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tGPT의 대학 교육 도입에서 교수자 불안에 대한 문헌 탐색

        오새내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동서인문학 Vol.- No.66

        This study categorizes the anxieties that university professors experience by topic, through a topic modeling analysis of English academic literature, which mentions ChatGPT in papers related to university education published in 2023. The background of these anxietie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otential solutions are explored. Through topic modeling of data collected via web scraping, 16 categories are extracted. These can be categorized into Professor Anxiety, Professor’s teaching Anxiety, Anxiety about Learners, and Anxiety about ChatGPT. The ‘Professor Anxiety’ category relates to the anxiety professors experience in classroom settings, particularly concerning potential changes to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evaluation methods attributable to ChatGPT. The Professor’s Anxiety category is characterized by occupational anxiety felt by professors themselves due to changes in the university education environment. The Anxiety about Learners category includes distrust of learners and concerns about an increase in misconduct. The Anxiety about ChatGPT category encompasses anxiety about new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warns of the negative impact that professors' anxiety, which could be trigger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may have on university education during times of change. The study recommends fostering trust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active intervention by university administr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aimed at establishing psychological safety for professors. Additionally, it advocates for the re-education of professors to diminish resistance to innovation and alleviate technological anxiety, in preparation for the widespread adoption of ChatGPT in. enhancing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ICT 기반 팟캐스트를 활용한 대학 교양 교육 사례 연구

        오새내,권오성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reaction by adapting the podcast which aims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in the general college writing and physics. The instructors made and published the podcast contents by themselves for the increasing textbook understand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advantages of the podcast are easy to create, modify, and distribute compared with other e-learning media. The analysis result of the podcast using classes showed that the students listened to the podcast by external motivation due to the preparation of the examination and they used it for post-study rather than pre-study. Also, some audiences were out of campus and this refers that the liberal art podcast contents has potential to educate not only enrolled students but also non-enrolled peoples.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기초 교양교육 중 글쓰기 교육과 일반물리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팟캐스트를 자체 제작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두 과목의 공통점은 필수 공통 과목이라는 점, 신입생들이 대학 입학 이전 시기에 고전 독서나 물리학에 대해 사전 지식이나 수강 행동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상태라서 거부감을 표시한다는 점, 전공이 아닌 교양과목이지만 학생들이 학습량이 많고 어렵다고 인식한다는 점이 다. 학생들의 교재 이해와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해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들이 직접 팟캐스트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자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학업 행동을 관찰하였다. 팟 캐스트는 다른 이러닝 매체들보다 제작 및 수정이 간편하며 학생들에게 배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팟캐스트를 수업에 사용하고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평가 및 수업 사용이라는 외재적 동기 에 의해 팟캐스트를 청취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예습보다는 복습용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수강생이 아닌 외부인들의 청취 행동이 나타나는데 이는 대학 교양 강의 콘텐츠의 외부 개 방 및 교양교육의 확산으로 해석할 수 있다. 팟캐스트는 교양교육의 교수자에게는 빠른 시간 내 에 적은 예산으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는 교양교육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교 양교육 학습자들에도 상대적으로 단시간에 학습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을 얻고 학습에 대한 부담 감이나 거부감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 KCI등재

        사회언어학의 이론으로 본 지역 인구 변동과 지역어 변화의 관련성

        오새내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introducing the sociolinguistic approach to relationship among regional population change and dialect change. In the late 20th century Korean situation has undergone population growth and social change that effects Korean dialec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pproach of sociolinguistic method to Korean dialectology. Generally it has been recognizes that region is stable and stereotyped and dialect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region. However population has dynamic phenomenon. Regional features are diverse and heterogeneous. Traditional dialectology collected data informants who non-mobile and rural elderly people. Nowadays primary industry is decreasing and people was born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rrives at senescence. Sociolinguistic approach is an alternative research in a changing environment. This article proposes to study focused sociology of population, mobility and population decreasing in Korean rural community. 본고의 목적은 지역 인구의 변동이 지역어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하는지 소개하고 20세기에 인구 변동과 경제적, 사회적구조 변화를 겪은 한국 사회에서 사용되는 현대 한국어에도 인구 변동을 고려한 사회언어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자는 제안을 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지역은 고정되고 전형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인식되지만 실제로 지역 구성원들은 이동성을 지닌 존재이며 지역은 지역 구성원들의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지닌다. 전통적인 방언학에서는 이동 경험이 없는 고령의 1차 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현재 한국은 1차 산업이 쇠퇴하고 20세기 후반 산업화 사회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노년층에 진입하고 있다. 사회언어학은 변화하는 지역어 사용 환경에서 지역어 연구의 대안이 된다. 본고에서는 인구 집중에 의한 언어 접촉 상황에서의 방언 변화 유형론을 소개하고, 표준어와 방언이 공존하는 현실을 반영한 지역어 연구 이론도 다루었다. 그리고 지역 인구 감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방언 소멸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비도시지역 인구과소화에 주목하여 방언 사용자의 감소와 표준어 또는 다른 방언의 영향으로 인한 방언사용 축소로 인한 지역어 변화 가능성도 다루었다.

      • KCI등재

        20세기 서울지역어 형성의 사회언어학적 변인 : 인구이동과 언어접촉을 중심으로

        오새내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한국학연구 Vol.21 No.-

        분 연구는 20세기 서울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울지역어 형성의 역사를 도시방언 형성의 역사로 좌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현대서울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울지역어 형성의 사회방언학적 요인을 인구이동(mobility)과 언어 접촉(language contact)에 두어야 하는 이유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서울말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지적한 인구 이동에 의한 언어 접촉에는 역사적,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지속적인 타지역 출신 자들의 서울 집중으로 인한 언어 접촉,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일본인들의 서울 이주 등으로 인한 언어 접촉, 현대 사회의 세계화·개방화에 의한 외국인과의 언어 접촉 등이 있다. 그리고 그 외 서울의 거대 도시화, 다원화에 의한 언어변이 발생 요인을 교육의 일반화, 표준어의 보급, 새로운 사회제출의 출현과 다양한 하위 문화 형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sociolinguistic variables of Modem Seoul Korea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escribe the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odem Seoul Korean with two variables; mobility and language contact.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mobility is not only related to Korean history but also socioeconomic elements. Language contact divides into other dialects and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Japanese and English. Language contact is the main cause of new language variation with increase of population and expansion of the city.

      • KCI등재

        러시아 정교회의 한인 선교와 교육의 사상적 배경과 언어

        오새내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4 No.-

        이 연구의 목적은 186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 연해주 지역에서 한인들의 이주 및 정착 과정에서 러시아 정교회의 한인 대상 선교 및 교육과 이에 사용한 언어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선교와 교육의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사회문화적 의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19세기 당시 러시아의 관제국가주의는 러시아 정교회에 의한 로마노프 왕조에 대한 충성과 러시아 국적을 취득한 사람들에 대한 평등한 시민권 인정으로 구성된 제정 러시아의 통치 이념이었다. 연해주로 이주한 한인들에게도 러시아 정교회의 입교는 러시아 국적을 취득하여 러시아의 토지를 개간하고 러시아에서 생활할 수 있는 권리를 취득하는 길이기도 했다. 연해주에 정착한 한인들은 정교회에 입교하고 정교회의 교육을 받았으며 이는 조선 최초의 서양식 교육 수용이라 할 수 있다. 정교회는 러시아 어 교육, 한국어-러시아어 이중언어 교육과 한국인 대상 한국어 사용 선교 등으로 한인들에게 선교와 교육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성장한 한인들은 역사의 격변기에 러시아와 한반도에서 교사, 통역자, 지도자, 사제, 언론인, 기업인, 독립운동가가 되었다. 러시아 정교의 한인 교육은 러시아어, 한국어-러시아어 이중언어로 이루어졌고 한인 선교는 러시아 내 한인들이 사용하는 육진방언을 반영한 이중언어와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통용되던 한국어로 이뤄졌다. 교육 환경은 열악하고 정치적 상황은 항상 급변하고 있었지만 교육을 통해 한인들의 재능을 발견하거나 한인 스스로 자신의 잠재력을 자각하게 하여 연해주에서 한인들이 활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정교회의 역할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한인들의 적극적인 연해주 개척의 의지와 정교회를 통해 나타난 교육에 대한 열의는 근대 한국인들의 긍정적 도전 정신을 후세에 전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ssion and education of the Korean Orthodox Church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s in the Primorsky Krai from the 1860s to the 1910s and to discus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it. This study summarizes the history of Korean maritime migrants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is study, Russian, Russian-Korean bilingual and Korean translation used by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ere discussed. At the time of the 19th century,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a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ruling Russian emigration. The Russian orthodox education that Koreans received was the first Western-style education acceptance of Koreans. The Orthodox Church conducted missions and education for Koreans through Russian language education, Korean-Russian bilingual education, and Korean-speaking Korean missions. Koreans accepted sophistication for survival and adjustment in Russia, or spiritual influence, and expressed enthusiasm for education. Russian Orthodox was bilingual, reflecting the dialect used by Koreans in Russia, and standard Korean of Seoul area. Althoug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poor and the political situation was always changing rapidly, the role of the Orthodox Church was great in that it provided opportunities for Koreans to play an active role in the Primorsky Krai by finding out the talents of Koreans through education and by knowing their potentials themselves.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우울, 불안, 분노가 대학 재등록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강의 수강 습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오새내,김효정,조명실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on college students’ re-enrollment intention during COVID-19 epidemic and the resulting online education sit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on-face-to-face lecture habits. We surveyed college students attending K University in Daegu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are related to re-enrollment intentions. This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non-real-time online lectures, the behavior of students taking classes autonomously choosing their own class time was also related to re-enrollment. In the case of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regularly take online lectures, re-enrollment and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depression, anxiety, anger, and re-enrollment inten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were taking online lectures without a fixed time, re-enrollment and self-efficacy and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university re-enrollment intention, universities should introduce the systematic curriculum and comparison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self-efficacy for re-enrollment integration. Programs that lower students’ depression and increase self-efficacy will help universities manage re-enrollments. Universities need to recognize that programs to control students’ emotions are directly related to academic continuity in universities and reflect them in their management methods.

      • KCI등재

        방송 매체와 방언-한국 방송 매체의 방언 사용에 대한 언어 태도를 중심으로-

        오새내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Broadcasting System and the regional dialect through historic newspaper archives in the 20th century. In this study, I discuss the change of language attitude of the media and dialects. Korean newspapers archives reflect the recognition of the Korea society opinion leader. This recognition is useful to analyze the social behaving of the dialect. In Korean broadcasting history, dialects were the subject of regulation because of Publicness.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ing and dialects are circulating. Using dialect broadcast drew the attention of the viewers. The government and newspapers had criticized dialect usages in the broadcasting media. It had been difficult to find dialectology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dialect in this process. After multimedia era is coming, broadcasting media and language, norms, customs and practical issues, sender, recipient, such as the various elements of the policy are intertwined. In this paper, the young generation of the region, rather than see the object of historical tradition and preserve dialect that is the attitude that embraces the language variants that use naturally in their local language community interpreted to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 tongues. If the permissive attitude towards dialects of these young people was increasing latitude for positive attention to the dialects used in the broadcasting expected to increase. 이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한국 방송 매체에서의 방언 사용을 한국 방송사와언론 보도 기록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방언에 대한 사회적 언어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하는 데 있다. 한국 방송의 역사에서 방언 사용은 언어 통제의 대상이 되었다. 방송언어의 규범성은 일제강점기 이후 20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 방언 사용에 대한 공식적인 규제는 1950년대에 시작되었고 텔레비전 방송이 활성화된 1970년대에 방송의 방언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언론 보도와 정부의 규제가 있었다. 방송에서 방언은 시청자들의 관심을 유발하는 요소로 사용되었고정부와 언론 매체, 정책 연구자들은 방언을 한국어의 다양한 변종이며 의사소통의 수단이 아니라 특정 지역에 대한 이미지, 감정, 태도를 자극하며 시청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해석하였다. 2000년대 이후 한국의 방송 환경과 사회 환경이 달라지고 방언에 대한 사회적 태도도 달라졌다. 앞으로 방언이 방송언어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청자의 눈에 보이는 현실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이며 젊은 방언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새로운 방언형들을 수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의 정서와 컴퓨터 사용 용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오새내,김효정,조명실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3 교양교육과 시민 Vol.7 No.-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negative effects of learners’ subjective perception of computer use, learners’ depression, and anger on th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in Daegu’s private four-year general university, which takes liberal arts classes every semester from 2020 to 2022.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ease of computer use, depression, and anger were all correlat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self-efficacy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ive ease of computer use felt by students regardless of the type of clas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s’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student depress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anger and self-efficacy did not show a direct relationship.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비대면 수업의 매체인 컴퓨터에 대해 학습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컴퓨터 사용 용이성과 학습자가 느끼는 우울, 분노 등의부정적 정서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코로나19가 유행하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1학기마다 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대구 지역 사립 4년제 종합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매년 비대면, 부분 비대면, 대면으로 변하는 수업 방식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 컴퓨터 사용 용이성, 우울, 분노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업 형태와 무관하게 학생들이 느끼는 주관적 컴퓨터 사용 용이성은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반면에 학생의 우울은 자기효능감과부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분노와 자기효능감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해방 후, 최초의 국정교과서 『바둑이와 철수』(박창해 저, 1948) 편찬의 국어학사적 맥락 연구 -고(故) 박창해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오새내,김양진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irst government designated Korean textbook Badugi wa Chulsoo(1948) and the life history of Chang-hai Park(also known as Ch’ang-hae pak) who wrote the book. The book was publishe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is paper represent contexts of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textbook reflected author’s personal history and opinion about language education. He applied to communicative approach,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democratic education. It appeared contents of textbook and methods of education. Chang-hai Park grew up in a Christian home around foreign missionaries at Manchuria. His personal background related to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textbook. Communicative approach,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democratic education led to Korean language research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of Chang-hai Park. 본고의 목적은 해방 이후에 최초로 출간된 국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인 『바둑이와 철수』와 이 책의 저자 국어학자 박창해의 생애사를 통해 해방 직후 미군정기 당시의 국어학사 및 국어교육사적 맥락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데 있다. 이 교과서에는 저자의 개인사, 언어 교육에 대한 저자의 생각이 반영되었다. 박창해는 『바둑이와 철수』를 편찬하며 교과서 내용과 구성, 교육 방식에 의사소통 중심 요소와 학습자인 아동들의 생활을 반영하는 요소, 민주주의 요소를 반영하였다. 외국인 선교사들과 교류하는 만주 용정의 기독교 집안에서 성장하고 기독교계 학교 교육을 받은 박창해는 미군정기에 새롭게 대두된 민주주의를 교과서에 반영하며 의사소통 중심의 국어 교재를 신속하게 편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사소통 중심, 학습자의 생활 중심 언어 교육관은 이후 국어학자 박창해의 언어 연구와 한국어 교육 연구에도 이어진다. 의사소통과 학습자 중심주의는 국어학자 박창해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하는 핵심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바둑이와 철수』 속에 동화화되어 반영된 이야기들과 단계적으로 제시된 초등 기초 어휘들의 상관관계에도 나타난다.

      • KCI등재

        대학생의 ChatGPT 사용 의식과 과제 표절 인식의 관계

        오새내,김효정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50 No.-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사립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ChatGPT의 사용 경험에 따라 형성된 사용 의식과 과제 표절 인식을 조사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2023년 3월부터 4월까지 수집한 대구 지역 소재 사립 4년제 대학 재학생 274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ChatGPT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서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스스로 인식하는 ChatGPT에 대한 지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표절 인식 분석 결과 책임부존재형 정당화와 자기중심적 형평주의 정당화가 ‘윤리적 상대주의 정당화’, ‘상황윤리적 정당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ChatGPT 사용 경험과 표절인식의 관계 분석 결과 ChatGPT 사용 경험이 있고 표절에 호의적인 집단은 사용 경험과 윤리상대주의 정당화와 형평주의 정당화가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ChatGPT 사용 경험이 있음에도 표절에 엄격한 태도를 가진 집단에서는 ChatGPT의 지속적 사용 의도와의 관계가 기각되었다. 이는 ChatGPT 도입 환경에서 글쓰기 과제 수행에서 개인의 학습윤리의식이 표절 예방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쓰기 평가에서 교수자가 표절 예방 대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공지능 사용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표절을 예방하는 효과를 높이려면 글쓰기 교육과 학습윤리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usage awareness and assignment plagiarism awareness formed by the experience of using ChatGPT among students of a private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The survey results of 274 students from a private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2023,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in terms of interest and need for ChatGPT, but their self-reported knowledge of ChatGPT was low. The analysis of plagiarism perceptions of all respondents showed that “justification of deontological irresponsibility” and “justification of egocentric fairnes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justification of ethical relativism” and “justification of situational eth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atGPT usage experience and plagiarism perception showed that “justification of ethical relativism” and “justification of egocentric fairn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usage experience in the group that had used ChatGPT and had a favorable attitude toward plagiarism, but the relationship with intention to continue using ChatGPT was rejected in the group that had used ChatGPT and had a strict attitude toward plagiarism. This suggests that an individual's sense of academic ethics i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plagiarism in writing assignments in a ChatGPT-enabled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instructors formulate plagiarism prevention policies in writing assessments, and suggest that writing education and learning ethics education should be combin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own plagiarism prevention in the context of widespread use of A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