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슈레버 사례”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 – 모리츠 슈레버(M. Schreber)의『칼리패디 또는 아름다움을 위한 교육』(1858)을 중심으로

        우정길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연구목적: 본고가 탐구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우선 교육학사에서 거의 다루어진 바 없는 모리츠 슈레버라는 인물과 그의 교육론 그리고 그의 교육적 신념이 투영된 교육실천의 일부를 그의 저서『칼리패디 또는 아름다움을 위한 교육』(1858)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공유한다. 둘째, 본고에서는 모리츠 슈레버의 교육이론과 실천이 내포하는 잠재적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되, 그것이 다만 잠재적 차원에 머물렀던 것인지 혹은 어떠한 가시적인 결과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간략한 추론을 그의 둘째 아들 파울 슈레버의 저서『한 정신병자의 회상록』(1903)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교육학적 자전적 기록물들을 1차 문헌으로 삼고, 전기사적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기술된 2차 문헌들을 보완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연구결과: 교육학사가 기억하지 않았던 모리츠 슈레버의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에 관한 소개와 공유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그가 고안하고 활용하였던 ‘교육을 위한 도구·장치’, 그리고 그의 극단적으로 권위주의적인 교육관에 대해서는 비판적 성찰과 재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만, 그의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실제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사례연구(파울 슈레버)를 통해서는 가설적 차원에서 잠정적인 판단을 내리며, 암시적 차원의 의미부여를 한다. 논의 및 결론:『칼리패디』(1858)를 중심으로 모리츠 슈레버의 인간관과 교육이론에 대한 교육철학적 교육사학적 논의와 재평가가 필요해 보인다. 아울러 그의 교육실천의 결과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사학적 논의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has two purposes: first, it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of Moritz Schreber based on his book Kallipädie or Education towards Beauty (1858) which has been scarcely an object of atten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pedagogy. Second, it tries to critically reflect on its educational influence, even though it can be performed only in a hypothetical dimension, trying to capture the parallelity between Kallipädie or Education towards Beauty (1858) by Moritz Schreber and Memories of My Nervous Illness (1903) by Paul Moritz, the son of Moritz Schreber. Method: This study uses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using educational and autobiographical literature as a main material, and biographical and psychoanalytic researches as second and complementary sources. Results: The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of Moritz Schreber will be recalled and shared among the researchers of education, through which more academic discussion on its educational influence will be motivated. Conclus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revisit and reevaluate the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by Moritz Schreber and his book Kallipädie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history of education.

      • KCI등재

        보스트롬(N. Bostrom)의 인간향상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정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roach of Human Enhancement, recently suggested from the camps of transhumanists and posthumanists.from a critical and pedagogical perspective. This approach is an modern attempt to transform the current human being into the next better stage of humanity, the so called posthuman which can be made with the help of the modern and future high technologies of hybridzing of human and machine, biotechnology and molecular nanotechnology, genetic engineering and manipulation. Focusing on Nick Bostrom, one of the leading voices in the camp of transhumanists and posthumanists, we examine the anthropological-pedagogical basis and logic, reveal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in particular the pedagogy of enlightenment, and human enhancement, which insisted to succeed the enlightenment tradition in education. Through this review,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approach of human enhancement is, despite its similarities with education in both of utopian idealism and dichotomy in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neither a modern successor of the enlightenment spirit of humanism nor has something to do with enlightenment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recommend that the contemporary education should stand apart from the excessive orientation toward the utopianism and blind optimistic instrumentalism and that it needs to defend the traditional position and proper function of humanism and education. 본고는 근래 트랜스휴머니즘‧포스트휴머니즘 진영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간향상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인간향상론은 비약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현대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인간과 기계의 혼종화, 인간의 유전학적 개입‧조작 등을 통해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개조와 개선을 이루어 포스트휴먼의 단계로까지 진화해 나가자는 트랜스휴머니즘‧포스트휴머니즘 진영의 제안이다. 본고는 그 대표적 학자인 닉 보스트롬의 학술적 제안의 인간학적‧교육학적 토대와 논리구조를 중심으로 인간향상론을 고찰하되, 인간향상론과 교육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밝혀내고 이 둘의 임계점에서 교육학이 지향해야 할 바를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스트롬의 인간향상론이 근대 계몽주의 교육인간학을 계승하고 있다는 학계의 견해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면서, 교육학과 인간향상론은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상이한 두 가지 차원에서 논의되는 별개의 사안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또한 교육학이 과도한 유토피아 지향과 낙관적 도구주의를 경계하여야 함과 동시에 휴머니즘의 본령에서 그 고유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 KCI등재

        두 개의 세계, 두 개의 인간학 그리고 하나의 교육 : 코메니우스의 기독교 우주론적 보편주의에 대한 소고

        우정길 안암교육학회 2009 한국교육학연구 Vol.15 No.2

        This article attempt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cosmological universalism and the concept of modern education by J. A. Comenius, who has been regarded as a father of modern education in the European history of science of education. Focussing on his works The Labyrinth of the World and the Paradise of the Heart (1623) and especially Orbis Sensualium Pictus (1658), and through the iconological-analytical method, which has a long hermeneutical tradition in the cultural science of christianity and is therefore inevitable for understanding the Orbis Sensualium Pictus, the author tries to figure out the main structure of the dichotomic worlds Comenius' divided into A) a world of “metaphysical symbol and metaphor” and the other world of “an empirical everyday culture”, B) a world of “chaos, disorder, darkness, unwiseness, uncultivatedness, uncivilizedness, uneducatedness” and the other world of “true order, light, wisdom and educatedness” and C) a world of “christian cosmological universalism” and the other world, which eventually lies outside of this pseudo-universal or ideologically regional world of christianity. This kind of differentiation in terms of conceptualization of cosmology, anthropology and education could be an important key to and a theoretical-practical guideline for the contemporary reception of the pan-pedagogy by J. A. Comenius. 본고에서 필자는 「세상의 미로와 마음의 낙원」(1623) 및 (특히) 「세계도회」(1658)에서 코메니우스가 재현하고 있는 이원적 세계관과 교육의 연관을 고찰한다. 코메니우스의 세계는 철저히 이원대립적인 것으로 그 양상은 우선 ㄱ) 일상경험적 문화세계 및 상징과 은유로 표현되는 형이상학적 신념세계 ㄴ) “어둠, 무질서, 혼란, 어리석음, 미숙, 결핍”의 세계와 진리, 빛, 질서, 지혜, 완전, 완성”의 세계, 그리고 ㄷ) 기독교 우주론적 보편의 경계 바깥의 세계와 이 경계 내부에 있는 보편의 세계 등으로 나타난다. 코메니우스의 목적론적 세계관 속에서 전자는 지양되어야 할 대상이자 종국에는 교육을 통해 후자의 세계 속으로 포섭되어야 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필자는 이러한 코메니우스의 이원대립적 세계관의 양상을 「세계도회」를 중심으로 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기술하고, 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코메니우스가 자신의 사상적 근거로 삼았던 기독교 우주론적 보편주의가 교육학 이론으로서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논한 뒤, 오늘날 코메니우스 교육학의 이해와 수용 그리고 적용을 위한 제언을 시도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교육학적 수용: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정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2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and reporting the present situa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nal research, and based on it, proposing perspectives for contemporary education. Current status of research according to KCI(Korean Citation Index) and conferences in the field of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research on posthumanism, which began in 2013 in Korean educaiton, has shown a slow start comparing to other disciplines of human science and socical science, but it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2018 after the so called discour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lpha-Go Event in 2016. Second, it has been performed mainly in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 (art education) and education in general. The former can be characterized as introductory study and application in subject education, while the latter focuses on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through discourse analysis. Third, the latter, namely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general,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streams according to the two types of posthumanism itself (post-humanism and posthuman-ism). The former demands to pay radical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kinds of being in the ecosystem and a broad concept of education of coexistence and symbios. The latter suggests a critical review of human enhancement theory by posthuman-ism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humansim. Fourth, for a further research, it is needed to have a supplementary understanding on humanism in a broad sense in its historical context, not just the distored humanism in the sense of human-exceptionalism, and to have more balanced and detailed supplementation in theoretical backgroud on the side of reception of post-humanism, while solidary cooperation with bioconservatives is needed in light of refinement of humanism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education for the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본고는 2000년대 들어 국내 인문사회과학계의 중심화두가 되어 온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이 한국의 교육학계에 수용되고 있는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학 또는 교육학 연구가 어떻게 전개되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전망과 제언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교육학계 내 학술대회, 전문학술저서 등의 지표에 근거하여 파악한 연구의 현황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부터 시작된 포스트휴머니즘의 교육학적 수용은 여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으나, 2018년을 기점으로 대단히 적극적인 양상으로 전환을 이루었다. 둘째, 특히 예술교육과 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검토와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전자는 “시론적 수용과 교과교육적 적용”으로 그리고 후자는 “담론분석을 통한 교육학적 수용의 가능성과 한계의 검토 및 교과교육적 적용의 탐색”으로 그 수용의 양상을 정리할 수 있다. 셋째, 교육학 분야의 수용은 다시 포스트휴머니즘의 두 갈래(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휴먼-이즘)에 따라 “관계성의 존중과 공존・공생의 교육학” 그리고 “인간향상론의 비판적 검토와 휴머니즘의 보수(保守)”로 각각 요약될 수 있다. 넷째, 향후의 발전적 전개를 위하여 포스트-휴머니즘 계열의 수용은 포스트-휴머니즘이 비판과 극복의 대상으로 지목한 왜곡된 휴머니즘에 대한 보완적 이해 및 공존・공생의 교육학의 이론적 기반의 보완이 필요하며, 포스트휴먼-이즘 계열의 수용은 생명보수주의와의 연대를 통해 교육적 휴머니즘을 현대적 맥락에 맞추어 정제(精製)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 교육: 샌델(M. Sandel)의 선물론(Theory of Giftedness)을 중심으로

        우정길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Today the discours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divided into the ideas of human and posthuman, humanism and posthumanism, and human education and human enhancement.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of humanism and human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view point. It first introduces a brief topography of increasing studies of posthumanism in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In relation to this, human enhancement,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human education, is emphasised as an instrument to shift the idea of human into posthuman that is supported by NBIC (Nano‧Bio‧Information Technology, Cognitive Science). This paper argues that human enhancement assumes a hypothetical image of so-called better human being and supports the controversial ideology of liberal eugenics which is against the basic principle of human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of giftedness by M. Sandel in defence of the Bio-conservative with J. Habermas, and F. Fukuyama. Sandel rejects the idea of human enhancement in his book The Case against Perfection (2009) for three reasons: the erosion of fairness, undermining of autonomy and equality, and distorting human nature. He instead highlights humility,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as fundamental virtues of life. Human education, in its philosophy, emphasizes the fact that life is given to us beyond our control. Sandel suggests that we should move away from the desire to design, control and conquer human being as it may become a habit of mind which causes a irreversible change of our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otherwise. 본고는 인간과 포스트휴먼,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교육과 향상으로 양분되고 있는 현대 인문·사회과학계 담론의 구조 속에서 교육이 어떤 관점을 취할 것인가 그리고 그 근거는 무엇인가를 고찰한다. 우선 근래 점증하는 교육학계 포스트휴머니즘 관련 논의들의 지형을 개괄한 후, 교육과 향상(enhancement)이라는 상이한 개념의 사회적 행위가 함의하는 바를 탐구한다. 본고의 기본관점은, 인간 교육의 건강한 지속을 위해서 향상은 교육으로부터 분리된 개념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 그리고 자유주의 우생학에 우호적인 포스트휴머니즘에 터하고 있는 향상은 교육의 관점에서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향상 반대의 논거로 본고는 하버마스(J. Habermas)와 후쿠야마(F. Fukuyama)와 더불어 생명보수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샌델(M. Sandel)의 선물론(Theory of Giftedness)에 주목하고, 그가 제안하는 공정성의 훼손, 자율성·평등성의 훼손, 인간 본성의 훼손 등의 향상 반대 논거들을 고찰한다. 아울러 생명과 삶은 우리에게 주어진 선물이기에, 겸손과 책임 그리고 연대를 통해 인간과 교육의 오래된 가치들을 지켜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마음의 습관과 인간의 존재 방식을 보존해 나갈 수 있다는 샌델의 선물론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과 향상의 담론이 점증하는 시대에 샌델의 선물론이 휴머니즘과 교육을 위해 긍정적인 성찰과 전망의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취지의 논의로 글은 마무리된다.

      • KCI등재

        “슈레버 사례”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 – 모리츠 슈레버(M. Schreber)의 『칼리패디 또는 아름다움을 위한 교육』(1858)을 중심으로

        우정길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Purpose: This study has two purposes: first, it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of Moritz Schreber based on his book Kallipädie or Education towards Beauty (1858) which has been scarcely an object of atten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pedagogy. Second, it tries to critically reflect on its educational influence, even though it can be performed only in a hypothetical dimension, trying to capture the parallelity between Kallipädie or Education towards Beauty (1858) by Moritz Schreber and Memories of My Nervous Illness (1903) by Paul Moritz, the son of Moritz Schreber. Method: This study uses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using educational and autobiographical literature as a main material, and biographical and psychoanalytic researches as second and complementary sources. Results: The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of Moritz Schreber will be recalled and shared among the researchers of education, through which more academic discussion on its educational influence will be motivated. Conclus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revisit and reevaluate the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by Moritz Schreber and his book Kallipädie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history of education. 연구목적: 본고가 탐구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우선 교육학사에서 거의 다루어진 바 없는 모리츠 슈레버라는 인물과 그의 교육론 그리고 그의 교육적 신념이 투영된 교육실천의 일부를 그의 저서 『칼리패디 또는 아름다움을 위한 교육』(1858)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공유한다. 둘째, 본고에서는 모리츠 슈레버의 교육이론과 실천이 내포하는 잠재적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되, 그것이 다만 잠재적 차원에 머물렀던 것인지 혹은 어떠한 가시적인 결과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간략한 추론을 그의 둘째 아들 파울 슈레버의 저서『한 정신병자의 회상록』(1903)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교육학적‧자전적 기록물들을 1차 문헌으로 삼고, 전기사적‧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기술된 2차 문헌들을 보완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연구결과: 교육학사가 기억하지 않았던 모리츠 슈레버의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에 관한 소개와 공유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그가 고안하고 활용하였던 ‘교육을 위한 도구·장치’, 그리고 그의 극단적으로 권위주의적인 교육관에 대해서는 비판적 성찰과 재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만, 그의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실제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사례연구(파울 슈레버)를 통해서는 가설적 차원에서 잠정적인 판단을 내리며, 암시적 차원의 의미부여를 한다. 논의 및 결론:『칼리패디』(1858)를 중심으로 모리츠 슈레버의 인간관과 교육이론에 대한 교육철학적‧교육사학적 논의와 재평가가 필요해 보인다. 아울러 그의 교육실천의 결과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사학적 논의가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사이의 교육: 슬로터다이크(P. Sloterdijk)의 휴머니즘 비판을 중심으로

        우정길 한국교육철학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evance between humanism/posthumanism and education sketched in Rules for the Human Zoo by Sloterdijk. In his speech delivered in Castle Elmau in Germany in 1999, he declares the end of all traditional humanisms including the fundamental ontology of Heidegger with the appearance of the so called new techniques. And as its consequence, education should confront an end, so Sloterdijk, as humanism and education as taming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he insinuated the possiblity of genetic intervention in human life and education by linking Nietzsche’s prophetic philosophy to his suggestion of posthumanism, also understood as “beyond” of humanism, which, therefore, provided pretext for a great social controversy. This study retraces stage by stage Letter on Humanism of Sloterdijk from traditional humanisms and Heidegger’s fundamental ontology to his criticisms of humanism as well as his suggestion for modern and future society and education. In addition the main motive of human enhancement theory proposed by posthumanists will be examined on the edge of this study. 본고는 슬로터다이크의『인간농장을 위한 규칙』을 중심으로 휴머니즘‧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의 관련을 고찰한다. 1999년에 행해졌던 슬로터다이크의 강연은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을 포함하여 기존의 모든 휴머니즘들이 이른바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하여 종언을 고하게 되었으며, 아울러 교육 역시 동일한 운명에 처하게 되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그는 휴머니즘 이후라는 의미의 포스트휴머니즘을 니체의 예언적 철학과 연결시키면서 인간의 미래적 삶과 교육에 유전학적 개입의 가능성을 시사함으로써 사회적으로 큰 논란의 구실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전통적 휴머니즘부터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 그리고 슬로터다이크의 휴머니즘 비판 및 포스트휴머니즘 제안으로 이어지는 슬로터다이크의 강연의 내용을 단계적으로 짚어보고, 이것이 현재와 미래의 교육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고찰하되, 근래 포스트휴머니스트들을 통해 제안되고 있는 인간향상론의 주요 동기도 비판적 관점에서 간략히 소개하고 있다.

      • KCI등재

        Teaching the unknowable Other: humanism of the Other by E. Lévinas and pedagogy of responsivity

        우정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5 No.1

        In this paper, the author investigates what kind of challenges contemporary pedagogy has confronted, focusing on the question of knowability of radical otherness of the educated and the makability of the human being through education. Starting from two different narratives reflecting on their personal educational relationships and their identity as an educator, the author sketches the contrasting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pedagogy from Comenius via Kant and Buber and expands on the pedagogical reception of the philosophy of the Other by Lévinas. Differing from the ego- and subject-centeredness of modern pedagogy, Lévinas proposes a rather humble concept of a subject who is always and already responsive to and responsible for the Other. Based on this contrast, the author suggests that modern educators can be freed from an all-knowing and almighty complex and get to a more sympathetic, sensitive, and ethical dimension for their pedagogic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