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학습장애 진단 및 수학학습부진 중재를 위한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의 적용에 대한 연구

        김용욱 ( Yong Wook Kim ),우정한 ( Jeong Han Wo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1

        학습장애 진단 및 학습부진 중재를 위해 학교 현장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S-RTI)을 학교 현장에 적용해보고, 이러한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이 수학학습장애학생의 진단과 수학학습부진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개 초등학교의 2학년 166명과 3학년 15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습장애 출현율이 낮게 나타나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은 학습장애의 출현율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학과 연산능력 성취도와 진전도를 비교한 결과 수학학습부진학생이 수학학습장애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서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2단계 보충교수 연산 중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학교기반 중재반응모델은 학교 현장에서 수학학습장애의 진단과 수학학습부진의 중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students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know the effect on math learn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math under-achievement by applying S-RTI model. For this study 166 students with 2-grade and 154 students with 3-grade were employed and divided 2 groups(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revalence rate of math learning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control group. So S-RTI model was positively effective on decrease of the prevalence rate of learning disabilities. Next, in math calculation ability, the performance level and progress level of students with math under-achievement were higher than ma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in the math learn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math under-achievement, the average achievement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So S-RTI model was positively effective on math learn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math under-achievement. According to these results, S-RTI model will be effectively used to diagnose students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teach students with math under-achievement in the school.

      • KCI등재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최종진,박균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impac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TL)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ccording to learning organization(LO).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impact relationship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PTL),learning organization(LO),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SOE)? And second, what is the organization’s full effect,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that has certain impact on PTL, LO, SOE? The research concludes that first, PTL does have an impact on LO, and as follows, LO on SOE, PTL on SOE. And second, PTL has direct effect on LO, and as follows, LO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TL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001).And PTL has indirect effect of .342 on LO, but it’s full effect on SOE using LO as a mediacy is of .991 showing its certain influence. In conclusion, PTL has effect on LO, and as follows, LO on SOE , PTL on SOE. The effect PTL has on SOE is greater than that of LO on SOE. However if the principal exhibi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omotes the LO ,then SOE goes by far greater. PTL not only has direct effect on SOE, but also has indirect effect on it by LO. Therefore if principal wants the SOE elevated, he/she has to exhibit certa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le applying LO on school. To suggest couple of things in order to improve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 on field based on this result is to, first, it is easier to collect objective data if the follow up study covers the extended region. Second, we urge the follow-up research with the extension of the model including emotional leadership that has been currently studied as leadership theory and morale leadership includ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Third, the theoriza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done more faithfull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 따라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학습조직화,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인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학습조직화, 학교 조직효과성에미치는 집단 간 전체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학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 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342이었으나, 학습조직화를 매개로 하여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전체효 과는 .991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습조직화에(.867),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394) 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649)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학교장의 변혁적 지 도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조직화가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직접영향보다 더 크 다. 그러나 학교장이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하면서 학습조직화를 도모한다면 학교 조직의 효과성이 훨 씬 더 커진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학교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습조직화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학교장이 학교조직의 효과성을 높이 려면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학교를 학습조직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학습조직화의 한 유형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어 학교조직 효과성을 향상시키도록 관 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와 교육 실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하면 첫째, 후속 연구에서 는 다른 지역까지 확대 적용하면 더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감성적 지도성, 도덕 적 지도성과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 매개변인과 종속변인을 포함하여 모형을 확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 하다. 셋째, 직접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변인으로 삼아 많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져 학습조직화에 대한 이론화 작업이 더욱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재학생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구조적 관계

        박혜영(Hye-Young Park),이신동(Shin-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의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살펴보고 구조적 관계 모형 분석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교육적 지도에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지역, 학년, 성별을 고려하여 대학부설 영재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학생 415명을 연구대상으로 개인특성검사, 가정환경검사, 학교환경검사와 자기조절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재학생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의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의 상위집단에 속한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하위집단에 속한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재학생의 개인특성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학교환경의 경우 개인특성을 매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재학생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고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학교환경의 중요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lf-regulated learning of gifted student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by establishing and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415 elementary students, in gifted programs from the fourth grade to the sixth grad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ir regions, grades, and gender.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et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fra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the gifted depending on the level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Second, individual characteristic has the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don t have the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but school environment has the mediated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individual characteristic.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of the gifted on self-regulated learning were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integrated relation between variables were clarified. This study could have significance as the empirical test that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environment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습참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희진(Han, Hee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일반계 고등학교 대상으로 조사한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분석」4주기 자료를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학습참여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층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은 전국의 일반계 고등학교 161개교에 재학 중인 10,310명의 학생이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어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의 학생수준 모형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학생의 성별, 이전 학교급 성적 수준, 사교육 참여 여부, 방과후학교 참여 여부, 입시스트레스, 부모의 교육 기대 수준, 교사의 지원 그리고 (국어/수학) 학습참여가 국어 학업성취와 수학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수준 모형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국어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수준의 변수는 학교 평균 사회경제적지위(SES), 학교 평균 (국어/수학) 학습참여와 같은 변수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어 학업성취도에 학생의 국어 학습참여와 학교 평균 국어학습참여가, 수학 학업성취도에는 학생의 수학 학습참여와 학교 평균 수학 학습참여가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학습참여의 중요성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참여와 관련한 정책수립 방향 제시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dent particip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us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using the data on the current status and its level of schooling in Korea survey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pectively. The final analysis target is 10,310 students attending 161 general high school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within-school model showed th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model showed that the students" gender, previous school grade, level of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ttendance after school, parental expectations, teacher support, and student engag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between-school model suggest that variables such as school average SES and school average student engagement can be suggested as school-level variables that affect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n this study, student engagement in Korean language, student engagement in mathematics, student engagement in average Korean language, and student engagement school average mathematic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The importance of student engagement has been demonstrated empiricall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and follow-up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학교의 도전과 지원, 성격,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간의 관계

        최보라(Bora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는 학교의 도전과 지원, 성격, 학습전략 그리고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에 근거하여 학교의 도전과 지원은 외생변인으로, 성격,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은 내생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 때, 성격은 학습몰 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진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 그리고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진 신경증을 각각의 모형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서울, 대구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학생 817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에 의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교의 도전과 지원 그리고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성격, 학습전략 그리고 학습몰입에 모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냈으며,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에는 유의한 간접효과 또한 나타났다. 성격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는 외향성, 성실성 그리고 개방성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직‧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경증은 학습몰입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입시 그리고 취업과 같은 일정한 기준에 도달하기 위한 학습습관에 길들여지기 쉬운 우리나라 영재학생에게 보다 순수한 학습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관련 제반조건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transform abstract theory into testable theory through deep and systematic analysis. For analysis, we established the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hallenge-support, personality(Big 5), and learning Strategies which influence adolescence learners’ learning flow, in the base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framework and conduct SEM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suggested variables more clearly. We analyzed using SEM to identify the dynamic and direct and indirect relation of initial model which is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of all variables.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chool Challenge-support is major variable which affect to personality. And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openness are also major variable to make learners’ learning flow affecting learning Strategies. Also neuroticism negative affected on learning flow.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school Challenge-support has direct and indirect affect o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flow progressively.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 for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about the generation process of learning flow on the ba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between psychological environment factor,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 and cognitive factor.

      • KCI등재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개발

        윤채영,김정섭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hool-based learning consulting mode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A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program developing model. The literature review of this paper looks at the concept, process, model of school based consultation, and student learning difficulties. A needs survey was conducted with 42 school teachers. And to validate the school-based learning consulting model developed in this paper, a pilot test was implemented for four months at an elementary school in Pusan. To verify the effects of its implementation, a MANCOVA was conducted. Afterwards, the mode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feedback from the students (clients) and the teachers (consulters), and from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conducted via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was that the mea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lightly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seen within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a neutral intervention. A final model was completed with the verification process of content validity by experts' comments and a review based on a focus group interview. Value: This school-based learning consulting model is expected to have a support system based on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experts (consultants) and teachers in a public school. That support system will allow for diagnosis and interventions to address students' psychological, adaptive, and behavioral problems related to learning. 본 연구에서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은 ADDIE모형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요구조사와 문헌분석을 통해 컨설팅과정, 주요 컨설팅요소를 추출하고, 설계과정에서 모형개발의 방향 및 목표, 학습컨설팅 구성요소, 컨설팅과정, 학습컨설팅에 적합한 의사결정요소를 선정하였다. 개발과정에서는 선정된 내용을 분류하고 계열화하여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과정과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을 위한 의사결정요소를 구조화하였다. 그리고 실행과정에서 개발된 모형을 초등학교 현장에 학습부진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하여 모형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평가과정에서는 학습컨설팅이 이론과 실천을 연계하는 분야임을 감안해 현장전문가와 이론전문가 4인으로 구성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모형을 완성하였다.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은 컨설팅 과정 속에서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의사결정사항에 대한 고려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병행구조로 개발되었다. 즉, 개발된 모형은 컨설팅 진행과정에서 문제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을 때는 의사결정사항을 근거로 이전 단계로 돌아올 수 있는 순환구조의 틀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학습문제를 주로 다루는 학습컨설팅의 특성을 감안하여 학습문제 진단체제와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처치해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 학생의 심리・적응・행동 문제를 전문적으로 진단-처치할 수 있는 문제해결체제를 마련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교수매체 활용 관련 변인 탐색

        김세리 ( Se Ri Kim ),장선영 ( Seon Young Jang ),남창우 ( Chang Woo Na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3

        매체의 교육적 활용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므로, 매체활용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찾고 이들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조망해볼 필요가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체활용과 관련된 변인들이 전문계/인문계 고등학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체활용교육과 관련된 변인 중 학습자 및 교사와 관련된 변인들을 포함시킨 후, 서울시에 소재한 전문계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학습자와 교사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2수준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자 변인 중 EBS 주당 시청시간, EBS 이용여부, 그리고 컴퓨터 활용 능력 변인이, 교사 변인 중 온라인 교수-학습지원체제 활용도와 컴퓨터와 인터넷 활용도 변인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 학습자 변인 중 EBS 도움여부, 컴퓨터 활용 능력 변인과 학부모의 학교 홈페이지 이용 빈도 변인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생의 올바른 매체활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사의 매체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커뮤니티 구축 및 교사의 효과적인 매체활용을 지원하는 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결론 등이 도출되었다. 이밖에도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ables of the use of media in education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vocational and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dataset collected from students and teachers of vocational and academic high school were used, and two-level (level-1: student, level-2: school(teacher)) hierarchical linear models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ed: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vocational school students indicated that ``students`` watching time of EBS program per week`, ``students`` perceived support of EBS program`, and ``students` ability of using computer`` effects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y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frequencies of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use``, and ``frequencies of internet`` an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academic school students indicated that ``students` perceived support of EBS program``, ``students` ability of using computer``, and ``frequencies of parents`` visiting website of their child`s school` effects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y also indicated that at the level-2(school(teac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ll variables in the use of media in Education and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의 스마트교육 도입 전략과 방안

        이응달(Lee, Eungdal)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5 방과후학교연구 Vol.2 No.1

        스마트교육이 미래형 학교의 새로운 모델로 한동안 떠들썩하게 논의되더니 최근 들어 공교육에서는 사실상 답보 상태에 있다. 본고에서는 스마트교육의 의미와 비전을 복원하여 그 가능성을 다시 한번 조망하고, 방과후학교의 자기주도학습 지원체제로서 스마트교육 도입 전략과 그 방안을 찾아보았다. 특히 고품질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으로서 담보되어야할 핵심 요소인 맞춤형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지능형 진단․처방 프로그램이 단위 학교 중심의 자기주도학습 지원체제로 구축되어야 하며, 이것이 스마트교육의 도입 전략과 방안의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맞춤형 진단․처방 기반의 방과후학교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운영모델을 제시하여 실제 방과후학교 수업모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Smart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as a new model of future school, but became recently at a standstill in the public education. This study redintegrate the meaning and the vision of smart education to examine its possibility, and then search for strategy and plan to do smart education as self-regulated support system for after-school educ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ntellig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program to be guaranteed by high-quality after-school programs as a self-regulated learning support system in each school, which could be a key of strategy and plan to introduce smart education successfully. Besides, in specific, instruction and learning model of after-school education based on personalized intelligent diagnosis and prescription is proposed to be used in after-school program.

      • KCI등재

        학교의 학습조직풍토,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의 변화수용태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

        배상훈,이현주,김영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6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of theschoo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change acceptance attitude of teachers. The research also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of the school, and change acceptanceattitude of teachers. Samples include 1,142 teachers from 38 schools in Korea. Structural equationmodeling was conducted. The study found that th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learningorganization climate of the schoo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between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of the school and change acceptance attitude of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was also associated with change acceptance attitudeof teachers. Finally,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of the school, and change acceptanceattitude of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의 학습조직풍토,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교사의 변화수용태도 사이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탐색하는데 있다. 아울러 학습조직풍토와 교사의 변화수용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학습조직풍토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교사의 변화수용태도를 종속변인으로 하며,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매개변인으로 하는 연구 모형을 수립한 후, 구조 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 38개 고교(일반고 17교, 특성화고 21교)에 재직 중인 1,142명의 교사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교의 학습조직풍토는 교사의 변화수용태도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하여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미쳤다. 또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변화지향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학교장의변혁적 리더십은 학교의 학습조직풍토와 교사들의 변화지향성을 연계하는 매개요인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결과는 학교조직이 학습조직의 성향을 가질수록 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게 되고 이는 다시 학교 구성원인 교사들의 변화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교의 지도자로서 교장이학습조직의 개념, 취지, 전략을 잘 이해하고 이에 부합하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학습조직의 효과가 교사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보고에 인지진단 모델 적용 가능성 탐색

        김명화 ( Myoung Hwa Kim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학력 진단평가에서 학생들의 보정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필수 학습요소별 진단정보 제공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좀 더 정확하고, 이론적 근거에 의한 기초학력 진단 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2006년 초등학교 3학년 기초학력 진단평가 기초수학 자료에 인지진단 모델을 적용하였다. 인지진단 모델은 학생들의 문항 반응과 인지요소의 관계를 토대로 인지요소의 숙달 여부에 대한 상세 정보 프로파일을 제공하므로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초수학 영역의 9개의 필수 학습요소를 인지속성으로 하여 문항과 인지속성의 q-행렬을 작성하고, 여러 인지진단 모델 중에서 가장 실용적인 Fusion Model을 사용하여 q-행렬의 적절성을 검증하고, 학생 개인별 학습요소 숙달 정도와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성별, 성취수준별로 학습요소 숙달 패턴을 분석하였다. 초3진단평가 결과에 인지진단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현재의 도달 미도달 여부 이외에 각 학생의 학습요소별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초학력 도달 학생의 경우도 미숙달 학습요소가 있어서 단순히 기준점수에 의한 도달 미도달로 보정학습을 할 것이 아니라 학생의 숙달 요소별 보정학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준선에 있는 학생들은 보정학습 대상에서 제외되었지만 실제로는 보정학습이 필요한 학생들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provide detailed diagnostic information for remedial education in The Grade 3 National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Competency(NDABC) by using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DABC was designed to diagnose the basic competency of third graders on a national-level according to a common standard. The subjects of assessment were Reading, Writing, and Arithmetic.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reported above basic or below basic each subject and sub area. To product more accurate and theory-based diagnostic information this study analysed the results of Arithmetic 2006 NDABC applying Fusion Model of cognitive diagnostic theory. Cognitive diagnostic model has many benefits to provide detailed profiles of student`s cognitive attributes based on relation between item response pattern and cognitive attributes. This study used 9 learning requisites of basic mathematics as attributes and made q-matrix item by learning requisites. The Fusion Model was used among several cognitive diagnostic models because it is highly practical and eff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nalysis of cognitive diagnostic model provides information about student`s profile of learning requisites besides achievement level. Also this study found that some students above cut-score who were not for remedial education did not master some leaning requisites. This study suggests NDABC should report learning requisites profiles in addition to report above basic or below basic to achieve fundamental purpose of NDABC. The information wether mastering the learning requisites or not can be used for improvement of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