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

        고영섭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이 글은 인문학의 정수인 불교학의 지평을 탐구하기 위해 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만학의 제왕인 철학이 미학, 윤리학, 종교학 등 인접 학문에 봉토를 분봉해 주다가 정작 자신은 봉건 영주로전락하였다. 대학의 인문학에 위기가 온 것처럼 철학에도 위기가 왔다. 하지만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철학의 위기가 철학의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인접 학문에 떼어주었던 탈영토화된 철학의 영토를 재영토화할 수있을까? 아마도 철학의 초심으로 돌아가 ‘지혜에 대한 사랑’을 찾고자 하는‘절실함’을 환기 복원시켜야 하지 않을까? 철학으로서 불교철학 또한 마찬가지이다. 깨침을 얻고 난 붓다가 설법하기를 주저할 때 ‘중도행과 연기법’을듣고자 勸請하였던 범천의 ‘간절함’의 자세를 환기 복원시켜야 하지 않을까? 그러기 위해서는 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에 대한 물음과 배움의 자세가 전제되어야 한다. 서양철학과 인도철학 및 중국철학의 대별 위에서‘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라는 육하(六何) 즉 세계관적범주의 형식을 원용하여 초심의 자세로 불교와 불교철학에 대해 묻고 배워야하지 않을까 한다. 그렇게 할 때 우리나라 지식사회의 보편언어처럼 통용되는서양철학의 존재론에 대응하는 주체론, 인식론에 대응하는 심성론, 가치론에대응하는 수행론에 대해 보다 자세히 묻고[審問] 좀 더 폭넓게 배워[博學] 서로대화하고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불교의 근원을 다시 돌아보게되고 불교철학의 근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혜의 당체’인 불교와 그 ‘지혜에 대한 사랑’인 철학이 만나 이루어진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도 초심(懇切함)과 발심(切實함)을 아우르는 초발심에서출발해야 할 것이다. 분황 원효(617~686)가 제시한 것처럼 ‘爲學’은 ‘爲學者’ 즉 ‘학’을 배우는 사람의 소임이자 임무이다. 그는 여래의 깊은 뜻을 담은 경의 오묘한 뜻인 ‘학’을 배우는 사람들은 한 두루마리의 책을 잠시 열어서 삼장의 뜻을 두루 탐구해야 한다고 했다. 이 문헌 즉 삼장의 뜻을 두루 탐구하기 위해서는 문헌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깊은 이해와 그 문헌에 대한 넓은 해석학적 방법론이 적용되어야 한다. ‘爲道’는 ‘爲道者’ 즉 ‘도’를 배우는 사람의소임이자 임무이다. 그는 온갖 경계를 길이 쉬어서 드디어 일심의 근원에 돌아가고자 한다. 온갖 경계를 길이 쉬기 위해서는 자기 성찰이 전제되어야 한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 / 고영섭 81 다. 자기 성찰은 ‘위학’에 입각한 문헌에 대한 깊은 이해와 문헌에 대한 넓은해석 위에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위학을 전제로 하지 않는 위도는 있을 수없다. 학문의 길이 묻고 배우는 問學의 길이듯이 자세히 물어야[審問] 폭넓게 배울[博學] 수 있는 것이다. ‘위도’ 즉 ‘도를 배우는 사람’은 ‘철학하는 사람’이다. 철학이 ‘위학’ 즉 ‘학을 배우는 것’이라면 철학함은 ‘도를 배우는 것’이다. ‘도’는 그렇게 사는 이의 길이며 그렇게 누리는 이의 길이다. ‘철학’이 ‘지혜에 대한 사랑’이고, ‘학문’이 ‘물음과 배움의 길’이듯이 우리는 ‘위도자’가 되기 위해 ‘위학자’가 되어야 하며 문헌학과 해석학에 능한 ‘위학자’가 되어야비로소 응용학과 실천학에 깊은 ‘위도자’로 나...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fferent topography and methodologies of Buddhist philosophy as part of the greater field of philosophy in order to explore the future of Buddhist Studies as the essence of the humanities. In the past, Philosophy, the flower of all studies, was relegated to the status of feudal lord while related fields such as aesthetics, ethics, religious study, etc. were distributed as the fiefs. Philosophy has also entereda crisis period similar to the modern decline of the humanities at universities . However, the crisis facing philosophy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depending on the mindset. Then, how can the realm of philosophy, which distributed its territory to related studies, become territorialized again? The answer may lie in the restoration of desperateness as a way to rekindle the love of wisdom by starting with the fundamental ideas of philosophy. The same is true for Buddhist philosophy as part of philosophy. We should restore and promote the desperate attitudes of Beomcheon (梵天) who strived to gain insight into Jungdohaeng (中道行 Middle Way) and Yeongibeop (緣起法 law of causality) after the Buddha hesitated to preach following his enlightenment. For that, the precondition is the constant pursuit and learning topography and methodologies of Buddhist philosophy as part of philosophy. We need to ask and learn about Buddhism and Buddhist philosophy with a renewed mind by sticking to the globally adopted principle of 5W1H (who, what, where, when, why, how), on the basis of general philosophy classified largely into Western philosophy, Indian philosophy, and Chinese philosophy. Then, we will be able to discuss and 철학으로서 불교철학의 지형과 방법 / 고영섭 119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through extensive inquiry about subject theory corresponding to existentialism of Western philosophy which is regarded as the universal language of Korea’s information-based society, theory of human nature corresponding to epistemology, and discipline theory corresponding to the theory of value. By doing so, we can reexamine the foundation of Buddhism and contemplate the roots of Buddhist philosophy. As Bunghwang Wonhyo (617~686) suggested, learning is the mission and duty of the person who is learning. Those who pursue learning, the abstruse meaning of scriptures containing the profound thoughts of Tathagata, should open the scripture and explore the meaning of Tripitaka with intense vigor. To explore the meaning of this literature, i.e., Tripitaka, we should develop a profound understanding of literary methodologies and apply a broad hermeneut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of the literature. Learning is the mission and duty of the person pursuing the Tao. The person pursuing the Tao seeks to return to the foundation of single-mindedness after passing through various mental boundaries and obstacles. To pass through these various boundaries, self-reflection is a prerequisite. Self-reflection is based on the profound understanding of literature, which is based on learning and the broad interpretation of literature. Thus, there should be no pursuit of Tao without the pursuit of learning. As learning is the constant process of inquiry and acquiring knowledge, we can learn extensively by asking questions in detail. Those who pursue Tao are philosophers. If philosophy is the pursuit of learning, then philosophy represents the pursuit of Tao. Tao is the way of those living and enjoying by this way. As philosophy is the love of wisdom and learning is the process of asking and learning, we should pursue learning to follow the true path of Tao. We can climb to the path of Tao with deep insight into Application Study and Practical Study only when we become followers of the Tao who are well acquainted with literature and hermeneutics. Therefore, the topography and methodology of Buddhist 120 한국불교학 77 Philosophy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and...

      • KCI등재

        불교의 性別觀-家父長制와 兩性平等制의 스밈과 퍼짐-

        高榮燮 한국불교학회 2007 韓國佛敎學 Vol.48 No.-

        Buddhist View of Gender-Permeation and diffusion of patriarchy and system of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이 논문은 가부장제와 양성평등제가 스미고 퍼져 있는 우리의 현실에 기초하여 불교의 성별관을 입론하려는 글이다. 가족 성원에 대한 지배를 지지하는 체제를 뜻하는 가부장제는 남성들간의 위계관계와 남성에 의한 여성지배로서 나타난다. 가구의 남성 가장이 그의 여성 및 남성 가족원들에 대해 절대적인 법적경제적 권리를 가지는 가부장제는 이미 인류의 역사가 시작되면서 광범위하게 분포되었던 제도였으며 여성에 대한 억압 기제로 존재해 왔다. 하지만 불교의 전통에서 가부장제와 양성평등제는 불성론과 성불론에 있어 서로 간에 통로를 열어두어 왔다. 때문에 모든 존재는 불성을 지니고 있으며 누구나가 성불할 수 있다는 주장은 불교가 가부장제 속에서만 있었다고 단정할 수 없는 근거가 된다. 즉 불성론과 성불론에서 ‘여성불성불론’과 ‘여성변성성불론’을 거쳐 급기야는 양성에 대한 균형의 관점을 보여주고 있는 ‘여성즉신성불론’으로 이어온 담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양성의 차별을 무화시켜 주는 ‘여성즉신성불론’은 불교의 주요 경론이 말하지 못한 것을 말해줌으로써 밋밋하고 단순한 경설을 보완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확장된다.물론 종파와 문중, 문중과 문중, 비구와 비구니, 출가와 재가 사이에서 현실적인 차별이 있지만 그것은 역할의 차이가 그렇게 나타난 것이지 실체적인 차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다만 종파와 문중 간의 벽을 낮추고 창을 만드는 소통의 노력은 더욱 더 요청된다. 비구와 비구니 문중, 출가와 재가 서로 간에 좀 더 겸허한 마음으로 평등성과 수평성을 회복할 때 불교의 성별관은 무차별과 무집착과 무소유의 정신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곧 가부장제의 벽을 넘어 양성 평등의 지평을 여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불교의 성별관은 협소한 가부장제의 관점에서 벗어나 양성평등제로까지 나아가는 열린 관점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부장제를 바라보는 불교의 관점은 양성평등제를 향한 유연한 시각의 유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보살론에서의 성별 변이, 성불론에서의 평등성, 여황의 등극과 적극적 통치, 종파와 문중, 비구와 비구니, 출가와 재가 사이의 수평성 확보를 통한 가부장제와 양성평등제의 응축과 확산 위에서 역동적이고 포용적으로 펼쳐지는 불교의 성별관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광해군대 불교 정책과 불교 문화

        고영섭 한국불교사연구소 2020 문학/사학/철학 Vol.60 No.-

        이 논문은 조선 중기 격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안으로는 자강(自强) 정책을, 밖으로는 기미(羈靡) 정책을 통해 조선사회의 전후 복구를 위한 최상의 방책을 세웠던 광해군대의 불교 정책과 불교 문화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2013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우리 역사에서 ‘가장 존경하는 왕’으로 세종을 제치고 광해군 (1575~1644)이 1위를 차지하였다. 광해군이 인조반정으로 쫓겨난 지 400여년 만에 영화 「광해」를 통해 그의 재평가가 시작된 것이다. 광해군의 오명을 벗기 위해 역사학자들이 수십 년간 애를 써도 이루지 못한 일을 영화한 편이 단방에 해낸 것이다. 광해군은 수기치인을 신봉하는 유자들이 전쟁에 대비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대책도 제대로 세우지 못하는 것과 달리, 중도 연기를 신행하는 불자들이 전란을 맞아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해 가게 하는 모습에 깊은 호기심을 일으켰다. 그가 임란 중에 보았던 승려들과 승군들의 모습은 일사분란하고 애국심이 넘쳤다. 그들은 근왕(勤王) 즉 나라(임금)를 위하여 충성을 다하기 위해 사계(捨戒) 혹은 월계(越戒)를 범하면서도 애국과 애민과 애족을 위하여 온몸을 던졌다. 이것을 경험한 광해군의 불교 인식은 우호적이었고 이러한 친연성 아래서 불교 정책은 유연할 수 있었다. 광해군은 봉인사의 원찰 지정과 청계사의 재회 시설을 통해 불교와의 소통을 닫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광해군의 여유와 자신감 위에서 사원 복원과 불서 간행의 직간접적 지원이 가능할 수 있었다. 이처럼 광해군의 불교정책 추진과 불교 문화 지원은 통치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불교에 대한 우호적 인식과 유연한 통치책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광해군은 고려 이래 조선의 대왕대비에서 궁중 나인에 이르기까지 궁궐 안 여인들의 신앙의 본산이자 왕실 여인들의 영향력이 크게 미치던 정업원을 존속시켰다. 이것은 불교에 대한 그의 우호적 인식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는 여타의 왕처럼 정업원을 폐지하지 않고 존속시킴으로써 불교와의 소통을 닫아버리지 않았던 왕이었다. 따라서 광해군은 조선 중기에 불교계와 긴밀하게 소통함으로써 통치이념인 유교와 민족문화인 불교 사이에서 균형감각을 지닌 통치자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高麗와 吳越(宋)의 불교 교섭 ― 보운(寶雲) 의통(義通)을 중심으로 ―

        고영섭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이 논문은 고려불교와 오월불교의 교섭과 소통을 이루어낸 고려 출신의 대표적인 법화 천태학자인 보운 의통(寶雲 義通, 927~988)의 구법과 전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의통은 열 몇 살 때 출가한 뒤 스물 한 살 때(947)에 중국의 오월국으로 건너가 법안 문익(法眼 文益, 885~958)의 제자였던 천태 덕소(天台 德韶, 891~972) 문하에서 남종선을 실참하여 돈오선법에 계합하였다. 서른 일곱 살 때(963)에는 정광/나계 의적(淨光/螺溪 義寂, 919~987)과 교유하며 천태학 연구에 매진하였다. 이후 그는 오월과 송에서 당시 사상계의 주축이었던 화엄과 선법과의 관계 속에서 사상적 정비를 통해 천태종의 부흥을 시도했다. 그리고 오월국 왕실과 송나라 황실의 불교 지원은 천태종 부흥의 촉매제가 되었다. 당시의 천태종은 천태와 화엄의 사상적 합일을 시도한 담연(湛然)의 논의에 대한 성찰과 계승의 과정 속에서 산가학통과 산외학통으로 분기되어 있었다. 산가학통의 실질적 수장이었던 의통은 이들 산가와 산외의 논변 한복판에서 지의(智顗)와 담연의 성악(性惡)설과 성구(性具)사상에 기초하고 있는 천태 본연의 논리를 창안해 내었다. 의통 이후 산가의 논지는 제자인 지례(知禮)에 의해 집대성되었다. 산외의 주장을 대파한 지례의 논지는 대부분 스승 의통의 기본 입장을 계승한 것이었다. 의통의 저술들이 전해지지 않아 이것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지례의 저작과 그 서문을 통해서 우리는 그의 논지 대부분이 스승 의통의 학설을 ‘계승’하고 ‘보완’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산가와 산외의 두 학통은 사상적으로 길항하면서 천태학의 내포를 탄탄히 하고 외연을 넉넉히 함으로써 천태교학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그리하여 인간과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실상론(實相論)에 두고 있는 산가학통과 연기론(緣起論)에 입각하여 유심론(唯心論)을 주장하는 산외학통은 각기 세계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불교사상사의 지평을 확산시킬 수 있었다. 그 논변의 한복판에 있었던 의통은 천태종의 16(13)대 조사가 되어 중국 천태종을 부흥시켰고 고려 천태학의 태동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만년의 의통은 모든 사람들에게 정토왕생의 길을 열어주는 대중적인 가풍을 펼쳤다. 그는 만나는 사람들에게 지극한 염불행을 통해서 도달할 수 있는 정토가 고향이라고 역설했다. 이것은 남종선의 돈오선지(頓悟禪旨)나 천태의 원돈지학(圓頓之學)에 다가오기 어려운 일반인들에게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의통의 이 ‘정토 설법’ 혹은 ‘고향 설법’ 또는 ‘고향 사람 설법’은 사명 일대에서 큰 울림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일찍이 백제의 현광(玄光)이 중국의 천태조사 28위에 들어가고 무상(無相)이 오백나한의 455위에 배위(配位)된 경우는 있었다. 하지만 한국인으로서 중국 종파의 정통 조사에 오른 이는 의통이 유일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해동인에 대한 배타의식이 강한 중국 사회에서 의통이 경쟁을 물리치고 정통 조사에 오르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이것은 남종선을 실참하여 돈오선지에 계합하고 천태학 연구를 심화시키며 산외학통과의 사상 논변을 주도했던 보운 의통이었기에 가능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의 치열한 구법 과정과 넉넉한 전법 행화는 그를 견고한 사상가와 치열한 수행자로 태어나게 했다. 따라서 의통은 송대... This study is on the seeking of truth and the propagandism of Bao-yun Yi-tong(寶雲 義通, 927~988) from Koryeo dynasty, who was the representative scholar on the Lotus and Tiantai school. He became a Buddhist monk in his teen ages, and entered into Wu-yue, China at the age of 21. He had practiced the Southern Seon(Zen) and achieved the sudden enlightenment under the teaching of De-shao(德韶, 891~972), the disciple of Wen-yi(文益, 885~958). At the age of 37, he strived to study on the Tiantai while he interacted with Yi-ji(螺溪 義寂, 891~972). Later, he tried to revive the Tiantai Order through theoretical reorganization in connection with the Hua-yan and Seon(Zen) which were the two powerful ideal axes in Wu-yue and Song dynasty. And the national support of Wu-yue and Song to Buddhism became the catalyst of the revival of the Tiantai Order. In those days, the Tiantai Order divided into two schools, the main stream[山家] and the outsider[山外] in the process of considering and succeeding the thought of Chan-jan(湛然) who tried to harmonize with Tiantai and Hua-yan. Yi-tong as the leader of the main stream of Tiantai Order figured out the typical theory of Tiantai based on the theory of evil-nature[性惡說] of Chi-i and the theory of all-included nature[性具說] of Chan-jan, during the conflict of the two schools of Tiantai. After Yi-tong, the thoughts of the main stream of Tiantai Order was synthesized by Chih-li(知禮). If we examine his works and those prefaces, we can find that he succeeded and supplemented the Yi-tong's thoughts. The two schools of Tiantai had much contribu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iantai study in spite of the ideal conflicts. In the main stream of Tiantai, they put the view of human and the world on the theory of the absolute fundamental reality[實相論]. But in the outside school of Tiantai, they supported the theory of the only mind[唯心論] founded on the rule of cause and effect[緣起論]. Among the two schools, Yi-tong became the 16th(or 13th) Great venerable of the Tiantai Order in China and revitalized the Chinese Tiantai Order. And he also partly affected the beginning of the Tiantai Order in Koryeo dynasty. In his later years, Yi-tong gave the popular teaching which led the people to the Pure-land. He told that the pure-land which we could reach by the sincere meditation on Buddha was nothing but the homeland. He showed the way to the pure-land to the people who felt difficult from the sudden awakening of the Southern Seon(Zen) Order and the complete and immediate way of the Tiantai Order. His 'homeland teaching' might resound around Si-ming(四明) in those days. Yi-tong was the only one who had become the Great venerable of Chinese Buddhist Order as a Korean, even though Xuan-guang(玄光, the end of 6C) from Bekjae dynasty belonged to the 28 venerables of the Chinese Tiantai Order and Wu-xiang(無相, 684~762) from Shilla dynasty was on 455th Arhat among the 500 Arhats in China. Therefore Yi-tong was the principal leader who revived and supported the Tiantai Order among the other orders like the Hua-yan, the Seon and the Pureland since the Song dynasty.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일본인식 - 불교계 愛國啓蒙運動의 사상적 단초

        고영섭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cognition on Japan of Manhae Han Yongwoon(1879~1944), who opened an ideological trigger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 of Buddhism in Daehan Empire (1897~ ). For Korean people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beginning of Daehan, Japanese were recognized as invaders and leaders of modernization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at, Koreans at that time could not forgive the invader Japan who stole their country. However,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y had to absorb the Japan as a leader of advanced culture. Those duplicity or double-sidedness of criticism and acceptance was common appearance of the intellectuals of that times. Having a sharp poetic sensitivity from his early days, Manhae went a step forward from cognizing western ideology and understanding modern civilization that he met from documents and books. This process, he developed a new cognition on modernity, civilization and Japan, he opened his eyes to world geography and western ideology, through a Chinese Seogyeyeo(1795~1873)'s 『Yeonghwanjiryak』 and Yanggyecho(1873~1929)'s 『Eumbingsilmunjip』 to Manhae at that time. It was same as the case for Manhae, the West was 'modernity,' modernity was ‘civilization’, and a distributing center of the oriental 'civilization' was Tokyo, Japan. He could newly recognize Western and Japanese civilization as well as Japanese Buddhism by deepening understanding of Japan through a junket in Japan for 6 months. There had been a path of Seogyeyeo and Yanggyecho to experience Japanese Buddhism and Western ideology. By the way, Yanggyecho also developed his points of views on modern civilization of the West by facing Kant and Bacon through a path of enlightenment theorists of Japanese Meiji period, such as Hukujawa Yukichi (1835~1901), Inoue Yenryo (1858~1919) and Inoue Desjiro (1855~1944). This can be namely a process of 'ideology chain.' However, Manhae could not deeply recognize Japanese strategy of invasion until Buddhist Temples Ordinances came in full scale. Therefore, it was when he wrote 「A Letter for Korean Independence」 in prison after he got arrested by Japan as a national representative at 3.1 Independence Movements when he raised objections to Japanese Buddhism policy in full scale. Manhae led the ideology of Korean people by writing 『Joseon Buddhism Theism』 and 『A Letter of Joseon Independence』 and by began publishing <<Citta-Mātra>> and publishing <<Buddhism>>. Such series of his efforts can be understood from the view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s.' Being originated from Manha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s developed focused on Tyeogyeong, Sangyeon and Yookdang, and became the beginning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s of Buddhism. Manhae emphasized that self-enhancement is the first priority for independence, since the people failed to enhance the nation which led to the loss of the nation. He implied that self-enhancement would bring independence, and independence would be the base for self-independence. Like that, he saw securing 'power' and 'capabilities' as the base of independence and self-enhancement. A series of his editorials like 『Joseon Buddhism Theism』 can be said to have been done as an effort of such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Movements.. 이 논문은 대한시대(1897~ )에 불교계 애국계몽운동의 사상적 단초를 연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의 일본인식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선말 한초의 한국인들은 일본은 침략자인 동시에 근대화의 선도자로 인식하였다. 이 때문에 당시 한국인들은 나라를 빼앗은 침략자로서의 일본은 용납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들은 선진적 문물의 선도자로서의 일본은 흡수하여야 한다는 인식을 지녔다. 이러한 비판과 수용의 이중성 내지 양면성은 이 시대를 살아간 지식인들의 공통된 모습이었다. 일찍부터 시인적 감수성이 날카로웠던 만해는 지식인들의 이중성 내지 양면성을 목격하면서 종래 서지(書誌)로 만났던 서구사상 인식과 근대문명 이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그는 중국인 서계여(徐繼畬, 1795~1873)의 『영환지략』과 양계초(梁啓超, 1873~1929)의 『음빙실문집』을 통해 세계지리와 서구사상에 눈을 떴으며 근대와 문명 그리고 일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싹텄다. 당시 만해에게 서구는 ‘근대’였고, 근대는 ‘문명’이었으며, 동양‘문명’의 집산지는 ‘일본 동경’이었다. 그는 6개월간의 일본 시찰을 통해 일본 이해를 더욱 심화시켜감으로써 서양 문명과 일본 문명 및 일본 불교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다. 만해의 서구사상 체험과 일본 및 일본불교의 체험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서계여와 양계초의 통로가 있었다. 그런데 양계초 역시 일본 명치시대의 계몽주의 사상가들인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1835~1901)/ 이노우에 엔료(井上圓了(1858~1919)/ 이노우에 데쓰지로(井上哲次郞, 1855~1944)라는 통로를 거쳐 칸트와 베이컨을 접하면서 서구의 근대문명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세웠다. 이것은 이른바 ‘사상 연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만해는 사찰령이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일본의 침략 전략에 대해 깊이 인식하지 못하였다. 때문에 그가 일제의 불교정책에 본격적인 이의를 제기한 것은 3.1 운동 때 민족대표로 일제에 체포된 뒤 옥중에서 쓴 「조선독립의 서」를 쓰면서였다. 만해는 『조선불교유신론』과 『조선독립의 서』 등의 저작과 <<유심>>지 창간과 <<불교>>지 간행 등을 통해 한민족의 정신을 이어나갔다. 그의 이러한 일련의 노력은 ‘애국계몽운동’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만해로부터 시작된 애국계몽운동은 퇴경(權相老), 상현(李能和), 육당(崔南善)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불교계 애국계몽운동의 단초가 되었다. 만해는 자강을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나라를 잃었으므로 독립을 위해서는 자강이 급선무임을 강조하였다. 그는 자강은 독립을 가져다 줄 것이며 독립은 자강의 기반이 될 것임을 시사해 주었다. 이처럼 그는 독립과 자강의 근거를 ‘힘’과 ‘실력’의 확보로 보았다. 그가 쓴 『조선불교유신론』 등의 일련의 논설도 이러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