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강화방안

        이성애(Lee Sung Ae),장석헌(Jang Suk Heo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18 안전문화연구 Vol.-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전담경찰관의 현재 운영상황을 살펴보고, 이에 효과적인 운영대안을 마련하여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활동이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함이다. 최근 학교폭력 발생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학교폭력유형의 다양성 및 유형별 피해정도는 심각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2011년도에 경기지방경찰청에서 현직경찰관을 학교폭력 전담으로 배치한 뒤, 지방경찰청 단위로 시범운영을 실시하였다. 시범운영 이후, 학교폭력예방 목적을 위해 2012년도에 경찰청에서‘학교폭력 전담경찰관 운영계획’을 발표하였다. 이후 전국적으로 확대 및 시행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현재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을 살펴보고,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학교전담경찰의 역할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전담경찰관 및 전문교육강사의 협업체계를 통해 폭력유형에 따른 예방교육의 전문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학교전담경찰관의 주 업무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이다. 현재, 범죄예방교육 출강·학생눈높이에 맞는 예방교육자료· 다양한 방식을 통한 예방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대상에 따라 예방교육의 다양성을 추구하였다면 이제는 폭력유형에 따른 학교전담경찰관과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예방교육의 질 높은 전문성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 폭력유형에 따른 대상별(가해·피해학생, 부모, 교사, 학교전담경찰관) 역할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현재, 학교전담경찰관의 부모·교사·학생들에게 예방교육을 안내하고 있으나, 폭력유형에 따른 대상별 역할가이드라인이 개발되고 보급되어 대상별로 폭력유형을 진단-대응-예방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학교전담경찰관과 연계 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폭력의 초기발굴 강화를 위해 학교 내 전문상담사의 정기적인 상담을 통해 학교전담경찰관과의 협력관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현재, 학교전담경찰관은 학생상담업무를 최소화하여 예방교육 및 학교폭력 발생 시 피해학생 서포터 편성 및 관리·학교폭력자치위원회 참여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학교폭력 예방활동강화를 위해 학교 내 전문상담사와의 업무분장 협의 및 협업의 필요성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operation situation of school police officers and to establish effective effective alternatives so that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response activities can be operated smoothly. Recently, the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has been declining, but the diversity of school violence types and the degree of damage by type have become serious. In 2011, the Gyeonggi Provincial Police Agency set up an incumbent police officer in charge of school violence. After the pilot, the Police Agency announced the Operation Plan for Police Officers for School Violence in 2012 to prevent school violence. Since then, it has been expanded and implemented nationwide. Therefore, we will review the role of school - based police officers currently operating nationwide and discuss ways to strengthen the role of school - based police to prevent school violence. First, the professionalism of preventive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collaboration system of school police officers and professional education teachers. The main task of the school police officers is to prevent school violence. Presently, prevention education through crime prevention education lecture, preventive education material · various ways matching student eye level is being carried out. If we pursued the diversity of preventiv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arget, we should now improve the quality expertise of preventive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ng with school-based police officers and experts according to the types of violence. Second,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role guidelines for victims (victims, victims, parents, teachers, school police officers) according to the type of violence. Currently, prevention education is provided to the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of school-based police officers. However, role-specific guidelines for violence are developed and disseminated to establish a system to diagnose, A system that can be linked to police officer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in order to strengthen the early detection of school violence, a cooperative relationship should be established with a school-based police officer through regular counseling of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school. At present, school-based police officers are minimizing student counseling work, and are organizing preventive education and school violence, organizing supporters of victims, and supporting the participation of school violence autonomy committee.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eventive activities of school violence, policy suggestions for collaboration and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 counselors were suggested.

      • KCI등재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황정용 한국치안행정학회 2019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5 No.4

        2011년 대구에서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중학생이 자살한 사건이 촉매가 되어 학교폭력에 대한 범정부적 근절 대책이 마련되었고, 이 과정에서 전국적으로 시행된 것이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이다. 그 후 지금까지 운영되는 과정에서 학교폭력이 지능화·흉폭화·집단화하고 피해학생이 그로 인해 사망하거나 피해학생의 사진이 SNS등에 게재되어 국민적 공분을 자아내면서 학교폭력의 실질적 예방 필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학교전담경찰관 제도도 이에 맞추어 문제점을 탐색하고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선행연구들은 학교전담경찰관의 활동이 지역사회와 연계되어야 하고, 범죄에 대한 처벌 중심에서 선도·교화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주장에 동감하면서, 필자는 경찰조직의 관련 부서에 근무한 경험과 일선의 학교전담경찰관 의견을 토대로 변화하는 학교폭력 경향에 대처해야 할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개선방안을 조직적 측면, 학교 등 지역사회와의 협조 측면, 선도활동의 질적 개선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학교전담경찰관 편제를 위기청소년의 실질적 관리를 통한 학교폭력 예방이 가능하도록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의 학교전담경찰관들은 경찰서 여성청소년계에 소속되어 근무하는데, 소속 계장이 이외에도 아동안전, 실종예방 등 많은 업무를 다루는 등 통솔범위가 지나치게 넓어 실질적 관리·감독이 어려우며, 학교전담경찰관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업무수행이 조직 내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는 가운데 인사상 불리함을 안고 있어 잦은 교체, 베테랑 부재 등의 현상과 전반적인 근무사기 저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학교전담경찰관들로만 구성된 별도의 학교전담팀을 만들어, 팀장에게 실질적인 관리·감독권한을 줄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교전담경찰관의 실질적인 학교폭력 예방활동이 가능해지고, 이들이 장기간 근무의욕을 갖고 근무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와 경찰의 학교폭력 관련 정보 공유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아직,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양자간 협조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학교전담경찰관의 경우 1인당 11개교 이상을 담당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폭력이나 비행이 우려되는 학생 관련 정보를 인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눈에 드러나지 않아도 범죄 우려가 높은 학생들 관련 정보를 잘 알고 있는 학교 측에서 학생생활부장 교사 등이 학교전담경찰관과 정보를 공유하여 공동으로 이들을 관리할 수 있다면, 사회적 공분을 자아내는 큰 폭력범죄와 안타까운 희생자 발생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등 법적 근거의 개정도 필요하다. 그리고, 학교전담경찰관이 행하는 청소년 선도활동이 양적 활동에서 질적 활동으로 개선되고, 활동의 주요 포인트도 변화하는 학교폭력 추세에 따라가야 한다. 현재의 주요한 선도활동 중 하나가 선도프로그램 운영인데, 얼마나 많은 소년범 등을 프로그램에 연계하였느냐가 성과지표로 반영되어 학교전담경찰관들이 다수의 청소년을 연계하는 양적 활동에 치중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 비행 청소년과 폭력전과가 있는 청소년은 달리 선도해야 한다는 점에서 후자의 경우 질적으로 깊이 있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차별화된 선도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여러 학교 ... As a catalyst was the suicide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was hit by school violence in Daegu in 2011, a pan-governmental anti-bullying measure against school violence was prepared, and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was implemented nationwide in the process. Since then, in the course of operations so far, school violence becomes intellectual, extreme violent, and collective and the victim suicides or a photo of the victim gets on SNS,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needs to search for problems and make rational improvements. Previous researches have stressed that the activities of School Police Officers should be linked to the community, and that they should focus on guiding and socializing from the punishment for crimes. Basically, I agree with these arguments, and based on my experience working in the relevant department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opinion of the School Police Officers, I divided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into organizational aspects,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school etc. 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guiding activities. First, we need to change the system of School Police Officers so that they can prevent school violence through actual management of crisis juveniles. Currently, School Police Officers are affiliated with the section of women & juvenile in police sta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he chief of section who deals with many tasks such as children’s safety and prevention of missing persons to manage and supervise staffs. As the various professional practices of the School Police Officers are not dealt with seriously in the organization, they have disadvantages in personnel, problems such as frequent replacement, absence of veterans, and overall decline in morale of duties are surfaced. Therefore, I propose that we make a separate School Police Officer’s team consisting of only school police officer and give the team leader the authority to manage and supervise school affairs practically. This will allow School Police Officers to prevent actual school violence and provide conditions for their long-term desire to work. Also, schools and police should be able to share information on school violence. Yet, there are many cases that bilateral cooperation is not possible due to sensitivity of personal information. As School Police Officers are in charge of more than 11 schools per a person, there is a limit to recognize information related to students who are afraid of violence or delinquency. Thus, if schools including director teacher of student life guide, which are well aware of students who are afraid of crimes even if they are not seen, can share information with the School Police Officer, and manage them jointly, they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violent crimes and tragic victims that makes public rages. To this end, the law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needs to be revised. In addition, juvenile guiding activities conducted by School Police Officers should be improved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activities, and major points of activity should be followed by changing school violence trends. One of the guiding activities in the present day is the operation of a guidance program, and the performance index reflected how many juvenile criminals were linked to the program, so School Police Officers focus on quantitative activities that link a large number of juveniles.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the latter have a differentiated guidance program so that a qualitative and deep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the sense that simple delinquents and juveniles with violent battles should lead differentl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changes in police activities and concentration are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such the disbandment of a circle in which students commit violent crimes jointly and proactive detection and protection of crisis symptoms in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o t...

      • KCI등재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입법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인호(Chang In Ho)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論叢 Vol.23 No.2

        2012년 학교전담경찰관제도는 학교폭력예방대책 중 하나로 도입되어 몇 동안 운영해왔다. 이와 같이 몇 년 동안 운영되어 온 학교전담경찰관제도는 학교전담경찰관을 전국의 학교에 배치하여 학교전담경찰관 1명이 약10개 학교를 담당하면서 학교폭력예방을 위하여 폭력가해학생선도, 폭력피해학생보호 등의 청소년보호·선도업무를 담당도록 하는 제도이다. 그리고 학교전담경찰관제도는 학교전담경찰관이 학교폭력예방과 관련하여 폭력서클에 속한 학생을 관리하는 것은 물론 학생·학부모·교사 등에게도 범죄예방교육을 제공함으로써 학교폭력을 사전예방적인 차원에서 방지하는 제도이다. 또한, 동 제도는 학교전담경찰관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위원회 등에 참석하고 학교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서 학교폭력예방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제도이다. 그러나 2012년 이후 몇 년 동안 운영되어온 학교전담경찰관제도는 운영의 법적 근거인 법률이 마련되지 않은 입법미비라는 입법적 문제를 비롯하여 인력부족·학생상담전문성부족, 교사·민간기관 등과의 협력부족, 부실한 관리감독문제 등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학교전담경찰관제도는 아동·학생의 인격형성시기인 청소년시기에서 발생하고 있는 학교폭력의 예방과 근절을 통해서 청소년과 학생들이 안전하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폭력 없는 학교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헌법에서 보호하고 있는 청소년의 기본권이 실질적으로 보호될수록 함이 목적이다. 따라서 학교전담경관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청소년·아동·학생의의 기본적인 인권을 보장한 「헌법」의 규범력이 현실과 괴리되지 않고 발휘할 수 있는 학교폭력이 없는 헌법국가를 실현해야할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점에서 현재까지 몇 년 동안 학교전담경찰관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들을 입법 및 제도적 측면에서 합리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학교폭력을 예방·근절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헌법적인 측면에서 학교폭력예방의 의미와 학교경찰관전담관제도 운영의 헌법적 의미를 살펴보고, 학교경찰관전담제도가 본래의 도입취지대로 학교폭력을 효과적으로 예방·근절하고 이를 통하여 「헌법」상 보장된 청소년·아동·학생의 존엄성·인격성장권·자유권·재산권 등과 같은 기본적인 인권의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합리적인 입법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School violence is a emerging as a major issue lately and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school police system was established in 2012 students to help students before school violence happens. This system has been managed more than 4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2012. Like this, 「School Police System Act」 as school violence monitors, preventive educator for crime, student counsellor detector of school gangs and ensure victim protection of school. But officer police system has many problems to be overcome with inadequacy of legislation, the lack in the number of persons, lack of expertise, lack of co-ordination with school teacher, lack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The current running school police system should be rationally improved to protect student from of school violence because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Above all victims of school violence are having a hard time and school violence should be stoped. To prevent victims of school violence, school police system should be improved rationally to protect students form school violence effectively. Therefore current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should be rationally improv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effectively to protect the dignity of students and fundamental rights of youth such as civil liberties, property rights and so on which are constitutional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학교전담경찰관 역할분석에 관한 질적 연구

        김주한(Ju-Han, Kim) 한국범죄심리학회 2018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4 No.2

        과거 정부는 학교폭력을 4대 사회악에 포함시키고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 전국의 경찰서에 소년범 수사관을 중심으로 학교전 담경찰관을 신설하였다. 이전 정부에서는 학교폭력 피해 응답율 감소로 경찰서 실적을 평가하였다. 교육부에서 전국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피해 응답율은 2012년 9.6%에서 2016년과 2017년에 0.8%로 줄어들었고, 교육부와 경찰은 학교폭력이 줄어들었 다는 발표를 하였다. 최근까지 학교전담경찰관역할에 대한 효과는 적극적인 활동으로 학교폭력이 감소하였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홍보하였다 . 그러나 현 정부는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을 피해응답율 감소에서 벗어나 학교전담경찰관의 임무를 학교 안팎 청소년까지 분야를 확대하고 선도와 교육중심으로 방향을 전환하려고 노력 중이다. 학교전담경찰관의 임무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연구자는 학교전담경찰관역할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문제점 발견을 위해 충북지역의 학교전담경찰관을 대상으로 심층연구를 실시하고 학교 전담경찰관의 역할수행 중에 겪게 되는 심리적인 갈등과 개선이 필요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교전담경찰관의 임무개선과 전문화 및 독립적인 부서 신설 등의 의견을 도출하는 등 학교전담경찰관 역할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In the past, the government has included school violence in the four major social classes, and has established a police officer dedicated to juvenile cases in police stations across the country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The previous government ranked police stations with reduced response rates for school viole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 response rate for students nationwide decreased from 9.6 percent in 2012 to 0.8 percent in 2016 and 2017,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olice announced that school violence has stabilized. Until recently, the effect on the role of school police has been promoted in the center of statistics that show that school violence has decreased due to active activities. However, the current government is trying to shift the role of school police away from statistics to expand the scope of school police duties to the inner and outer schools, and shift its focus toward leadership an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hanging the duties of the school polic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studies on the school police officers in Chungbuk area and analyzed the psychological conflicts and internal factors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policeman s mission and the suggestion of specia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department were suggested and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police role was suggested

      • KCI등재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실태 및 쟁점 분석

        김성기,황준성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4

        이 연구는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밝히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교전담경찰관 제도는 학교폭력예방 대책의 하나로 등장하였다. 현재 평균적으로 학교전담경찰관 1인이 10.5개교를 담당하고 있다. 학교폭력예방교육뿐만 아니라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참석, 폭력써클 해체, 학생상담 및 소통, 학교폭력 신고 상담 및 접수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일부는 청소년경찰학교를 담당하기도 한다. 그러나 언론에 보도된 몇몇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존폐 문제가 거론되기도 했다. 여기서는 학교전담경찰관의 업무와 관련하여 위기학생 관련업무 추진의 한계, 성과중심 평가로 인한 역할 혼란, 인력 부족 및 업무 과다의 문제가 있음을 밝히고, 그 대안으로 학교전담경찰관의 선발방식 개선 및 역량 강화, 학교 특성별 구분 배치, 본연의 업무에 충실하도록 역할 규정, 순환과 재생산 체제의 구축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oblems of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School police officers have emerged as one of the measur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At present, one school police officer is responsible for 10.5 schools on average. In addition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hey are also responsible for participating in school violence councils, dismantling violent circles, counseling and communicating with students, counseling and accepting school violence reports. Some of them are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juvenile police schools. However, some of the inconveniences reported in the press have raised the question of the existence of a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In this paper, I clarify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implementation of crisis-related student-related tasks, role confusion due to performance-based evaluation, lack of manpower, and overwork in relation to the work of school-dedicated police officers. In addition, the division by the school characteristics, the role regul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irculation and reproduction system are required to be faithful to the police 's original work.

      • KCI등재

        학교전담경찰관에 대한 학교장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전용재 ( Jeon Yong Jae ),이창배 ( Lee Chang Bae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4

        학교폭력의 피해학생은 가해학생으로부터 구조적 지배를 받아, 폭력은 지속적으로 자행되고, 심각한 후유증을 남긴다. 게다가 통신매체의 발달은 학교폭력의 공간을 사이버 영역으로 확장시켜, 공간적 제약마저 사라진 상태다. 이에 학교와 경찰청은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와 학교전담경찰관을 운영하고 있다. 학교폭력 근절이라는 대명제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와 학교전담경찰관의 관계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 연구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와 학교전담경찰관의 임무와 역할에 대한 학교장의 인식을 조사하고,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에 대한 평가가 학교전담경찰관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학교전담경찰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이 발견되었으나,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의 분쟁조정 및 피해자 구제와 같은 회복적 사법 기능에서는 다소 낮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아울러 다변량 분석에서는 대책자치위원회의 폭력예방과 피해자구제에 대한 인식이 학교전담경찰관에 대한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회복적 사법의 패러다임을 제고하고 관련 규정을 개정하기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School violence lasts for a lengthy period of time, causing physical and/or emotional difficulties to the victim. Besides, as the influence of the media has extended, so do physical boundaries of school violence. The School Resource Officer(SRO) program and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had begun in 2012 in Korea as an attempt to respond to school violence in a more professional manner. In spite of proposition to eradicate the school violence, there are not many studi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 SRO program and the local board. The current study surveyed school principals about their perception towards function of the local board and the SRO program. The result indicated that principals had positive images about SROs. Yet, they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function of the local board on restoring victim and mediation.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prevention of violence and relief of victi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SROs. The discussion includes ideas about expanding paradigm of restorative justice and making changes on the related regulations.

      • KCI등재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현장근무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

        김주한 한국공안행정학회 2024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3 No.1

        최근 학교폭력의 발생은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학교폭력을 소재로 한 드라마방영과 고위공직자 가족의 학교폭력 관련 의혹 등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한 반응이 높아지면서 학교폭력 발생에 대한 신고 건수는 늘어나고 있다. 교육부에서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조사한 2023년도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발표에 의하면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최근 10년의 기간 중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교사와의 간담회를 통하여 교사들의 과도한 업무를 덜어주어 교사는 학생들의 교육과 학교폭력 예방에만 전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학교폭력 사안 조사에 대하여 전문가가 담당하는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를 2024년 3월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한다고 발표하였다.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란 담당교사가 학교폭력 사안을 조사하는 현재의 방법에서 전직 경찰 · 교사로 구성된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이 학교폭력이 발생한 경우 해당 사안에 대하여 직접 조사하는 방법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교육부의 개선 방법은 기존의 학교 내에서 조사하던 방법에서 교육청 내 학교폭력 제로센터를 설치하여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이 학교폭력 사안 발생 시에 조사를 진행하고, 학교폭력 심의위원회에 출석을 하여 의견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시행예정인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에 대하여 현재 학교폭력 사안을 담당하고 있는 경찰, 교사,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 등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하여 제도 시행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상하고 이에 대한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ecent outbreak of school violence has been on the ris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reports of school violence is increasing as sensitive reactions to school violence, such as drama broadcasts based on school violence and suspicions related to school violence b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families, are increasing.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the 2023 School Violence Survey, which was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a specialized institution, the response rate to school violence was the highest in the last 10 years. In response to these results, the government said it would reduce teachers' excessive work through meetings with teachers, creating an atmosphere in which teachers can focus only on educating students and preventing school violence. In addition, it was announced that the school violence investigator system, which experts are in charge of investigating school violence cases, will be introduced sequentially from March 2024. The school violence investigator system improves from the current method in which the teacher in charge investigates school violence cases to the method in which a school violence investigator composed of former police and teachers directly investigates the case of school violence. The Ministry of Education's way to improve is to set up a school violence zero center in the education office in the existing school investigation method, so that a school violence investigator conducts an investigation in the event of a school violence incident, attends the school violence review committee, and presents opin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predict problems that may aris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by collecting opinions from police, teachers, and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reviewers on the school violence investigation system, which is scheduled to be implemented.

      • KCI등재

        학교폭력 문제의 대응을 위한 학교전담경찰관과 교사 간의 역할경계와 관계정립

        김광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assignment and clash of the role between school police officers and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solving in the scenes of schools, and the issues of cooperation or conflict in their relations,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 measures. This paper analyzed case data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with research participants composed of school police officers and teachers. Accord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is case data, cooperation relations were enhanced in the area where the role boundaries of school police officers and teachers were clear, while conflict relations occurred in the area where their roles were overlapped and the boundaries were unclear. In order to minimize conflict relations and promote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school police officers and teachers who may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resolution of school violence,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the role boundaries between them and to eliminate their role clash in the scenes of schools.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학교폭력 예방과 문제해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학교 외부로부터 개입하고 있는 학교전담경찰관과 학교 내부에서 대응하고 있는 교사 간의 역할 분담과 충돌의 문제, 그리고 협력과 갈등의 관계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학교전담경찰관과 교사로 구성된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학교현장에서 학교폭력 문제대응과 관련하여 학교전담경찰관과 교사 간의 역할경계가 명확한 영역에서는 상호 협력관계가 증진되는 반면에, 역할이 중첩되거나 역할경계가 낮은 영역에서는 역할충돌이 발생하면서 갈등관계로 발전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폭력 문제의 해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교전담경찰관과 교사 간의 관계에서 갈등관계를 최소화하고 협력관계를 제고시켜가기 위해서 학교현장에서 이들의 역할 영역을 명확하게 경계지어서 역할충돌의 여지를 제거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정책집단의 다양성과 정책오차에 대한 연구 - 학교전담경찰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강영철 ( Kang Young Cheoul ),최낙범 ( Choi Nak-bum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1

        본 연구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역할에 관하여 정책도구의 선택과 정책도구에 대한 정책집단의 인식 간의 차이가 당초 정책목표와 집행에서 의도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한 정책도구로서 현재 시행중인 학교전담경찰관 제도를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각 정책 집단들에게서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에 대한 어떠한 인식상의 차이가 나타났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인식차이가 제도 시행 초기부터 제기되었으며. 이는 비의도적인 정책오차가 나타날 가능성이 제도운영 초기부터 포함되어 있었음을 분석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을 위하여 각 정책집단에 대한 표적집단면접을 수행한 결과, 각 정책집단별로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차이는 학교전담경찰관들로 하여금 정책 집행에서 명확한 우선순위나 판단기준이 모호한 상황에서 업무를 수행해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학교전담경찰관의 제도 시행에서 각 정책집단이 갖고 있는 고유한 이해관계와 역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각 학교별 차이 및 정책환경, 교육과정 상의 차이, 이해관계자들 간의 정책적 연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 the role and functions of School Police Officers on behalf of policy instrument that emphasiz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n the perceptions of each policy population toward their implication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in perception can lead to unintended policy outcomes or police failure, we interviewed school police officers,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ocus Group Interview, these differences among policy populations make School Police Officers to perform their roles in unclear guidance in implementations, no work priorities of work environments. This indicates that policy makers and mangers of police organization failed to set clear task priorities for SPOs. As a result, we can assume that SPO policy might have a high possibility that it could end up policy errors when it was first implemented.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guides and role-definition for School Police Officers. In addition, in the context of SPOs, different school context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nections between policy populations are needed to be consider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 KCI등재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인식과 직무만족

        이창배 ( Chang Bae Lee ) 한국경찰학회 2016 한국경찰학회보 Vol.18 No.3

        경찰청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안전 수요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담경찰관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학교전담경찰관 제도는 2012년 처음 시행하여 지난 몇년간 학교폭력에 대응하기 위한 활동을 다방면에서 전개하고 있다. 소속 경찰관들은 타 부서에서 이직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었기에 이들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역할 갈등에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학교전담경찰관이 자신들의 역할(경찰관, 교육, 상담, 기타 지원 등)에 대해 인식하는 이상적인 비중과 실제 역할의 비중을 조사하고, 두 비중의 차이로 설정한 역할갈등이 그들의 직무만족도와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설문의 대상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위치한 4개 지방경찰청 소속의 학교전담경찰관이고, 자료는 2015년 여름에 수집되었다. 연구의 결과, 응답자는 경찰관의 역할에 있어서 실제 수행하는 노력이 이상적인 비중보다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고, 그 차이는 나머지 세 가지 역할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부역할에 대한 현실과 이상적 비중의 차이를 모두 더한 개인의 역할갈등 수준은 직무만족도와 유의미한 관련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에서 역할갈등이 클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적으로는 기타 지원에 대한 역할갈등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갈등을 줄이기 위해 교육훈련과 전문 인력의 채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전담경찰관들의 독립성을 확보할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school resource officer(SRO) program has begun in 2012 as an attempt to respond to school violence in a more professional manner.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however, deployed the officers at first by transferring them from the existing officer pool not by recruiting new specialized personnel. The literature do not have much information about the officers’ role perception and the level of role conflict. In this study, the author surveyed the school resource officers for their role perception in four dimensions(law enforcement, education, counseling, other activities). More specifically, they were asked about their idealistic proportion of efforts in the four sectors and their realistic efforts in the field. The role conflict was measur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alistic and realistic proportions in the area.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if their perception of role conflict had a relationship with the officers’ job satisfaction level. Participants were SROs working in four regional police headquarters in summer of 2015.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were making efforts less in the law enforcement role compare to their idealistic perception, and the difference was greater than those of the other three role dimension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greater the role conflict between the reality and the ideal,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Among others, the role conflict in other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In order to alleviate role conflict, the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recruiting more specialized officers in school violence, providing more training and education to SROs, and other innovative ways to encourage autonomy of the offi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