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형 소화모니터 노즐의 분사 성능에 대한 실험 연구

        유성선,김형태,서정화 대한조선학회 2022 大韓造船學會 論文集 Vol.59 No.2

        A systematic experimental study is carried out for the fire fighting monitor nozzle of 65A diameter to design and manufacture a new nozzle with better water spray performance than available domestic nozzles. The nozzle inlet pressure, flow rate and reach for the discharged water from the nozzle are measured by utilizing the experimental facility consisting of two pumps and piping system with a flow meter and pressure gauges. It was found that the baffle position and baffle head chamfering were the most sensitive design factors to be remarkably changed in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water.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baffle position and the water exit area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reach dista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effectively to design new nozzles with excellent spray performances and also to validate numerical analysis results for evaluating the water spray performance of fire fighting monitor nozzles.

      • KCI등재

        「기자실기」의 기자동래설 분석과 철학실천 연구

        유성선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through 「Gijasilgi」 of 『Yulgokjeonseo』, and to ascertain truth and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through 「Gijasilgi」. In addition, the future analysis of Gija Joseon and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should respond to the matters of facts with justification and practical benefits for China`s Cultural Project and should pay attention to the matter that China incorporates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and Gija Joseon into the logic of China`s Cultural Project.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problem-posing, precedent literature research o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truth and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logic for responding to truth and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and significance·prospect. If we recognize Dangun-Joseon in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as the history of our country's birth myths, we can claim that the Korean people has its own exclusive ethnic identity. On the contrary, if we can’t distinguish truth from falsity in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we are likely to be incorporated or accepted into the distorted logic of 21C. As the discussion about Gija Joseon and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that can be the junction with Dangun-Joseon, which is the historical fact in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is not only the overcoming of China`s Cultural Project but also the vision of unified Korean Peninsula,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along with the spread to academic future generations. 본 논문은 『율곡전서』의 「기자실기」를 통해서 율곡 이이가 화이론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기자실기」를 통한 기자동래설의 허와 실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향후 기자조선 및 기자동래설의 분석은 사실 적시 여부의 문제를 명분과 실리로 대응해야 하며, 중국측이 기자동래설 및 기자조선의 문제를 문화공정의 논리대로 왜곡하거나 편입하려는 문제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차제는, 문제제기, 기자동래설의 문헌적 선행연구, 기자동래설의 허와 실, 기자동래설의 철학실천 대응논리, 의의와 전망이다. 우리가 한국사상사상 단군조선을 건국신화의 역사로 인지한다면 한민족은 독자적인 민족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주창할 수 있다. 이와달리 기자동래설의 허와 실을 구분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21세기 왜곡적인 논리에 편입되거나 수용될 여지가 있다. 한국사상사상 역사적 사실인 단군조선과 연접이 될 수 있는 기자조선 및 기자동래설 등의 논의는 문화공정 등의 극복 뿐만 아니라 통일한국의 비젼이라는 점에서 학문후속세대의 육성 및 파급과 더불어 지속적인 연구가 진작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中國의 栗谷學 硏究 現況 및 成果 硏究

        유성선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2 No.-

        조선조 성리학사에서 율곡 이이의 위치와 영향은 절대적이며, 한국철학사에서도 중요한 사상사적 계보를 확 보하고 있다. 율곡학은 개방적 학풍을 지녔고, 務實학풍을 지향한다. 이 계승과 창신은 21C 율곡학의 연구 성 과로 이어져 중국 및 동아시아에서 현재진행형이다. 본 논문은 중국 내 한국철학의 연구현황 및 율곡학 연구현황을 검토하고, 기존의 연구성과와 함께 본인의 답 사 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현재 중국학계에서 한국철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한국 성리학에 집중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퇴계학과 율곡학 분야가 대부분이다. 중국과일본 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 양명학과 실학, 기 타 유학 등의 성과 연구는 지속적으로 보완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료 축적이 진행 중임을 밝혀 둔다. 현재 중국의 한국철학 및퇴계학, 율곡학 연구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한중국제학술세미나와 중국내 한국 학연구소의 협력으로 커다란 발전을 보이고 있다. 중국 내 율곡학 연구는 1992년 한중수교 이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확산·심화되고 있다. 다 만 한국학, 퇴계학, 율곡학 연구는 국제학술세미나와 중국 내 한국학 연구소에서의 지속적인 발전이라는 성과 와 함께, 심화와 확산이라는 절실한 과제가 남아있다. 중국의 율곡학 연구를 정리하면서 논자는 한반도를 중 심으로 동아시아 사상을 포괄하는 시각을정립할 시점에 와 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내 문화 및 역사, 철학을 통섭할 수있는 해외 한국학, 율곡학 인재 양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Yulgok Yi-yi's position and influence in Neo-Confucianism in JoseonDynasty is absolute, which has established a profound genealogy of history ofideas also in Korean history of philosophy. Yulgok-Study has an open academictradition and aims for Musil(務實) academic tradition. This succession and newestablishment is a result study of Yulgok-Study, which is present progressivecontinuous in China and East Asia, also in the 21st century. This thesis briefly arranged the existing research result and the researcher'smaterial investigation by avidly rea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y onKorean philosophy and Yulgok-Study in China. Currently the study on Koreanphilosophy in Chinese academic society mainly concentrates on KoreanNeo-Confucianism, mostly on Toegye Study and Yulgok-Study fieldsconcretely. Result study on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Silhak, andother Confucianism, etc. in China, Japan, etc. is consistently complementedand its data is continuously collected. Presently study on Korean philosophy,Toegye Study and Yulgok-Study in China, though slightly, can be said todisplay a great prospect thanks to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 China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and Koreanology Research Center in China. Study on Yulgok-Study in China is consistently spread·intensified moreclosely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establishment between Korea and Chinain 1992. Study on Koreanology, Toegye Study and Yulgok-Study haveconsistently developed in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 and KoreanologyResearch Center in China, however the foundation of intensification and spreadis urgently required. The researcher could recognize that there was a view andtime to comprehend the idea of East Asia centered with the Korean Peninsulaby arranging Yulgok-Study research in China. Therefore, the researchersuggests that the cultivation of overseas Koreanology and specialists inYulgok-Study to combine culture, history and philosophy in China is urgently required.

      • KCI등재

        栗谷의 華夷論 認識과 그 展望

        兪成善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3 No.-

        본 논고는 율곡의 화이론 인식과 그 전망의 전개이다. 율곡 화이론의 근거는 율곡이 저술 한 「箕子實記」를 中心으로 다루었다. 華夷論의 근거는 고대 중국인들이 사회적 세계를 인식 하는 방법론이다. 수천년동안 화이론은 수많은 왕조가 이어지는 동안 동아시아의 국제질서를 중국의 유지에 보다 유리한 상황으로 이끌기 위한 문화전략의 수행을 담당한다. 논자는, 화이 론은 논란의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며, 동북공정의 논리처럼 轉變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사실 기자가 聖人이며 조선왕이라는 사실은 『사기』등의 기록을 통해서 용인할 수 있지만, 한반도상에서 기자조선을 언제부터 언제까지 통치했는지의 여부와 지정학 적인 문제와 사실 여부가 관건이고 논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고의 목적은 『율곡전서』의 「기자실기」를 통해 율곡이 화이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화이론의 성격을 「기자실기」를 통해서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사실 단군설화와 기자동래설은 모두 건국신화에서 출발한다. 이 문제는 왕조의 역사성과 조선조 통치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의 체계와 더불어 고찰할 문제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 문 제는 역사적 轉變과 환경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 문제의 정리를, 단군신화는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제시한 것처럼 우리 민족의 역사성을 대변하며, 한민족에 환란이 있을 때마다 민족주체성으로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이에 반해 기자동래설과 기자조선은 12C 성리학 수용 과 더불어 주자학적 세계관과 명분론으로 조선조에서 작동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의 기 자조선의 전망은 한국에서는 사실여부의 문제를 명분과 실리로 대응해야 하고, 중국측이 기자 조선의 문제를 동북공정의 논리로 편입하는 문제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다.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은 『논어』와 『사기』등의 구절을 인용하여 우리나라가 일찍이 동방의 예의지국임을 상기시키며 칭송하였다. 이 점은 중화와 이적의 차별성을 논하여 변별력을 제시 하고, 군자가 夷狄의 문화를 중화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에게 기자를 조선에 봉했다는 기록은 당시 유학자들에게 매우 좋은 명분이 었다. 또한 「箕子實記」에 근거한 율곡의 화이론 인식은 뚜렷한 역사의식과 민족주체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자의 기자동래설의 근거와 출전이 불분명하고, 중국의 소수민족 동화이론 등 현재적 상황이 노정되어 있지만,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밝혀둔다. This study includes recognition on Hwayiron and development of its perspective of Yulgok. Ground of Yulgok's Hwayiron was dealt with centered on 「Gijasilgi」 written by Yulgok. Ground of Hwayiron is a methodology recognizing social world by ancient Chinese. Hwayiron had served to carry out cultural strategy to lead China toward favorable situation in national order of East Asia for maintaining China which is a complex political community of different races for several thousands of years. Although Hwayiron brought some controversies, Hwayiron is still working and can be changed like logic of China`s Northeast Project. It is acceptable through records of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that Gija is a saint and a King of Gojoseon but it would be a key point and controversy - period of Gija Chosun's existence, geopolitical problem,, and their truth. The purpose of his study is to explore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and to investigate character of Hwayiron through 「Gijasilgi」. In fact, Dangun tale and Gija's ruling over Gojoseon start from national foundation myth. This matter should be investigated together with Sung Confucianism system which was historicity of kingdom and governing ideology in Chosun. This is because this matter is originated from historical change and environment. The author claims that as Il-yeon suggested in 『Samguk Yusa』, Dangun tale represents our national historicity and appeared as national identity whenever there was historical difficulties in the Korean race. In contrast to this, Gija's ruling over Gojoseon and Gija Joseon worked as the Neo-Confucianism's view of the world and justification together with acceptance of Sung Confucianism in the 12th century. And for future perspective of Gija Joseon, Korea should respond to the problem if it is true or not with justification and actual benefit, and should give a careful attention on using Gija Joseon for China's Northeast Project.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quoting 『the Analects of Confucius』and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etc., reminded and praised that our country had been a nation of etiquette in the East from the old times. It is known that this suggested discrimination discussing difference of China and barbarian, and opened possibility that noble man can change culture of barbarian to culture of China. For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the records that Gija was conferred to King of Gojoseon, were very good justification for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And it was known that Hwayiron recognition of Yulgok based on 「 Gijasilgi」 has clear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identity consciousness. Ground and source of Gija's ruling over Gojoseon is not clear and present situation such as China's minority race assimilation theory etc. was disclosed but this is still under progress.

      • KCI등재

        栗谷李珥和鹿门任圣周的理通气局同变容研究

        유성선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59 No.-

        This paper is a study on Itonggiguk Dongibyeonyong by Yulgok Yiyi and Nokmun Lim Seongju and was discussed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of Igibeomju. It examined how Yulgok and Nokmun’s ethical emotion of Itonggiguk is the same with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has been changed and continued as Igibeomju.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Problem posing and Yulgok and Nokmun’s views of learning / 2. Yiilbunsoo’s establishment of Giilbunsu / 3. Itonggiguk’s reinterpretation of Igidongsil / 4. Conclusion. Yulgok’s Itonggiguk theory was accepted by younger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y copied it in building their theories including ‘the Discourse of Supreme Ultimate’, ‘the theory of Ligi’, ‘the theory of mind and human nature’, and ‘the cultivation theory’ and supplemented and more systemized it. If the points under discussion about Yulgok and Nokmun’s Itonggiguk theories will be more supplemented through various categories including ‘Itong’, ‘Giguk’, ‘Ijitong’, ‘Gijiguk’, ‘Iyeoktong’, ‘Giyeokguk’, ‘Iguk’, and ‘Gitong’ related to it, in-depth discussion will be done in Yulgok and Nokmun and furthermore, the Giho School and Korean history of though in general. This paper studied these relationships of succession of the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Yiilbunsoo’s establishment of Giilbunsu, Nokmun’s critical reception of Yulgok Neo-Confucianism, and ‘Itonggiguk’’s chain of ‘Igidongsil’. Nokmun’s Neo-Confucianism is fundamentally based on Zhu Xi or Yulgok’s thought. Yiilbunsoo’s establishment of reason to Giilbunsu and ‘Itonggiguk’’s development of critical reception of ‘Igidongsil’ are Nokmun’s wide and keep outstanding ideas of Neo-Confucianism. Nokmun tried to study the theory of nature and principle more exquisitely and closely from the viewpoint of ‘Giilbunsu’ and ‘Igidongsil’ as a scholar of the Giho School. And it has found that Nokmun inherited and developed Yulgok Neo-Confucianism by changing it and presented the new angle to look at men and nature by studying the Jugi theory.

      • 퇴계학파의 율곡 성리설 비판과 전망 - 우담 정시한의 율곡 성리설 비판 -

        유성선 영남퇴계학연구원 2010 퇴계학논집 Vol.7 No.-

        This paper deals with Woodam Jeong, Shi-han's criticism of Yulgok in the continuation of Toegye school's critical position of Yulgok. As a major in Yulgok school, I examine academic ideas of Woodam Jeong, Shi-han who criticized Yulgok's view from the theory of JuLi in succession to Toegye's view. The paper has significance in discussing Woodam's criticism of Yulgok by being based in not only Toegye school but also Yulgok school. Especially, the paper diagnoses Woodam's criticism of Yulgok's Li․theory of Four-seven from microscopic and recapitulative point of view. That is, Toegye school's criticism of Yulgok was a macroscopic but Woodam's criticosm of Yulgok was a microscopic and recapitulative approach. Woodam was a Neo-Confucian who had been an admirer of Toegye during his whole life. First, I shall sublate the general point of division of Juli and Juki, and then discuss the meanings of Libal and Kibal which wer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Toegye and Yulgok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 of Yulgok's criticism of Woodam. The paper proceeds in order as follows. It discuss the criticism and origin of Liki․theory of Four-seven. Woodam's criticism of Yulgok's Songrisol, Yulgok's Likijimo. Yulgok's theory of Four-seven, and the prospect of Woodam's criticism of Yulgok. Woodam succeeded to Toegye's academic tradition and throughly thought of Li as the presiding over Ki. Woodam's academic reflections aimed to succeed Toegye's academic and teaching tradition by interpreting clearly Liki․theory of Four-seven. The most salient feature in his attitude of criticizing Yulgk consisted in putting emphasis on intuition and experience and in supporting and developing Toegye's Songrisol as a Neo-Confucian scholar who regarded the nature as a friend till his latter years. 본 논고는 ‘퇴계학파의 율곡 비판’ 연장선상에서 퇴계학파의 적전자인 우담 정시한의 율곡 비판이 부제가 된 논문이다. 율곡학 전공인 논자는, 퇴계의 학문을 계승하여 주리적 입장에서 율곡의 입장을 비판한 우담 정시한의 학문관과 사상을 논술하였다. 본 논고는 율곡 전공자인 필자가 퇴계학의 입장뿐만 아니라 율곡학의 입장에서 우담의 ‘율곡학 비판’을 논의의 근거로 한다는데 일단의 의의를 둔다. 특히 본 논고에서는 미시적이고 요약적인 입장에서 우담의 율곡 이기․사칠론 비판을 통해서 그 지향하는 바를 진단하였다. 즉 ‘퇴계학파의 율곡 비판’이 거시적인 접근이라면 우담의 율곡 비판은 미시적인 접근이자 요약정리의 논고라고 할 수 있다. 우담은 퇴계를 평생 동안 사숙했던 성리학자이다. 먼저 주리와 주기의 일반적 양분의 관점을 지양하고, 퇴계와 율곡의 철학적 특성인 리발과 기발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고, 율곡의 우담 비판이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는가를 논의하려고 한다. 논문의 차제는 이기․사칠론 비판과 그 연원/ 우담의 율곡 성리설 비판/ 우담의 율곡 이기지묘 비판/ 우담의 율곡 사칠론 비판/우담의 율곡 비판과 그 전망으로 서술하였다. 우담은 퇴계의 학통을 계승하면서 철저하게 리를 기의 주재자로 보았다. 또한 우담의 학문적 성찰은 이기․사칠론을 분명하게 해석하여 퇴계의 학통과 도통을 계승하는데 있었다. 우담의 율곡 비판 논의에 임하는 우담의 최대 특색은 만년까지 자연을 벗삼은 유학자로서의 직관과 체험을 매우 중시하면서 퇴계의 성리설을 지지․발전시켰다는 점에 있다.

      • KCI등재

        차강 박기정의 예술정신과 철학실천 연구

        유성선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4

        본 논문은 사상과 예술정신 및 의병정신을 오롯이 간직하고 철학실천을 구현한 此江 朴基正(1874〜1949) 선생의 생평 및 예술정신을 구현하는데 있다. 차강 박기정의 예술정신과 철학실천 구현 플랫폼안에서 차제는 생평과 여정, 차강의 예술정신과 철학실천의 기초, 학술적 가치규명 및 의병정신, 전망과 의의이다. 차강 박기정은 서화를 兼全하여 서예에서는 행서․초서․예서 등 각 서체에 능통하였다. 또한 그림에는 사군자에서 괴석에 이르기까지 문인화의 최고의 경지에 이른 서화가이다. 차강 박기정은 또한 애국지사로도 유명하다. 차강 박기정은 글씨를 쓸 때 이 맑은 마음의 세계를 ‘秋水精神’이라 일컬었고, ‘추수정신’ 밑에서 쓰여진 글씨나 그림이라야 제격이라고 하였다. 차강 박기정의 예술정신과 철학실천 구현의 방안으로는 학계 전문가들이 그와 관련한 예술정신과 의병정신의 자료조사를 통한 철학실천을 구현․구축해야 할 것이다. 차강 박기정은 서도인이자 애국지시·우국지사․향토애의 산증인이다. 향후 차강 박기정의 예술정신과 선비정신, 의병정신의 실천철학 구현에 서화를 수집·전시할 서화박물관 설립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韓中 儒學硏究의 動向과 展望

        유성선,김대홍,박경호,박병찬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한중 양국의 학술교류는 1992년 수교 이래 다양한 교섭과 왕래, 국제학술대회의 논문 발표와토론 및 연구 성 과를 통해 학술 Network를 구축하였으며, 또한 중국 학술계에서도 그동안생소했던 한국철학에 대해 ‘한국학’ 의 관심과 함께 그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한국 내에서의 중국철학/ 중국 내에서의 한국철학 연구현황 및 유학 연구현황을 검토․분석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본 논고의 차제는 問題提起와 더불어 韓國 內 中國儒學硏究現況과 課題/ 中國 內 韓國儒學 硏究 現況과 課題/ 韓中 儒學 硏究의 現況과 展望 이다. 현재 중국 내 한국학 주요 연구기관은 다수의 대학에 한국학 관련 연구소가 설치되어 인문학과 사회과학 전반 을 아우르며 연구를 수행하고 있지만, 그 연구의 핵심 분야에서 ‘한국철학’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한중간의 유학연구는 현재진형이며 지속가능성을 가지고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와 더불어 한중 유학연구를 정리하면서 논자는 한반도를 중심으로동아시아의 전체를 포괄하는 시각을 갖지 않으면 안 될 시점에 와 있음 을 감지할 수 있었다. 본 논고는 한중 유학연구를 기반으로 한 한반도 중심의 동아시아 사상과 문화 및 역사를 통섭할 수 있는 새로 운 인재 양성이 절실히 요청되며, 그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로 작용할 것이다. Academic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has established academicnetwork through various negotiation, coming and going between the twocountries, and the research presentation, discussion, and research achievementof international symposium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in 1992,also, in Chinese scientific field, researches on Korean philosophy, which hadbeen meanwhile unacquainted, have been activated along with the interest in‘Koreanology’. This research examined․analyzed research position of Chinesephilosophy in Korea/ Korean philosophy research position and Confucianismresearch position in China, and examined the existing advanced researches. Henceforth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present condition of ChineseConfucianism research in Korea and the task along with suggestion of researchproblems/ present condition of Korean Confucian research in China and thetask/ present condition of Confucianism research of Korea and China andprospect. Presently, major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Koreanology in China havebeen established in many universities, which perform researches covering thewhol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however, ‘Korean philosophy’ is still minorin the core field of the research. Nevertheless, Confucianism research of Koreaand China is ongoing, which is actively in progress with sustainability. Besides,while arranging Confucianism research of Korea and China, the researcherrealized that it is inevitable to have the viewpoint to embrace the whole of theEast Asia centered with Korean Peninsula at this point. This researchconfirmed that the cultivation of fresh talented persons is definitely required,who can integrate East Asian ideology, culture, and history, centered withKorean Peninsula, based on Confucianism research of Korea and China, and this research will act as theoretic basis to respond to the demand of the times.

      • KCI등재후보

        용득의(龍得義)의 사상을 통한 아카이브 구축과 전망Ⅰ

        유성선,용호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9 No.-

        Key words of Yongdeukeui(龍得義; ?-?) can be summarized into Hongcheonhak, the progenitor of Hongcheon Yongs, Tripitaka Koreana, Geumhaksan Mountain, Hakseoru, and Yongsusa Temple. Yongdeukeui’s date of birth and death in his life is not known. Therefore, the precedent studies and scientific discussion on Yongdeukeui cannot be examined. He is estimated to have directed re-engraving blocks of Tripitaka Koreana in Haeinsa Temple which had been destroyed by fire in the 1st rebellion of Mongolia for 16 years from 1236(The 23rd year of Goryoe Gojong’s reign) as he was a chief executive officer as Munhasijung of the Goryeo Dynasty for 30 years until the 12th year of Goryeo Gojong's reign. After that, he built Yongsusa Temple in Geumhaksan Mountain and made people raise their hopes. And he gave sermons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and Sirye(詩禮) by founding Hakseoru as Suryeondoryang of Buddhists. He is estimated to have trained a lot of Dasa(多士) and Junjae(俊才). It is thought that Yongdeukeui made a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This discussion’s table of contents is Yongdeukeui’s Thought, life and learning and virtue/ Storytelling and the change of the publication of Tripitaka Koreanarma/ Building Geumhaksan Mountain(金鶴山) and Yongsusa Temple(龍遂[水]寺)/ The meaning and prospect. The writer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xamining the change of the publication of Tripitaka Koreanarma with a study on Yongdeukeui’s life and learning and virtue. And Yongdeukeui’s life in Hongcheon and the locations of Geumhaksan Mountain and Yongsusa Temple were exactly examined with an expert. It is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content and building an archive to connect a memorial hall, Sutasa Temple, and Sansogil to one another are urgently required. Through these records, it is possible to locate and build Yongsusa Temple and Hakseoru in Geumhaksan Mountain and work after building the archive is up to experts and administrations and agencies in Hongcheon. The plan to build Hongcheon Archive through Yongdeukeui’s life and learning and virtue seems to be clear. In conclusion, if humanities content and guide app. through Yongdeukeui’s life and learning and virtu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intellectual archive which supports multimedia resources can be built. 용득의(龍得義; ?-?)의 키워드는 홍천학, 홍천 용씨 시조, 팔만대장경, 금학산, 학서루, 용수사로 압축할 수 있다. 용득의의 생평상 생졸년은 미상이다. 따라서 용득의의 선행연구와 학술적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는 1236년 고려 고종 23년부터 38년의 16년 동안 1차 몽골의 침입 때 해인사의 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이 소실되었던 것을 고려조 문하시중으로 재직하며 고종 12년까지 30년간 최고행정관으로 재 각판을 지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그는 만년 금학산에 용수사를 건립하고 중생들에게 희망을 주었으며, 불도들의 수련장으로 학서루를 창건, 경서와 시례(詩禮)를 강론하였으며, 다사(多士) 및 준재(俊才)를 많이 육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용득의가 분명 고려조 민족문화의 창달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논의의 차제는 학행과 사상/ 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의 간행 추이 및 스토리텔링/ 금학산(金鶴山) 및 용수사(龍遂[水]寺) 자료조사와 건립/아카이브 의의와 전망이다. 논자는 여기서 용득의의 생평과 학행의 연구와 더불어 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의 간행추이를 면밀하게 살필 필요성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그리고 홍천 용득의의 삶을 금학산의 위치와 용수사의 위치를 전문가와 정확하게 살피고, 동면 덕치리의 기념관과 수타사 및 산소길을 연결하는 콘텐츠 개발 및 아카이브 구축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기록으로 금학산의 용수사와 학서루의 위치 선정과 건립 등은 가능한 일이며, 아카이브 구축 이후의 일은 전문가와 홍천군 행정관서의 몫이다. 용득의 생평과 학행을 통한 홍천 아카이브 구축 방안은 분명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용득의의 생평과 학행을 통한 인문학 콘텐츠 및 안내 앱을 결합한다면 멀티미디어 자원을 지원하는 지적인 아카이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