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비교사의 과제물 수행 현황 및 과제표절에 대한 인식 조사

        강지혜,이지연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장차 중·고등학교에서 학습윤리 교육을 담당하게 될 A대학교 사범대학 대학생 109명을 대상으로 예비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과제물 수행 현황과 표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수업과 관련된 과제물 수행 현황을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과제표절 예방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과제를 수행하면서 직·간접적ᅭ 과제표절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과제물 매매 사이트에 대한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과제물 매매 사이트에서 과제물을 구매하여 작성한 과제물 형식을 살펴보면 객관적 자료나 감상문 등과 같이 정답이 주어져 있는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표절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면, 표절관련, 과제물관련, 수업관련 변인들은 예비교사의 표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들의 세부 결과를 살펴보면, 표절관련 변인에서 예비교사는 대학 내 학생들의 과제표절에 대해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은 대학 또는 수업에서 일회성으로 표절과 관련된 예방교육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절유형 및 범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물관련 변인에서 예비교사가 과제표절을 하게 되는 이유는 과제물의 난이도 및 분량이 적절하지 않거나 과제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라고 나타났다. 반면에 교수자가 예비교사의 과제 작성을 돕기 위해 다양한 사례나 충분한 피드백이 제공되는 경우 윤리적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업관련 변인에서 예비교사들은 교수님의 평소 수업분위기나 학습자가 인식하고 있는 교수자에 대한 이미지 및 성향이 과제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학습윤리에 대한 인식 강화 및 과제표절 근절 대책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범대 학생들의 표절의식 조사

        이두연,김정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생들의 표절에 대한 인식과 표절 예방 교육 현황이 어떠한지를 조사하고, 이인식이 학과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참여한 학생들은 경북권 소재 4년제 대학교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사범대 재학생 118명(영어교육과74명, 윤리교육과 44명)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크게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표절에대한 정의 및 배경, 과제 수행 현황, 표절의 이유, 표절의 정도, 표절 및 인용법에 관련된 수업의 여부를알아보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별과 전공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 독립표본t-test, 빈도분석과 분산분석이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현재 사범대학생들의 표절에 대한 인식도는 이전 연구에 비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여전히 표절을 하는 이유는 과제물의 양과 난이도, 과제물의 종류와 같은 변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영어교육과와 윤리교육과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몇몇 문항의 경우 윤리교육과 학생들 및 여학생들이 조금 더 표절에 대한 의식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향후 사범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표절예방교육에는 자기표절을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정당한 인용방법 , 과제 유형별 표절예방 교육이 강조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학문적 목적의 영어 글쓰기에서 표절관련 연구에 대한 주제 분석

        최윤희 總神大學校 2006 總神大論叢 Vol.38 No.-

        이 논문은 최근 우리 사회에서 표절에 관한 심각성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영어교육에서 학문적 목적의 영어 글쓰기 시 표절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 배경, 및 양상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최근 10년 이내 게재된 국내외 저명 학술지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국내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학술지였으며, 국외는 SSCI, SCOPUS 및 EBSCO 등의 저명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제한하였다. 선행연구들을 수집 후 여러차례의 내용 분석 과정을 거쳐 선행연구들의 주요 주제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주 요 주제들은 표절의 현황, 표절에 대한 인식, 표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원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표절 현황을 통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계 대학생들에게 많이 표절이 범해지고 있었으며, 표절에 대한 인식 역시 아시아계 학생들이 좀더 표절에 관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제2언어로서 영어에 대한 능숙도 부족, 제대로 환원하기(paraphrasing) 교육 및 역량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학문적 목적의 영어 글쓰기 교육에 서 표절을 예방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자 교육에 많은 교육적 의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ChatGPT 사용 의식과 과제 표절 인식의 관계

        오새내,김효정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50 No.-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사립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ChatGPT의 사용 경험에 따라 형성된 사용 의식과 과제 표절 인식을 조사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2023년 3월부터 4월까지 수집한 대구 지역 소재 사립 4년제 대학 재학생 274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ChatGPT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서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스스로 인식하는 ChatGPT에 대한 지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표절 인식 분석 결과 책임부존재형 정당화와 자기중심적 형평주의 정당화가 ‘윤리적 상대주의 정당화’, ‘상황윤리적 정당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ChatGPT 사용 경험과 표절인식의 관계 분석 결과 ChatGPT 사용 경험이 있고 표절에 호의적인 집단은 사용 경험과 윤리상대주의 정당화와 형평주의 정당화가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ChatGPT 사용 경험이 있음에도 표절에 엄격한 태도를 가진 집단에서는 ChatGPT의 지속적 사용 의도와의 관계가 기각되었다. 이는 ChatGPT 도입 환경에서 글쓰기 과제 수행에서 개인의 학습윤리의식이 표절 예방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쓰기 평가에서 교수자가 표절 예방 대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공지능 사용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표절을 예방하는 효과를 높이려면 글쓰기 교육과 학습윤리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usage awareness and assignment plagiarism awareness formed by the experience of using ChatGPT among students of a private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The survey results of 274 students from a private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2023,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in terms of interest and need for ChatGPT, but their self-reported knowledge of ChatGPT was low. The analysis of plagiarism perceptions of all respondents showed that “justification of deontological irresponsibility” and “justification of egocentric fairnes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justification of ethical relativism” and “justification of situational eth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atGPT usage experience and plagiarism perception showed that “justification of ethical relativism” and “justification of egocentric fairn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usage experience in the group that had used ChatGPT and had a favorable attitude toward plagiarism, but the relationship with intention to continue using ChatGPT was rejected in the group that had used ChatGPT and had a strict attitude toward plagiarism. This suggests that an individual's sense of academic ethics i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plagiarism in writing assignments in a ChatGPT-enabled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instructors formulate plagiarism prevention policies in writing assessments, and suggest that writing education and learning ethics education should be combin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own plagiarism prevention in the context of widespread use of AI.

      •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인용을 중심으로-

        손다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2 사고와표현 Vol.15 No.3

        이 연구의 목표는 인용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인용 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방법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표절을 비롯한 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가심각하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선 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에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2022년 2 학기에 S대학과 K대학에서 ‘글쓰기’ 교과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학술적 글쓰기와 표절 경험, 이에 대한 인식, 인용과 인용 교육 경험, 이에대한 지식 등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학생들이 대학 글쓰기로 학술적 글쓰기를 해 본 적이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인용을 해 본 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표절과 인용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해 의도치 않게 표절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스스로 표절해 본 적이 없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대학 글쓰기의 윤리적 문제를 해소하며 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하게하기 위해서는 인용에 대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윤리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차원에서 인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또한 인용의 목적, 방법뿐만 아니라 표절과 구분하는 법을 익히게 하고 이론과 실습을 연계해 교육이 실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이성흠(李聖欽),윤초희(尹蕉熙),최상봉(崔相鳳)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지식기반사회의 성숙과 함께 학문공동체에서는 연구윤리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다. 연구윤리는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준수해야 할 윤리원칙 또는 행동양식이다. 이 연구는 학습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윤리 확립을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K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183(남: 142, 여: 41)명이며, 설문지는 ‘학습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고서 작성 항목에서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 과제물 구매 등에서는 준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중복제출과 짜깁기에서는 중요성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학습윤리에 대한 실행도(준수정도)에서는 대리작성, 중복제출, 과제물 구매 등에서 높게(즉,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짜깁기와 표절에서는 실행도가 낮았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는 중복제출, 짜깁기, 과제물 구매, 표절, 대리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습윤리 위반에 대한 이유는 ‘더 좋은 학점에 대한 욕심’, ‘시간의 부족’, ‘자료에 대한 쉬운 접근성’이었다. 둘째, 기타 학업수행(출석, 협동과제, 시험 등) 측면에서 학습윤리 중요도는 대리시험, 시험부정행위, 무임승차에서는 높았지만 대리출석과 무단조퇴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실행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점수 차이는 대리출석, 무단조퇴, 대리시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습윤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약점 항목으로 집중관리가 필요한 부분은 ‘표절’, ‘위조’, ‘변조’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강점 특성으로는 ‘과제물 구매’,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과 ‘대리시험’, ‘무임승차’, ‘시험부정 행위’가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수준이 모두 낮은 항목은 ‘짜깁기’를 포함하여 ‘대리출석’, ‘무단조퇴’ 항목이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비교적 높은 투자 및 집중도 조절이 요구되는 불필요한 강점 항목에는 ‘중복제출’이 포함되었다. Nowadays ‘academic honesty/academic integri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the research community. The issue of ‘academic ethics’ is particularly relevant to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academic ethics’. For this purpose, one hundred eighty-three (142 males and 4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in Seoul. The survey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irteen questions regarding academic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agency creating, idea stealing, and homework buying,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weaves in writing and duplicate submission. Second, students also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surrogate test, test cheating, and free riding in homeworks,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valet attendance and unauthorized leaving early. For the items of performance, compliance scores showed a similar trend. Lastly,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tems of academic ethics in the ‘concentrate’ area were ‘plagiarism’, ‘fake’, and ‘modula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plagiarism as a violation of academic ethics may occur when students don’t know how to appropriately quote from resources. In order to establish ‘academic ethics’ code for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y, we should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courses such as ‘research ethics,’ ‘academic writing,’ etc.

      • KCI등재

        에지 추출과 템플릿 매칭을 이용한 악보 정보 보안

        장선재,유진하,이유진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5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템플릿 매칭으로 악보를 인식하여 표절의 진위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설계했다. 표 절의 기준은 악보의 코드라인 또는 멜로디의 유사성을 두고 판정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표절의 기준 을 종합하여 악보의 4마디를 이용한다. 즉, 4마디가 같으면 표절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악보 영상을 입력 받아 전처리 과정을 거쳐 영상 분석에 알맞은 형태로 변환 시킨다. 에지 추출로 오선을 추출한 후, 세그먼테이션 과정을 거쳐 악보의 4마디를 분할한다. 분할 작업한 이미지들의 크기를 정규화 하 여 템플릿 매칭을 통해 검사한다. 매칭 되는 템플릿이 있는 경우에는 템플릿 조합을 통해 해당되는 악보를 HTML 기반 홈페이지로 악보 영상을 출력한다. This paper presents a music score existence recognition system to verify the authenticity of plagiarism by the template matching. As the plagiarism is judged by the similarity of code lines or melody of the music score, this system uses 4 nodes of score to synthesize the standard. When 4 nodes are equal, it will be recognized as a plagiarism. The received score image via the pre-processing is converted into the appropriate form to an image analysis. After extracting the line to edge extraction, it will be divided to 4 nodes of the score through the segmentation process. The divided images are size-normalized and then checked through the template matching. If there is a matching score, it will output the score image on the web site based on HTML through the comparison template. It will be useful to verify the authenticity of the plagiarism through this system.

      • KCI등재

        초·중등학교 저작권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이효상 ( Hyo Sang Lee ),김창남 ( Chang Nam K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8 주관성연구 Vol.- No.42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저작권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해 보았다. 이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초·중등학교 저작권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네 가지 주요 인식 유형을 파악하였다. 유형 A는 “변화하는 저작권 환경 사전 대비형”, 유형 B는 “저작권 의식 형성 지향 계몽형”, 유형 C는 “사회적 가치 지향형”, 그리고 유형 D는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교육개혁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네 가지 교사들의 인식 유형은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저작권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연구방법론 등의 측면에서 저작권 교육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결과를 보완·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청소년들을 위한 저작권 교육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mportant types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copyright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Korea. Through Q-methodology, four types of teachers’ notable perceptions were identified. Type A represents a proactive one towards changing copyright environments. Type B can be defined as an enlightenment one trying to build up the sense of copyright. Type C is a social value oriented one which regards copyright education as a means for cultivating social responsibilities. Type D can be identified as one pursuing educational reform for preventing copyright infringement. Of the four types of teachers’ perceptions this study found out, type A has th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recognizing that adolescents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for dealing with difficult copyright issues in changing copyright enviro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necessity of copyright education. In conclusion,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measures are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pyright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