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네틱 포스트휴먼의 비판적 재구성으로서 한국미술의 사이보그와 가이노이드

        이상윤(Lee Sangyoo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인공지능과 로봇은 포스트휴머니즘 논의를 촉발한 첨단 공학기술이다. 200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에서도 역시 인공지능과 로봇을 사용한 뉴미디어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인본주의적 인간의 정체성을 되묻는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이 본격화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국미술의 포스트휴머니즘 지형을 그리는 데에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형성된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어떠한 맥락에서 등장하였으며, 어떻게 재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본다. 1990년대 모라벡에 의해 제기된 사이버네틱(cybernetic) 포스트휴머니즘과 여기에 나타난 탈신체화를 분석하고, 이를 비판한 브라이도티, 헤일스의 포스트휴머니즘, 그리고 이들 사상의 보다 구체적인 예라 할 수 있는 해러웨이의 사이보그와 사이보그 개념을 뒷받침하는 ‘상황적 지식’을 비교, 분석한다. 이 중, 해러웨이의 상황적 지식이 인본주의의 토대를 이루는 총체성과 보편성을 교란하는 부분적이고 경험적인 지식으로서, 과학적 객관성의 신화를 허무는 것을 목적한다면, 사이보그는 상황적 지식의 체현으로, 혼종적 신체, 이질적 신체, 잡종의 신체로 설명된다. 위와 같은 사상적 배경을 따라, 논문에서는 한국 현대미술에 등장한 사이보그나, 인간형상 로봇 ‘안드로이드’를 통해 한국미술의 포스트휴머니즘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한다. 위와 같이 인간 신체를 재현한 기계 중, 특히 여성의 신체를 재현한 ‘가이노이드(gynoid)’와 여성형 사이보그는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하는 대상이다. 생식기능이나 효율과 무관하게 로봇에게 부여된 젠더는 인본주의부터 사이버네틱스에까지 관통하는 인간중심주의를 드러낼 뿐 아니라, 동시에 사이버네틱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으로 제시된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성차화된 기계 신체는 또한 사이버네틱 포스트휴머니즘에 작동하는 억압 기제, 즉 인간의 정신이 신체를 지배하며, 정신과 몸의 이항대립은 성차에서 발생하는 억압관계의 반복임을 지적한다. 따라서 여성형 사이보그나 가이노이드와 같은 성차화된 기계의 신체는 인간중심주의의 주체/타자의 관계와 사이버네틱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비판 모두를 지시하는 대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은 한국미술에서 포스트휴머니즘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2010년대의 이전과 이후 작품을 비교하며, 사이버네틱 포스트휴머니즘부터 이에 대한 비판에 이르기까지, 위와 같은 서구 포스트휴머니즘의 흐름이 동시대 한국미술에 비친 인간 정체성에 관한 생각과 어떠한 유사성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힌다. 인간중심주의 아래 등장한 한국미술의 가이노이드와 여성형 사이보그의 신체는 성적 응시 또는 성 충동과 같이 생식과 무관한 섹슈얼리티에 관계되었으며, 기계를 통제, 제어하는 인간에 예속된 존재임을 알게 한다. 이와 달리, 본격적인 포스트휴머니즘 논의가 시작된 2010년대 이후에 등장한 가이노이드와 여성형 사이보그에는 사이버네틱스의 탈신체화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한 포스트휴먼적 신체, 또는 해러웨이가 설명한 사이보그의 개념과 유사한 존재들이 제시되었다. 노진아의 인공지능 가이노이드와 정금형의 사이보그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의 작품은 전체성, 보편성, 일관성, 통일성 등을 위협하는 구성된 정체성이나, 혼종적이고 불경스러운 잡종의 존재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또한 해러웨이가 상황적 지식을 통해 설명한 ‘체현적 시력’, ‘한정된 몸으로 보는 것’, ‘번역과 해석 없이 볼 수 없는 것’을 시각화하는 새로운 존재들이다. AI and robots are cutting-edge technologies that have triggered posthumanism. After the 2000s, artworks using AI and robots appeared into contemporary art, and simultaneously the identity of the human began to be re-questioned. In this backgroun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mapping the posthumanism of Korean art. For examining posthumanism, the critical discourses of Braidotti, Hayles and Haraway’s are needed to examin first. That criticized the disembodiment supported by cybernetic posthumanism of Moravec in the 1990’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cyborg and ‘situated knowledge’ are utilized for giving shape to posthumanism of Braidotti and Hayles. If ‘Situated knowledge’ would be partial and empirical knowledge against the totality and universality, then the cyborg could be the embodiment of ‘situated knowledge’. In particular, the ‘gynoid’ and the female cyborgs which represent the female body, are main objects in this study. Because, their given gender, regardless of reproductive function or efficiency, not only reveals anthropocentrism penetrating from humanism to cybernetics, but is also presented as a critical reconstruction of cybernetic posthumanism. The body of sex-differentiated machine also points out that the repression mechanism in cybernetic posthumanism, that is, the human mental dominates the body, and that the binary opposition between mental and body would be a repetition of the oppressive relationship that reveals in gender differences. Therefore, the genderd machine, such as a female cyborg or a gynoid, can be seen as a reference to both the subject/other of anthropocentrism and the critique of cybernetic posthumanism. In addition, this thesis compares artworks before and after the 2010s, when posthumanism was seriously discussed in Korean art. It show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human identity. The sexuality of the gynoids and female cyborgs under anthropocentrism were unrelated to reproductive function, but related to such as sexual gaze or sexual impulse. Also, it showed that they were subordinate to humans. On the other hand, the gynoids and female cyborgs after the 2010s critically reconstructed the disembodiment of cybernetics. These machines include Noh Jin-ah’s Gynoid and Jeong Geum-hyung’s cyborgs. Their work could be explained as the constructed identity that threatens totality, universality, coherence, and unity, or as the existence of a hybrid and profane hybrid. These are also new beings that visualize the ‘vision of finite embodiment’, ‘vision of living within limits and contradictions’, and ‘seeing with translations and specific ways’.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이 될 수 있는가?

        이원봉(Lee, Won Bo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8 인간연구 Vol.0 No.37

        오늘날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말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 대중들은 드라마, 영화, 과학소설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포스트휴먼’에 익숙해졌으며, 과학자와 인문학자는 포스트휴먼의 기술적 가능성과 윤리적 의미를 진지하게 토론하고 있다. 하지만 포스트휴머니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특히 ‘휴머니즘’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아직도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포스트휴머니즘이 단순히 오락을 위한 상상의 산물이 아니라, 진지한 학술적 논의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포스트휴머니즘의 의미를 밝혀야 한다.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의 의미를 밝히는 일은 동시에, 우리에게 익숙한 휴머니즘의 의미와 한계를 명확하게 하는 일이 될 것이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에 있어서 육체와 정신의 관계에 대한 입장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인간능력향상 기술을 통해 육체와 정신의 기능을 극대화하려고 하는 트랜스휴머니즘, 이런 과정에서 인간 육체의 폐기를 주장하고 정신과 기계의 결합을 주장하는 ‘대중적’ 포스트휴머니즘, 이성적 주체의 완성을 추구하는 전통적 휴머니즘을 비판하면서 인간능력향상 기술을 통한 다양한 인간 주체의 등장을 옹호하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등이다. 이들 다양한 형태의 포스트휴머니즘은 모두 스스로를 진정한 ‘휴머니즘’이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이들은 모두가 휴머니즘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라면 휴머니즘이 휴머니즘일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 인간성을 오직 정신기능에만 두고 육체를 극복해야 할 장애물로 여기는 ‘대중적’ 포스트휴머니즘과, 거꾸로 인간 주체의 육체적 기원에만 주목하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적어도 전통적 ‘휴머니즘’을 완성했다거나 계승한다고 할 수 없다. 전통적 휴머니즘은 자기 완성하는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격 개념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것은 육체를 통해 개별적 정체성을 지니게 되는 의식적 존재를 전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개별적 의식 존재라야만 휴머니즘의 토대인 윤리적 실천과 책임이 가능해진다. 이런 점에서 ‘대중적’ 포스트휴머니즘이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에서는 개별적 정체성을 가진 실천적 주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휴머니즘이 될 수 없다. Today, the word post-humanism is no stranger to us. The public has become accustomed to the ‘Post Human’ through mass media such as drama, film, and science fiction. Scientists and humanities scientists are seriously discussing the technical possibilities and ethical implications of Post Human. However, it is still unclear what post-humanism means and especially how it relates to “humanism.” Therefore, post-humanism must be understood not only as a product of imagination for entertainment but as a subject of serious academic discussion.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post-humanism, at the same time, it will clarify the meaning and limit of humanism which is familiar to us. Post-humanism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mind in human beings. The trans-humanism, which seeks to maximize the functions of the body and mind through ‘human-enhancement’ technologies, the ‘popular’ post-humanism which insists on the abolition of the human body in this process and asserts the uploading of mind in computer system. And ‘critical’ post-humanism, which advocates the emergence of various human subjects through human-enhancement technologies. These various forms of post-humanism all claim to be true “humanism.” Then can they all be humanism? If not, what are the criteria for humanism to be humanism? ‘Popular’post-humanism, which considers humanity only as a mental function and an obstacle to overcome the body, and ‘critical’ post-humanism, which focuses only on the physical origins of the human subject inversely, can at least conclude or inherit traditional humanism none. Traditional humanism is based on the concept of personality as a self-completing rational being because it presupposes a conscious being that has individual identity through the body. And this individual consciousness only enables ethical practice and responsibility that is the foundation of humanism. In this sense, “popular” post-humanism or “critical” post-humanism can not be truly humanistic because it is impossible to have a practical subject with individual identity.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과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 재고

        정윤경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Many aspects of humanity, including the definition of human beings and ‘agency’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human, are being challeng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posthuman. Education as an activity of human formation is based on humanism, and education as a discipline is also founded on the Enlightenment of the modern era. Accordingly, the emergence of the posthuman invokes the necessity of rethinking humanism-oriented education. As a response to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relate discourses on posthumanism to education and to review humanism-oriente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Chapter Ⅱ considered the conditions of posthuman and the significance of posthumanism. Chapter Ⅲ examined the challenge and arguments of the posthuman philosophy against modern humanism. Based on these reflections, Chapter Ⅳ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 subjective pedagogy based on modern humanism, sought for a way beyond them, analyzed whether the objective of cultivating true human beings is still educationally valid,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knowledge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posthumanism deconstructs the dichotomy assumed by the modern concept of subject and suggests a change to the educational ecosystem as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of continuous process. Second, regarding the challenge of posthumanization, education must help people reconsider the limitations of modern humanism and pursue new aspects of humanity in changing conditions. Particularly, posthuman education must include the development of a posthuman sensitivity. Third, posthumanism calls for a challenge to the epistemology of representation that is currently in a firm position. 포스트휴먼의 등장으로 인간됨의 기준부터 인간 고유의 특성으로 간주된 행위성(agency)에 이르기까지 인간을 둘러싼 많은 것이 도전받고 있다. 교육은 ‘인간다운 인간 형성’을 위한 활동으로 휴머니즘에 기초하며, 분과 학문으로서 교육학 역시 근대 계몽주의의 휴머니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포스트휴먼의 도래는 휴머니즘에 기초한 교육 전반을 재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시대의 도래로 시작된 포스트휴머니즘 논의를 교육과 관련짓고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을 재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연구필요성에 따른 연구목적을 위해, Ⅱ장에서는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포스트휴머니즘의 의미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포스트휴먼 철학의 근대 휴머니즘에 대한 비판과 도전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근대 휴머니즘 기반 주체교육학의 한계와 그 너머를 모색하고, 인간다운 인간 형성이라는 교육목적은 여전히 타당한지 재고하며,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이 지식과 교육내용에 시사하는 점을 탐색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휴머니즘에 기반한 교육을 재고해 볼 때,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머니즘은 근대 주체개념이 가정하는 이분법을 해체하고, 지속적인 과정의 상호의존적 관계론으로서 교육생태계로의 변화를 시사한다. 둘째, 포스트휴먼화의 도전에 대해, 교육은 근대 휴머니즘의 한계들을 재고하고, 달라진 조건 속에서 인간다움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요청한다. 포스트휴먼교육은 특히 포스트휴먼 감수성 개발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포스트휴머니즘은 지식관의 변화를 요청하고, 현재 확고한 위치에 있는 재현의 인식론에 도전할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한 중도 존재론적 접근 ①- 중도(中道)로 포스트휴머니즘 읽기

        조해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4

        본 연구는 ‘인간’에 대해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포스트휴먼 담론을 나가르주나의 ‘중관(中觀)’의 관점으로 접근한다. 포스트휴먼 담론은 인간과 비인간의 구별에 의지했던 근대의 휴먼 및 휴머니즘을 해체하고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고자 한다. 포스트휴먼 담론은 포괄적 의미에서 포스트휴머니즘으로 통칭되지만, 대체로 포스트휴머니즘과 트랜스휴머니즘의 두 흐름으로 구분한다. 두 사조는 변화된 시대의 인간에 대한 새로운 통찰이라는 출발점은 공유하지만, 그 응답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트랜스휴머니즘은 기술에 의해서 현재적 인간을 정신적·신체적으로 변형시키는 ‘인간향상’의 과정을 통해서 포스트휴먼에 도달하려고 하는 반면,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 자신의 변형이 아니라 이원론적이고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서 근대적 휴머니즘의 인간상을 극복하고자 한다. 포스트휴머니즘에서 ‘포스트휴먼’은 근대 휴머니즘적 인간상을 극복한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지만, 트랜스휴머니즘에서 포스트휴먼은 ‘인간향상’의 완성으로서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의 인간이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해서 나가르주나의 ‘중관(中觀)’의 관점으로 접근하되, 포스트휴머니즘을 중심으로 할 것이다. 포스트휴머니즘 사유가 서구의 이분법적인 사유 전통을 횡단하고 있다면, 탈-이분법적이고 탈-서구적인 중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인간에 대한 새로운 통찰에 적합한 패러다임일 수 있다. 특히 포스트휴머니즘의 경계에 집착하지 않는 탈-이분법적 사유는 ‘중도(中道)’와 잘 부합할 수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새로운 통찰을 위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새로운 패러다임은 서구의 사유 전통을 전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부가 아니라 외부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크다. 그런 의미에서 포스트휴머니즘의 탈-이원론과 ‘특정한 서구사상의 전통을 넘어서’ 있으면서 탈-이분적인 불교의 중도 사이의 상호문화적 겹침(Überlappung)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의 삼위일체

        백충현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7 No.-

        Today we are facing an era of posthumanism. A posthuman refers to a human person in a state beyond/post being human, and posthumanism means an ideology or a movement that seeks to be beyond/post being human, that is, beyond/post humanism. In a sense, humanism is moving towards posthumanism through transhumainsm as a transitional humanism, which is somewhere in a halfway between humanism and posthumanism. Considering this radical change of humans,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a question whether we could still talk about God and even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In order to do so, first, this paper seeks to critically examine terms such a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ccording to this analysi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in an essential continuity, thereby encountering the same criticisms as anthropological dualism, reductionism, individualisticism, and anthropocentricism. Next, it is significant that some groups seek religion or spiritual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by arguing for the compatibility of posthumanism and religion/spirituality. They are different from many forms of posthumanism which are secular or anti-religious. However, a careful analysis of those groups show that they are sure to inescapably encounter those above-mentioned criticisms raised against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Therefore what is lacking or missing in such posthumanism and in posthuman religious groups is a robust understanding of relationality, namely, an indispensability of relationality, which could be learned from contemporary “renaissance or revival of Trinitarian theology” in th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Considering this point, this paper argues that we could still talk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not only because humans could not be completely resolved into algorithms or data-processing, but also because relations ‘with-in’ humans and even ‘with-out’ humans would be very necessary in such a posthuman era. 오늘날 우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포스트휴먼(posthuman)은 인간됨(being human)을 넘어서는 상태에 있는 인간을 가리키며,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은 인간됨을 넘어섬을, 즉 휴머니즘(humanism)을 넘어섬을 추구하는 이념 또는 운동이다. 어떤 의미에서 휴머니즘은 포스트휴머니즘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고,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사이의 중간 어딘가에 있는 과도기적 휴머니즘(transitional humanism), 즉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을 거쳐 가고 있다. 인간들이 철저하게 변화하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 우리가 하나님에 관하여 그리고 심지어 삼위일체에 관하여 여전히 말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질문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과 같은 용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문에서의 분석에 따르면,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본질적인 연속성을 지니고 있기에 둘 모두 동일한 비판들에 직면할 수 있다. 즉, 둘 모두 인간론적 이원론, 환원론, 과도한 개인주의, 인간중심론 때문에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몇몇 단체들이 포스트휴머니즘과 종교/영성사이의 양립 가능함을 주장함으로써 종교 또는 영성을 추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들은 세속적이거나 반(反)-종교적인 많은 형태들의 포스트휴머니즘과는 다르다. 하지만, 이러한 단체들 조차도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해서 제기되는 위의 네가지 비판들에 직면하는 것을 확실히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 종교단체들에게서 부족하거나 빠진 것은 관계성에 관한 강력한 이해, 즉 관계성의 필수불가결성이다. 여기에 관해서는 20세기와 21세기에 일어나는 현대적 “삼위일체 신학의 르네상스 또는 부흥”으로부터 우리가 배울 수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도 인간이 알고리듬 또는 데이터-처리로 완전히 해소될 수 없기 때문에, 또한 인간들 내에서의 관계들과 인간들 외에서의 관계들이 그러한 포스트휴먼시대에서 매우 필수적일 것이기 때문에,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삼위일체에 관하여 우리가 여전히 말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미학 : 죽음에 관한 해석학

        김미연(Mi-Yeon K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5

        포스트휴머니즘 미학을 숭고의 미학이라는 관점과 연결하여 포스트휴머니즘을 재정의하면서 ‘포스트-탈존적’(post-Ex-sistenz) 주체로서의 미학, 다양한 -되기의 포스트휴머니즘 미학을 논의한다. 미학적 경험에는 즐거움이 뒤따른다. 미적 체험으로써 존재하는 조화롭고 아름다운 것들을 보고 우리는 즐거움을 동반한다. 하지만 포스트휴머니즘의 숭고의 미학은 다르다. 그것은 공포와 전율로부터 압도되는 ‘모순적 감정’이다. 또한 포스트휴머니즘의 미학적 죽음은 포스트휴먼 조에(posthu-man-zoe)가 자기 영속성과 유물론적 특성으로 인하여 목적을 성취하면 소멸하는 과정을 통하여 ‘-되기’(-becoming)의 존재론적 욕망으로 차이를 생성하는 반복의 영원성, ‘영원 회귀’(Ewige Wieder-Kunft)임을 발견한다. 유한한 생명을 벗어나고자 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미학적 죽음을 추적하면서 해석학적 성찰을 시도한다. 포스트휴머니즘의 미학적 죽음은 관계성의 해석학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그것은 각각 육화된 관계성(embodied relation), 해석학적 관계성(hermeneutical relation) 그리고 마지막으로 배경적 관계성(background relation)이다. In connection with the view of sublime aesthetics, posthumanism is redefined, discussing aesthetics as a ‘post-ex-sistenz’ subject, and posthumanism aesthetics of various ‘-becoming’. Aesthetic experience is followed by pleasure. Seeing the harmonious and beautiful things that exist as an aesthetic experience, we experience joy. However, the sublime aesthetics of posthumanism is different. It is a ‘contradictory emotion’ overwhelmed by fear and thrill. In addition, the aesthetic death of posthumanism is found to be the eternity of repetition (Ewige Wieder-Kunft) and the ontological desire of ‘-being’ through the process of extinction when posthuman-zoe achieves its purpose due to its self-permanence and materialistic characteristics. I put forward a hermeneutic reflection while tracking the aesthetic death of posthumanism, which seeks to escape from a finite life. The aesthetic death of posthumanism can be referred to as the hermeneutics of relationship. This includes embodied relationship, hermeneutical relationship, and finally background relationship.

      • KCI등재

        포스트휴먼 조울증

        김종영(Jongyoung KIM)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2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의 담론에 깊이 자리 잡은 포스트휴머니즘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한 반응은 한편으로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자율자동차, 알파고 등 새로운 과학기술사회에 대한 열광을, 다른 한편으로 인류세의 도래, 생명의 자본화, 무인살상로봇 등이 보여준 충격과 파국을 포함한다. 한 마디로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조울증이다. 포스트휴먼 조울증은 정신분석학적 진단이라기보다는 사회적 담론의 욕망과 무의식에 대한 해석이다. 이 논문은 우선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을 간략하게 파악하고 포스트휴먼의 세 가지 방식, 곧 동물-되기, 지구-되기, 기계-되기를 논의한다. 그런 다음 4차 산업혁명과 트랜스휴머니즘에 대한 반응을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한 대표적인 조증으로 분석하고 인류세의 파국주의를 대표적인 울증으로 진단한다. 4차 산업혁명이 경제성장과 인간초월을 노래하는 포스트휴먼 복음(복된 소식)이라면 인류세는 지구파멸을 예언하는 포스트휴먼의 요한 묵시록이다.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롤러코스터로 인한 조울증이 과학기술, 행위자, 자본주의에 대한 전체화의 경향성과 과잉결정론 때문에 발생한다고 진단한다. 조증으로서의 4차 혁명과 울증으로서의 인류세는 헤게모니적 이론화로 인해 거울 이미지가 된다. 곧 포스트휴먼 조울증은 4차 산업혁명의 유토피아와 인류세의 디스토피아 사이를 오간다. 끝으로 이 논문은 대안적으로 ʻ천천히 이론하고 실천하기ʼ를 제시하고 포스트휴머니즘이 어떻게 유토피아 없는 사상-되기의 실험이 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posthumanism, which is deeply positioned in the discourse topography of Korean society. On the one hand, the reaction to the posthuman world showed enthusiasm for new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y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utonomous cars, and AlphaGo, and on the other hand, the advent of Anthropocene, capitalization of life, and unmanned killing robot, Includes shock and catastrophe. In short, our reaction to the posthuman world is bipolar. Posthuman bipolar disorder is not a psychoanalytic diagnosis, but an interpretation of the desire and unconsciousness of social discourse. This paper briefly grasps the topography of posthuman discourse and discusses three ways of posthumans: becoming-animal, becoming-earth, and becoming-machine. Then, the reac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ranshumanism is analyzed as a representative mania for the posthuman world, and the catastrophe that Anthropocene predicts is diagnosed as a representative depression. I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posthuman gospel (good news) that sings about economic growth and human transcendence, Anthropocene is the posthuman apocalypse that predicts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This article diagnoses that posthumanismʼs roller coaster bipolar disorder is due to the totalizing tendency and over-determinism of techno-science, agency, and capitalism. Consequent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manic and Anthropocene as depression is a mirror image due to hegemonic theorizing.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lternatively ʻslowing down theory and practiceʼ and explores how posthumanism can be an experiment of becoming-thought without utopia.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비평과 SF ― 미래 인간을 위한 문학과 비평 이론의 모색

        노대원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8

        “Posthuman” means a future human being who can no longer be called a human because major abilities exceeds the current standards and limitations. This concept re-adjusts and includes the phases and boundaries of other non-human beings. Thus, the traditional view of the human world and the human image can no longer be maintained. Posthumanism is a variety of humanities / criticism discourses on the future of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after human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ritical posthumanism is criticized at the same time as it inherits humanism. It aims to diversify or renew modern human views, to avoid one-sided technology optimism or fear, and to reflect on it. Posthumanism has been embodied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However, posthumanism differs from postmodernism in that it is an ideology of the era that experiences the loss and fall of the modern “human” and humanism as a fact. Posthumanism is also an interdisciplinary discourse in the era when the boundaries between humanities and science have been broken down under new technological and cultural conditions, and today it is also related to 'post-humanities' and the changes of universities. SF(Science Fiction) is a “perfect posthuman genre.” It forms a popular image, emotion, and ideological attitude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and posthuman. That is why (critical) posthumanist criticism must actively intervene in SF. SF movies and novels are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pec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popular) science writing also expands the image and ideology of posthumanity through narrative imagination, and even finally realizes it. “Since the era itself is regarded as SF,” analysis and criticism of SF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posthuman society and culture. ‘포스트휴먼(posthuman)’이란 인간의 주요 능력이 현재의 기준과 한계를 월등히 뛰어넘는 존재이기 때문에 더 이상 인간으로 부를 수 없는 미래 인간을 의미한다. 포스트휴먼 또는 포스트휴먼적이라는 것은 인간이 아닌 다른 타자적인 존재들의 위상과 경계가 재조정되고 포함된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하여 전통적인 인류의 세계관과 인간상은 더 이상 지속될 수 없게 된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된 인간의 미래와 인간 이후의 인간을 사유하는 다양한 인문학/비평 담론이 바로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이다. 그 가운데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을 계승하는 동시에 비판하여 근대적 인간관을 다양화 ․ 갱신하고, 일면적인 기술 낙관론이나 공포를 지양하며 성찰적으로 사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최신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유의 영향을 통해 배태되었다. 그러나 포스트휴머니즘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달리 근대적 ‘인간’과 휴머니즘의 상실과 몰락을 엄연한 사실로 경험하고 있는 시대의 사상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포스트휴머니즘은 새로운 기술문화적 조건 속에서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가 허물어진 시대의 학제적 담론으로서, 오늘날 ‘포스트인문학’과 대학의 변화와도 관련된다. SF(Science Fiction)는 “완벽한 포스트휴먼의 장르”로, 과학기술과 그에 따라 변화된 (포스트)인간의 ‘대중적’ 이미지와 감정적 ․ 이념적 지향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그 점이 바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비평이 SF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하는 이유이다. SF 영화와 소설은 과학기술의 지식과 기대에 근거해서, (대중)과학 저술 역시 서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포스트휴먼의 이미지와 그 이념을 확산시키고 심지어는 그 상상력을 현실화하기도 한다. “시대 자체가 SF로 간주”되고 있으므로,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SF에 대한 분석과 비평이 요구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교육학적 수용: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정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2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and reporting the present situa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nal research, and based on it, proposing perspectives for contemporary education. Current status of research according to KCI(Korean Citation Index) and conferences in the field of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research on posthumanism, which began in 2013 in Korean educaiton, has shown a slow start comparing to other disciplines of human science and socical science, but it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2018 after the so called discour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lpha-Go Event in 2016. Second, it has been performed mainly in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 (art education) and education in general. The former can be characterized as introductory study and application in subject education, while the latter focuses on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through discourse analysis. Third, the latter, namely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general,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streams according to the two types of posthumanism itself (post-humanism and posthuman-ism). The former demands to pay radical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kinds of being in the ecosystem and a broad concept of education of coexistence and symbios. The latter suggests a critical review of human enhancement theory by posthuman-ism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humansim. Fourth, for a further research, it is needed to have a supplementary understanding on humanism in a broad sense in its historical context, not just the distored humanism in the sense of human-exceptionalism, and to have more balanced and detailed supplementation in theoretical backgroud on the side of reception of post-humanism, while solidary cooperation with bioconservatives is needed in light of refinement of humanism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education for the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본고는 2000년대 들어 국내 인문사회과학계의 중심화두가 되어 온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이 한국의 교육학계에 수용되고 있는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학 또는 교육학 연구가 어떻게 전개되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전망과 제언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교육학계 내 학술대회, 전문학술저서 등의 지표에 근거하여 파악한 연구의 현황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부터 시작된 포스트휴머니즘의 교육학적 수용은 여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으나, 2018년을 기점으로 대단히 적극적인 양상으로 전환을 이루었다. 둘째, 특히 예술교육과 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검토와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전자는 “시론적 수용과 교과교육적 적용”으로 그리고 후자는 “담론분석을 통한 교육학적 수용의 가능성과 한계의 검토 및 교과교육적 적용의 탐색”으로 그 수용의 양상을 정리할 수 있다. 셋째, 교육학 분야의 수용은 다시 포스트휴머니즘의 두 갈래(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휴먼-이즘)에 따라 “관계성의 존중과 공존・공생의 교육학” 그리고 “인간향상론의 비판적 검토와 휴머니즘의 보수(保守)”로 각각 요약될 수 있다. 넷째, 향후의 발전적 전개를 위하여 포스트-휴머니즘 계열의 수용은 포스트-휴머니즘이 비판과 극복의 대상으로 지목한 왜곡된 휴머니즘에 대한 보완적 이해 및 공존・공생의 교육학의 이론적 기반의 보완이 필요하며, 포스트휴먼-이즘 계열의 수용은 생명보수주의와의 연대를 통해 교육적 휴머니즘을 현대적 맥락에 맞추어 정제(精製)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탐색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육학이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수용하여 포스트휴먼 감응교육(posthuman affect education)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낯선 질문을 통해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포스트휴머니즘의 대두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과 가능성, 그리고 포스트휴먼교육학적 시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필요성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의 의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으로의 변화를 탐색하고,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한 조건을 논의하였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이 만나 일어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Deleuze의 사유에 기초한 ‘감응’(affect)개념을 결합하여 구성한 개념이다. 요컨대,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먼 조건이 야기한 차이와 다양성, 이질성과 상호교차성 등의 변화에 섬세하게 반응하며 교육을 새롭게 바라보고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교육 가능성을 조망하기 위한 것이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첫째, 지속적 되기와 상호관계성 교육으로 고립된 실체로서 개인의 번영을 강조한 발달주의 교육 너머의 교육을 보여준다. 둘째, 사물(장치)의 능동적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수-학습 활동의 의미를 확장한다. 셋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사물(기술)의 능동성을 고려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의 변화와 사물(장치)의 행위성이 가져올,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결과에 대해서도 감응케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관계’에서 다시 비판적 성찰을 요청한다. 넷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비의도적 우연성 교육의 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보편적이고 표준화된 이론에 포착되지 않는, 교육의 복합성과 다양성에 감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제한된 변수들의 인과관계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자신감 대신, 교육이 변용 과정에서 낯설고 이질적인 다양성을 만나 새로움을 창안해갈 것을 제안한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해서는 열린 휴머니즘과 규범의 지향, 상호관계성 안의 생명과 지속가능성 추구, 지속적 되기 과정에서 관계항에 대한 책임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to expl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s posthuman conditions and the emergence of posthumanism by raising unfamiliar questions; Chapter III examines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Based on this, Chapter Ⅳ discusses the necessity of posthuman sensitivity, the meaning of posthuman affect education, and the changes having made in education toward posthuman affect edu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conditions necessary to realize a posthuman affect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that responds to changes triggered by posthuman conditions. The concept of ‘affect’ based on Gilles Deleuze's thoughts i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connections with unfamiliar beings and variations in the continuing process of becoming. Posthuman affect education, first of all, reveals becoming and interrelated education, overcoming developmentalism that emphasizes the prosperity of an individual subject as an isolated entity. Second, by considering the active role of objects(devices), meanings of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re to be extended. Third, whil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akes into account the activeness of things(technology), it also allows us to affect to potential consequences that are yet to be realized. Theref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calls again for critical reflection on ‘interrelationships.’ Fourth, by acknowledging the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accidental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presents possibilities to respond to the complexity of and diversity in education, which can hardly be captured by universal and standardized theories. Finally, posthuman affect education, instead of presenting the confidence that education can be explained in a causal relationship with limited variables, suggests that education be dedicated in creating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becoming by encountering the unfamiliar and heterogeneous d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