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 쓰는 로봇 - ChatGPT와 AI 생성 문학 -

        노대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7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language model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cifically ChatGPT and GPT-3, on literature and its potential implications for literary creation, criticism, education, and the cultural industry as a whol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future of AI-generated literature. Throughout this study, we employ various AI technologies, providing examples of literature and criticism produced by language model AI, while discussing their significance. In Chapter 2, we examine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anguage model AI, assessing how current AI technology can be utilized in literature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and exploring its potential and constraints. In Chapter 3, we extrapolate and predict changes in AI literature through science fiction texts that envision the future of AI-generated literature.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a new era of co-creation, in which AI and humans collaborate to produce innovative literary forms.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of AI literature. We contribute to the ongoing dialogue surrounding the role of AI in literature and the implications of AI-generated literature for the literary industry and society at large. Furthermore, we provid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of AI to revolutionize the way literature is produced, received, understood, critiqued, and taught. Additionally, this paper addresses the ethical and social impacts of AI literature,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AI-generated literature replacing human literature and its significance as posthuman literature. 이 논문은 ChatGPT와 GPT-3를 중심으로 언어 모델 인공지능(AI)이 문학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문학의 창작과 독서, 비평과 교육, 문화산업 등 문학 전반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AI 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 집필 과정에서도 다양한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며, 실제로 언어 모델 AI로 생성한 문학과 비평(해석)의 사례를 제시하며 논의한다. 논문의 2장에서는 언어 모델 AI의 기술적 특징과 한계를 알아보고, 현재의 AI 기술로 문학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을지, 그 잠재력과 한계를 다양한 사례 연구로 진단한다. 3장에서는 AI 문학의 미래를 상상한 SF 텍스트를 참조하여 현재의 AI 문학의 변화를 외삽하여 예상해 본다. AI와 인간이 협업해 새로운 형태의 문학을 창작하는 새로운 공동 창조 시대를 가능하게 할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이 논문은 AI 문학의 현황과 미래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비판적 고찰을 제공할 것이다. 문학에서 AI의 역할과 AI 생성 문학이 문학 산업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시사점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에 기여한다. 또한 문학의 창작(생산), 독서(수용 및 향유), 비평(이해), 교육(전승) 등에서 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 AI의 잠재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이 논문은 또한 AI 문학이 제기하는 인간 문학의 종언 가능성과 포스트휴먼 문학으로서의 의미를 비롯해 AI 문학의 윤리적,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비평과 SF ― 미래 인간을 위한 문학과 비평 이론의 모색

        노대원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8

        “Posthuman” means a future human being who can no longer be called a human because major abilities exceeds the current standards and limitations. This concept re-adjusts and includes the phases and boundaries of other non-human beings. Thus, the traditional view of the human world and the human image can no longer be maintained. Posthumanism is a variety of humanities / criticism discourses on the future of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after human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ritical posthumanism is criticized at the same time as it inherits humanism. It aims to diversify or renew modern human views, to avoid one-sided technology optimism or fear, and to reflect on it. Posthumanism has been embodied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However, posthumanism differs from postmodernism in that it is an ideology of the era that experiences the loss and fall of the modern “human” and humanism as a fact. Posthumanism is also an interdisciplinary discourse in the era when the boundaries between humanities and science have been broken down under new technological and cultural conditions, and today it is also related to 'post-humanities' and the changes of universities. SF(Science Fiction) is a “perfect posthuman genre.” It forms a popular image, emotion, and ideological attitude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and posthuman. That is why (critical) posthumanist criticism must actively intervene in SF. SF movies and novels are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pec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popular) science writing also expands the image and ideology of posthumanity through narrative imagination, and even finally realizes it. “Since the era itself is regarded as SF,” analysis and criticism of SF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posthuman society and culture. ‘포스트휴먼(posthuman)’이란 인간의 주요 능력이 현재의 기준과 한계를 월등히 뛰어넘는 존재이기 때문에 더 이상 인간으로 부를 수 없는 미래 인간을 의미한다. 포스트휴먼 또는 포스트휴먼적이라는 것은 인간이 아닌 다른 타자적인 존재들의 위상과 경계가 재조정되고 포함된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하여 전통적인 인류의 세계관과 인간상은 더 이상 지속될 수 없게 된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된 인간의 미래와 인간 이후의 인간을 사유하는 다양한 인문학/비평 담론이 바로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이다. 그 가운데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휴머니즘을 계승하는 동시에 비판하여 근대적 인간관을 다양화 ․ 갱신하고, 일면적인 기술 낙관론이나 공포를 지양하며 성찰적으로 사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최신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유의 영향을 통해 배태되었다. 그러나 포스트휴머니즘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달리 근대적 ‘인간’과 휴머니즘의 상실과 몰락을 엄연한 사실로 경험하고 있는 시대의 사상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포스트휴머니즘은 새로운 기술문화적 조건 속에서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가 허물어진 시대의 학제적 담론으로서, 오늘날 ‘포스트인문학’과 대학의 변화와도 관련된다. SF(Science Fiction)는 “완벽한 포스트휴먼의 장르”로, 과학기술과 그에 따라 변화된 (포스트)인간의 ‘대중적’ 이미지와 감정적 ․ 이념적 지향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그 점이 바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비평이 SF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하는 이유이다. SF 영화와 소설은 과학기술의 지식과 기대에 근거해서, (대중)과학 저술 역시 서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포스트휴먼의 이미지와 그 이념을 확산시키고 심지어는 그 상상력을 현실화하기도 한다. “시대 자체가 SF로 간주”되고 있으므로,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SF에 대한 분석과 비평이 요구된다.

      • KCI우수등재

        포스트휴먼 (인)문학과 SF의 사변적 상상력

        노대원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200

        대학과 인문학의 위기는 신흥 기술과학, 기후 위기, 전지구적 자본주의, 양극화, 국제 전쟁과 난민과 같은 포스트휴먼 조건(posthuman condition)과 만나 학문 생태계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 인문학은 다양한 새로운 학제적 연구 분야를 거느리는 ‘포스트휴먼 인문학/포스트인문학’(posthumanities)으로 변화한다. 이 새로운 인문학들은 이 시대의 복잡한 위기에 대한 비판적 대응이다. 그러나 비판과 성찰 없는 인문학은 후기 자본주의의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국어국문학 역시 서구 휴머니즘과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반성과 비판에 새로운 사유를 더할 수 있다. 동시에 언어 중심의 인간중심주의적 특권적 지위를 더 이상 강조하기 어려워진다.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과 SF는 사변적(speculative) 상상력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포착하고 이를 낯설게 하여 대안적 상상력을 생성한다. 일부 트랜스휴머니즘이나 장기주의(longtermism)는 기술 자본주의의 새로운 이념으로, 투기적(speculative) 서사로 작동한다. SF의 사변적 상상력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상상력인 동시에 자본주의의 새로운 서사의 두 모습을 갖는다. 어떻게 비판적, 대안적, 실천적 서사를 만들어나갈 것인지가 포스트휴먼 조건의 핵심 과제다.

      • KCI등재

        SF의 장르 특성과 융합적 문학교육

        노대원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2 No.-

        Science Fiction(SF) is a very interesting genre that expresses new science and technology, unfamiliar thought experiments and ideas with suspenseful plots, creating a sense of wonder for the reader. This paper review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of SF research and SF education research and confirmed the need for SF education. It also discussed the narrative poetics and core concepts of SF and examine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Finally, after pointing out the limits of SF education using traditional science, it proposed the direction of interdisciplinary literary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F genre. (1) SF is a narrative genre expressing scientific imagination. In science fiction, scientific methodology and explanation as well as scientific knowledge and theory are important. The difference between SF and reality is meaningless because of the social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SF education needs not only interest in scientific motifs but also humanistic discussion or scientific attitude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2) Recently, SF is also called Speculative Fiction. In addition to natural sciences, it uses knowledge and perspectiv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s a whole. Therefore, SF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learning stereoscopic and convergent perspectives and knowledge of the world, not just an auxiliary means for science education. (3) SF is a genre characterized by thought experiment and cognitive estrangement. Students can think alternatively and creatively with this genre. (4) SF is a narrative genre that anticipates future changes by extrapolation. Through this genre, learners can imagine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s changes. (5) With SF genre, we can practice ways to solve and adapt to various conflict situations raised in a society that will change. SF(science fiction, 과학소설)는 새로운 과학기술, 낯선 사고 실험(thought experiment)과 아이디어를 긴장감 넘치는 플롯으로 표현하여 독자에게 경이감(sense of wonder)을 불러일으키는 매우 흥미로운 장르이다. 이 논문은 SF 연구와 SF 교육 연구의 국내외 현황을 검토해보고 SF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해보았다. 또한 SF의 서사 시학과 핵심 개념을 논의하고 그 교육적 함의를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기존 과학 중심의 SF 활용 교육의 한계를 지적한 뒤, SF 장르 특성에 기반한 융합적 문학교육의 방향을 제안해보았다. (1) SF는 과학적 상상력을 표현하는 서사 장르이다. 과학소설은 과학 지식과 이론 뿐만 아니라 과학적 방법론과 설명도 중요하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적 영향 때문에 SF와 현실 간의 차이는 의미가 없어졌다. 따라서 SF 교육에는 과학적 소재에 관한 관심은 물론 과학적 태도나 과학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토론도 필요하다. (2) 최근에 SF는 사변 소설(Speculative Fiction)로도 불리며 자연과학 이외에도 인문학과 사회과학 전반의 지식과 관점을 활용한다. 따라서 SF 교육은 단지 과학 교육을 위한 보조적 수단이 아니라 세상을 보는 입체적이고 융합적인 관점과 지식을 학습하는데 주안점이 되어야 한다. (3) SF는 사고 실험과 인지적 낯설게 하기(cognitive estrangement)로 특징지어지는 장르이다. 학생들의 대안적 사고와 창의적 발상을 함양할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다. (4) SF는 외삽법(extrapolation)으로 미래의 변화를 예측(anticipation)해보는 문학이다. 학습자가 직접 미래의 과학기술과 그에 따른 변화를 상상해보도록 할 수 있다. (5) SF 장르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도전적인 사유를 제 기하는 노붐(novum) 등을 통해 철학적 논쟁과 사회적 성찰을 촉진할 수 있다. 변화될 사회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갈등 상황을 해결하고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연습할 수 있다.

      • KCI등재

        힐링 담론과 치유의 문학교육 - ‘상처 입을 가능성’과 ‘문화 의사’ 개념을 통한 비판적 성찰 -

        노대원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8

        Recently, healing discourse is popular in literature and humanities. The culture of healing encourages readers to be passively involved i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individual psychology rather than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ommunity solidarity. Therefore, through the critical reflection, we can search for th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of healing.   In Levinas' philosophy, 'vulnerability' means being wounded and suffered by the suffering of the other, carrying ethical 'responsibility'. In Nietzsche and Deleuze philosophy, 'cultural physician' refers to writers and artists who capture, diagnose, and treat signs of socio-cultural illness in pain. Levinas and Nietzsche-Deleuze's philosophy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n ethical subject and the possibilities of a positive and creative subject, starting from the reality of the suffering human being. Thus, we can, first, expand the wider view of social healing by introducing the ethics of others to the culture of healing and literary healing. Second, we can transform the passiveness of literary healing into creative activeness. 최근, 문학과 인문학에서 힐링 담론이 유행이다. 치유의 문화는 사회 ‧ 정치적 참여와 공동체적 연대보다는 개인 심리의 건강과 안위에만 수동적으로 몰두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치유의 문학교육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다. 레비나스 철학에서 ‘상처 입을 가능성’이란, 타자의 괴로움에 의해 상처받고 고통 받아 윤리적 ‘책임’을 짊어지게 되는 것을 뜻한다. 니체와 들뢰즈 철학에서 ‘문화 의사’란, 고통 속에서 사회 문화적 질병의 징후를 포착하여 진단하고 치료하는 작가와 예술가를 뜻한다. 레비나스와 니체-들뢰즈 철학은 고통 받는 인간의 현실에서 출발해서 윤리적인 주체의 가능성과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주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 사유를 종합하여, 첫째, 치유의 문화, 문학적 치유에 타자의 윤리학을 도입하여 사회적 치유의 더 넓은 시야로 확장할 수 있으며, 둘째, 문학적 치유의 수동성을 창조적 능동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 융합교육의 구현 방안 모색 -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중심으로

        노대원,김성백,염미경,이소영,김세헌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20 No.2

        This research aims to estimate the potential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traverses the discipline of natural science, computer technology,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Besides, it attempts to integrate various technologie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to examine the ways of developing, sharing and spreading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hat may be applied to the fields of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model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tudies, as well as overall framing of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models. The first model deals with technology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her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tegrated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Meanwhile the second model deals with Jeju local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hich is focused on educating global citizenship, excavating examples of local based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applying them to local community. Finally, the third model deals with narrative culture bas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at aim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that traverse disciplines of ‘science and literature’,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and ‘local culture and literary/social studies.’ 이 연구는 과학, 컴퓨터, 문학, 사회 교과의 울타리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의 실천적 가능성을 가늠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융합교육에 접목하며,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만한 융합 교육을 위한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 공유, 확산하는 방안들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세 유형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세 유형의 융합교육을 다시 연계시키는 융합교육의 전체 구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컴퓨터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포함하여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접목한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테크놀로지 및 네트워크를 응용한 ‘과학기술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둘째, 교육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역점을 두면서 지역기반 융합교육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적용한 ‘제주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문학’ ‘문학-사회’ ‘지역문화-문학 및 사회’의 학제 간 융합교육의 교수법 및 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 ‘서사문화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 기반 융합교육 및 융합교육 연구의 방향과 구도를 세우는 데 이 연구는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체계 수사학을 이용한 문학 텍스트 분석과 작문 교육

        노대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3 No.-

        이 논문은 수사학이 텍스트 생성과 텍스트 분석의 방법으로 모두 유용하다는 점에 착안해서, 수사학을 이용한 텍스트 분석과 모방 및 생성 훈련으로서 작문 교수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문장 기반 교수법(sentence-based pedagogies)’은 전통적인 작문 교수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여전히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유의미한 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작문 교육 연구에서는 논의가 거의 소멸된 상태라 새로운 이론적 고찰과 검토가 요청된다. 그리하여 이 논문은 하인리히 F. 플렛의 치밀한 이론적 기획인 ‘분류체계의 수사학’에 의거해 문학 텍스트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문장을 증축해서 한 편의 글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교수법을 제안한다. 특히, 김훈의 문학적 에세이를 대상 텍스트로 삼아 정교하게 수사학적으로 분석하고 작문 실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교수법을 설계하여, 체계 수사학의 문학 교육 및 작문 교육에의 현장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본다. Therefore, building on Heinrich F. Plett’s “Systematic Rhetoric” theory, this paper proposes a pedagogy that encourages students to analyse a text and from it, to construct new sentences. In particular, using Kim Hoon’s literary essay as a foundational text, this paper offers a plan for actual teaching using close rhetorical analysis and composition practice. Thus, this study tests out the possible applications of “Systematic Rhetoric” theory for read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Rhetoric offers a very useful method for both text generation and text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a rhetoric-based writing pedagogy as a method of training for text analysis, imitation, and generation. “Sentence-based pedagogies” constitute a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f writing. They are still used frequently in actual writing class, and are quite effective. Yet, now, in research on writing education, discussions about “sentence-based pedagogies” have become increasingly rare, so new form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examination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