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 학교 내 대안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

        이민정,유성상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2 No.1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학생이 ‘학교 내 대안교실’을 통해 학교생활을 지속하는 과정을 파악하고, 교사는 이들의 학교적응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화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부적응 학생을 일반학급과 구분하여 운영하는 대안교실 사례를 선택하여, 대안교실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중심의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안교실 담당교사들은 대안교실의 목적을 ‘졸업’과 ‘학교생활 유지’, 그리고 ‘대안적인 교육의 기회 제공’으로 인식하였다. 대안교실 활동은 교사가 미리 정하기보다 참여하는 부적응 학생에게 선택권을 주고, 주체적으로 하고 싶은 활동을 찾도록 권장한다. 그리고 자유롭고 유연한 방식으로 다양한 주제 중심의 활동이 구성된다. 이러한 대안교실의 목적과 운영과정은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 유지기제’ 역할을 하였다. 교사들은 대안교실을 통한 부적응학생의 주된 변화를 학교생활의 ‘적응’과 ‘유지’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대안교실 참여 전보다 ‘수업 태도가 좋아졌거나’, ‘학교를 그만두지 않고 학교생활을 유지하게 된 것’을 부적응학생의 변화라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잠시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근본적인 부적응 문제가 사라진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뒤따랐다. 즉, 학생이 생활하던 기존의 학교와 교실은 여전히 그대로이고 부적응하던 환경은 변화된 것이 없으므로 부적응 현상은 언제든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대안교실이 부적응학생의 일시적인 학교생활 유지 기제 역할밖에 할 수 없는 이유는 교실 안에서 기대하는 학생의 모습과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평가 시스템의 한계였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를 유지하게 하는 학교 안 개인은 부적응학생이 학교 안에서 주변화되도록 하였다. 대안교실이라는 주변화된(분리된) 공간과 시간을 이용하여 학교부적응의 기준과 학교교육의 범위를 넓혀보니, 예전에는 부적응했던 개인이 변화(적응)하여 학교 안에 함께 공존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과거에는 학교 안 부적응학생이 명확하게 인식되었다면, 지금은 함께 공존하는 듯하지만, 여전히 부적응한 상태로 애매한 주변화가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부적응과 그 극복의 연구 - 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 -

        김영숙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최근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부적응의 문제는 청소년이 다양한 신체적, 인지적 변화를 경험하는 것뿐 아니라 정체성 확립이라는 발달상의 과업을 달성해야 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청소년기는 인간의 성장발달과정 중에서 아동기로부터 성인기로 전개되어지는 과도기로서 심리적인 변화를 수반하며 새로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 기대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발달특성에 있어서도 자아개념이 정립되어 가고 심리적 자아발전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며, 이러한 발달과업을 성취하지 못하면 자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확립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기실현 요소의 결핍으로 실존적 좌절이나 역할혼돈에 빠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처럼 청소년기는 아동기의 끝과 성인기의 시작을 연결하는 과도기적인 시기로서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무한한 가능성과 위험성이 양존한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이 학교 부적응의 문제를 보이면 바람직한 행동을 보이지 못하고, 공격적이고, 방어적인 행동과 현실도피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편이다. 이들의 행동은 대체로 보통 청소년에 비해서 심리적인 갈등과 스트레스에 더 많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 이들은 낮은 자존감과 자기비하적인 태도, 그리고 친구들에게 열등감을 느낀다. 게다가 이들은 무기력하고 수동적인 현상을 보이거나 자신의 욕구가 좌절될 때 자기조절 능력이 떨어져 자칫하면 과격한 행동을 보이기 쉽다. 본 논문은 이런 부적응의 문제에 초점을 연구한다. 이 문제를 해소 및 극복하기 위해서 도널드 위니캇(D. W. Winnicott)의 이론에 기대어 그 해결책을 강구한다. 위니캇은 정신분석적인 경험으로 아이들을 관찰한 결과들을 연구한 사람으로 명성이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로 인해서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에 관한 문제가 해소 및 극복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Recently, the issue of school maladjustment of youth has emerged. Schoo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have become very important issue in the developmental tasks of youth that are not only to experience various physical, cognitive changes, but also to establish identity. Adolescence is a transitional period that is from childhood to adulthood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human being. It is an important period for the youth to involve psychological change and to have a new social role. I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t is also a critical time that to establish self-concept and to achieve psychological self-development. If fail, the youth can not have a positive feedback of Ego, furthermore, may have existential frustration or may fall into the chaos roles, because of the lack of self-fulfilling element. Likewise, adolescence as a transitional period that connects the end of childhood and the beginning of adulthood has both endless possibilities and dangers than any other time of life. When youth has a problem of school maladjustment, do not show desirable behavior but offensive, defensive and escapist behavior. Because they are exposed to psychological conflict and stress more than normal youth. As a result, they have a low self-esteem, a self-abasement behavior and feel inferior to their friends. Moreover, they show a helpless and a passive attitude or apt to show a violent action because of the poor self-control ability, when their desires are frustrated. This paper deals with a such maladjustment problem. To solve and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study is based on the theory of Winnicott. Because Winnicott is a well known person who studies the result of observing children through psychoanalysis experience. By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solve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school maladjustment of youth.

      • KCI등재

        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학교 내 대안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정,유성상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3

        This articles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in which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 maintain their school lives through ‘an alternative classroom in school,’ and to see how teachers perceive the school-adjustment process and make it meaningful.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driven qualitative research on teachers in charge of alternative classrooms by selecting the cases that are operated separately from ordinary classes for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at schools. The teachers perceived the purpose of alternative classrooms as ‘for graduation’, ‘for maintenance of school life’ and ‘providing alternative educational opportunities’. Alternative classroom activities are encouraged by teachers to give options to participating maladjusted students and find activities that they want to do independently. The purpose and operation of these alternative classes served as a ‘school life maintenance system’ for maladjusted students. The teachers perceived the main changes in students who were maladjusted through alternative classes as adjustment’ and ‘maintenance’ of school life. However, it was followed by opinions that such changes in maladjusted students only seen for a while, and thus, the fundamental problem of maladaptation could not be seen as gone. The reason why alternative classes can only serve as a temporary school life maintenance system for maladjusted students was because it was the limitations of the standardized curriculum and assessment system as well as the expected student image in class. Furthermore, a reproduction structure makes maladjusted students still be marginalized in school. Using the marginalized (separated) space and time of alternative classrooms, the scope of school adjustment standards and school education is expanded, and thus it looks like that the previously maladjusted individuals have changed and coexist in schools together. As such, maladjusted students were clearly recognized in school in the past, and today it seems that they coexist together, but as this study confirmed, they remain maladjusted and are becoming ambiguously marginalized.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학생이 ‘학교 내 대안교실’을 통해 학교생활을 지속하는 과정을 파악하고, 교사는 이들의 학교적응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화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부적응 학생을 일반학급과 구분하여 운영하는 대안교실 사례를 선택하여, 대안교실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중심의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안교실 담당교사들은 대안교실의 목적을 ‘졸업’과 ‘학교생활 유지’, 그리고 ‘대안적인 교육의 기회 제공’으로 인식하였다. 대안교실 활동은 자유롭고 유연한 방식으로 참여하는 부적응학생에게 선택권을 주고, 주체적으로 하고 싶은 활동을 찾도록 권장한다. 이러한 대안교실의 목적과 운영과정은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 유지기제’ 역할을 하였다. 교사들은 대안교실을 통한 부적응학생의 주된 변화를 학교생활의 ‘적응’과 ‘유지’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잠시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근본적인 부적응 문제가 사라진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뒤따랐다. 즉, 학생이 생활하던 기존의 학교와 교실은 여전히 그대로이고 부적응하던 환경은 변화된 것이 없으므로 부적응 현상은 언제든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대안교실이 부적응학생의 일시적인 학교생활 유지 기제 역할밖에 할 수 없는 이유는 교실 안에서 기대하는 학생의 모습과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평가 시스템의 한계였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부적응학생이 학교 안에서 여전히 주변화되도록 하였다. 대안교실이라는 주변화된(분리된) 공간과 시간을 이용하여 학교부적응의 기준과 학교교육의 범위를 넓혀보니, 예전에는 부적응했던 개인이 변화(적응)하여 학교 안에 함께 공존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과거에는 학교 안 부적응학생이 명확하게 인식되었다면, 지금은 함께 공존하는 듯하지만, 여전히 부적응한 상태로 애매한 주변화가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학교부적응 검사와 BASC-2 검사 및 LCSI-C 검사와의 관계

        박원모,이동훈,정태연,박제일,임승환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School Maladjustment Test,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2(BASC-2), and 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LCSI-C). For this purpose, data were obtained for 7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apital metropolitan areas(Gyeonggi, Seoul and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Maladjustment Tes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Scale of BASC-2 while i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Scale of BASC-2. The School Maladjustment Test accounted for 56% variance of BASC-2. Additionally,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s between Adjustment group and Not adjustment group, which was classified by BASC-2 sco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ly except scales of Self-Esteem in School Rules and Atypicality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econd, Acceptability Scale of LCSI-C showed no correlation with School Maladjustment Test while Challenge Scale of LCSI-C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Maladjustment Test. However, scales of Sociability, Prudence, and Stability in LCSI-C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chool Maladjustment Test. Based on our findings, School Maladjustment Test is believed to be a reliable and validated test to predict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s among elementary studen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limitations are described in the conclusion.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검사와 BASC-2(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2) 검사, LCSI-C (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Children) 검사 간의 상관연구를 통하여 학교부적응 검사의 타당성을 검증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또는 수도권(경기․인천)에 위치하고 있는 11개의 초등학교 711명을 대상으로 학교부적응 검사와 BASC-2 검사, LCSI-C 검사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검사는 BASC-2의 임상척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적응척도와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부적응이 BASC-2의 총분산의 56%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ASC-2 임상척도와 적응척도에 의하여 적응 집단과 부적응 집단으로 나누어 이들 두 집단의 학교부적응 점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자존감에서는 학교규칙이, 비정형성에서는 교사-학생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BASC-2에 의하여 구분된 적응 집단과 부적응 집단의 학교부적응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부적응 검사와 LCSI-C 검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용성은 학교부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도전성은 학교부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교성, 신중성, 안정성은 학교부적응과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학교부적응 검사가 초등학생들의 학교부적응 행동을 잘 예측해주는 타당한 도구인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부적응아 그림특징과 시사점

        백중열 ( Jung Youl Bai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아동의 성향과 갈등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본문에서 학교부적응 아 동의 그림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그림진단의 의미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내용을 기초로 학교부적응 아동 중에서 ‘수학을 싫어하는 아동’과 ‘언어적 스트레스가 있는 아동’, ‘대인관계가 좋은 학교부적응 아동’의 그림에 나타난 특징을 비지시적 관점에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학교부적응 아동에게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가정과 학원, 교사 등 다양한 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그 내용을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부적응 아 동의 그림에서 주변환경과의 관계성을 분석해야 한다. 둘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개별 성향 과 특성을 분석해야 한다. 셋째, 학교부적응 아동이 평소에 어떤 것에 관심을 갖고 그림을 그리는지 관찰해야 한다. 넷째, 아동의 그림 발달단계와 학교부적응 아동의 그림 특징의 차 이점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그림에서 갈등이나 문제 요소를 발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여섯째, 학교부적응 아동으로 판단하기 전에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는 노력 이 필요하다. 일곱째, 학교부적응 아동에게 사랑과 진정 성을 느끼게 해야 한다. 다변화되어 가는 환경에서 학교부적응 아동들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아동의 환경 과 심리가 반영되는 그림을 교사가 관찰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갈등요인을 해결하는 방법 이 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traits of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and cause of conflict and examined the meaning and method for art psychotherapy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uch children`s pictures. Based on the result, among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those who dislike mathematics,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s drawn by those who have verbal stress and those who have good personal relations were analyzed from a non-directive viewpoint. As a result, various factors such as family, institute and teacher were found as factors which influence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such factors. First,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should be analyzed from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s pictures. Second,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s individual traits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analyzed. Third, it should be observed that in which one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are interested and draw pictures. Fourth,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s pic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s pictures should be discovered. Fifth, efforts should be made so as to find conflict or problems in their pictures. Sixth, effort to receive advice from experts should be made before deciding one as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Seventh, we must make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 feel love and sincerity. Teachers` efforts to observe and understand the pictures in which school maladjustment children`s environment and psychology are reflected may solve conflict factors, so that such children can adapt themselves to school in diversified environment.

      • KCI등재

        학교학습부적응에 미치는 가정과 학교의 영향력 분석

        류방란,이규재,최윤선,신희경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2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on the school maladjustment. It specifically focuses on maladjustment in learning, finds out the factors that affect maladjustment in students' perception and behavior, and tests if these factors also affect school achievement level. The authors created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6,486 high school students and 3,206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mong 140 high schools nationwide in Korea, and used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in order to identify the two different dimensions of the effect-personal and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uthors find that while variables that denote structural factors of a family, such as the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s of parents, or whether students live with their parents or not, have an effect on maladjustment, a more important aspect is that these factors have an effect on maladjustment mediated by the functional factors of a family, such as parents-students relations and the style of child rearing of the parents. The paper also finds that maladjustment in learning comes out of the accumulated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that although the impact of the school factors on maladjustment in learning is not so large as expected, the tendency of schools to enhance rules and norms have an positive effect on school maladjustment.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three different factors -perceptions on learning maladjustment, behavior of learning maladjustment, and school achievement- should be understood in different context. 이 글은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학교부적응, 특히 학교학습 부적응의 형성에 개인과 가정, 그리고 학교의 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학교학습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학업성취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여 학업성취와 비교되는 학교학습 부적응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학교부적응이 단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만이 아니라 학교 차원의 문제로 볼 수 있다는 전제하에 개인수준과 학교수준 2수준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자료는 위하여 전국의 140개 학교에서 표집된 일반계 고등학생 6486명과 전문계 고등학생 3206명이 응답한 질문지 조사 자료이다 분석결과 가정변인 중에서 부모의 학력이나 부모와의 동거여부와 같은 가정의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학습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더욱 중요한 것은 그러한 특성은 부모-자녀관계, 양육태도와 같이 가정의 기능적 특성을 통해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학교학습 부적응은 이미 과거의 학습 결손과 부적응의 누적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학교 차원의 영향력이 작기는 하나 학교의 규범강조 풍토가 오히려 학교학습 부적응 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학교학습 부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 특성을 볼 때 이 둘은 그 형성과정과 개선 방식에서 같은 맥락으로 간주될 수 없다고 보았다.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한 학교생활부적응 학생의 친구관계 변화

        손나래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 학술발표회 Vol.2021 No.4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학교생활부적응 학생의 친구관계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B중학교 학교생활부적응 학생 35명 중 친구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학생 3명, 학교규칙 위반 학생 12명, 수업시간 방해 학생 5명 총 20명이다. 연구도구는 친구관계망을 분석하기 위하여 또래지명 질문지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전·후로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부적응 학생, 학부모, 담임선생님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학교생활부적응 학생들은 학급 내 친한 친구관계가 증가되었다. 구체적으로 전학생의 친한 친구관계는 매우 활발하게 변화되었으며, 학교규칙 위반 학생, 수업시간 방해 학생은 부분적으로 친한 친구관계가 증가하였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학교생활부적응 학생들은 참여 종목별 친한 친구관계가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종목별 1~3학년이 참여하기 때문에 학교생활부적응 학생들의 친구관계가 학급 내 뿐만 아니라 학교 내에서도 증가하였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는 학교생활부적응 학생의 문제행동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생활 문제행동을 통해 벌점이 누락되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학교규칙 위반 및 수업시간 방해 행동이 줄어들었으며, 이는 친한 친구관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전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문제행동 학생들의 모범적인 생활변화를 통해 친한 친구관계가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교부적응 학생의 행동 분석과 지원 방안

        이병환(Lee, Byunghwan),우원재(Woo, Wonj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학교부적응 학생의 행동 분석을 통하여 적절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2014년 12월 부터 2015년 2월말까지 3개월간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기초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 으며, 이 도구를 활용하여 학교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학생들의 학교부적응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되지만 특히 학교 내부의 문제에 기인한다면 학교문화 개선과 교육적 지원이 시급 하다. 이 연구에서는 ○○○도 관내 고등학생 520명을 층화군집표집으로 선정하여 ○○○도교육청의 행정적인 도움을 받아 학교부적응 실태 조사를 광범위하게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에서의 일상적인 부적응 인식, 행위를 빈도와 평균을 비교하여 학교부적응 현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부적응학생들의 개인특성, 관계적 특성이 부적응 행동과 교사와 관계, 학교교칙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일원변량분 석(One-Way ANOVA)으로 알아보았다. 학교부적응 학생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별, 계열별, 남녀 공학별 특징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부적응 행동 분석 결과에서는 학교규칙 부적응 행동이 성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교규칙 부적응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계고등학교가 특성화고등학교보다 교사-학생간의 관계도 높고, 학급풍토도 좋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셋째, 남녀공학 유무에 따른 개인적 특성 분석 결과에서는 부적응 행동 경험이 남녀공학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 행동 경험에서 남녀공학 아닌 학교가 남녀공학인 학교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녀공학 아닌 학교가 남녀공학인 학교보다 성적 수준도 높고, 부적응 행동 경험을 적게 한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학교 에서 학생들의 부적응 행동 경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 부적응 행동 전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부적응 행동 경험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적응 행동 경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는 교사의 관심과 기대, 격려, 상담 보상 및 강화를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December 2014 to the end of February 2015, in order to draw up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through behavioral analysis of students with poor school performance.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of literature, and surveys were conducted on students who were eligible for school assignments. Students school aptitude is caused by a variety of reasons, but especially by problems foundinside the school. In this study, ○○ selected 520 high school students as a group listedof stratification groups and analyzed them thoroughly by conducting an extensive survey on the situation of School Talisman Adaptation with administrative help from the ○○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on of school maladjustment by comparing the frequency and average of daily maladjustment in schools. Inadditi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unqualified students on inappropriate behavior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school rules was recognized as a One-Way ANOVA. The results of a survey of gender, family and coeducational characteristics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students with poor school aptitude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inappropriate behavior by gender indicates that school rule maladjustment behavior has differences in gender.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general-level high schools have higher teacher-to-student relationships tha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their class-style habits are also good. Third, the analy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educational status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maladjustment behavior varies depending on coeducational status. Inadequate behavior experience shows that non-male schools are later than coeducational ones.

      • KCI등재

        일반논문 :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부적응 행동 요인 분석

        이병환 ( Byung Hwan Lee ),강대구 ( Dae Koo K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교부적응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도 중학교 12개교, 고등학교 12개교의 중등학교 학교부적응 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평균과 표준편차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부적응 행동은 부적응행동경험과 교사기대, 학업성적과 부모자녀관계 변인이 영향을 미쳤다. 학교이탈행동은 부적응 행동 경험, 가정폭력경험, 학급풍토가 영향을 주었고, 부적응행동경험과 가정폭력경험이 긍정적 영향을, 학급풍토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학교 이탈은 부적응 행동경험이나 가정폭력, 학급풍토가 영향을 미치므로, 가정폭력에 대한 모니터링 지원이 있어야하고, 학급풍토는 학생들의 자유로운 분위기 형성을 위한 완충망이 될 수 있도록 조성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생활에 흥미가 떨어지는 학생일수록 학교생활 적응 및 학습과 관련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학교의 부적응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기제로 단위학교 차원의 상담 지원이나 대안교실 프로그램 운영이 적절한 대처 방식이 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결국 학교에서는 학교부적응 학생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해야 한다. 행정기관에서는 학교를 떠난 학생들이 자신들이 지향하는 이념에 적합한 대안학교나 재활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hool maladjustment factors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we selected three stag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720 students in 24 secondary schools in ○○province. Statistical methods were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in SPSS WIN 17.0. The significance level was at .05. School maladjustment instrument was composed of instructional maladjustment, school rule maladjustment, and classmate maladjustment. Through the research, its findings as follows: First, instructional maladjustment action was affected by maladjustment action experience, teacher expectancy, academic achieveme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ons. Second, school rule maladjustment action was affected by maladjustment action experience, teacher expectancy,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ons, school type. Third, classmate maladjustment action was affected by maladjustment action experience, one`s psychological traits,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on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재만,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Meister high school students'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the impact on school maladjustment. Also, this study clarify the relationship. This study purpose is to permanently provide Meister as the basis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sector career education needed to faithfully serve as a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ools used for the survey is maladaptiv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Leegyumi (2004) and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ools developed a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12). Using these tools, a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Meister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mpact of school maladjustment.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sisted of career maturity and independence, attitude toward the job, planning, self-understanding, rational decision-making, information retrieval, knowledge of the desired job, career exploration and ready for action.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are little girls was higher than boy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test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career maturity and school maladjustment differences of adaptation groups and maladaptive group in meister school students in background variables. A career maturity and school maladjustment between adaptive and maladaptive population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ackground variables.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학교부적응에 대하여 알아보고 진로성숙도가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여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마이스터고와 진로성숙도, 학교부적응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진로성숙도와 학교 부적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통해 2016년 완성학급이 된 37개 마이스터고등학교 1,660명의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70%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성숙도는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하위 영역에서는 ’독립성‘, ’직업에 대한 태도‘, ’합리적 의사 결정’, ‘정보 탐색’과 ‘진로 준비 행동’이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응 집단과 부적응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적응 집단이 부적응 집단에 비하여 진로성숙도가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학교 부적응 수준이 낮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학년에서는 1, 2, 3학년 순으로 학교 부적응 점수가 높아졌지만, 진로성숙도에서는 2학년이 3학년보다 진로성숙도가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성적에 있어서는 성적이 높아질수록 학교 부적응은 낮았고, 진로성숙도는 높았으며, 계열에 따른 변인에서는 공업, 농․생명산업, 수산․해운 순으로 학교 부적응이 낮았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담임의 교과에 따른 분류에서는 보통교과가 담임인 경우가 진로성숙도가 더 높고, 학교 부적응이 낮았다. 졸업 후 진로에 따른 학교 부적응은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에 비하여 취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학교 부적응이 낮고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기타(창업, 가업 승계)의 경우에는 학교 부적응 수준과 진로성숙도가 함께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적응 집단과 부적응 집단의 배경 변인별 진로성숙도와 학교 부적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