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한 중도 존재론적 접근 ②-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과 나가르주나의 ‘공(śūnyatā)’을 중심으로 -

        조해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이 글은 불교 중관학의 창시자인 나가르주나(Nāgārjuna)와 서구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스트 중 한 명인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와의 만남을 시도한다. 나가르주나는 부파와 학설이 난립하던 시대적 상황에서 ‘공(空, śūnyatā)’의 관점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새롭게 해석하여 중관학을 창시했고, 브라이도티는 ‘포스트휴먼(posthuman)’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당면한 시대적 곤경을 헤쳐나가고자 한다. 두 사람의 만남을 위해서 상호문화철학자 말(Ram Adhar Mall)의 상호문화적 해석모델을 참조할 것이다. 나가르주나의 ‘공’과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은 각각 자신의 논의 전개를 위한 방법적 도구로 도입되어 비판적 기능과 긍정적 기능을 수행한다. 비판적 기능은 실체론과 허무론이라는 양 극단에 대한 비판을 의미하고, 긍정적 기능은 중도 존재론의 전개를 의미한다. 나가르주나의 ‘공’은 한편으로는 실체론적인 상견(常見)과 허무주의적인 단견(斷見)의 두 입장에 대해서는 비판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또한 동시에 붓다 본래의 중도의 연기를 드러내는 긍정성의 기능을 수행한다.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 또한 이분법적인 근대 휴머니즘의 한계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작동하지만, 실제 맥락에 적합한 ‘지도그리기’와 포스트휴먼 주체 형성이라는 긍정성으로 작동한다. 나가르주나와 브라이도티 사이의 소통 가능성은 서구의 사유와 서구의 전통에서 타자화되었던 비서구의 목소리와의 동등한 만남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동등성의 만남을 조건으로 하는 상호문화철학의 관점에서 서구의 현대철학과 인도의 고대 사상인 중관학의 대화는 그 자체로 변화된 동서 관계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āgārjuna, the founder of Buddhist Mādhyamika, and Rosi Braidotti, one of the Western critical posthumanists. Nāgārjuna founded Mādhyamika by reinterpreting the Buddha's teac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emptiness (śūnyatā)' in a time when schools and doctrines were proliferating, and Braidotti has sought overcome the current predicament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osthuma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 will refer to intercultural philosopher Ram Adhar Mall’s intercultural interpretation model. Nāgārjuna’s ‘śūnyatā’ and Braidotti’s ‘posthuman’ are introduced as methodological tools for developing their discussions. Each performs critical and positive functions. Their critical function is criticism of the two extremes of substantialism and nihilism, and their positive function is the development of a middle-way ontology. Nāgārjuna’s śūnyatā has a critical function in opposition to substantialism and nihilism, but it simultaneously has the positive function of revealing the Buddha's original Pratītya-Smutpāda of the middle way. Braidotti's posthuman also operates critically on the limitations of dichotomous modern humanism, but it operates positively regarding cartography in relation to the actual context and the formation of a post-human subject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Nāgārjuna and Braidotti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it signifies an equal encounter between Western thought and non-Western voices that have been otherized in the Western tradition. This is becaus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philosophy, which is conditioned on the meeting of equality, the dialogue between Western modern philosophy and India's ancient philosophy, Mādhyamika, in itself reveals a changed relationship East-West relationship.

      • KCI등재

        유럽중심주의 비판: 동서문화의 동등한 만남을 위하여

        조해정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2 No.3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s of Eurocentrism through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philosophy for the equality of the East and West cultures. If the centrism is the result of a violent and one-way relationship between Europe and non-Europe/East, the discourse should focus on Eurocentrism, and criticism of Eurocentrism should be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equality of the East and West cultures. First, I will examine the concept for civilization, culture, and interculturality. And then I will discuss the criticism of centrism of Franz Martin Wimmer. I will clarify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ty through the various concepts of culture and civilization. Europeans distinguished European civilization from the oriental barbarism based on the concept of civilization which has been used as a tool to justify Europeans’ colonial conquests. Franz Martin Wimmer‘s criticism of Eurocentrism contains four centrism: the expansionary centrism, integrated centrism, pluralistic or separate centrism, and tentative centrism. Among these, the expansionary and integrated centrism are the two typical types of Eurocentrism in the modern colonial era. Multilateral or separate centrism came from the relativism of postmodernism which was concurrent with decolonization movements of the Non-European/East historically. Wimmer’s three types of criticism, (criticism on the expansionary, integrated, and pluralistic/separate centrism) are the key criticism of Eurocentrism, and they lead to the 'equality' of cultures and offer conditions for bilateral dialogue. Of the four types, the criticism of the tentative centrism is about the critique of the subject itself. The criticism of the tentative centrism is meaningful because it deals with the subject’s openness which enables inter-cultural relationships. The subject can accept the other’s culture and can give up or change his/her own only through the subject’s openness. The criticism of the tentative centrism reveals the characteristic of Wimmer’s criticism effectively. Thus we can reflect on the two conditions, 'equality' and subject’s openness, which lead to the equality of different cultures. 이 글은 문화들의 동등한 만남의 필수적인 조건으로서 유럽중심주의 비판의 문제를 상호문화철학(Interkulturelle-Philosophie)의 관점에서 다룬다. 중심주의 문제가 서세동점의 근대 이후 서구의 비유럽/동양에 대한 폭력적이고 일방향적인 만남의 결과라고 한다면, 중심주의 비판의 핵심은 유럽중심주의에 있게 되고, 그런 한에서 유럽중심주의 비판은 동서문화의 동등한 만남의 조건으로서 선취되어야 할 과제가 되기 때문이다. 논의는 중심주의 비판을 다루기 이전에 문명과 문화 개념, 그리고 상호문화성에 대해서 살펴 본 다음, 빔머(Franz Martin Wimmer)의 중심주의 비판과 그 의미에 대한 논의의 순서로 전개될 것이다. 문명과 문화 개념을 통해서, 상호문화철학의 문화 개념을 분명히 하고, 유럽중심주의는 문명의 개념을 기준으로 해서 유럽과 비유럽/동양을 문명과 야만의 도식으로 가르고, 유럽의 식민지 정복을 정당화한 결과의 측면이라는 점을 확인할 것이다. 빔머의 중심주의 비판은 팽창중심주의(Expansiven Zentrismus), 통합중심주의(Integrative Zentrismus), 다원적 중심주의(Multiplen Zentrismus) 혹은 분리중심주의(Separativen Zentrismus), 잠정적 중심주의(Tentativer Zentrismus)의 네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팽창중심주의와 통합중심주의의 두 유형은 근대의 식민지 팽창주의 시대의 전형적인 유럽중심주의적 유형, 다원적/분리 중심주의는 비유럽/동양의 탈식민화의 민족주의 운동의 발생과 맥을 같이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상대주의적 유형이다. 이들 세 유형에 대한 비판은 ‘동등성’이라는 대화의 객관적인 조건을 마련하도록 하는 반면, 마지만 잠정적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은 주체 자신에 대한 비판으로서, 주체의 개방성을 가능하게 한다. 문화들의 만남에서 개방성의 주체만이 타자를 수용하거나 자신의 것을 포기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때문에 잠정적 중심주의 비판은 상호문화성의 조건으로서 빔머의 중심주의 비판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그의 중심주의 비판은 동등성과 개방성이라는 문화들의 만남의 두 가지 조건에 대한 성찰로 이끈다.

      • KCI등재
      • KCI등재

        말(Ram Adhar Mall)의 상호문화적 해석학과 문화적 중첩

        조해정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4 No.3

        The plan of intercultural philosophy for Mall is characterized as ‘intercultural comparative philosophy’. He distinguishes three kinds of the model of hermeneutics, which are ‘identity model’, ‘model of difference’ and ‘analogical model’. He presents the ‘analogical model’ of them as a suitable model for intercultural hermeneutics. If you read many other cultures on the ground of the ‘identity model’, you will destroy the uniqueness of the other cultures and try to expand the only uniqueness of this model, because you insist that 'identity model' has the universal validity and the criteria for all the traditional cultures. If on the ground of the ‘model of difference’, there is no starting point here to hold dialogue between different cultures. The ‘model of difference’ thinks a variety of cultures as they are. So this model goes further than the ‘identity model’, but these two models have the same mistakes in that the models don't accept the mutual relationship. Now we have the only ‘model of difference’ that regard a variety of cultural differences as they are in itself, we can reach at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through this model. This model doesn't ignore cultural differences and doesn't reduce the otherness of the other cultures to the universaliy of culture, so we can interpret a variety of cultures and accept the differences as they are. There is a overlap(Überlappung) between the cultures, in this overlap we can find the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only in the overlap between the culture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will be held. The overlap between different cultures can make cultural differences niether as equality, nor as difference, only as analog. This analogical concept allows the analogical interpretation. The concepts Overlap and analog are two types of cultures that have essential difference. But we can reveal a similarity through these concepts, as a concrete example in the context of culture and tradition. For example, Indian logic and Western logic are two different types of logic, but these are still logic, because these logics attempt to provide grounds for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hods of two logics, Indian logic generally use inductive reasoning based on empirical cases, and Western logic deductive reasoning based on the formal validity. In this point,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philosophy don't judge the other cultures to be the lack of universality and validity on the ground of centralism. So intercultural understanding can recognize different cultures to be right, without denying the otherness, and lead us to a logic which will extend universal knowledges. 말의 상호문화철학의 기획은 ‘상호문화적 비교철학’ 내지 ‘상호문화적 해석학’으로 특징된다. 그는 해석학의 모델을 ‘동일성 모델’ ‘차이의 모델’ ‘유비적 모델’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그 중에서 ‘유비적 모델’을 상호문화적 해석학에 적합한 모델로써 제시한다. ‘동일성 모델’은 자신의 전통을 보편타당한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타문화에 대한 이해에서 타자의 고유성을 말살시키고 자기 이해를 확장하려고 한다. 반면 전적인 ‘차이의 모델’은 문화들 사이의 차이를 절대시하기 때문에 대화 가능한 출발점이 부재하게 된다. 다만 차이 모델에서는 타자가 타자로서 인정된다는 점에서는 ‘동일성 모델’보다 진일보한 측면이 있지만, 상호관계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한계를 보인다. 오직 ‘유비적 모델’의 해석학만이 타자의 타자성이 무시되거나 환원되지 않고 이해에 도달하는 상호문화적 해석이 가능하다. 상호문화적 해석의 가능성은 문화들 사이의 중첩(겹침, Überlappung)에 있다. 겹침만이 해석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문화들 사이의 중첩개념은 전적인 차이도 전적인 동일성도 아닌 유비적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개념이다. 중첩 및 유비적 개념은 유적 개념의 차원에서는 근본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문화들이지만, 맥락적인 문화 전통의 구체적인 사례에서, 그리고 그 상위 개념을 통해서 유사성으로 드러난다. 가령 인도 논리학과 서양 논리학은 유적 개념으로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논리학이지만, 새로운 지식 획득을 위한 추론과 논거를 제공하려 한다는 점에서, 따라서 논리학이라는 상위 개념에서 겹친다. 그러나 인도 논리학은 논거를 경험적 사례에 의거하는 귀납의 방식으로 추론하고, 서양 논리학은 형식적 타당성에 의거하는 연역적 방식으로 추론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여기서 상호문화철학의 관점은 어느 한편의 관점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편의 결여로 판단하거나 변형시키지 않는다. 상호문화적 이해는 타자성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라 남겨 둠으로써, 논리학이라는 보편적 인식의 확장으로 이끈다.

      •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내화구조성능 영향인자에 관한 해석적 연구

        조해정,정주홍,이승창,최창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1 No.9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influence factor on the fire resistance of Biaxial Hollow Slab by finite element results using ANSYS program. The parametric analysis which includes thickness of the slab, thickness of cover, hollow shape, internal covering thickness between hollow shape and steel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hicker thickness of the cover and slab the bette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showed. However, distance between hollow shape and steel may influence on the concentration effective of temperature for bottom of Biaxial Hollow Slab.

      • KCI등재

        플라톤-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와 나가르주나의 공의 논리에 대한 상호문화적 읽기

        조해정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8 No.3

        This is the paper about the intercultural reading on Plato-Socratic elenchos and Nāgārjuna's Logic of emptiness based on the method of intercultural interpretation of Mall. From an intercultural point of view, all the cultures in the world have their own different characters. but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each other because of the overlapping (Überlappung). We can divide the concept of overlapping into that of the universal dimension and the particular dimension(the cases in the cultural context) of overlapping. Generally speaking, we can start intercultural dialogues from the universal dimension of overlapping, and then go through the cases, complete in the intercultural universal concept. The intercultural reading on Plato-Socratic elenchos and Nāgārjuna's logic of emptiness begins with the universal dimension of overlapping, which is the method of discussion to think or investigate philosophically. And then the intercultural reading lead to the particular dimension(the cases in the cultural context) of overlapping, namel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dimension of cases. The dimension of cases is divided into the side of the target and the refutation. There are two sides the target and the refutation, with which we want to expose the target, in elenchos and logic of emptiness. Indirect method and and logical legitimacy in refutation are the moment of similarities. but the structures of refutation, namely, the single negation in elenchos and the double negation in logic of emptiness, are the moment of differences. The similarities on side of the target aim not to fall into skepticism, because they have the philosophical position which we can expose through the refutation. The differences are the differences in the kinds of knowledges, the first is a kind of reasonable knowledge, the second is a kind of irrational/intuitive insight like Madhyamā Pratipad(中道). Therefore, in the intercultural reading on elenchos and logic of emptiness, the dimension of cases in overlapping(which appears in the moments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lies in the center, and the final aim is to demonstrate whether elenchos and logic of emptiness, though they have the moment differences, are the methods of philosophical argumentations or not. 본 연구는 말의 상호문화적 해석의 방법에 의거한 플라톤-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ἔλενχος)와 나가르주나의 공(śūnya)의 논리에 대한 상호문화적 읽기의 실제이다. 상호문화적 읽기의 관점에서 문화들은 모두 서로 다른 고유성을 갖지만, 중첩(Überlappung)에 의해서 대화는 가능하다. 중첩의 개념은 포괄적인 보편 차원과 문화적 맥락에서 전개되는 사례 차원의 중첩으로 나누어지는데, 대화는 포괄적인 중첩에서 출발하여 사례 차원의 여러 중첩의 계기들에서 세부적으로 조명되고 상호문화적 보편에서 마무리된다. 엘렝코스와 공의 논리에 대한 읽기는 양자 모두 철학의 탐구 내지 철학적 사유를 전개하는 논증 방법이라는 포괄적인 중첩을 출발점으로 하여, 맥락적인 사례 차원의 유사성과 차이의 계기들에 대한 조명과 유비의 과정으로 이어진다. 사례에서의 중첩은 논박과 목표의 측면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엘렝코스와 공의 논리에는 논박과 논박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하는 목표의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논박의 간접성과 논리적인 합법성은 유사성의 계기이지만, 엘렝코스의 단일적인 부정과 공의 논리의 이중부정의 논박 구조는 차이의 계기이다. 목표에서의 유사성은 논박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하는 철학적 입장이 있음으로 해서 회의주의로 경도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고, 차이는 각각 X에 대한 정의 규정이라는 합리적 지식과 비합리적/직관적 통찰인 중도(中道, Madhyamā Pratipad)의 연기라는 목표로 하는 지식 종류에서의 차이에 있다. 그러므로 엘렝코스와 공의 논리에 대한 상호문화적 읽기는 유사성과 차이의 계기들로 현상하는 사례 차원의 중첩들을 중심으로 하되, 최종적인 목표는 차이의 계기들에도 불구하고 양자 모두 철학을 탐구하는 논증의 방법일 수 있는가 하는 것을 입증하는 데 있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