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문화 활성화를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연구

        배상률,고은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 문화라는 키워드에 함축된 교육, 여가, 참여 등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삶의 실태와 이들이 가지는 문제의식과 가치를 살펴보고, 청소년들을 위한 소셜미디어의 활용범위와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건전한 문화형성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tool)이자 소통의 장(field)으로 기여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는 소셜미디어의 활용을 위해 우리 사회와 정부가 마련해야 할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가 가지는 궁극적인 목적이다. 전국 17개 시·도 2,500여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및 청소년문화환경을 살피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문화와 소셜미디어라는 두 가지 핵심 키워드와 관련된 실체와 현상이 청소년 당사자에게 어떻게 해석되고 경험되는지에 관한 심층적 연구를 위하여 소셜미디어상에서 토론이라는 형식을 빌려 질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소셜미디어 활용을 위한 벤치마킹을 목적으로 국내외 사례조사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수의 청소년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기능적·심리적 혜택을 얻고 있었다. 청소년들은 소셜미디어가 가치중립적인 도구이며 이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를 수반하는 매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청소년들은 ‘자기표현,’ ‘정보획득,’ ‘소통’을 소셜미디어의 3대 기능으로 꼽았다. 다수의 청소년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학업 및 그 외의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사회적 이슈를 파악하고 여론을 형성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개개인의 개성 및 차이를 확인하고 타인과 공감대를 형성할 뿐 아니라 즐거움을 얻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고 답했다. 유해콘텐츠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청소년들은 선별적 규제를 위한 엄격한 기준 마련과 함께 집단지성이란 소셜미디어의 대표적 장점이 사회에 제대로 발현될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보고서는 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학교단위의 미디어교육의 제도화 및 건전한 소셜미디어 사용을 위한 인터넷드림마을과 같은 캠프의 증설 및 운영의 확대를 제언하였다. 또한 부모 교육 확대 및 정부 차원의 홍보노력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One is to explore the life conditions Korean youth face specifically in terms of education, leisure, social participation etc. and the values and attitudes Korean youth generally exhibit. The second is to delve into the possibility of and the range of the utilization of social media for the vitalization of youth cultur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our society an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vide, by utilizing social media to serve as a useful tool in developing youth culture, as well as the field of communication for Korean youth. The author surveyed approximately 2,50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on youth culture and their social media use. In addition, the author organized the qualitative study with its basis in two keywords, social media and youth culture, analyzing the discourses found within youth discussion forums on Facebook. In addition,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were conducted in order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society to benchmark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ost Korean youths obtain a number of psychological, as well as functional benefits, from utilizing social media. They recognize social media as value neutral; therefore, social media could off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depending on how it is used. Based on this study, Korean youths list “self-express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communication” as the three major functions of social media. Many of the surveyed youths answered that they could gather useful information, grasp social issues and agenda, and construct public opinions through social media. In addition, they fully recognized that social media could serve as an important tool for youths to help release stress, share their interests with friends, and identify people’s individualities. Through social media, harmful content has been easily delivered and dispersed to people including youths. In this situation, the author proposes that our society should provide rigid rules and put in a great deal of social efforts to screen out such immoral and harmful contents. In the meantime, we should also help youths build their digital literary, which would be able to maximize the benefits of social media in terms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ocial capital. To successfully achieve the abovementioned goals, the author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school-based media education should be systemically established; Second, several government-operated camps such as the Internet Dream Village, which helps youths suffering from smartphone and Internet addiction, should be established nationwide; Lastly,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government-operated PR should be provided.

      •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미디어교육 제도화 방안 연구

        배상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청소년들에게 한국의 교육현실을 고려한 맞춤식 미디어교육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ICT의 빠른 발전과 디지털 미디어의 편재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끼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점 강해져가고 있음을 뜻한다. 그렇기에 미디어의 순기능을 적극 활용하고 미디어의 역기능은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역량개발을 도모하는 미디어교육의 제도화가 시급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 학계가 지금까지 발전시켜온 미디어교육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한 거대담론을 넘어서 우리 사회 환경과 교육현실을 고려한 실질적인 미디어교육 실천방안을 실증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초·중·고 학생과 일반교사, 그리고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영국, 호주 등 미디어교육 선진국가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들이 어떻게 미디어교육 체계를 발전시켜나가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우리사회의 성공적인 학교 내 미디어교육 제도화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디지털 매체 활용능력은 사회적인 통념과는 다르게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소위 비판적/분석적 미디어 이용자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모습이었다. 현재 일선학교에서 저마다 실시되는 ‘미디어교육’은 ‘네티켓’이나 ‘미디어 정보의 올바른 취사선택’에 다소 편중되어 있는 실태로, 미디어교육의 핵심역량인 ‘콘텐츠/메시지 분석 및 비평 능력 함양’이나 ‘자기표현과 소통능력 함양’은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디어교육의 제도화는 학생, 교사, 전문가 모두 긍정적이었으나, 독립교과목 신설이나 입시반영에 대해서는 일반교사와 학생들의 상당수가 반대의사를 보였다. 해외사례를 통해서도 드러났듯이 성공적인 미디어교육 제도화를 위해서는 미디어교육 코치제도를 도입하여 교사지원 및 정부와 지역간 교량역할을 하도록 체계화하여야 한다. 본 보고서는 픽미업(PICK-ME-UP)이라는 단계적·융합적 미디어교육 커리큘럼을 제시하였다. 일반교사와 교육부가 청소년 대상 미디어교육의 시행주체로 기존의 관련 기관 및 조직과 연계를 해나갈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은 독립교과목을 신설하고, 중학교 및 고등학교는 통합교육을 통해 미디어교육을 제공하며, 대학교는 미디어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교사양성에 힘쓸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