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고등학교 교과서 중심으로 본 인구교육의 분석

        김경란,조혜종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7 교육연구 Vol.21 No.-

        연구에 관한 두 가지 상반된 논리-Cornucopianism과 Malthusianism-를 논의하고, 연구 성장 속도와 환경문제의 사례를 통하여 Malthusianism을 지지함으로써 인구연구의 필연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고둥학교 교과서에 반영된 인구교육방향을 교육 과정별로 분석함으로써 인구에 대한 학교교육의 흐름을 밝히고자 한다. 1962년부터 시작된 가족계획을 효시로 제 1차 인구교육(1974~1977),제 2차 인구교육 (1977~1985)기간을 거치는 과정에서 초 ·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지식과 태도에 관 한 연구, 학습환경이 인구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구교육 자료개발과 연구결과의 보급 · 확산과 병행하여 교과서의 인구교욱도 과정별로 잘 반영되고 있다. 교과서 에서 차지하는 인구교육내용의 비중이 가장 높은 때는 제 3차 교육과정(1974~ 1981)의 국토지리’ 12.0%, ‘인문지리’ 10.3%로서 2차 교육과정에 비해 무려 3배 이상 증가함으로써 실제 한국의 인구안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인구 내용별 비중을 보면 3차 교육과정 이후 인구이동과 인구성장에 따른 인구문제가 두드러진다. 또한 인구내용 그 자체를 보 면 산업발달과 도시인구 중가에 국한된 1차 교육과정(1955~ 1963)에 비해서 2차 교육과정(1963~ 1973)에서는 인구의 분포 · 중가 · 구조 · 문제 둥 고르게 갖추었고 3차 과정에 서 인구이동이 추가되면서 내용상의 체계가 완성되었다, 6차에서 인구문제 중노인문제를 다론 것은 경제성장과 그에 따른 사회문제 또는 인구재분포와 관련해서 시대상황을 잘 반영한 것이다. 한편, 계획적이고 일관된 성교육프로그램이 결여된 것은 아쉽다. 비교적 안정된 인구상태로 말미암아 인구변화에 대한 관심이 예전 같지 않는 최근 상태는 주의를 요한다. 성구조와 인구재중가의 새로운 인구문제에 봉착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전남대학교 교수 학습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재윤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거점 국립대학교인 전남대학교에서 2005년 이후 12년간 운영된 교수학습지원센터 비교과 교육과정 사례를 프로그램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지역 거점대학인 전남대학교의 기초교육원 교수학습지원센터이다. 연구 문제는 ‘전남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조직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전남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의 교수·학습프로그램을 주제별 분류해 그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이다. 분석 자료는 전남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발간한 연차보고서, 자체 평가 보고서, 프로그램 운영 결과 보고서 등이다. 연구 결과, 전남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는 2005년 교육발전연구원으로 개원하여 두 번의 조직개편 과정을 거쳐 지금의 구조가 되었다. 운영 프로그램의 수는 2005년 교육발전연구원 출범 당시 31개에서 2016년 41개로 양적증가를 보였으며, 공부일촌-한울학습, 이뭣고-교학상장, 워크숍 프로그램 등 프로그램의 참여자 증가 및 만족도 향상을 통해 그 성과를 확인했다. 결론에서는 교수학습지원센터 및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담당조직의 장기적 운영 필요성과 대학내부의 지원 연계를 강조했다. 또한 대학 내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조직 조사를 통해 단위대학 비교과 교육프로그램의 성과 검증 필요성을 제안했다.

      • 교육혁신을 위한메타버스와 가상현실의 활용

        류지헌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이슈리포트 Vol.- No.1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는 1973년에 개소한 이래로 우리 교육 현장의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한 교육 연구 활동을 추진해왔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육 현장을 연계하고 교육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사업을 진행시켜왔다. 이 와 더불어 연구 결과를 수집하고 확산시키기 위해서 학술연구의 편찬 활동을 이끌어왔다. 그런데 교육 현장을 지원하기 위한 매체 및 운영 환경이 급속히 확장되면서 이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안을 확장할 필요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교육정보를 공유 하고 매체 활용 등을 시기적절하게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교육문제연구소가 펼쳤던 연구편찬 활동을 확 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이슈리포트"를 발간하기로 하였다. 교육문제연구소의 이슈리포 트는 세 가지 운영 방향을 토대로 한다. 첫째, 정보성이다. 교육 환경 변화 등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도록 한다. 둘째, 현장성이다. 변화된 교육환경에서 어떻게 적용 해야 하는가를 보여주기 위한 실천적인 방법을 소개할 것이다. 셋째, 가능성이다. 새로운 방법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교육의 변화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는 이슈리포트를 통하여 초중등 및 고등교육 전반에 걸친 교육 정보와 활용에 대한 실천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의 인식 및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 탐색

        조연직,신소영,박현진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의 인식과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육 분야 종사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수집된 자료를 전사한 후 여러 차례 읽고 이해한 내용을 범주화하는 일반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메타버스에 대한 경험,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이라는 2개 범주와 메타버스 플랫폼, 양면성, 실재감에 대한 경험 및 학교 교육, 성인 학습과 특수교육, 학습 외 활용공간으로의 활용이라는 6개 주제 묶음으로 조직화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은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몰입도, 실재감 등에 대해 긍정, 부정의 양면성을 복합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사회적, 외형적, 환경적 실재감을 경험하였다. 둘째,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으로 학교에서의 수업 시연과 비교과 활동, 특수교육과 직업 훈련, 스트레스 해소 등을 위한 학습 외 활용공간으로의 활용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이 교육 분야에서의 실천 가능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 방법 모색 및 활용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국내외 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이효성(Hyo Soung Lee),이용환(Young Hwan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34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역량의 의미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고,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등과 같은 해외 국가와 우리나라의 기업, 정부 기관, 대학 등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 사례에 대해 각각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에서 진행된 교육개혁과 국내에서 운영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모두 기존 교육과정 또는 교육시스템의 대안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사용되고 있는 역량 개념에 관한 요소 및 내용에 있어 통일된 합의점을 도출하기가 쉽지 않았다. 셋째, 새롭게 개발되어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실제성을 추구하고 있었다. 넷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할 때는 유연성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역량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하거나 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할 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a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o seek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paper examined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competency and researched the applications of competency based curricula in the enterprises,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Australia, New Zealand, Canada as well as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education reform progressing in foreign countries and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a operating in Korea purport to be alternatives to the present educational systems and curricula. Second,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agreed elements and contents of the concept of competency. Third, competency based curriculum which is newly developed and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practice-oriented. Fourth, flexibility was required when competency based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applied.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some substanti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and a new educational policy.

      • 진로교육의 쟁점, 발전방향, 역할에 관한 질적 연구 : 중등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의견을 중심으로

        임태형,류지헌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New Horizons of Educational Research Vol.1 No.1

        우리나라 중등 진로교육은 201년 진로진학상담교사 중등교원 자격 신설과 2015년「진로교육법」제정을 거쳐 약 1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동안 중등교육 현장의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은 우리나라 진로교육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향에 대해 목소리를 높여왔다. 이 연구는 현재 진로교육의 문제점, 발전방향, 그리고 구성원의 역할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의 중등 진로교육전문가 16인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구진은 질적분석 방법인 주제분석을 통해 문제인식, 발전방향,역할도출이라는 범주에 따라 다양한 주제들을 분석 및 정리하였다. 문제인식으로는 진로교육의 목표, 진로교사, 학교 및 사회제도, 학부모, 학생 본인의 다양한 문제들이 발견되었다. 교육내용의 발전방향으로는 융복합역량, 진로유연성, 인성, 기업가정신을 제시하였고, 교육방법의 발전방향으로는 에듀테크 활용 및 AR/VR활용 교육을 언급하였다. 역할도출 측면에서는 학교현장과 진로교사, 대학 및 지자체로 구분하여 다양한 역할들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발전과 지역 학생들의 진로교육을 위해 학교-대학-지자체 연계 발전방향을 모색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라이즈’ 도입과 광주광역시 고등교육의 현황, 문제, 대안

        염민호(Minho Yeom ),염경준(Kyung Joon Yum)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교육연구 Vol.46 No.1

        2025년 도입 예정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Education/ RISE, 이하 ‘라이즈’)에 따라 지방정부에게 고등교육관할권이 부분 위임/이양되면, 한국의 고등교육체계는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구조변화의 핵심 내용은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지도/감독 권한의이원화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고등교육을 공동으로 관할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라이즈’에대응하는 지방정부(광주광역시)와 대학 간의 상생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세 가지 주제를 집중 논의했다. 첫째, 지방정부와 대학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둘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상생협력이 지닌 의미를 비판적으로 논의했다. 둘째, 광주광역시 고등교육의 현황에 대한 이해를 위해 국가수준/지역수준에서 광주 고등교육의 현황을 주요지표 중심으로 분석했다. 셋째, 광주 고등교육의 문제와 대안에서는 고등교육체계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인(목적구성, 지배구조, 재정구조, 성과관리)에 근거하여 핵심 문제를 지적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결론에서는 국가/지역수준 고등교육체계의 혁신 방향으로 공적가치를 중시할 것과 지방정부의 대학에대한 이해에 특별한 인식전환을 강조했다. If higher education jurisdiction is partially delegated/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Education (RISE), which is scheduled to be introduced in 2025, Korea's higher education system will experience structural changes. The core content of structural change is the dualization of guidance/supervision authority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jointly govern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in-win cooperation measures between Gwangju City and universities in response to the ‘RIS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three topics were intensively discusse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identified and the meaning of win-win cooperation was critically discussed.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igher education in Gwangju city, the reality of higher education in Gwangju was analyzed at the national/regional level, focusing on key indicators. Third, in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Gwangju higher education, key problems were pointed out and alternativ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four factors that make up the higher education system (purpose structure, governance structure, financial structure,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conclusion, it was emphasized that public value should be emphasized in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t the national/regional level and a special change in perception in local governments' understanding of universities was emphasized.

      • KCI등재후보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교사의 자율성

        김진욱(Jinoak Kim),이용환(Yonghwan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글에서는 최근 발표된 2015개정교육과정 논의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분권화 논의에 대한 두 가지 관점, 즉 거시적 관점과 교사 중심의 관점을 각각 살펴보고, 교사 중심의 분권화 가능성을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성취평가제를 통해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교육과정 분권화와 관련된 두 가지 관점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박순경(2003)과 홍후조(2002)의 연구 문헌을 개략적으로 소개한 후, 교사 자율성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분권화란 결국 절차 중심의 기술적 합리성에 입각해 보는 시각에서 벗어남으로써 가능함을 밝혔다. 뒤이어 두 번째로 그 대안으로서 제시된 또 다른 관점, 즉 해석적・비판적 관점의 내용을 살피기 위해 조덕주(2002)의 연구 내용을 살펴보았다. 조덕주의 논의를 통해 국가중심 교육과정의 대강화를 통한 교사 중심의 분권화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위해 새로운 교사관의 필요성과 전문성을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세 번째로, 2015 교육과정개정에서 본격적으로 드러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배경과 함께 DeSeCo 보고서에서 밝히는 역량의 개념과 그 연장선상에서 지식에 대한 관점의 변화의 필요성을 함께 논의했다. 마지막으로는, 교육과정이 가르칠 내용에 대한 것이라면 이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갖는 중요성을 성취평가제와 역량중심 교육과정 사이의 관계를 통해 논의하고자 했다. 특히, 학교교육의 질적 변화를 담보하기 위한 조처가 교육과정에만 머물러선 안 되며 평가체제와 더불어 취해져야한다는데 까지 논의가 이뤄졌다. 마지막 결론으로 첫째, 각 교과교육과정에서 역량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교과교육과정에서 밝히는 핵심성취기준에 대한 보다 강력한 수준의 대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취기준평가와 관련한 현행 학교 평가체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decentralization debate on curriculum authority in relation with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recently proclaimed in Korea; the one is wholistic approach and the other is teacher-centered approach. Besides, I also examined if it would be possible to bring the teacher-centered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authority through standards-based assessment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rst of all, in order to figure out the two perspectives, I examined the professor Park’s(2003) and Hong’s(2002) articles to show the first perspective briefly, and then could draw a suggestion that the teacher-centered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authority can be possible by getting out of the perspective based on step-by-step based rationality. For the next step, I examined the professor Jo’s(2002) article to go through with the other perspective that is based on the analytical and critical viewpoint. From his argument, the teacher-centered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authority can be understood that it could be possible through simplifying the national curriculum. Additionally, I inquired how to see the necessity of brand-new perspective on teacher and teacher’s specialty. For the third, I tried to discover the concept of competency from the DeSeCo final report and the necessity of change for the perspective on knowledge, along with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Korea as a background. The final point is about importance of argument on how to assess those essential competencies, so I tried to argue the importance based on the relations with the standards-based assessment and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a result, I suggest that the most crucial purpose is on the education quality enhancement and to achieve the goal the teacher-centered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authority will play such an important role through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vision and the standards-based assessment.

      • 활동이론을 통한 마을교육공동체 분석

        김회수,윤혜정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교육적 한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혁신의 요구에 따라 나타난 마을교육공동체를 Engeström의 활동이론을 통해 활동의 갈등과 모순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G시 N구 M동에서 이루어지는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와 공동체이다. M동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체제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나타난 다양한 갈등과 모순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의 주체인 학생, 교사, 학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둘째, 마을은 시청과 교육청에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해 눈에 보이는 성과를 요구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느낀다. 셋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해 관련 주체들 간의 목표나 기대결과가 다르다. 넷째, 마을교육공동체 공모 사업에 대한 마을이 느끼는 행정적 절차의 어려움과 활동을 위한 지원체제의 부족함이 있다. 다섯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불안함이 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