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호주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전개 과정과 현황

        정종진(Jeong Jong Ji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1

        이 연구는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호주의 학교에서 다문화교육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왔으며 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실시되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이 어떤 방향과 모습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이 호주 학교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동화주의(1945-1972), 다문화주의(1972-1986), 경제적 합리주의(1986-현재)에 입각한 다문화교육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 본 다음, 다문화교육이 학교 교과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실시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원칙과 접근방식, 교차 교육과정적 관점, 언어교육, 반인종주의, 아시아연구 등에 걸쳐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 학교 다문화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결론삼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multicultural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This study, which focused largely 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identified and examined three discernible periods relating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Australia as follows: assimilation-based multicultural education's period(1945-1972), multiculturalism-based multicultural education's period(1972-1986), economic rationalism-based multicultural education's period(1986-present).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incorporation of multicultural perspectives into curriculum, language teaching, the creation of harmonious interethnic relations, and Asia study in Australian schools. And finally, as a conclusion, som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chools were given through some useful characterictics and reflective though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 한국의 기초교육분야 개발협력 현황과 정책개선을 위한 과제탐색

        유성상(Yoo Sung San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1

        이 연구는 한국의 기초교육분야 개발협력 현황과 도전과제를 제시하였다. 기초교육분야 개발협력의 분석틀로는 아마티아 센의 개발협력 원칙에 관한 논의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기초교육분야 개발협력의 추진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초교육분야의 개발협력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제개발협력 의제 중 교육분야의 주요 목표에 부합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둘째, 성취 가능한 교육목표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상하여 추진해야 하며, 셋째, 양성평등, 환경 등의 이슈를 최대한 연계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기초교육을 통하여 한국의 교육발전경험이 어떻게 전달되고, 현지 수원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속에서 재생산, 혹은 재편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담는 사업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plain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 basic education and providing measures to the global challenges. Sen's theory on the importance of basic education for social development supports the given principle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through basic education, upon which the existing work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basic education are reviewed. For discussion, three points are argued for better policy making. First, works for development and cooperation should meet the goal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das. Second, national development agencies should take into account of achievable goals of projects and programs in education. Third, gender equ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importance in the relations to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In conclusion, Korea needs to play a pivotal role in delivering development experiences in basic education as thinking sincerely of indigenous culture and social contexts in which educational aid programs have been produced, reproduced, or transformed into different ways.

      • 기업교육장면에서 MBTI 검사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박제일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2 韓國敎育論壇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pre-test(result from test) and post-tests(best fit from workshop) to investigate MBTI’s reliability in corporate education settings. For this study, self-reports data from 144 employees were collected in two companies, who participated for MBTI in-house training during seven hours. Compared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results, 92 participants (63.9%) showed same MBTI type while 52 participants (36.1%) showed a different type as it had been. In conclusion, the MBTI test results indicated low reliability in the corporate educational settings.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ctivities including workshop in the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finding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업교육장면에서 MBTI 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검사결과와 워크샵을 통한 최종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으로 2개 회사에서 144명이 참여하였으며, 사내교육을 통해서 MBTI 워크샵을 7시간 이수하였다. 그 과정에서 검사결과와 교육을 통해 도출된 최종결과를 비교하였다. 사전검사와 최종결과를 비교한 결과, 92명(63.9%)이 검사결과와 최종결과에서 같은 결과가 나왔으며, 52명(36.1%)은 다른 유형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기업교육장면에서 이루어지는 MBTI 검사의 결과는 신뢰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기업교육장면에서 이루어지는 MBTI 검사는 워크샵을 포함한 교육이 후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후속연구를 통해서 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 中國近代職業敎育硏究史略

        박영진(Park Young Ji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2

        근대사회에 이르러, 중국의 직업교육은 ‘실업교육’과 ‘직업교육’의 의미가 통합되면서 그 개념이 형성되었다. 근대화 초기 ‘실업교육’과 ‘직업교육’은 실시 내용과 교육내용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서양의 교육학적 체계가 도입되면서 ‘실용적인 인재 양성’이라는 본질을 추구하여 통합되었다. 이 연구는 개혁개방 30년 동안 중국 근대직업교육 관련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실업교육과 직업교육의 관계, 근대 직업교육의 발전 과정과 이념, 근대 직업교육의 주제별 연구에 대해 문헌조사법으로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근대의 중국 직업교육 관련 연구를 정리 및 분석했다는 점에서 교육사적 의의가 있다. 또한 근대의 연구를 통해 현재의 학술적 상황을 조명하고 향후 전망을 추론하였다는 점은, 중국의 개혁개방 30년을 회고하는 시점에서 직업교육사적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Review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Chinese Reform Process, there were remarkable results in the areas of modern career education research. Excellent treatises and writings have been constantly published and diverse studies were done such as researches illumin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studies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odern career education, modern career education ideologies, thematic studies on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modern career education fields, and more. Such research came to be developed in depth even thoug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al process on Chinese career education was short. During the 30 years of the Chinese Reform Process, more than 10 professional books regarding modern career education were published along with as many as 4 dissertations and 20 master’s theses. Additionally, over 100 professional researches on related areas were held-it could be seen as a period when academic foundation was hardened. This research intended to academically systemize modern Chinese career education while searching such research results. For this, this research used literary research as the main research method and planned to open the possibility of academic congruence with other educations.

      • 교원연수체제 개선 요구조사 분석

        전제상(Jeon Je San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1

        이 연구는 새로운 교원평가시스템 도입과 학교자율화 정책, 수업전문성 제고방안 등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현장 교원들의 연수 요구 실태를 분석하고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교원연수체제 개선은 1995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범운영 이래로 교직사회의 주요 과제로 부각되었으며, 교원연수체제 운영 전반과 개선사항 등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교원, 교육전문직을 포함하여 총 1,937명이었고. 회수율은 약70.8%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ver 17.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원연수체제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은 편이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에 따른 현장 교원들의 연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현장 교원들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연수체제와 연수프로그램 지원체제는 미흡하였다. 앞으로 교원연수체제의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으로 연수기관별 전문화 및 특성화 노력,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집중연수 대책 마련, 연수기관평가 실시, 연수기관협력체제 구축, 교원체제 개선을 위한 법령 정비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service training of teachers on the theoretical basis, to inquire operation for the training system, and to present and an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 for the training system. The great interesting of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has been a topic for model operation of new teacher's evaluation system in Korea since 2005.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survey questionnaire of 3 category were developed for distribution to subjects. 1,937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to teacher and educational supervisors, 1,373(70.8%) of which were received and treated for frequency and cross-tab analysis using SPSSWIN ver 17.0. It was also shared among those teachers that a new in-service train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which would promote teachers to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requires analysis should be shared among trainees and staffs in training centers. Goals of the in-service training and school education in relation with the model operation of the new teacher's evaluation system. The projects should be operated voluntarily and converted into various training for field experiences. Also,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한국 · 중국 · 일본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내용 비교분석

        조정림(Cho Jung Lim),김복영(Kim Bok Youn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 중국 · 일본 세 나라의 중학교 내용구성과 문화자료, 행동문화 내용, 문화 배경, 다문화 내용, 배려 내용, 공통 주제를 분석하여 문화교육에 적합한지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세 나라의 교과서가 지닌 문화 관련 내용을 이해하는 데 있다. 세 나라는 각각 세계 공용어인 영어에 대한 국가 사회적인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정책에 따라 영어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 향상에 대한 우선순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골고루 나타나고 있고 문화 내용 면에서도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지만, 내용의 다양성에서는 부족한 편이다. 중국은 내용 면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문화 내용 면에서도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 주로 말하기 기능 위주로 나타나 있고, 내용 면에서 두 나라에 비해 다양성이 부족한 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whether the cultural content of the textbooks is appropriate for cultural education. Priorities on teaching four language skill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re different in these countrie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needs and educational policies on English which is considered as a global language. In Korean textbooks, the ways to improve four language skills appear well distributed, but they lack in cultural diversity. Chinese textbooks represent much more diverse content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information. Japanese textbooks are mainly focused on improving speaking skills, and in terms of content compared to the two other countries they lack in diversity.

      • 인재육성을 위한 리더십교육의 효과 분석

        김미경(Kim Mi Kyun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1

        이 연구는 인재육성을 위한 리더십교육의 효과를 통해 향후 글로벌 인재육성을 위한 대학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이론적으로 인재육성 교육 프로그램의 특징과 리더십교육의 중요성 및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고, 실증적으로 교육 전과 교육 후 리더십역량의 차이를 검증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십역량 변인들 간의 유의적 상관관계가 높게 나왔으며, 교육 전과 교육 후 리더십역량의 유의적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십교육을 통해 리더십역량을 강화 시킬 수 있는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인재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리더십교육 프로그램은 인지적이고 기술적인 역량 개발 및 정서적 역량을 고양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으로 수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for talent development. In doing so, we conducted the review the features of education program for talent development, leadership education literature, and experimental surve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The analysis of the survey conducted revealed that the mean scores are improved in each leadership competency factors after education than before. Also, the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proved the leadership competency improvement through education. Therefore, indirectly showed the good composition of leadership competency factors with stronger synergy effect after education. Further, the factors to leadership competency are found to be quite importance tools for development of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The factors of leadership competency has been a subject of interests discovering education program models for talent development, developing and applying leadership teaching strategies and plans suggest many issues and concerns within the field of talent development education.

      • 생활중심 신문활용교육(NIE)이 정신지체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이성일(Lee Seong Il),윤혜진(Yun Hye Ji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3

        이 연구는 지능과 언어발달의 지체로 인해서 어휘력을 향상시키는데 제한을 지닌 정신지체학생들에게 생활중심 신문활용교육(NIE)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NIE 프로그램은 18가지 주제로 목표어휘를 10개씩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실험절차는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대상자간 복식기초선 설계법 중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생활중심 NIE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수용어휘력 및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구산물기록법(permant product recording)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수행한 어휘 평가지에 대한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중심 NIE 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의 수용어휘력 및 표현어휘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전략이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사회생활에 유용한 정보매체인 신문의 다양한 내용과 흥미 있는 글을 활용한 생활중심 NIE은 정신지체학생의 교육실제상에 도움이 되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life-centered program utilizing newspaper on vocabulary expansion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 of the life-centered program NIE(Newspaper in Education) has expanding receptive vocabulary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what effect of the life-centered program NIE has expanding expressive vocabulary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t special school in Chungnam. This study us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design.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centered program NI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creasing receptive vocabulary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the life-centered program NI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creasing expressive vocabulary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다문화가정 학생 적응지원을 위한 학급경영 전략

        류윤석(Ryu Yun Seok)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1

        최근 한국 사회는 급격히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학교·학급경영 전략의 수립 및 실행이 요구된다. 특히, 실질적인 교육활동이 전개되는 학급 경영전략은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학교 적응 및 개인의 잠재능력 계발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학급경영 전략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통해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겪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정체성 혼란, 낮은 학업성취도, 집단 따돌림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학급경영 전략으로 소그룹 활동의 활성화, 다문화 체험의 교실환경 구성, 다문화 학습공동체 활동의 전개, 동료 학습 멘토링 제도 도입, 의형제 맺기 활동전개, 따돌림 예방 프로그램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Korean society comes into a sharp change in a multi-culture.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execute many education programs and management programs for managing classes and schools to assist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expected to take charge of the future of Korea. Especially, classroom management strategies for doing real educational activities react as an important factor needful to adaptation to schools and development of potential abili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ulti-cultural class management strategies to enhance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ving.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s that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suffered from. As a result, the problems found out from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were identity confusion,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group alienation. This study presented, as a concrete strategy to solve the problems, activating small group activities, creating classroom environment suitable to experience multi-cultures, activating learning activity communities, introducing peer learning mentoring, developing sworn-brother relationship making activities, and operating alienation prevention programs.

      • 초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좋은 교사, 좋은 수업, 수업방법 결정요인 비교

        오선아(Oh Sun A),이순덕(Lee Soon Deok)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좋은 교사, 좋은 수업, 수업방법관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G시 초등 현직교사 137명과 교육대학교 16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예비교사는 교사에 비해 지식의 가변성, 다양한 지식의 원천, 학습자에 의한 점진적인 학습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이 높았다. 교사는 교육경력이 많아질수록 절대적 권위에 의한 확실한 지식과 타고난 능력을 더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지식의 확실성과 학습능력에 대한 신념이 더욱 세련되었다.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학생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선생님’을 좋은 교사로, ‘학생들에게 참여 기회를 부여하여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인식했다. 교사와 예비교사 교육에 자신의 인식론적 신념 체계를 이해하고 좋은 교사, 좋은 수업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EB), good teacher, good instructional practices and the reason of teaching method selection. Subjects were 137 teachers and 167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of education in G city. Participants had to fill-out a questionnaire concerning EB, good teachers and good instructional practic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EB. Pre-service teachers more believed changeable knowledge, various knowledge sources, progressive learning by learners than in-service teachers. On the other hand, in-service teachers had more prefer diverse teaching methods to pre-service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ood teacher and the reason of teaching method selection. Both groups selected person who are able to understand and respect students as a good teacher. They also believed constructivist learning is a good instructional practices. A job training program and modeling of senior teacher and colleagues had a significant selection on teacher's teaching method selection. Past educational experiences or students teaching training was an important variable to select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method. These results would provide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program to understand their EB in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