. Following this objective, I gathered and commented Korean bibliographical sources in History of Philosophy and Thought in the Korean Language. I have summarized the most important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and results of this book. A clear focus lies on pre-modern documents and documents from the colonial period (prior to 1945), in order to expose the process of collision between traditional and European historiographic models of philosophy. How can the traditional genealogical knowlegde and alternative time structure be translated and transformed into a global history of philosophy?Finally, the conception of a so construed global history of philosophy leads to the question: On the horizon of a global history of philosophy, what can the future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be?

      • KCI등재

        한국 철학사전 편찬의 역사와 전망

        이동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4 東洋學 Vol.57 No.-

        This article surveys the history of philosophical dictionary in Korea, discussing the issues to solve in the future. This article has limitations due to some constraints; first, there has been a dearth of preceding research on this subject; second, premodern East Asia did not have the discipline of philosophy like the modern period; third, traditional philosophy in Korea has been dealt with as part of traditional Korean studies rather than philosophy in general. And this survey excludes the cases of Buddhist dictionaries, North Korea’s dictionaries, and non-dictionary type reference works due to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is survey divides the compilation history of philosophical dictionary into the premodern period before 1945 and the modern period. This division bears on the languages used in dictionaries and the import of Western philosophy. And it has to be mentioned that philosophical dictionaries in the premodern period are found within traditional encyclopedias in East Asia(leishu 類書) and lexicons for classical studies. Thus this article surveys premodern dictionaries according to their feature rather tha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ly a philosophical dictiona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is classified as a premodern dictionary. The modern period after 1945 is demarcated by the 1980’s; Korean society dramaticallychanged in the 1980’s and philosophical dictionaries were influenced by the change. The first half, or the period before 1980’s had the three stages. In the 1940’s and 1950’s, philosophical dictionaries written in Korean appeared first. They are the Dictionary of Philosophy translated by Baek Hyo-Won and the Dictionary of Philosophy written by Yi Jae-Hun. In the 1960’s, grand and concise dictionaries on philosophy including East Asian thought were published. The modern type of philosophical dictionary has been established on this stage. In 1970’s, philosophical dictionaries were published as part of encyclopedias and multi-volumed series on humanities. The second half had the three stages too. The first stage, or the 1980’s was a period of social movement and ideology, and the trend of philosophical dictionary compilation reflect the atmosphere of the period. Dictionaries on Marxism from the West and the East Europe and North Korea’s dictionaries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the 1990’s, philosophical dictionaries were diversified and deepened academically. After 2000, we see the expansion and popularization of philosophical dictionary. Various Japanese dictionaries have been translated, and many dictionaries use such titles as ‘concepts’ and ‘key words.’ Various dictionaries on East Asian philosophy have been published too. The publication of the Dictionary on Philosophy based on Korean language is a notable work during this period. At the end, this article makes suggestions for the compilation of philosophical dictionary inKorea; first, diversification in type is needed; second, a study to improve the structure ofdictionary is required; third, to secure both academic quality and popularity is needed; fourth,non-dictionary type reference works are also worth attention; fifth, we need to pay attention totranslating and introducing of Korea’s academic achievement abroad; last but not least, moreefforts to compile good dictionaries need to be put by the government and society. 본 논의는 한국 철학사전의 역사를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 전망하는 것이다. 이 과제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다. 첫째, 선행 연구가 불충분하다. 둘째, 철학은 그리스에서 유래하여 19세기에 동아시아로 전래된 것이다. 셋째, 한국철학은 한국학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논자는 불교 사전을 제외하였고, 북한과 해외의 성과도 기본적으로 포함하지 않았으며, 비사전형 공구서도 제외하였다. 논자는 한국 철학사전 편찬의 역사를 전통시대와 1945년 이후의 현대로 크게 구분하였다. 이는 사용 언어와 서양철학의 수용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먼저 전통시대의 철학사전은 유서(類書)와 고전 텍스트 사전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그 특성 때문에 시대순이 아니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일제시기에 간행된 것도 한문으로 쓰여진 경우는 전통시대에 포함시켰다. 해방이후 현재까지의 시기는 1980년대를 기준으로 전반기와 후반기로 구분하였다. 이는 1980년대에 한국사회가 크게 변화하고 철학사전의 편찬도 이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전반기와 후반기에 각기 세 단계를 설정하였다. 전반기의 첫 단계인 1940~50년대는 최초의 한국어 철학사전인 백효원 역의 『철학사전』과 이재훈 편의 『철학사전』이 출간되었다. 60년대에는 대형의 『철학대사전』, 소형의 『철학소사전』, 『東洋思想事典』 등 다양한 유형의 철학사전이 출간되며 철학사전의 원형이 정립되었다. 70년대는 철학 사전이 대형 편찬물에 예속되었던 시기이다. 백과사전의 일부로서 출간되거나 세계사상전집의 부록으로 발간되었다. 후반기의 첫 단계인 80년대는 사회 운동과 이념의 시대이며, 철학사전의 편찬도 이런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마르크스주의 관련 사전이 출간되고 북한과 동구권의 사전이 번역되었다. 90년대는 다양화와 학술화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철학에 관련된 다양한 사전이 출간되고, 철학사전의 편찬도 학술적 성격이 강화된다. 2000년 이후는 양적 팽창과 대중화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사전이 다수 번역되고 ‘개념어’, ‘키워드’의 표제가 애용되고, 대중적 사전이 다수 등장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동양철학 사전이 출간되었다. 『우리말 철학사전』의 출간은 주목되는 사례의 하나이다. 마지막으로 한국 철학사전 편찬의 과제와 전망을 모색하였다.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유형의 사전이 요구된다. 둘째, 편집과 체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술성과 대중성의 양면에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비사전형 공구서도 중시해야 한다. 다섯째, 한국학의 성과를 해외로 소개하는 데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그 전망은 낙관할 수 없지만 사전의 제작을 위해 정부와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KCI등재

        한국철학사 연구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8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의 한국철학사 연구들을 성찰하면서 향후의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의 방향과 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 기술작업이 한국 사회의 의사소통과 의식형성이란 관점에서 볼 때 지니는 의미와 이 의미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한국철학사 기술 작업에 요청되는 새로운 변화된 관점과 방향을 찾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한국철학사 기술이 출판을 전제로 할 때 그것은 독자들과의 의사소통의 과정에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하였고, 이를 학문적 논의로 연결하기 위해서 사회체계를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다루는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의 관점을 원용하였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을 한국철학사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논의하는 주제는 네 가지이다. 첫째, 일제 식민지 사상사관은 어떻게 다루는가? 둘째, 한국철학이란 성립가능한가? 셋째, 한국철학의 실체화는 가능한가? 넷째, 한국철학의 고유성은 가능한가? 논의의 결론은 한국철학의 형이상학적 실체화로부터 벗어나서 한국에서 이루어진 의사소통의 체계를 통해서 한국 철학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주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이 식민사관의 그늘에서 벗어나는 길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서구 철학의 문제의식과 주제를 통해서 과거의 전통사상의 철학적 커뮤니케이션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한국철학사의 본령인지 그것과는 별도의 다른 방법이 가능한지는 학계의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a study result on direction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due to a reflection on many studies of Korean philosophy until now. It includes a reflection on meaning of the historiography from communication of Korean society and looks for a required new viewpoint and methods of historiography of Korean philosophy. For these it is considered that the historiography should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readers when the historiography is published. Thus Niklas Luhmann’s Social System theory is to provide a basis of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discussed about four themes: How to approach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Could concept of Korean philosophy be possible? Is it available to take substance of Korean philosophy for granted? How is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possible? The conclusion is as follow. Firstly substantialization of Korean philosophy should be avoided and rather system and context of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communications in Korea should be very identity and peculiarity of korean philosophy. However, it needs more continuous discussion to choose a main method to describe the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according to the Western philosophical themes or to other themes.

      • KCI등재후보

        한국철학의 정체성과 한국철학사의 관점

        김형찬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100 No.-

        In view of thi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s of prominent Korean scholars and philosophers such as Wonhyo, Jinul, Toegye, Yulgok, Dasan, and Hyegang. Each actively accepted and applied their knowledge in their own contemporary problems to seek alternative solutions. Such accomplishments in the intense process of reflection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accomplishm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The detailed conceptual discussion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or ontology, which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he field of Korean philosophy, is part of such achievements and is the foundation on which Korean philosophy stands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problems of reality faced by Korean philosophers in the time of Wonhyo to Hyega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perception of these problems gives uniqueness to their achievements, which are therefore mentioned in Korean philosophy. In other words,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consists of discussions in the process of seeking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that have been faced by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of which the level and form merit its recognition as philosophy as a modern academic field. Furthermore, this is the reason why ‘Korean’ philosophy is considered a product of posing problem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solutions within the realities of Korean history. 한국철학은 이제 근대 학문의 한 분야로서 자리를 잡았지만, 서구와 일제의 침탈을 겪고 그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그 성격에 다소 편중되거나 왜곡된 면이 있다. 서세동점 시대에 서구 중심적 관점에 의해 설정된 ‘문명 vs 야만’의 구도에 맞서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서구 학문의 관점에 따라 한국철학의 범위와 논제가 제한되었고, 일제 식민사관의 극복이라는 과제 속에서 철학사상의 ‘고유성’에 지나치게 집착해 왔다. 그럼에도 한국철학 분야의 연구는 그 동안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발전과 축적을 이루었다. 그 연구 성과들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철학사’에 담길 만한 대표적인 ‘한국철학’들의 특성과 철학사적 가치에 주목한다면, 한국철학사의 관점, 즉 철학사의 평가기준을 세울 수 있고, 그 관점은 곧 한국철학의 본질적 특성, 즉 한국철학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지산 배종호의 한국유학관 연구(Ⅰ) — 전기 저술을 중심으로 —

        리기용 한국철학사연구회 2024 한국 철학논집 Vol.- No.80

        이 논문은 전통 유학을 근·현대적 학문 방식으로 전환시켜 놓은 역할을 한 지산智山 배종호(裵宗鎬, 1919~1990)의 유학관, 특히 한국유학관에 대한 재평가를 위한 글이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 그에 대한 학술사적 평가는 그의 한국유학사 (1974)를 중심으로 수차례 이루어진 바 있다. 현대 한국유학 연구의 전환점이 된 한국유학사 에 대한 학술사적 평가와 그 중요성에 대해서 학계의 이견은 없다. 그러나 배종호의 학문적 배경과 정립과정 및 한국유학사 집필 등 전반적인 고찰 없이 그의 한국유학사 에 근거한 그의 한국유학관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그에 학문, 특히 한국유학관에 대한 재평가를 하기 위해 그의 삶과 학문의 여정을 살펴보는 한편, 그의 전반 저술 분석을 통시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그의 한국유학관 전모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필자는 그의 유학관 이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서양철학도에서 동양철학 전공자로, 그리고 한국유학사 를 집필한 한국유학의 대표적 학자로 변신하게 된 그의 학문적 여정과 그의 저작들, 초기 저작들과 한국유학사 와 한국유학자료집성 의 간행을 거쳐 만년의 저작까지 통괄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를 이를 위하여 한국유학사 간행을 기점으로 이전까지를 그의 학문 여정 전기로, 이후를 후기로 구분하였다. 이 글에서는 그의 전기 저작을 중심으로 그의 한국유학관을 고찰하였다. 후기 저작을 중심으로 분석 고찰하는 것은 다음 연구를 통해 밝힐 것이다. 이 고찰을 통하여 그의 생애와 학문을 살펴보면서 첫째 철학에 대한 이해와 철학적 방법론, 둘째 서양철학 전공자가 동양철학, 특히 한국유학 연구에 착수하게 된 이유, 셋째 한국유학의 초기 저작부터 한국유학사 정립까지의 학문적 여정도 고찰할 수 있었다. 넷째 그의 한국유학사 가 다루지 못한 시기와 다루지 않은 주제들에 대해서 그 여백을 채워볼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한국유학사 가 갖는 지성사적 의미와 학술사적 의의도 재평가해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re-evaluate the views of Jisan智山 Bae Jong-Ho(裵宗鎬, 1919~1990),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marking a milestone in modern Korean Neo-Confucianism and transforming traditional Confucianism into a modern academic method, especially the views of Neo-Confucianism in Korea In order to re-evaluate his philosophy, I divided his works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focusing on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Korea(1974).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his work in the first half, and the analysis of his work in the second half is left as a follow-up study. His study of Korean Confucianism focuses only on the theory of LiQi理氣, XingQing性情 among Neo-Confucianism in Choseon. Therefore, There are inevitably many blanks in each period and subject. In this paper, I can fill in the blanks by referring to the views that appeared in his first half works. Through this study, not only can he design the full extent of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he thought, but I can also examine his views on it.

      • KCI등재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황광욱 ( Hwang Kwang-oo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 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thesis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the subject and characteristics of two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Research Society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was published from the 1st edition in 1991 to the 55th edition until November, 2017, and introduced a total of 582 papers. In the meantime,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became a registered place after being nomina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mong the 582 chapters, 297 papers deal directly with Korean philosophy, and 174 papers on Chinese philosophy. Among the Korean philosophical theses, the most popular one was the 198th issue, and the Chinese philosophical thesis was the most popular with the subject of theology. Among the Korean philosophers, Chung Yak - Yong and Chinese philosophers Chu Shi were the most studied. Among the writ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203 were all of them. Among them, Lee Sang Ik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ith 28, and Choi Young Sung was the second with 23. Based on Lee Sang Ik 's thesis 28, Lee Sang Ik is a well - known neo - Confucianism scholar. His research is based on the theory of neo - 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secularism. On the one hand, he establishes his own moral theories and criticizes other moral theories. On the other hand he establishes his own governing theory and criticizes other governing theories. And theoretical proposals on va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Based on Choi Young Sung 's thesis, 23, Choi Young Sung is the best researcher in the field of studying in Korea. His research focuses on correcting mistaken perceptions and descriptions in the history of study abroad in Korea, and developing the undeveloped parts. In addition, I am looking for a new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studying in Korea. In addition, he has been studying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Choi Chih Won in order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approaching the history of thought rather than just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ought.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has been advanced in quantity and quality, and has develop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vitalization of the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n Philosophy Department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Korean Philosophy History Study Society' and to create excellent scholars.

      • KCI등재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황광욱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불학사 교재의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

        고영섭 한국불교사연구소 2021 한국불교사연구 Vol.20 No.-

        이 논문은 한국불교사상 관련 선행 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통해 한국불교사 교재의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을 제시한 글이다. 인문학불교학의 전공 교재를 간행하려면 교과 과정을 수립하고 전공 교재를 준비해야 한다. 전공 교재를 편찬하려면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을 기획해야 하고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은 서로 부합해야 한다. 구성 목차는 학습 과정을 보여주는 지형도가 되며, 수록 내용은 전공 과정을 담아내는 콘텐츠가 된다. 뇌허 김동화(1902~1980)의 교학사에서 ‘사강’(四綱)과 ‘사교’(四敎), 열암박종홍(1903~1976)의 철학사에서 ‘인식’과 ‘논리’, 효성 조명기(1905~ 1988)의 지성사에서 ‘지성’과 ‘이념’, 병고 고익진(1934~1989)의 사상사 에서 ‘사상’과 ‘공관’(空觀)의 기호들은 한국불학사 기술을 위한 방법들이라는 점에서 주요한 참고가 될 수 있다. 한국불교사상 관련저서들을 펴낸 이들 저자들의 학문적 방법에 입각한 구성 목차와수록 내용은 후행 연구를 위한 비판적 검토의 대상이 될 것이다. 나아가 새로운 목차를 구성하고 필요한 내용을 수록하는 과정에서하나의 지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목차는 교학사로서 불학사, 철학사로서 불학사, 지성사로서불학사, 사상사로서 불학사를 지향하면서 이러한 불학사를 통섭할수 있는 시야를 제공해 줄 것이다. 새로운 불학사 기술에 유념해야할 사항은 통사에서 요청되는 사관을 전제로 하면서 인물, 주제, 학파, 쟁점 등의 주요 분야를 통섭하는 역량의 확보일 것이다. 그렇게될 때 새로운 한국불학사 혹은 한국불교철학 또는 한국불교사상 은 전문성과 대중성이 만날 수 있는 접점을 확보하고 통로를 모색해낸 통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한국불교사상’ 관련 기술은 선행 저서들이 지니고있는 한계를 비판적으로 극복하면서 동시에 그들 저서들이 지닌 강점과 장점을 계승하고 약점과 단점을 보완해 가는 방향으로 진행해가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선행 ‘한국불교사상’ 관련 저술들의 비판적 검토를 통해 교학사, 철학사, 지성사, 사상사의 성격을 종합한새로운 전공 교재의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을 작성해 본다.

      • KCI등재

        한중간 철학사상 연구의 성과와 전망 - 한중인문학회 20주년 변화와 모색을 중심으로 -

        유성선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4 No.-

        2016년은 한중인문학회 창립 20주년이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20년간의 학회 활동을 정리․회고하고 앞으로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한다. 한편 기획주제 명칭은 ‘한중인문학회 20주년회고와 한중 인문학 연구의 전망’이다. 논자의 발제 부분은 [철학․사상] 분야의 「한중간 철학사상 연구의 성과와 전망」이다. 한중인문학회는 20여년간 매년 정기적으로 국내 및 국제학술대회의 연찬과 우수한 학술지 발간을 통하여 한중인문학의 교각을 구축하였다. 한중 양국의 학술교류는 1992년 8월 24일 수교 이래(24주년) 20여년간 다양한 교섭과 왕래, 국제학술대회 논문 발제와 토론 및 연구 성과를 통한 학술 네트웍을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중국 학술계에서는 그동안 관심이 없던 한국철학 및 한국유학에 대한 ‘한국학’의관심과 그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본 논고에서는 20여년간 한중인문학회의 국내외 학술활동과더불어 한국 내에서의 중국철학/ 중국 내에서의 한국철학 연구현황 및 유학사상 연구현황을검토․분석하고, 이전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목차>는 1. 시작하는 말/ 2. 한중인문학회한중간 철학사상 연구 성과/ 3. 한중간 철학사상 연구 의의와 전망이다. 한중인문학회의 20주년을 맞이하여 철학사상 분야의 이러한 과제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특히 대학의 변화와 개혁이 요청된다. 즉, 한국 안 한국학과 및동아시아학과 설립 필요성이 간절하게 요청되는 이유이다. 2016 is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This international conference summarizes and recalls the activities of the society for 20 years. and presents a developmental direction in the future while the title of the project is ‘Retrospection on 20 years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and the Prospect of the Study of Humanities in Korea and China’. The presentation part of the writer is 「Accomplishment and Prospect of Research on Philosophical Thought between Korea and China」 of the [Philosophy․ Thought] field.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built a pier of Korean and Chinese Humanities through regular hosting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and publication of excellent academic journals every year for 2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on August 24, 1992 (24th anniversary), the academ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became an occasion to establish an academic network through various negotiations, coming and going and paper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research results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Also, in the Chinese academic world, the research was activated with the interest in ‘Korean Studies’ for the Korean philosophy which had been strange. This paper review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Philosophy in Korea/Korean Philosophy study and Confucianism study in China along with academic activities both at home and abroad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for 20 years and reviewed existing previous studies. <Contents> include 1. introduction / 2. Accomplishment of Research on Philosophical Thought between Korea and China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3. Significance and Prospect of Research on Philosophical Thought between Korea and China. In celeb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China Humanities Society, change of the age, especially change and reform of universities are required in order to finish and complete these challenges in the field of philosophical thought. That is why the establishment of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and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in Korea is urgently required.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신천지」에 발표된 안확의 「조선철학사상개관(朝鮮哲學思想槪觀)」에 대한 고찰

        박홍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6

        An Hwak's philosophical backgrounds were traditional ideas and Western modern ideas. Even though An Hwak criticized Confucianism which was dominant traditional ideas of the Choseon Period, he tried to inherit tradition in an independent position and reform Choseon modernly.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is the very first writing that used a separated term ‘Korean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is the first of all the writings that mentioned ‘Korean Philosophy’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is the first composition that was written in the identity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is the first writing that regarded thoughts of the general public as an important data of the spirit of the times.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reflects the purpose of finding and establishing Korean Philosophy by Koreans. 「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made it possible to achieve the Cultural Independence of Korean Philosophy from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cultural area of a Chinese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