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 간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검증

        이정애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5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on the college students' major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outcome expectations in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to major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e surveyed 365 university students on measures of academic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major adjustment. Result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were effective in predicting students' major adjus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more effective variable than outcome expectations. In addition, result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outcome expectations mediated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college students' major adjustment. So it needs to intervene upon academic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 order to increase college students' major adjustment.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academic self-efficacy. Implications for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설정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가 학과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 간의 관계에서 결과기대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6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는 학과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과적응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결과기대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적응의 각 하위요인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의 상대적인 영향력도 이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모두 학과선택 만족, 학업수행 만족, 진로목표의 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결과기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과기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과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결과기대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학업수행의 결과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인식이 학과적응을 촉진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학생의 학과적응을 높이는 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개입이 더 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학과적응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지만, 특히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과의 관계

        이유미(Youmee Lee),정주리(Juri Joe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간의 관계,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 3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시험불안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정서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은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성별과 계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을 보였고,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계열의 학생들이 인문계열의 학생들보다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계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만이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걱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시험불안 하위요인인 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이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성별과 계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서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각 집단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상이한 개입방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의 하위요인들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인지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에 대처하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어떤 하위요인에 개입해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 자신감을 높이고, 자신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이도의 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격려해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with a sample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level. A total of 515 surveys were analyzed (189 men, 362 women). A correlation analysis,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date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by gender (men vs. women) and maj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s. sciences and engineer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test anxie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y gender and major. Specifically,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levels of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and self-confidenc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did. In additio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s and engineering reported higher level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 than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id. Only the self-confidence subfactor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worry subfactor of test anxiety. Furthermore, the self-confidence and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emotion subfactor of test anxiety. The implications for teachers, school counselors, and resear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개인별 변화궤적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김남연,김재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in adolescence and analyzed the effect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on the potential class type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Methods In the data of the Daegu Institute of Future Education's Daegu Education Longitudinary Study, some of the data tracked every year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2017 to 2020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he types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were classified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types of potential classes. Results As a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rajectory types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Low-level radical upward typ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and ‘High-level gradual upward type’. Academic self-efficacy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potential classe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self-recognition among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ctors, and the better the challenge, the more likely it was to be included in th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or “High-level gradual increase type.” The higher the parent's support,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ing included in th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and the ‘High-level gradual increase type’, the better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higher the parent's support,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ing included in the ‘High-level gradual increase type’. In terms of school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better the friend relationship and the higher the teacher's support, the more it was included in the ‘low-level radical rise type’.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average change i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for four year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was significant. In addition, predictors that are included in each type of ‘Low-level radical rising typ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and ‘High-level gradual rising type’ of academic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s of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on adolescents were explored.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rough thi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life.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school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to improve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궤적을 분류하여 개인심리 특성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대구미래교육연구원의 대구교육종단연구(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데이터에서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2017년에서 2020년까지 4년간 매년 추적한 데이터의 일부를 활용하였다.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궤적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궤적 유형은 ‘저수준 급진상승형’, ‘중수준 유지형’, ‘고수준 점진상승형’ 3개의 유형으로분류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개인별 잠재계층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개인심리특성요인 중에서는 자기인정, 도전을 잘할수록‘중수준 유지형’이나 ‘고수준 점진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가정요인은 부모의 지원이 높을수록 ‘중수준 유지형’, ‘고수준점진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부모자녀 관계가 좋을수록, 부모의 지원이 높을수록 ‘고수준 점진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학교요인에서는 친구 관계가 좋고 교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저수준 급진상승형’에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이 될 때까지 4년간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평균적 변화가 존재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개인 간 차이가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저수준 급진상승형’, ‘중수준 유지형’, ‘고수준 점진상승형’ 각 유형에 포함되도록 하는 예측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안에서 개인심리 특성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이 청소년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여,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이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학교 교육 및 교사의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경희,김지연 한국성인교육학회 2014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재학생 934명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 각 요인들과 2013학년도 1학기 성적(GPA)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t-검증, ANOVA 검증, Scheffe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에 대한 이해 정도를 보면 그 인식 수준은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 학습동기와 수업만족도의 순으로 정(正)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의 각 요인들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에, 학습동기와 학업적 성취도 간에는 정(正)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정(正)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는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나, 수업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력이 없었다. 다섯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그리고 이들 각 요인들의 하위요인들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는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요인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학업성취도를 고양하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며, 또한 이러한 전략은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of 934 students attending at the ‘A’university are sampl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GPA) of the first semester in 2013 are analyzed. By means of SPSS win 21.0, this study makes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and Scheff posteriori te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e followings: Firstly, as for the levels of understanding these variables, they turn up higher in the order of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Secondly, as for th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y turn out positive ones and appear higher in the order of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urse satisfaction,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Thirdly, as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positive one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there is no positive one between cours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urthly,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can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but course satisfaction can’t do it. Fifthl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ake som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subordinate ones to these variabl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trategies for improv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are required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Also, educational strategies should be adequate to reflec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arners.

      •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미옥,최희숙,김성희,천성문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2 韓國敎育論壇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발달적 시기에 있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스트레스 및 진로결정수준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진로스트레스가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생 439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진로스트레스검사,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각 변인들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검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서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가 진로스트레스의 하위요소인 일반적 요인에 의한 진로스트레스, 가정환경요인에 의한 진로스트레스에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스트레스 간에는 부적상관,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수준 간에서도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매개변인인 진로스트레스가 통제되었을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효과 크기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진로스트레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진로스트레스를 통제하였을 때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완전매개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용전공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장두현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9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소재한 4년제 미용학과를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여성이 많았으며 1학년이 제일 많았고 성적은 중, 그리고 헤어전공이 많았다. 이들은 대부분 적성이나 흥미로 미용을 선택하였고 미용학과를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원을 알아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적 효능감, 학습 난이도 조절, 학업 자신감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만족도는 정의적, 심리적, 환경적, 학업적, 사회적 적응의 다섯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별 학업적 효능감, 학습 난이도 조절은 대학생활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사회적, 학업적, 심리적, 정의적, 환경적 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별 학업 자신감은 대학생활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사회적, 심리적, 학업적 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p<.01).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학년, 성적, 전공, 미용전공 선택 이유, 미용학과 만족도는 하위요인별에 따라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학년, 성적, 전공, 미용전공 선택 이유, 미용학과 만족도는 하위요인별에 따라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학업적 적응에 있어서는 학업적 효능감, 학습 난이도 조절, 학업 자신감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사회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있어서는 학업적 효능감, 학업 자신감이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정의적 적응은 학업적 효능감, 학습 난이도 조절이, 환경적 적응에서는 학업적 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의 만족에 따라 진로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또는 전국의 4년제 미용전공대학교와 재학생들뿐만 아니라 2년제 미용전공전문대학교와 전문대학 재학생들을 비교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좀 더 객관적이고 명확한 연구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백승원(Baek, Seung-Won),윤채영(Yun, Chae-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panel data of Busan Educational Longitudial Study, and through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in this structural relationship. Method: The data of this study included the first year(2016) to third year(2018) of 2,812 first graders in 50 middle schools in Busan.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itial state and rate of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ll was changed with time. Second, in the longitudinal path among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me latent factors as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However, the path of different latent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rate of career maturity in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self-efficacy had a negative effect, and the path to change rate in the initial value of other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mediated the path that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efficacy led to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aptation, and the rate of change in career maturity mediated the path that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self-efficacy led to the rate of change in school adapt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f academic self-efficacy is high at the time of admission to middle school, it will be carried out to explore their career specifically and to achieve career related goals based on self-confidence and self-understanding that will perform various behaviors successfully as well as learning, the driving force for adapting to school life.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중1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및 학교적응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의 종단적인 관계를 검증하고 이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데이터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중1 패널로 부산시 소재 중학교 50개교에 1학년 재학생 2,812명의 1차년도(2016년)~3차년도(2018년) 자료이다. 연구변인 간 관계의 초기상태 및 변화율에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은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학교적응 간 종단적 경로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초기치, 즉 중1에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관계는 초기치에서 초기치, 변화율에서 변화율과 같이 동일한 잠재요인에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초기치에서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에 미치는 상이한 잠재요인의 경로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변인의 초기치에서 변화율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진로성숙도의 초기치는 학업적 효능감의 초기치가 학교적응의 초기치로 이어지는 경로를 부분매개하였으며,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율이 학교적응의 변화율로 이어지는 경로를 부분매개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교 입학 시기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다면 학습뿐만 아니라 다양한 행동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자기확신과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본인의 진로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실천으로 옮길 것이고, 이는 곧 학교생활에 적응해 나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일개 대학 RN-BSN 과정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

        김상희 국가위기관리학회 2020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9 No.1

        본 연구는 RN-BSN 과정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 계를 분석하여 직무 스트레스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 이며 결국 간호측면에서의 국가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 시 소재 I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3, 4학년 학생 12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개발 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장세진 등(2005)이 개발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 KOSS-SF)을 사용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0월 1일부터 2018년 10월 2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차이는 t-test, ANOVA로, 사후검정은 Scheffe 's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Pe 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총 6점 만점에 평균 3.54±0.27이었고, 직무 스트레스는 총 4점 만점에 평균 2.52±0.22로 중간 정도로 확인되었다. 대 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는 현재 근무부서, 근무형태, 현재 직위, 근무지 만족도, 취 미생활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는 유의 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므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야 하겠다. 그러 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RN-BSN 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또 한 병원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in RN-BS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This study was also attem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nd eventually promote national development in nursing. A sample consisted of 122 RN-BSN students from 1 university located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 October 2018 to 21 October 2018.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measured by KOSS-SF. Regarding the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the SPSS 24.0 program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the average grade point was 3.54±0.27 points. Regarding the job stress, the average grade point was 2.52±0.22 points. Regarding the job stress resulting fro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sent department(F=0.58, p=0.012), type of work(F=0.31, p=0.011), position(F=0.41, p=0.047), satisfaction of place of work(F=0.38 p=0.023), hobby(t=1.91, p=0.048). Regarding the correl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there was the negatvie correlations(r=-0.39, p=0.029). Therefore, we should reduce job stress by increasing academic self-efficac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in the RN-BSN course should conduct research on factors that affect job stress. It also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systematic programs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at school as well as hospitals.

      • KCI등재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김국현(Kukhyeon Kim),이주미(Jum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인지적 자기조절, 플로리싱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G시와 J도 소재 11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생 370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인지적 자기조절, 플로리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를 사용하여 기술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Mplus 8.0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랩핑을 사용하여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인지적 자기조절, 플로리싱 간 구조적 관계모형은 모형 적합도가 양호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플로리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간의 인지적 자기조절의 완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결론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 1학년생의 플로리싱 관계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인지적 자기조절을 통해 완전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동기적 요인은 실제적 자기조절적 활동과 함께 할 때만 대학생의 플로리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자기조절은 플로리싱의 하위 요소 중 ‘성취’ 요소와 상관관계가 크고 이는 대학생들의 학업적 성취와 인지적 자기조절은 플로리싱의 다른 하위 요인들보다도 성취 요소와 관련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the flourishing of college freshmen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and cognitive self-regulation strategies. Methods A total of 370 college freshman survey responses from universities in G city and J province were used to conduct a descriptive analysis, a correlational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a bootstrapping analysis. Flourishing survey responses included sub-five elements PERMA(positive emotion, engagement, relationship, meaning, and achievement). Cognitive self-regulation strategies consisted of four elements(organization, attention, metacognition, and test strategies). Results Cognitive self-regulation strategies tot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flourishing of college freshmen. But there wa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flourishing of freshmen significantly. Conclusions First, cognitive self-regulation affects directly first-grade undergraduate students’ flourishing. This suggests that the use of specific cognitive self-regul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flourishing among college students.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and cognitive self-regulation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achievement’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flourishing, which can be seen as more influential on achievement than other sub-factors of flourishing.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구성 요인 분석

        김정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2

        The judgement of learners about their abilities in learning is directly related in the learning activitie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motivation theory. The learners with high academic self-efficacy choose more challenging work, and pay more effort in order to successfully perform a given task. In general, the learners has been recognized as having academic self-efficacy by specific learning challenges. Accordingly the self-efficacy designed by specific challenges are various, for example, computer self-efficacy, exercise self-efficacy,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more. The study of self-efficacy which has a positive relationship in performance and activities can affect to accomplish Korean music education.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developed the scale of academic self-efficacy, explored major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and analyzed degrees affecting the self-efficacy. As a result, through exploring the self-efficacy of Korean music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achieve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 learners with a low level of learning interest comparing to other subjec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inue more academic discussions regarding this study and improve realistic situations of Korean music education. 습에 있어 능력에 대한 학습자의 판단은 학습활동과 직결되며, 대부분의 동기 이론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높은 자기 효능감은 학생들에게 학습을 촉진시키려는 과제에 노력과 지속력을 증가하게 하고, 이전의 어려운 과제에 직면했던 경험이 있었을지라도 성공할 수 있다는 신념이 부정적인 전 경험을 불식하고 동기화 행동을 지향하게 한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하고,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어려움이 있어도 끈기있게 과제를 지속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불안을 느끼는 정도가 낮고, 보다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며, 자기관찰, 자기평가, 자기반응과 같은 자기조절능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은 특정 학습과제별로 매우 구체화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따라 그간 과제-특수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작된 자기효능감 척도는 컴퓨터 자기효능감, 운동 자기효능감, 음주거절 자기효능감 등 다양하다. 이처럼 자기효능감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국악교육 분야에서의 관련 연구성과는 전무하다시피한 실정이다. 수행과 정적 상관관계에 있으며 활동내용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를 국악에 적용하는 것은 국악의 수행과 활동내용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것이라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중 학업 수행과 연관하여 개발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기초로 문항들을 재구성․응용하여 국악교육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이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을 탐색하였으며, 또한 이들 요인이 효능감에 미치는 정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국악학습자에 대한 심리적 요인, 특히 동기적 요인 중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규명하는 것은 국악학습의 기회가 타 교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이에 따라 학습흥미도가 낮은 학습자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을 이룰 수 있게 할 것이라 판단한다. 이에 관련한 보다 심도 깊은 학문적 논의가 지속되어 국악교육의 현실적 상황들이 개선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