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순규 ( Soon Gyu Kim ),이주재 ( Choo Jae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1

        본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과 관련하여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대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생활 적응은 심리, 사회, 문화적 적응으로 세분화 하였으며,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과 관련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언어능력(한국어)과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았다.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과 관련하여 직면한 문제점으로 언어문제와 사회적 지지체계 부족을 지적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 또한 크게 언어능력 향상과 사회적 지지체계 형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 208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인 Amos 5.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언어능력은 이주여성의 문화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는 심리, 사회, 문화 적응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 점점 늘어나는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는데, 사회적 지지체계가 중요한 요인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포괄적인 사회복지 지원 대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inguistic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ccording to pre-studies, linguistic ability and social support are very important factors on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Especially, the stud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adjustment-psychological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cculturation. The study was based on a survey of 208 women living in Jeonnam,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Amos 5.0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linguistic ability effects on only acculturation in the affirmative, while social support influence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acculturation in the affirmative. Therefore,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assisting in the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introduced strategies to help in the adjustment among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Korea.

      • KCI등재후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박은미(Eunmi Park),황빙의(Bingyi Hwang),정태연(Taeyun Ju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 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국생활의 어려움, 한국문화수용의 중재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한 대학생활스트레스와 한국인 대학생이 평가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100명의 중국인 유학생과 98명의 한국인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수준은 부적상관이 있었고,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국생활의 어려움, 한국문화수용 인식 가운데 한국생활의 어려움만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한국문화수용은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독립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대학생활스트레스의 정도에 대하여 중국인 유학생 당사자들보다 한국인 학생들이 더 높게 평가했다. 그러나 학업스트레스의 경우, 한국인 학생들이 평가하는 것보다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국인 유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환경적 개선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ve Difficulties, Life Difficulties in Korea,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tress, and to test difference of estimating College Life Stress of Chinese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CIU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IUs (n=100) and Korean undergraduates (n=98)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chool Adjustment was explained negatively by College Life Stress, and positively by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lso, Life Difficulties in Korea of CIUs played a moderating role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College Life Stress. The difference of estimating CIUs" college life stress between Chinese and Korean was as follows: The Korean undergraduates perceived CIUs feeling higher College Life Stress than those who actually experienced it. Despite Korean"s perceiving it, CIUs realized higher Study Stress. Final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relevant theories and research, and their implication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

        이상노(Lee, Sang No),이현심(Lee, Hyun Sim)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9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에서 나타난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Giorgi의 현상학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으로서 결혼생활 3년 이상 경과한 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생활 적응에서 57개의 의미단위에서 20개의 범주로 통합했고, 이들 요소 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이해 할 수 있는 5개 주제로 결혼생활 적응, 일상생활의 적응, 자녀문제 적응, 한국고유문화 적응, 다문화 가정으로 적응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생활 적응에서 보다 삶의 질 높이기 위해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 계발이 요구되며 사회적 통합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of immigrant women adapt to life in Korea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what appears to be objective. To this en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Participants migrant women in Korea as a married man for more than three years have elapsed as marriage was selected. The results adaptation in Korea from 57 means the unit was incorporated into 20 categorie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elements of the study participants to understand life in Korea can be adapted to the theme of marriage five adaptation, the adaptation of everyday life, children adapt to the problem, a unique cultural adaptation Korea, adapt to multicultural deriv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migrant women adapt to life in Korea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than women who married two weeks to become a real help develop community programs are required. and social integration and political support for the government"s ongoing need for this proposed.

      • KCI등재

        저숙련 이주노동자의 가족생활

        정기선(Chung Ki Seon),변주수(Byun Joo soo)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1

        본 연구는 가족동반을 허용하지 않는 고용허가제의 비전문취업(E-9)비자와 방문취업(H-2)비자로 들어오는 이주노동자의 배우자 한국거주 현황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부부가 함께 한국이주를 하는 집단을 미혼 또는 배우자가 본국에 있는 이주노동자의 집단과 비교하여 한국생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0년 및 2013년 저숙련 외국인 이주노동자 대상 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2010년 976명, 2013년 1,370명)와 방문취업제 중국동포(2010년 1,000명, 2013년 1,064명)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저숙련 이주노동자의 한국생활은 경제생활(생활비지출, 송금, 저축), 주거생활(주거형태 및 주거비부담), 그리고 사회생활(한국생활고충, 한국어능력 및 생활만족도, 친구관계 등)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의 6~7%, 방문취업제 동포의 50% 이상이 배우자와 함께 한국이주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한국에 있는 이주노동자가 미혼이나 본국에 배우자가 있는 이주노동자보다 한국체류기간이 길고, 다른 가족이나 친척도 한국에 들어와 있는 비율이 높다. 배우자가 한국에 있는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생활비를 조금 더 쓰고, 송금은 약간 적게 하고, 저축은 좀 더 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부부가 함께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들이라도 주거비용을 최대한 적게 들이는 방법으로 생활하였다. 배우자가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외로움은 덜 느끼나 기혼자들의 경우 가족문제에서는 비슷하게 어렵게 느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저숙련 이주노동자가 가족전략으로서 국제이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many low-skilled labor migrants have their spouse who also migrates to South Korea although their visa don’t allow to accompany their family, what are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igration experience and their life in South Korea, compared to the single migrants or married migrants whose spouse is in the country of origin. The data for this study comes from the sample surveys conducted in 2010 and 2013 with low-skilled labor migrants under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data include the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the E-9 visa migrant workers of 976 in 2010 and 1,370 in 2013 and the Visit Work (H-2) visa Korean Chinese of 1,000 in 2010 and 1,064 in 2013. The low-skilled labor migrants’ life in South Korea is measured by the dimensions such as the economic life (living expenses, remittance, saving), the housing life (forms of housing, rate of living in company-sponsored housing), and the social life (difficulties of Korean life, Korean language skill, life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 with native or Korea friends, etc.). This study tests whether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f low-skilled labor migrants’ life in South Korea depending on their marital status and their spouse’s migration status. The findings revealed that, 6-7% of the EPS(Employment Permit System) migrant workers and more than 50% of the Working Visit Korean Chinese are living with their spouse in South Korea. Migrant workers with their spouse in South Korea not only are staying longer in Korea but also have a higher proportion of their family members or relatives living in Korea than the other groups. In addition, this migrant workers with their spouse living in South Korea spend a little more to the cost of living, remitting slightly less, and saving a little mor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but it was not much of difference. Even couples of migrant workers living in Korea choose their housing in a way of minimizing the costs as possible. The migrant workers with their spouse living in South Korea feel less loneliness, but the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migrant workers with their spouse living in country of origin in experiencing difficulty in family issu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em important in showing one good example of how actively low-skilled migrant workers make u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as a family strategy.

      • KCI등재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문화 경험 연구

        김철희 ( Kim Chul Hee ),조남예 ( Jo Nam Y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6 No.-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생활문화경험 사례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생활경험들의 현상을 분석하여 한국문화적응 과정의 의미를 밝히고 결혼이주여성의 가족들이 건강하게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문화적응의 이주 전 단계는 자신이 살아온 모국과 가족을 등지고 한국에서의 새로운 삶으로의 기대와 희망이며, 그 새로운 삶을 통하여 본인이 바라고 원하는 것들을 성취하기 위함이다. 이주초기 적응은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못하고 집안에서 고립된 생활로 인하여 아주 외롭고, 답답하며, 무력감을 느끼는 적응과정의 가장 어려운 시기를 겪게 된다. 밖으로는 편견과 차별감 그리고 남들의 놀림을 당하며 마음의 고통과 슬픔을 느껴야 했고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정체성을 갖지 못하고 갈등을 겪으면서 더욱 더 떠나온 조국과 가족들을 그리워함을 의미했다. 한국문화적응의 중간 단계는 초기의 수동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의사소통이 가능한 상태로 사회활동과 여가활동을 능동적으로 주도하고 적응의 어려움을 대처해 나아가며 한편으로는 남편의 폭력과 폭언을 견뎌야 했고, 주위의 차별과 편견을 이해하고 수용해야만 했다. 이는 실패해서 고국에 돌아갈 수 없다는 절박감과 자녀가 좋은 환경에서 잘 성장해가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당하는 고통과 어려움을 참고 견디며 위기를 극복해 나아가는 것을 의미했다. 한국문화통합의 단계는 이중언어(二重言語)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고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정체성이 확립되었음을 의미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효(孝) 문화와 인성교육을 통한 사회복지실천과 정책에 관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study analyzed various situations inside daily life experiences through the case studies done with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 revealed the meaning of acculturation process, and this research presents a solution of how the families of foreign immigrant women healthily adjust in the Korean society. At the stage before the women immigrate inside the acculturation process, these women turn against their family and motherland where they have lived; however, they anticipate and hope for a new life at Korea, and wish to fulfill the things they have ardently wished for through their new lives. The early adjustment period is the most struggling time of the acculturation process, and the immigrants are not able to freely communicate and they feel lonely, stuffy, lethargic due to the solitary life at home. Outwardly, the immigrants teased and discriminated with prejudice, and their hearts are hurt and they feel sadness. These hardship mean that the immigrants are missing their family and homeland which they have left much more, and that they are conflicting since they do not have identity of being an individual inside the Korean society. At the middle level of the acculturation process, the immigrants are deviated from their initial passive position and they are at the stage where they are able to communicate, actively take lead inside the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and handle the difficulties of adaption. On the other hand, the immigrant women endured the violence and abusive language, and they understood and accepted th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from their surroundings. This means that they have endured their pain and hardship, and have gotten through by watching their children growing well inside a fine environment with a desperate mind that they can not go back to their native country. At the stage of cultural integration, the immigrants are able to freely command dual languages, and this means that their identity of being an individual in Korea has been established. Therefore, implications about social welfare practices and policies for married immigrated women can be put forward through this research study.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측정도구 개발연구

        현경자 ( Hyun Kyoung Ja ),김연수 ( Kim Yoen S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 개 발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 제작을 위해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적응과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이들의 한국생활적응과 관련한 주요 영역별로 측정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이 문항들은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를 수행하는 전국의 36개 기관을 이용하는 여성결혼이민자 558명에 대한 조사연구에 포함되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 자료를 이용하여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제작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척도는 총 23개 문항,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척도의 신뢰도는 .89로 양호하였다.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은 1요인 `가족 및 한국 문화이해`, 2요인 `지역사회이용 및 이해`, 3요인 `한국어 이해 및 사용`, 4요인 `대인관 계 및 사회활동참여`, 5요인 `한국음식적응`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요인들은 56.87% 의 설명력을 보였다. 제작된 측정도구를 통해 산출된 한국생활적응 및 하위영역들의 값 은 예측대로 연구대상자의 연령, 교육수준, 거주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척도의 변별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기준관련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 는 동시타당도, 예측타당도 및 증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 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으며, 개발된 척도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활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life adaptation measu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construct scale items, critical issues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26 scale items were constructed, an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for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was attempted, using data drawn from a questionnaire survey in which 558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ed.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5 factors: factor 1 `understanding of family & Korean culture`; factor 2 `understanding & utilization of local community`; factor 3 `understanding & uti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factor 4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activities`; and factor 5 `adaptation to Korean foods.` The final 5 factor scale consisted of a total of 23 items, and these factors accounted for 56.87% of variance. This scale was found to be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as suggested by Cronbach`s alpha .89. In terms of validity, the scale showed a proper discriminant power, criterion and incremental valid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cale`s applic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studies was discussed.

      • KCI등재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

        최금해(Jinhai cui)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7 여성연구 Vol.72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생활한 지 1년 이상 된 기혼 조선족 여성 1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개방코딩에서는 74개의 개념과 21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의 경우 패러다임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한국남성과 결혼한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에서의 인과적 조건은 ‘국제결혼 선택함’이었고, 중심현상은 ‘스트레스 경험’이었다. 이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문화적 차이’, ‘정체성 혼란’, ‘경제적 기대와 현실 간 차이’로 나타났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자기실현 욕구’, ‘자신과 결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이었다. 이런 흐름속에서 작용/상호작용전략을 촉진하거나 감소시키는 방향을 작용하는 중재적 조건은 ‘자기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여건’,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한국남성과 결혼한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은 ‘삶의 주인이 되고자 함’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는 한국결혼을 선택한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범주의 속성과 차원뿐만 아니라 결혼계기, 경제적 지위, 한국에서의 체류기간, 학력 및 시댁식구들과의 관계 등 한국생활 적응과 관련된 객관적인 조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속노력형’, ‘불가피순응형’, ‘긍정적인내형’, ‘변화시도형’과 ‘유동형’ 등 다섯 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에게 유형별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7 Korean-Chinese women who have been married to Korean men and living in Korea for more than one year. This study employ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Data analysis generated 74 concepts, 21 sub categories, and 11 categories. In axil coding, a causal condition related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emerged from the data, which was ‘the choice of international marriage’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The central phenomenon as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was ‘experiencing stresses’.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corresponded to the central phenomenon of stress were ‘cultural differences’, ‘identity confusion’ and ‘disparities between economic expectations and the reality.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coping and adaptation were ‘need for self-realization’ and ‘modification of expectations of marriage and self-perception or self-identity’. The intervening conditions affecting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life circumstances that influence her self-realization’, ‘capacity to cope with stress’ and ‘level of social support’. The consequence of coping and adaptation was ‘developing the ownership of her life’. Selective coding revealed five types of adaptation to marriage among the Korean-Chinese women participant. The five types were drawn from analysis of not only the category’s property and dimensions but also the objective conditions such as motive for marriage, economic status, the length of stay in Korea, scholarship,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her in-laws and so no. The five types are as follows: ‘striving for change in self’, ‘resignation to accept the reality’, ‘appreciation of positives’, ‘continuous effort to change life environments’ and ‘pragmatic adaptation’. The findings of study will help develop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support Korean-Chinese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ir adjustment in Korea.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무용수업 참여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진숙(Yang Jin Sook)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5 No.3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무용수업 참여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4년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한국무용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수집 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 문화적응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척도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수업 수강집단은 비수강집단에 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 요인의 평균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수업 수강집단은 비수강집단에 비해 대학생활 적응 요인의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무용수업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무용수업은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무용수업 참여가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for foreign students through Korean dance courses participation and provide the basis for a successful study abroad. The study subjects were 30 foreign students attending at 4-year university located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experimental group of 15 people were participated Korean dance courses and a control group of 15 people were not participated. This study was used as a data collection tool was a questionnaire composed of demographic variables, acculturation stress,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The data was subjected to the frequency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paired sample t-test using the SPSS 17.0, deriv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that attend Korean dance courses showed a lower average of acculturation stress factors than non-attendance group. Second, the group that attend Korean dance course showed higher mean values of university life adjustment factors than non-attendance group. Third, the Korean dance course was found a positive effect on acculturation stress. Fourth, he Korean dance course showed a positive impa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participated Korean danc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사회 생활적응 및 한국사회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영향요인

        이경상,배상률,이창호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factors influencing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acculturation stres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e data used for the empirical confirmation were collected from 694 Chinese students attending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and sampled by the method of quota sampling by region and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degree of comprehension of Korean lectures, the satisfac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the satisfaction of the lectures of the professors, and the degree of individual interaction with Chinese students of the same college, the bett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more they felt the difficulty of funding and the difficulty of loneliness, the more they could not adapt to college life. Second, The more they felt the difficulty of Korean language, the difficulty of loneliness, the difficulty of the relationship with Korean colleagues, and the difficulty of discrimination against Chinese people in Korean society, The more they felt the acculturation stress. The higher the degree of individual interaction with Chinese students of the same college, the lower the acculturation stress.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사회 생활적응 및 한국사회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경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험적 확인에 사용된 자료는 지역(수도권/비수도권)별, 교급(학부/대학원)별 할당표집의 방법으로 표집된 학부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 69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수집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강의 이해정도, 대학의 커리큘럼 만족도, 교수의 강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같은 학교 중국인 학생과의 개별적 상호작용 정도가 많을수록 대학사회 생활에 잘 적응하고, 학비조달의 어려움, 외로움에 의한 어려움을 많이 느낄수록 대학사회 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의 어려움, 외로움에 의한 어려움, 한국인 동료/선후배와의 관계의 어려움, 한국사회의 중국인에 대한 차별의 어려움을 느낄수록 한국사회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고, 같은 학교 중국인 학생과의 개별적 상호작용 정도가 높을수록 한국사회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거주 대만인의 생활 만족도와 한국 생활 공유의도 결정요인 연구: 사회 자본, 문화 인식,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황우념(Huang, Yu-Tien),이정기(Lee Jeong-Ki)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6 No.-

        코로나19 시기 외국인들의 불안감과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존재한다. 이에 이 연구는 소수 국가 출신 한국 거주 외국인(대만인)을 대상으로 한국 생활 만족도와 한국 생활 공유의도 결정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한국에서 생활하는 대만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 변인 중 신뢰, 참여, 규범은 한국 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문화적 역량 변인 중 언어 능숙도는 한국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문화 적응 스트레스 변인 중 차별감, 문화적 충격이 한국 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한국 생활 만족도는 한국 생활 공유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and the intention to share life in South Korea among foreigners (Taiwanese people) that were from a minority nation and currently living in South Korea, and to search for way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aiwanese living in Kore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uch social capital variables as trust, participation, and norm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second, language proficiency, one of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variables, had positive impacts on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third,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culture shock, two of the acculturative stress variabl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finally,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share life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