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주행차 평가 시나리오 구성요소 도출 - 고속도로 본선구간을 중심으로

        고우리,윤일수,박상민,정하림,박성호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1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을 실효성 있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하구조, 교통안전시설, 혼잡도, 기상 등 다양한 항목들이 평가 시나리오 내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 행차 평가 시나리오에 반영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평가 시나리오의 체 계를 수립한 후 반영될 구성요소를 계층별로 범주화하였다. 이후 계층별로 관련 문헌을 검토 하여 자율주행차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평가 구성요소 후보를 도출한 후, 전문가 설 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총 77개의 자율주행차 평가 시나리오 구성요소들을 선정하였다. 선정 된 자율주행차 평가 구성요소들은 시뮬레이션 평가, 주행시험장 평가, 실도로 평가 등에서 자 율주행차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Various elements such as geometry, traffic safety facilities, congestion level, weather, etc., need to b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assessment scenario evaluating the driving safety of automated vehicles. Therefore, this study first established a scenario structure and defined the layer of elements, to derive the elements to be reflected in the automated driving safety evaluation. After that, all elemental candidates that can be reflected in each layer were derived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Finally, as a result of an expert survey, 77 items were selected to be reflected in the automated driving safety evaluation. The selected elements are expected to be actively utilized in developing scenarios for the driving safety evaluation of automated vehicles in simulation, proving ground, and real road assessments.

      • KCI등재후보

        초등 발명 교육에서 창의적 산출물 평가 요소의 적합도 분석 : Besemer(1998)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요소를 중심으로

        문대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는 초등 발명 교육에서 Besemer(1998)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요소의 적합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창의적 산출물 평가 요소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평가 타당성’과 ‘평가 용이성’을 두 축으로 하는 매트릭스를 설정한 후 4분면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타당성’의 평균 점수는 4.53점에서 2.87점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전체 평균 점수는 3.67점으로 나타났다. 평가 타당성 평균 점수는 유용한(4.53점), 가치 있는(4.43점), 독창적인(4.23점), 잘 만들어진(3.90점), 놀라운(3.73점), 논리적인(3.20점), 이해 가능한(3.17점), 세련된(2.97점). 유기적인(2.87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용이성의 평균 점수는 4.03점에서 2.77점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전체 평균 점수는 3.49점으로 나타났다. 평가 용이성 평균 점수는 잘 만들어진(4.03점), 유용한(3.93점), 세련된(3.83점), 독창적인(3.77점), 놀라운(3.63점), 이해 가능한(3.60점), 가치 있는(2.97점), 논리적인(2.83점), 유기적인(2.77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산출물 평가 요소의 적합도 매트릭스를 분석한 결과, 1사분면에 위치한 것은 ‘독창적인’, ‘놀라운’, ‘유용한’, ‘잘 만들어진’의 4개 요소이며, 이들 요소는 초등 발명 교육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적합도를 확보하였다고 볼 수 있다. 제 2사분면에는 ‘이해 가능한’과 ‘세련된’의 2개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제 3사분면에는 ‘논리적인’과 ‘유기적인’의 2개 평가 요소가 해당되며, 이는 초등 발명 교육의 평가 요소로서 재검토가 요구된다. 제 4사분면에는 ‘가치 있는’ 요소 1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평가 요소를 초등학교 현장에서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를 위한 평가 가이드를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valuation criteria appropriateness of creative products in elementary invention education based on the Creative Products Analysis Matrix (Besemer, 1998).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evaluation validity-evaluation easiness matrix’ was establish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evaluation validity’ was 3.67 points and the range was 4.53∼2.87 points. The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of mean score were as follows. ‘Useful’ 4.53, ‘valuable’ 4.43, ‘original’ 4.23, ‘well-crafted’ 3.90, ‘surprising’ 3.73, ‘logical’ 3.20, ‘understandable’ 3.17, and ‘elegant’ 2.97 points. Second, The mean score of ‘evaluation easiness’ was 3.49 points and the range was 4.03∼2.77 points. The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of mean score were as follows. ‘Well-crafted’ 4.03, ‘useful’ 3.93, ‘elegant’ 3.83, ‘original’ 3.77, ‘surprising’ 3.63, ‘understandable’ 3.60, ‘valuable’ 2.97, ‘logical’ 2.83, and ‘organic’ 2.77 points. Third, In the ‘evaluation validity-evaluation easiness matrix’ 4 evaluation criteria of ‘original’, ‘surprising’, ‘useful’, and ‘well-crafted’ were sited in Quadrant Ⅰ and these criteria were verified in terms of appropriateness. 2 evaluation criteria of ‘understandable’ and ‘elegant’ were sited in Quadrant Ⅱ. 2 evaluation criteria of ‘logical’ and ‘organic’ were sited in Quadrant Ⅲ and these criteria were required to reexamine in terms of appropriateness. 1 evaluation criterion of ‘valuable’ was sited in Quadrant Ⅳ and this criterion was developed with evaluation guide-line.

      • KCI등재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평가 요소들 간의 가중치에 관한 연구 - 여성 운전자를 중심으로

        황아용 ( Yarong Huang ),김용구 ( Yonggu Kim ),조광수 ( Kwangsoo Cho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연구배경 현재의 여성 운전자 비율이 매년 중가함에 따라, 여성의 성향과 특성, life style 등을 고려한 여성용 자동차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여성의 소비자 심리 분석을 토대로, 여성용 자동차 인테리어 평가 요소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여성 운전자를 위한 자동차 인테리어 평가 요소는 남성과 여성간의 성향과 특성 등이 서로 상이하므로, 평가 요소 또한 요소별 중요도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료조사를 하여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평가요소를 정리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AHP 기법을 활용해 평가요소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최종 여성용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평가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남성과 여성 운전자 간의 평가요소를 도출하였고, 상위항목과 하위항목으로 분류하여, 각 요소별 쌍대 비교를 통해 여성자동차 인테리어 평가요소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또한 그 결과는 남성전문가와 여성전문가의 응답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기존의 평가요소 도출 및 검증에서 끝나는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평가요소 개발에서 각 요소별 가중치를 적용해 봄으로써, 더욱 객관적으로 수치화하여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평가 요소별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분석한다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평가요소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s the proportion of female drivers is increasing year by ye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female car design considering female characteristics, lifestyles,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ternal evaluation factors of female car based on the psychological analysis of female consumers. Methods The evaluation elements of car interiors for female drivers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etc.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evaluation elements and the importance of each element are also different. Through data investigation, the evaluation elements of automobile interior design are compiled, and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element are obtained by using AHP aiming at experts. Finally, the evaluation direction of female car interior design is put forward. Results The evaluation factors between male and female drivers were deduced, which we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items. By comparing the factors in pairs,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factors of female car interior were deduced. And it turned out that male and female experts responded with different results. Conclusion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earch which ends with the evaluation elem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at the weight of each element is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elements, and the evaluation elements can be numerically and organizationally more objectively. In addition, in future studies,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with the general population and analyzing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element, it will be possible to grasp the evaluation elements that need priority improvement.

      • KCI등재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조재상 ( Jae Sang Cho ),권대규 ( Tae Kyu Kwon ),홍정표 ( Jung Pyo Hong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3

        오늘날 고령인구의 증가와 장애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재활훈련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재활훈련기와 사용자간의 제공받아야 할 서비스에 대한 평가 요소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에 있어서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디자인 평가를 위한 기본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재활의료전문가, 의공학자, 디자이너들의 토의 및 분석,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존 디자인 평가 요소들을 수집, 분석하여 10가지의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와 44개의 세부 평가항목을 구축하였다. 이는 앞으로 재활훈련기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될 것이다. 둘째,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디자인 평가요소로는 사용성, 인지성, 안전성, 학습성, 운동성, 내구성, 경제성, 공간성, 심미성, 환경성의 10가지 디자인 평가요소가 있다. 셋째, 환경성, 공간성, 인지성, 사용성, 경제성, 심미성의 디자인 평가요소는 제품디자인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고, 학습성, 안전성, 운동성, 내구성의 요소는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넷째, 재활 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는 제품디자인요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환경성, 공간성, 인지성, 사용성, 경제성, 심미성에 학습성, 안전성, 운동성, 내구성을 의 요소를 더해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기존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의 차이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와 44개의 세부 평가항목 구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전체적인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만을 연구한 것으로, 향후연구 에서는 시 제품 제작을 통하여 평가요소들을 실제 재활훈련기 디자인에 적용해 보고, 미진한 점들을 수정 보완할 예정이다. Due to the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and population of the disabled toda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Furtherm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evaluation indices for service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uses of th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order to evaluat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s in this study, the basic index for design evaluations shall be identified to search for assessment plans. Through this, new evaluation indices will be deduced through discussions and analysis of rehabilitation medical experts, biomedical engineers, and desig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design evaluation indi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construct 10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These will be important evaluation standards for designing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in the future. Second,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health care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s are the 10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usability, cognition, safety, learning, motility, durability, economic feasibility, spac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 aspects. Third,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are indice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product design, while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are factors that must be given special consideration for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Fourth, if existing produc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environment, space, cognition, usa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of products for design evaluation indices,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design evaluation indices placed importance on learning, safety, motility and durability on top of us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which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sign evaluation indices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rument and other product designs. The 10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and 44 sub-evaluation item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is research is only on the overall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design evaluation indices. In future research, the evaluation indices will be applied in the actual rehabilitation medical design device through production of prototypes, while making revisions and supplementations where necessary.

      • KCI등재

        다차원적도법을 활용한 중국 공공미술 사전 평가요소의 범주화에 관한 연구

        유아문,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 각지에서 공공미술의 긍정적 영향이 점차 드러나고 있지만, 도시의 빠른 변화에 따라 공공미술은 전통적인 후기 단계 개입에서 도시 발전의 핵심 요소로 전환되는 중요한 분기점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합리적인 사전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프로젝트가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현재의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 하에서 계획, 디자인, 운영, 관리의 관점에서 공공미술의 실현 가능성을 보다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사전평가 요소를 심층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함으로써, 공공미술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는 중국 공공미술의 사전평가 지표에 초점을 맞추고,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을 연구 도구로 활용한다.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다양한 평가 요소를 포함하며, 이러한 요소들은 다차원적이고 서로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MDS 방법은 차원 축소와 시각화 기술을 통해 이러한 복잡한 평가 요소들을 저차원으로 단순화함으로써 범주화 과정을 더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한 범주화된 중국 공공미술 사전평가 요소의 범주가 다음과 같다. 범주 1은 수용자 적합성, 대화성, 참여성, 시대성, 현지성, 국제화, 일상성, 다양성, 취미성, 계발성, 지역성, 접근성 12가지 요소로, 범주 2는 창의성, 독창성, 예술 형식, 예술가의 개인 스타일 및 창작 경험, 예술의 자율성, 심미성, 예술 언어, 상징성, 선진성 9가지 요소로, 범주 3은 실용성, 안전성, 내구성, 생태성, 애프터서비스, 품질 6가지 요소로, 범주 4는 전면성, 자금, 브랜드화, 디자인 자격 증명, 예술가의 지명도와 영향력, 규정 준수성, 홍보의 강도 및 방법, 협력성, 개방성, 영속성 10가지 요소로, 범주 5은 사상성, 주제성, 비판성, 미래지향성, 체험성 5가지 요소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범주화를 바탕으로 중국 공공미술 사전평가 요소는“수요평가”,“예술품질 평가”,“기능 품질 평가”, “실행 보장 평가”,“사상 및 철학 평가”와 같은 5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로,‘수요 평가’는 예술 프로젝트가 대중과 사회 문화의 요구에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두 번째로,‘예술 품질 평가’는 예술 프로젝트의 고유한 예술 가치에 중점을 둔다. 세 번째로,‘기능 품질 평가는 예술 프로젝트’의 실용성과 지속성에 중점을 둔다. 네 번째로,‘실행 보장 평가’는 예술 프로젝트가 기획부터 실행까지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지원 요소에 중점을 둔다. 다섯 번째로,‘사상 및 철학 평가’는 예술 프로젝트가 전달하는 깊은 사상과 철학, 그리고 사회 문화에서 유발하는 비판적 사고에 중점을 둔다. (결론) 본 연구는 공공미술의 사전평가 지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함으로써, 그 다면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미래 프로젝트가 사회적 요구와 기대에 더 잘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도시 변화에 따라, 공공미술은 도시 프로젝트의 후기 단계에서 도시 발전의 핵심 요소로 전환되었으며, 기능성, 지속 가능성, 시민과의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두어 새로운 도시 발전 추세에 적응하고 있다.

      • KCI등재

        전투발전요소 중심의 상호운용성 평가모델 제안

        임병윤,이태공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3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0 No.2

        합동작전에 참여하는 부대가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 시스템, 장비, 교리·절차 등 전 영역(물리·정보·인지·사회)에서의 상호운용성이 우선적으로 달성되어야 한다. 기존의 상호운용성 평가모델들을 분석해보면 하드웨어 중심의 평가에서 시스템, 조직, 작전 등으로 평가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모델들은 전투발전요소를 평가항목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델들은 전투발전요소의 일부만을 평가항목으로 적용하고 있어 전투발전요소 전체에 대한 상호운용성 평가가 제한되고, 모델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구체화와 평가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측정기준 개발 등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한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전투발전요소 전체를 평가항목으로 적용하는 ‘전투발전요소 중심의 상호운용성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능력개념을 도입하였고, 전투발전요소 전체를 적용하여 평가대상의 상호운용성 수준을 보다 총체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 모델은 각 전투발전요소의 상호운용성 속성 중에서 합동성과 관련된 속성을 선별 및 적용하여 합동작전에 참여하는 부대의 합동성 수준까지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e effectiveness of joint operations depends on Jointness based on interoperable elements of participating forces. Many specialists have actively done research studies on interoperability measurement models with the goal of straightforward way of measuring and then have improved the interoperability of elements based on DOTMLPF-p(Doctrine, Organization, Training, Materiel, Leadership & Education, Personnel, Facilities, Policy) in the forces. After the survey of 16 interoperability measurement models, we have concluded that most of them applied only a small portion of DOTMLPF-p elements explicitly or all portions of DOTMLPF-p elements implicitly. In this study, we propose a conceptual interoperability measurement model for applying all DOTMLPF-p elements explicitly. And it can evaluate not only the level of interoperability among forces but also level of jointness for joint operations.

      • KCI등재후보

        성과평가요소의 역사적 변천과 지식활동 평가요소 탐색

        이을터 ( Eul Teo Lee ) 한국경영사학회 2008 經營史學 Vol.48 No.-

        본 논문은 지난 100여 년 동안 종업원 성과를 어떤 평가요소에 의해서 고과하였는지를 문헌 고찰하고, 향후에는 무엇을 평가해야 하는지를 제언하였다. 종업원 성과평가요소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성과평가에 대한 공식적 문헌이 출간된 이후인 19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연구들을 크게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주요 특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각 시기의 구별은 종업원 성과평가요소가 두드러지게 변화한 시점을 중심으로 구분하였지만, 성과평가기법의 변화도 고려하였다. 그 시기는 19세기 후반부터 1932년까지 제1시기로 `결과평가 시기`, 1933년부터 1959년까지 제2시기로 `직무성공예측치평가 시기`, 1960년부터 1979년까지 제3시기로 `다면적 평가 및 행동평가 시기`, 1980년부터 1994년까지 `다차원평가 시기`, 1995년 이후 현재까지 제5시기로 `역할평가 시기`이다. 각 시기별 평가요소들에 관한 논의를 마친 후, 성과평가요소의 향후 방향을 전개하였다. 그 방향으로는 최근 지식경영이 기업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하고 있기에, 종업원 지식활동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식경영의 핵심이 구성원들의 지식활동, 즉 지식습득, 지식창출, 지식공유 및 전파 등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평가요소와 세부적인 평가항목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attern of performance rating index for the last 100 years and sugges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has periodically analyzed performance rating index for the last 100 years and divided performance appraisal changing patterns into five distinct periods: before 1932, between 1933 and 1959, between 1960 and 1979, between 1980 and 1994, and between 1995 and the current period. This study has named each period. The first period is `Result Based Appraisal Period`, the second period is `the Period of Prediction for Job Succession`, the third period is `Multi-Facet and Behavioral Appraisal Period`, the fourth period is `Multi-Dimension Period`, and the fifth period is `Role Based Appraisal Period`. After the literature review on changing patterns of performance rating index and overall characteristics for the last 100 years, this paper has discussed how to appraise the knowledge activities such as knowledge acquisition, creation, and sharing of employees. Because recently knowledge management has emerged as a new management paradigm and knowledge activities of employees has been considered as significant activities to get organizational innovation.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knowledge performance rating index related to knowledge activities of employees.

      • KCI등재후보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 교과교육학 문항에 대한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요소별 분석

        강경희 ( Kyung Hee Kang ),안근재 ( Keun Jae Ah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02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 교과교육학 문항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틀은「생물과 교과교육학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요소」를 토대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빈도 분석에 근거한 정량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출제 문항을 분석한 결과 평가영역별 출제 비중은 큰 차이를 보였고, 각 평가내용요소별 출제빈도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내용요소들 중 61%만이 출제 문항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출제 내용이 일부 평가내용요소에 편중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에서 교과교육학 문항들이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출제 유형에 따른 기간별분석 결과에서도 평가영역이 균형적으로 출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에서 출제 경향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 선정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러한 시도는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edagogical biology questions for the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conducted from the school years 2002 to 2014.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evaluation areas of the pedagogical biology and evaluation content element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evaluation and the content ele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ratio of content questions and evaluation questions covered on the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Evaluation content questions accounted for 61% of the examination indicating that the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was imbalanced and ineffective. The results suggests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viewing the evaluation of the biology pedagogical and evaluation content to ensure the validity of evaluation on the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KCI등재

        쓰기 평가 과제 내용 분석 연구

        이병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ssignments throughcontent analysis. The objects of this study, writing assignments for assessment, were tasks designed by two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Among various writing assessment item, only essay test item was choose. All writing promp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rhetorical factors, procedural factors and other factors. The rhetorical factors consisted of theme, audience, situation, role of writer, mode of discourse. The procedural factors consisted of planning, drafting and revising. And the other group contain quantity of writing and showing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us writing assignments that indicate audience was most low frequency in rhetorical factors. In procedural, revising was most low f requency. And there were no prompts showing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So, the results mean writing assignments needed to be specified with rhetoric and designed with various procedural task including planning,drafting and revising. We should design writing assignments for similarity to real writing. In that case students will show their real writing abilities. For appropriate designing writing assignments, purpose classified table for writing assessment should be developed. And we should reduce the misunderstanding derived from the gap between test maker and test taker through opening the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이 연구는 내용분석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쓰기 평가 과제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대상의 쓰기 평가 과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작한 쓰기 서술형/논술형 쓰기 과제로 하였다. 이 두 기관의 쓰기 평가 과제는 전국 초등학교 및 서울의 각 학교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이유로 선정되었다. 쓰기 과제 분석의 범주는 수사적 요소, 과정적 요소, 기타 요소로 분류하였다. 수사적 요소의 하위 요소로는 주제, 독자, 상황, 필자, 담화 유형으로, 과정적 요소로는 내용 생성, 초고, 고쳐쓰기로 기타 요소로는 쓰기 분량과 평가 기준 제시로 하였다.분석 결과 수사적 요소에서는 독자를 제시한 과제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과정적 요소에서는 고쳐쓰기가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조건 요소에서 평가 기준을 제시한 과제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쓰기 과제가 수사적 요소를 상세화하지 않고 개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쓰기 과정은 결과 중심에 치우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쓰기 과제는 성취 수준과 글의 소재를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하며, 쓰기 과제 이원 목적 분류표 개발을 통해 쓰기 과제를 풍부하게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또한 쓰기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출제자와 학생 필자 그리고 채점자 사이의 오해를 좁혀야 한다.

      • 건축물관리의 규제평가요소분석 및 사례연구*

        이영행(Lee, Yeong Haeng) 한국부동산경매학회 2021 부동산경매연구 Vol.2 No.1

        건축물의 안전 등에 관한 법적인 영역에서는 건축법과 건축물 관리법, 령, 시행규칙에 명시되었다. 그러나 법, 령, 규칙을 3단 비교분석 결과 아직도 위임 및 시행될 사항이 조례에 반영이 늦어져서 시행상 안전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항은 건축물의 규제에 관한 평가요소를 투명화, 구체화, 계량화 등을 통하여 좀 더 건축물의 안전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평가요소 항목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 관리법 제정에 따라 법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 규정에서 규제평가요소 지표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표준화된 평가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천안시의 규제평가요소 분석을 통하여 규제의 영향분석에서 규제분석서 작성과 조례제정까지의 절차를 사례로 연구하였다. 도출된 규제평가 요소의 현황분석을 토대로 새로운 규제평가요소 항목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평가항목을 통하여 좀 더 객관화, 투명화된 규제의 완화나 강화를 통하여 정형화되고 표준화를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규제평가요소 분석을 통한 신지표를 개발하여 건축물의 미관과 안전성 확보 등에 본 논문이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In the legal area of safety of buildings, it was specified in the Building Act, the Building Management Act, the Ordinance, and the Enforcement Regulations.,However, as a result of the three-stage comparative analysis of laws, ordinances and rules, the matters to be delegated and enforced are still delayed in the ordinance, and safety issues such as enforcement are emerging.,These matters are increasing the necessity of evaluation element items to secure more safety of buildings through transparency, concreteness, and quantification of evaluation elements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buildings.,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standardized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regulatory evaluation factor indicators in the regulations delegated by the law and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building management law.,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regulatory evaluation factors in Cheonan city, the study examined the procedures from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regulations to the preparation of regulatory analysis and the enactment of ordinanc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deduced regulatory evaluation factors, a new regulatory evaluation factor item was presented.,Through the proposed evaluation items, the standardized and standardized study was attempted through the relaxation or strengthening of more objectification and transparent regulation.,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esthetics and safety of buildings are secured by developing new indicators through analysis of regulatory evaluation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